KR101024455B1 -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55B1
KR101024455B1 KR1020087017323A KR20087017323A KR101024455B1 KR 101024455 B1 KR101024455 B1 KR 101024455B1 KR 1020087017323 A KR1020087017323 A KR 1020087017323A KR 20087017323 A KR20087017323 A KR 20087017323A KR 101024455 B1 KR101024455 B1 KR 10102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uilding sector
climbing
climbing system
scaff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682A (ko
Inventor
하인츠 호브마이어
Original Assignee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4239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244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도카 인두스트리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adde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16)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86)를 포함한다. 클라이밍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그러한 가이드 슈; 구조물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에서 안내 및/또는 현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계 유닛(12); 및 구조물상의 개개의 마운트(20)에 직접 해제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드라이브(18)를 포함하며, 이 승강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이 상승할 수 있는 제 1 작동 모드와 승강 드라이브가 상승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GUIDE SHOE AND CLIMBING SYSTEM FOR USE IN THE BUILDING SECTOR}
본 발명은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다층 빌딩, 바람직하게는 특히 고층 빌딩의 건설을 위해, 빌딩 섹터 내의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self-climbing system)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빌딩의 수직 벽의 건설에 필요한 거푸집을 구비하고 있다. 신축 벽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수직 벽이 상부 영역에서 추가로"증대"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지탱하는 소위 비계 유닛(scaffold unit)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승강 드라이브(lifting drive)가 적절한 프로파일에 의해 신축 벽상에 지지된다. 벽을 건설하는 동안, 벽이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비계 유닛을 신축 구역으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해서 비계 유닛의 드라이브가"따라"올라간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 4,962,82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비계 유닛은 반드시 거푸집을 포함하지는 않지만, 예컨대 내부에 축조될 마루를 포함하는 축조될 구조물에 접근하기 위해 축조될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며 되는 안전망 및/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비계 유닛에 적용 된다. 구조물의 각 지점에 추가의 프로파일이 부착될 수 있고,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 비계 유닛 또는 프로파일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전환가능한 드라이브가 제공된다.
본 출원인은,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는 드라이브가 지지될 수 있는 수직 프로파일을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는 SKE로 명시된 승강 거푸집 시스템에 대해 알고 있다. 다른 작동 위치에서,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상에 지지되고, 이 때 비계 유닛은 이런 방법으로 수직 프로파일을 새로운 구역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조물에 현수되거나 및/또는 고정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조립과 관련하여 향상된 빌딩 구역에 사용되는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개시된 가이드 슈 및 그것에 구비된 클라이밍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전개는 추가의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클라이밍 시스템의 비계 유닛으로부터 가이드를 분리할 가능성은, 가이드 슈(이하, 가이드라고도 언급함)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guide jaw)을 포함하며, 이 안내 턱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리고 예컨대 T자, I자 또는 U자 프로파일 등의 프로파일과 프로파일의 일부분 또는 일부 구역을 둘러싸는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방법으로 달성된다. 예컨대, 비계 유닛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은 T자 또는 I자 프로파일일 수 있고, 이것의 수평(문자 "T" 참조) 가지는 구조물의 외측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구조물을 향한다. 이 경우에, 안내 턱은 "T"의 수직 가지 영역의 후방으로부터 이 가지를 파지할 수 있고 그리고 광범위한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수평 이동 및 회수에 의해서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가이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의 선회가능한 부착의 추가의 이점은, 가이드를 구조물의 마운트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경우 별도의 응력을 피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이 가이드상에 지지되면, (단면에서 볼 때)가이드가 분리하여 놓이거나 또는 (3차원으로 볼 때) 프로파일상의 선을 따라 놓이는 방식으로 기울기가 발생하여 여기서 고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가이드상에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는 안내 턱에 의해서 이것을 유리하게 피할 수 있다.
가이드 슈는 클라이밍 시스템의 승강 드라이브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슈는 구조물에 부착된 벽 슈에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클라이밍 시스템의 비계 유닛이 가이드 슈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안내 턱의 선회 중심인 회전 축과 안내 턱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를, 가이드와 벽 슈 사이의 고정부와 회전 축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유리한 방법으로, 이것은 가이드와 벽 슈 사이의 고정부가 안내 턱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가이드 슈는, 구조물의 마운트 및/또는 비계 유닛의 가이드(이것을 상승시킬 경우 특히 바람직함)에 대한 승강 드라이브의 직접 부착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실행한다. 또한, 자체적으로 그리고 추가의 특징과 조합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이드를 갖는 2개의 멈춤쇠(pawl) 또는 베어링 볼트의 제공, 벽 슈에 대한 가이드 슈의 회전가능한 장착,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슈의 2차원 지지를 위한 스프링 또는 고무 버퍼와 같은 다른 탄성 요소에 의한 회전 가능한 설비와의 정렬,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영역에서는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에 의해 선회불가능한 방식으로 실행되고 또한 축방향 이동 후에 가이드 클로(guide claw)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일부 영역에서는 선회 가능하게 실행되는 가이드 슈상의 가이드 클로 또는 조의 안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클라이밍 시스템은, 구조물상의 상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에서 안내되고 및/또는 매달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계 유닛을 포함한다. 비계 유닛으로부터 수행할 작업에 필요한 작업 플랫폼, 거푸집 등이 비계 유닛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비계 유닛에 대해 강조되어야 하는 점은, 하나의 평면에 지지 프로파일(bearing profiles)들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가의 지지 프로파일이 제공될 수 있다 할지라도, 비계 유닛은 구조물 내로의 수직방향의 힘의 도입에 의해 발생되는 힘과 토크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구조물에 특히 근접하여 제공되는 지지 프로파일을 갖는 단 하나의 평면이 제공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특히 간단하고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비계 유닛을 안내 및/또는 현수할 수 있는 가이드는, 예컨대 구조물에 부착된 벽 슈일 수 있다. 특히, 현재 비계 유닛은 구조물의 상부 영역에 현수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영역에서, 가이드는 소위 가이드 슈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 슈는 예컨대 추가의 벽 슈에 부착될 수 있고 그리고 후술하는 승강 드라이브의 구성요소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구조물상의 개별 마운트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유리한 방법으로,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 지지 프로파일의 수직면 외에, 추가의 단일 제1 수직면을 형성한다. 특히, 드라이브는 승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요소를 갖지 않는다. 예컨대 빌딩의 벽 슈에 부착될 수도 있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가이드 슈에 의해서 드라이브가 구조물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면,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은 추가의 수직 프로파일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특히 간단한 설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벽 슈와 같은 개별 마운트들만이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마운트들과 비계 유닛 사이에는, 추가의 수직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제공된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드라이브만이 배치된다. 이에 의해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을 특히 용이하게 건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물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승강 드라이브는, 비계 유닛이 상승할 수 있는 제 1 작동 모드와, 승강 드라이브가 상승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제공된 비계 유닛 또는 드라이브를 상승시키는 크레인을 필요로 하지 않고 소망의 승강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원칙적으로 승강 드라이브만이 제 1 작동 모드에서 구조물에 제공된 마운트와 비계 유닛 사이에서 작동하는 한편,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승강 드라이브가 분해되어 작업자가 쥐고 높은 영역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작업자가 이 과정을 적당한 노력으로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드라이브가 소형 및 경량으로 유지될 수 있는 사실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이점은 명백하다.
삭제
승강 드라이브와 비계 유닛간의 결합을 위해, 돌출형 클라이밍 캠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승강 캠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각각의 승강 작용 중에 지지에 필요한 필수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컨대 천공된 프로파일 내의 오목부로서, 개구로서 구체화되거나, 예컨대 기어 랙 상의 돌기로서 구체화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구체화되는 결합 구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고 언급되어야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비계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체로서의 승강 드라이브를 비계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예컨대 보다 높은 영역으로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비계 유닛이 상승할 때 승강 드라이브만이 작동하는 소위 부분 유압 작동 모드를 촉진한다. 또한, 제거 가능한 승강 드라이브에 의해서, 비계 유닛의 상승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레인에 의해서 수행되는 작동과의 바람직한 조합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계 유닛으로부터의 가이드의 분리는, 가이드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이 있는 상태로 연장될 때 특히 비계 유닛으로부터의 드라이브의 제거를 허용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개시한 기준은, 비계 유닛이 가이드 영역에 더 이상 위치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높이 상승하는 기간동안 대기하는 것이 필요할 때, 드라이브가 제거될 수 있고, 그 후에 구조물상의 마운트, 예컨대 벽 슈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승강력을 비계 유닛에 전달하는 승강 드라이브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고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스프링력을 받는다. 명백하게, 이것은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가 제 1 작동 모드에서 스프링력을 받고 제 2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거나 또는 양쪽 작동 모드에서 중력을 받거나 또는 양쪽 작동 모드에서 스프링력을 받도록 반대로 실행된다.
이 상황에서, 적어도 2개의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를 드라이브상에 승강 방향으로 포개서 배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이것은, 비계 유닛 또는 드라이브의 승강 이동 중에 유리한 방법으로"단"의 추가의 분할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분할은 비계 유닛상의 결합 요소, 예컨대 승강 캠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처음 한정된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멈춤쇠 또는 베어링 볼트가 가이드상에 배치되면,"분할"이 미세하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멈춤쇠 또는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의 베어링 볼트가 특정 승강 캠과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경우에 클라이밍 캠(22)들 사이의 거리는 300㎜일 수 있는 반면, 2개의 베어링 볼트(80)에 150㎜의 거리가 제공되어 전체 150㎜의 분할이 생긴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작동 모드에 대해 개별 멈춤쇠 및/또는 베어링 볼트가 제공될 수 있다.
베어링 볼트의 경우, 하나의 하부 평탄 구역 및/또는 하나의 상부 급경사 구역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부 급경사 구역은 중력을 받는 베어링 볼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 영역에서는 가이드 프로파일의 급경사 구현에 의해서 중력이 아래로 급격히 감소한다. 유리한 방법으로, 하부 평탄 영역은 베어링 볼트의 용이한 편향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의 승강 캠이 베어링 볼트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 필요하고, 이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편향되는 베어링 볼트에 의해서 달성된다.
각각의 경우에 양쪽 작동 모드가 가능하도록 단일 멈춤쇠 또는 하나의 단일 베어링 볼트를 설계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잠금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드라이브가 비계 유닛상의 록킹 멈춤쇠에 의한 지지에 의해서"끌어 올려지는"것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 멈춤쇠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 안전을 위해, 현재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가 비계 유닛의 방향으로 마운트 및/또는 중력에 의해 유지 및/또는 로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 유닛의 설계를 위해, 이것은 구조물을 통해서만 운반될 수 있는 상당한 중량을 포함하거나 및/또는 지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조물에 대해 일정 거리에서 작용하는 중량 힘 및 다른 힘은 비계 유닛을"구조물로부터 멀리"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비계 유닛이 구조물로부터 떨어진 구역에 적어도 하나의 긴장가능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지지체는 비계 유닛을"구조물의 방향으로"프리스트레스시킬 수 있고, 힘의 작용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다른 변형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비계의 플랫폼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보호를 위한 레일이 이러한 종류의 지지체에 부착될 수 있다.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수직 프로파일을 포함할지라도, 전술한 지지체는 또한 반발을 제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지지체는 비계 유닛을 유리한 방법으로 빌딩의 경사부에 맞게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한 방법으로, 비계 유닛의 개개의 레벨들 사이의 지지체는, 복수의 고정 점을 포함하고 이 고정점에 의해서 지지체가 비계 유닛의 복수의 레벨들에 부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비계 유닛과 그 위에 제공된 레벨 및 플랫폼을 구조물 내의 상이한 층고에 간단하게 적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편심 스핀들에 의해서 지지체의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편심 스핀들에 의한 고정 및 전술한 지지체의 양자에 대해서, 이들 양자가 자체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한 이점을 갖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클라이밍 시스템에서 반드시 이점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고, 전술한 특징 및/또는 후술하는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지지체와, 전술한 특징 및/또는 후술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특징을 갖는 편심 스핀들의 단독 배치와, 그리고 지지체와 스핀들의 조합을 본 발명의 주제로 간주해야 한다.
최종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수직 방향으로의 상당한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상태에 대해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이것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는 둘 이상의 수직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과정의 초기에,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은 단일 수직 프로파일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수직 프로파일이 기부 위의 소정 높이에 위치되자마자, 추가의 수직 프로파일이 처음에 경사진 배치로 부착될 수 있고, 그 후에 소정 높이로 상승한 클라이밍 시스템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은, 대응하는 구조적 외형을 허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예컨대 구조물의 방향으로 비계 유닛에"꼬임부(kink)"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비계 유닛이 구조물상의 비계 유닛의 수평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지지 유닛은 가이드 슈에 대하여 비계 유닛을 자유롭게 하여 비계 유닛이 효율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상승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작동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르는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의 일부분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변형 실시예에서의 드라이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의 평면도이다.
도 1에 측면도로 도시된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10)은 실질적으로 비계 유닛(12)과 구조물(14)을 따라 제공된 복수의 드라이브(18)를 포함하며, 이들 드라이브 중 하나의 드라이브(18)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현재 최상측 건축 단 위에 추가의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드라이브(18)에 의해 상승하는 단계에서의 셀프 클라이밍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비계 유닛(12)의 최상측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거푸집(32), 플랫폼(34), 각종 레일(36) 및 거푸집 조정용 지지체(38)를 구비하며 수평방향으로 광범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거푸집 캐리지(30)가 제공되어 있다. 도 1의 좌측 영역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32)은 상이한 건축 단을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최상측 건축 단의 콘크리트가 충분히 경화되자마자, 예컨대 비계 유닛(12)을 상측 영역에서 매달 수 있는 벽 슈(20.3)가 콘크리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매달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된 경우 비계 유닛(12)이, 예컨대 T자 프로파일 또는 I자 프로파일로서 설계될 수 있는 2개의 수직 프로파일(26.1, 26.2)을 포함한다. 2개의 수직 프로파일(26.1, 26.2)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만이 지면으로부터 약간 상승해야 하는 상태에서, 하측 수직 프로파일(26.1)은 먼저 구조물(14)로부터 연장하여 경사진 정렬 상태로 선회할 수 있고, 그 후에 하측 수직 프로파일(26.1)이 상측 프로파일(26.2)과 지면 사이에서 수직 정렬하여 배치되도록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이 충분히 상승하면, 하측 수직 프로파일은 상측 수직 프로파일(26.2)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거푸집 캐리지(30)가 배치되는 상측 비임(42)과 하부에 있는 플랫폼(44)의 지지는 지지체(24.2)에 의해 제공되며, 이 경우 지지체(24.2)는 비스듬하게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정렬된다. 지지체(24.2)의 하측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상측 빔(42)과 플랫폼(44) 사이의 상이한 거리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의 고정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 플랫폼(44)에 대한 고정은 편심 스핀들(46)에 의해서 수행된다. 또한, 지지체(24.2)는 프리스트레스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는 구조물로부터의 수직 프로파일(26)의 상당한 변형 위험 없이 구조물(14)에 이송되어야 할 비계 유닛(12)의 상측 영역의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존재하는 중량 힘에 상호작용하도록, 주로 구조물(14)의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수행된다. 도시된 경우에, 이러한 유형의 추가 의 지지체(24.1)가 플랫폼(44)과 하측 플랫폼(48)의 사이에 도시되어 있다. 수직 프로파일(26)은 비계 유닛(12)의 영역에 수직면만을 형성한다.
유일한 추가의 수직면은 드라이브(18)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러나,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구조물(14)상의 개개의 개별 마운트(20)상에 부착될 수도 있고, 예컨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는 수직 프로파일과 같은 임의의 추가의 수직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드라이브(18)는 벽 슈(20.1, 20.2)에 각각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하측 가이드 슈(16.1) 및 상측 가이드 슈(16.2)와, 비계 유닛(12)과 결합하는 클라이밍 슈(50)와, 승강 실린더(52) 및 클라이밍 슈(50) 위로 연장되는 가이드 로드(5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드라이브가 구조물(14)에 고정되고 비계 유닛(12)이 상승하면, 클라이밍 슈(50)와 비계 유닛(12)간의 결합에 의해서 비계 유닛(12)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하측 벽 슈(20.1)에 의해 구조물상에 지지된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된다. 도시된 경우에, 이를 위해서 비계 유닛(12)의 수직 프로파일(26)에 복수의 클라이밍 캠(22)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클라이밍 슈(50)는 승강 캠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56)을 포함한다.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되면, 가이드 로드(54)는 벽 슈(20.2)에 부착된 상측 가이드 슈(16.2)에 의해서 밀려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계 유닛(12)이 상측 영역이 최상측 벽 슈(20.3)상에 위치하여 매달리는 최종 상태로 뻗으면, 클라이밍 슈(50)는 승강 캠의 하측과 더 이상 결합하지 않도록 재배치된다. 가이드 로드(54)는 승강 실린더(52)의 연장시 에 상측 가이드 슈(16.2)가 상승하도록 상측 가이드 슈(16.2)에 부착된다. 또한,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시에 하측 가이드 슈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해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는 높은 위치로 클라이밍 슈(50)를 이동시킨다. 비계 유닛(12)이 가이드(16.1)상으로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더 이상 가압되지 않도록 지지 유닛(28)이 비계 유닛을 구조물로부터 화살표(A)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이것은 벽 슈(20.1)로부터 이미 분리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벽 슈(20.1)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시에 끌어올려진다.
드라이브(18)의 상승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상황에서 비계 유닛(12)은 최상측 벽 슈(20.3)에 매달리고, 승강 실린더(52)는 수축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가이드 슈(16.1)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클라이밍 슈(50)가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에, 하측 가이드 슈(16.1)는 승강 캠의 상측에 지지되고, 그리고 그 후 하측 가이드 슈(16.1)를 다시 끌어당기기 위해 클라이밍 슈(50)가 상측 영역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승강 실린더(52)의 연장에 의해서 클라이밍 슈(50)를 더 밀어올린다. 이 과정은, 상측 가이드 슈(16.2)가 상측 벽 슈(20.3)에 부착되고 하측 가이드 슈(16.1)가 (중간)벽 슈(20.2)에 부착될 때까지 반복된다. 거푸집(32)에 의해서 상측 영역에 추가 벽 구역이 형성되는 동안 제 2 작동 모드에서의 드라이브(18)의 상승이 실행될 수 있다. 추가 벽 구역이 경화되고 상황이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자마자, 비계 유닛은 보다 높은 구역으로 다시 상승할 수 있다.
도 3은 클라이밍 슈(50)의 멈춤쇠(56)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비계 유닛(12)이 상승하는 제 1 작동 모드에서 멈춤쇠(56)이 중력을 받아서 도 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기 위해 멈춤쇠의 상측면(58)이 클라이밍 캠(22)의 하측면(60)과 결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2 작동 모드에서, 멈춤쇠(56)의 상측면이 도 3의 좌측에서 클라이밍 캠(22)의 옆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멈춤쇠(56)은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쇠의 하측 영역이 클라이밍 캠(22)의 영역에 진입하면, 멈춤쇠는 승강 캠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화살표(B) 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
도 4는, 드라이브(18)의 상승시에 지지체(18)가 클라이밍 캠(22)의 상측의 평탄한 측면에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소위 록킹 멈춤쇠(locking pawl; 60)이 제공되는데, 도 4에 따라, 이 록킹 멈춤쇠는 스프링에 의해 좌측을 향해 프리스트레스되고, 도시된 예에서는 좌측으로부터 상부 우측으로 연장되는 경사면(bevel)을 포함한다. 이 경사면은, 클라이밍 슈(50)가 위로 이동하여 록킹 멈춤쇠(60)이 승강 캠에 부딪칠 때, 록킹 멈춤쇠(60)을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편향시키는데 사용된다. 승강 실린더(52)가 연장되면, 록킹 멈춤쇠(60)의 하면은 승강 실린더(52)의 수축에 기인하여 그것의 후방의 하측 가이드 슈(16.1)(도 1 및 2 참조)를 잡아당기기 위해서 승강 캠의 상면과 결합한다.
도 5는, 드라이브(18)가 하측 가이드 슈(16.1)에 부착되지 않고 벽 슈(20)상 에 직접 지지되는 점에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드라이브와는 상이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하측 가이드 슈(16.1)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설계구조를 가지며, 이에 대해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드라이브(18)와 관련하여, 벽 슈(20)상의 그것의 지지체는 클라이밍 캠(22)이 제공되는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드라이브(18)의 지지에 의해서, 드라이브(18)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드라이브가 수직 프로파일(26)을 향하여"자동적으로"기울어지는 효과를 얻고, 이러한 방법으로 확실한 결합이 보장된다. 그와 동시에, 마운트(62)는 드라이브(18)가 수직 프로파일로부터 우측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클라이밍 캠(22)은 그의 하면이 결합 슬롯(64)을 포함하고 그의 상면이 노치(66)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결합 슬롯(64)은 비계 유닛을 수직 프로파일(26)에 의해 상승시키기 위해서 드라이브(18)의 클라이밍 슈(50)상의 베어링 볼트(68)와 결합한다. 베어링 볼트(68)는 제 2 작동 모드에서 드라이브(18)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상측의 노치(66)와 결합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서, 드라이브(18)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구역으로 수동으로 운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6 및 7은 가이드 슈(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클립(72)과 와이어 로프(74) 형태의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록킹 볼트(70)에 의해서, 구조물 내의 앵커(76)에 의해 고정된 벽 슈(20)에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스프링 또는 고무 댐퍼(78)가 벽 슈(2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가이드 슈(16)를 적절한 위치에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슈(16)는 도 1 내지 4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임의의 멈춤쇠를 포함하지 않고, 도시된 경우 각각의 가이드 윤곽(82.2, 82.1) 내에서 이동가능한 2개의 베어링 볼트(80.1, 80.2)를 포함한다. 도 6은 비계 유닛을 수직 프로파일(26) 위로 상승시키기 위해서 가이드 슈(16)가 클라이밍 캠(22)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직 프로파일(26)이 가이드 슈(16)를 지나 상승할 때, 도시된 가이드 슈(16)가 비작동 상태인 한, 클라이밍 캠(22)은 아래쪽으로부터 베어링 볼트(80)를 향해 이동하고 그리고 베어링 볼트(80)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의 경사면(84)(도 5 참조)에 의해서 베어링 볼트를 편향시킨다. 이 때문에, 가이드 윤곽(82)은 이러한 편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부 영역(도 6의 우측 영역)에서 비교적 평탄하게 구현되어 있다. 상측(도 6의 좌측) 영역에서, 중력의 작용에 의해, 베어링 볼트(80)가 비계 유닛을 상승시키기 위해 클라이밍 캠(22)과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확실하게 복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가이드 윤곽(82)이 비교적 가파르게 구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윤곽(82)에서 안내되는 2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베어링 볼트(80)가 제공되어 분할을 감소시킨다. 2개의 베어링 볼트(80) 사이의 거리가 2개의 인접 승강 캠(그중 하나만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음)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는 사실은, 상측 또는 하측 베어링 볼트가 각각의 승강 캠과 결합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내부에 결합이 가능한 격자를 보다 미세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에서, 가이드 슈(16)상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안내 턱(86)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안내 턱은 도 6에서 투영면에 수직으로 뻗은 I자형 윤곽의 가지와 후방으로부터 어느 정도까지 결합한다. 도 6에 도시된 경우에, 수직 프로파일(26)이 가이드 슈(16)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즉 도 6의 우측을 향하여 안내 턱(86)상에 지지된다. 안내 턱(86)이 가이드 슈(16)에 대해 상대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안내 턱은 (단면에서 보아) 개개의 지점이 아니라 선을 따라 지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턱(86.1, 86.2)의 선회가능한 부착은, 전체의 가이드 슈(16)를 수직 윤곽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안내 턱의 후방부를 수직 프로파일(26)로부터 접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도 7에 따라 상측) 안내 턱(86.1)의 경우에, 이 안내 턱(작동 위치에서)을 도 7에 따라 좌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밀어낸 다음 화살표(C) 방향으로 젖힌다. 선회 중심이 되는 축(88)과 안내 턱(86)의 전방 가장자리(도 7에 따라 우측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가이드(16)를 벽 슈(20)에 고정시키는 볼트(70)와 회전 축(88)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는 사실에 의해서, 젖혀진 안내 턱(86)에 의한 볼트(70)의 방해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 가이드 슈(16)로부터 멀리 떨어진 축(88) 영역만이, 전술한 선회 운동이 허용되도록 예컨대 원형 단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이드 슈(16) 가까이에 있는 영역은, 이 영역에서 안내 턱(86)의 폐쇄 상태에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컨대 정사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 등의 각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명백하게, 전체의 실시예들의 세부를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라이밍 슈(50)는 도 6 및 7에 따르는 베어링 볼트를 구비할 수 있고, 도 5에 따르는 드라이브는 벽 슈(20) 대신에 하측 클라이밍 슈(16.1)에 지지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 및 7에 도시된 클라이밍 슈는 도 1 내지 5의 전체의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10)용 가이드 슈(16)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수평 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조물(14)상의 벽 슈(20.1, 20.2, 20.3)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 턱(86)의 회전축(88)과 상기 안내 턱(86)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가이드 슈(16)와 벽 슈(20.1, 20.2, 20.3) 사이의 고정부(70)와 회전축(88)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16)상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턱(86)이 일부 구역에서는 선회 불가능하게 안내되고 다른 구역에서는 선회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용 가이드 슈.
  5.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10)에 있어서,
    구조물(14)상의 청구항 1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에서 안내되고 및/또는 매달릴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비계 유닛(12)과,
    상기 구조물(14)상의 개별 마운트(20)에 해제가능하게 직접 끼워질 수 있고, 비계 유닛(12)이 상승할 수 있는 제 1 작동 모드와, 승강 드라이브(18)가 상승할 수 있는 제 2 작동 모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드라이브(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가 승강 드라이브(18)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비계 유닛(12)이 돌출 클라이밍 캠(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슈(16)가 비계 유닛(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9.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승강 드라이브(18)가 중력 및/또는 스프링력을 받는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56, 6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볼트(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멈춤쇠(56, 60) 또는 베어링 볼트(80.1, 80.2)가 승강 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볼트(80)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윤곽(82)이 하나의 하측 평탄부 및/또는 하나의 상측 급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60)가 제 2 작동 모드에서 상기 비계 유닛(12)상에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3.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8)가 마운트(62) 및/또는 중력에 의해서 비계 유닛(12)의 방향으로 유지 및/또는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4.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비계 유닛(12)이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스가능한 지지체(prestressable support, 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4)는 상기 비계 유닛(12)의 평면들(42, 44, 48) 사이의 조정을 위한 복수의 고정 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24)가 편심 스핀들(46)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비계 유닛(12)이 적어도 하나의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26)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된 수직 프로파일의 부분들(26.1, 26.2)이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비계 유닛(12)이, 구조물(14)상의 비계 유닛(12)의 수평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유닛(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
  19. 삭제
KR1020087017323A 2006-06-06 2007-06-05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KR101024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6201A DE102006026201B4 (de) 2006-06-06 2006-06-06 Selbstklettersystem
DE102006026201.8 2006-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682A KR20080079682A (ko) 2008-09-01
KR101024455B1 true KR101024455B1 (ko) 2011-03-23

Family

ID=3842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23A KR101024455B1 (ko) 2006-06-06 2007-06-05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173574A1 (ko)
EP (1) EP1929104B1 (ko)
JP (1) JP5368109B2 (ko)
KR (1) KR101024455B1 (ko)
CN (1) CN101360872B (ko)
AT (1) ATE472023T1 (ko)
DE (2) DE102006026201B4 (ko)
ES (1) ES2347487T3 (ko)
HK (1) HK1123588A1 (ko)
RU (1) RU2427691C2 (ko)
UA (1) UA93392C2 (ko)
WO (1) WO2007141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9653B4 (de) 2006-06-28 2009-02-12 Doka Industrie Gmbh Hubplattform und Verfahren zum Aufbauen einer Hubplattform
DE102007018851A1 (de)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Führungsschuh und Kombination eines Führungsschuhs mit einem Kletterprofil
DE102007018853A1 (de) 2007-04-20 2008-10-30 Doka Industrie Gmbh Selbstklettersystem
DE102007026020A1 (de) 2007-06-04 2008-12-11 Doka Industrie Gmbh Selbstklettersystem und Verfahren zum Betonieren eines Unterzugs und/oder Montieren eines Fertigteils mittels eines Selbstklettersystems
DE102008015682A1 (de) 2008-03-25 2009-10-08 Peri Gmbh Schienengeführtes Selbstkletterschalungssystem mit Kletterschienen-Verlängerungsstücken
KR101151866B1 (ko) * 2010-01-13 2012-05-31 금강공업 주식회사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ES2401552T3 (es) * 2010-03-05 2013-04-22 Ulma C Y E, S. Coop. Sistema de protección perimetral autotrepante para obras de construcción en edificios
PT2558659E (pt) * 2010-04-14 2015-07-28 Vsl Int Ag Plataforma de cofragem ajustável
CN102051977B (zh) * 2010-11-29 2012-04-18 南通四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外墙体脚手架与模板一体化施工方法
US20130263549A1 (en) * 2012-04-04 2013-10-10 Helmark Steel, Inc.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PL2871304T3 (pl) * 2013-11-12 2017-07-31 Ulma C Y E, S. Coop. System samowznoszący do zespołów rusztowań w budowie budynków
US10428536B2 (en) * 2013-12-30 2019-10-01 International Chimney Corporation Scaffold system
PL2995749T3 (pl) 2014-09-10 2022-09-12 Doka Gmbh Sposób i urządzenie do obniżania elementu deskowania lub zabezpieczenia
US10465401B2 (en) * 2015-04-15 2019-11-05 Ronald A. Bullock Construction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CN105502240B (zh) * 2015-12-25 2018-11-13 安徽唐兴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锁死功能的液压爬升机构
DE102016205956A1 (de)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CN105781088A (zh) * 2016-05-03 2016-07-20 泰兴市第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化工塔落地式脚手架
CN106049863B (zh) * 2016-06-28 2018-10-09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连杆式全自动调向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DE102016125549A1 (de) * 2016-12-23 2018-06-28 Tries Gmbh & Co. Kg Klettervorrichtung mit einer Kletterschiene
DE102017202264A1 (de) 2017-02-13 2018-08-16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zum Absenken einer Kletterschiene und Verfahren zum Absenken einer Kletterschiene
ES2695626B2 (es)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EP3470602A1 (en) * 2017-10-10 2019-04-17 DOKA GmbH Formwork and method for er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US11053699B2 (en) * 2017-10-27 2021-07-06 Doka Gmbh Climbing shoe, safety screen support system and safety screen system
US10988949B2 (en) * 2017-10-27 2021-04-27 Doka Gmbh Safety screen and safety screen system
CN108661302A (zh) * 2018-07-23 2018-10-16 广东快建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井爬升系统及其使用方法
IT201800008150A1 (it) * 2018-08-22 2020-02-22 Faresin Formwork Spa Dispositivo di supporto e guida di una trave di cassaforma rampicante e tale trave
CN109296191A (zh) * 2018-09-26 2019-02-0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钢塔施工的自动爬升平台
CN109296190A (zh) * 2018-09-26 2019-02-01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钢塔施工平台的爬升装置
US11408188B1 (en) 2019-06-04 2022-08-09 Peri Formwork Systems, Inc. Suspended translating platform
DE102019115346A1 (de) * 2019-06-06 2020-12-10 Peri Gmbh Anordnung von einer kletterschiene und einer kletterhubschiene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0182698B (zh) * 2019-06-24 2024-04-16 三一重能股份有限公司 一种爬升装置及自爬升起重机
KR102086828B1 (ko) * 2019-09-26 2020-03-10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슬라이딩슈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519887B (zh) * 2020-04-20 2021-10-08 日照利伟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物外部爬升式施工操作平台
CN111550041A (zh) * 2020-05-15 2020-08-18 北京卓良模板有限公司 一种穿板爬模
DE102020134813A1 (de) * 2020-12-23 2022-06-23 Peri Se Kletterschuh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3460842B (zh) * 2021-06-22 2022-10-25 燕山大学 一种用于电梯导轨自动化安装的可重构机器人系统
CN114059757B (zh) * 2021-10-21 2023-06-09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土木工程施工用临时高处爬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2197A1 (de) 1993-01-27 1994-07-28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US20030052249A1 (en) 2000-01-18 2003-03-20 Thomas Waldschmitt Wall climbing form hoist
KR20040010232A (ko) * 2002-07-18 2004-01-31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410232Y1 (ko) 2005-12-20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13520A1 (fr) * 1975-06-05 1976-12-31 Coignet Sa Echafaudage grimpant a coffrage associe
IT1071572B (it) * 1977-02-10 1985-04-10 Tesco Spa Cassero automontante per la gettata di strutture di calcestruzzo qualidighe e muri di sostegno di terre
ZA782842B (en) * 1978-05-18 1979-07-25 Zingwe Plant Hire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apparatus
FR2487410A1 (fr) * 1980-07-24 1982-01-29 Bouygues Sa Coffrage grimpant pour la coulee de parois en beton
JPS59220541A (ja) * 1983-05-31 1984-12-1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垂直移動架構工法
US4611784A (en) * 1985-01-10 1986-09-16 Harsco Corporation Safety lock for jump scaffolding
US4892169A (en) * 1989-02-21 1990-01-09 Sinco, Inc. Perimeter debris net lifting system
DE9011446U1 (ko) * 1990-08-06 1990-10-11 Oesterreichische Doka Schalungstechnik Gesellschaft Mbh, Amstetten, At
AU2002258340B2 (en) * 2002-05-06 2008-11-20 Wei Fern Choo Scaffolding system
CN2552894Y (zh) * 2002-05-29 2003-05-28 张继科 升降机滚轮导靴
CN2603062Y (zh) * 2003-03-12 2004-02-11 周国成 带断绳保护装置的门式升降机
BRPI0318598B1 (pt) * 2003-11-27 2016-03-22 Ulma C Y E S Coop sistema de levantamento para corrediças, andaimes e cargas
DE102005030333C5 (de) * 2005-06-29 2017-09-28 Peri Gmbh Teilbarer Kletterschuh einer Kletterschal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2197A1 (de) 1993-01-27 1994-07-28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US20030052249A1 (en) 2000-01-18 2003-03-20 Thomas Waldschmitt Wall climbing form hoist
KR20040010232A (ko) * 2002-07-18 2004-01-31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410232Y1 (ko) 2005-12-20 2006-03-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9104A1 (de) 2008-06-11
CN101360872A (zh) 2009-02-04
RU2427691C2 (ru) 2011-08-27
ES2347487T3 (es) 2010-10-29
EP1929104B1 (de) 2010-06-23
RU2008129092A (ru) 2010-01-20
US20090173574A1 (en) 2009-07-09
DE502007004179D1 (de) 2010-08-05
HK1123588A1 (en) 2009-06-19
DE102006026201B4 (de) 2008-04-10
UA93392C2 (ru) 2011-02-10
DE102006026201A1 (de) 2007-12-27
ATE472023T1 (de) 2010-07-15
KR20080079682A (ko) 2008-09-01
JP5368109B2 (ja) 2013-12-18
JP2009523934A (ja) 2009-06-25
WO2007141264A1 (de) 2007-12-13
CN101360872B (zh)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455B1 (ko) 빌딩 섹터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슈 및 클라이밍 시스템
CA2733317C (en)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CA2848005C (en) Hoisting platform system
US9133632B2 (en) Platform support device for lifting loads or persons the height of a structure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US20080314853A1 (en) Climbing and support system for pumping tower
JP4163177B2 (ja) 足場システム
KR101219629B1 (ko)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100514133B1 (ko) 커튼월 설치용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EP2518239A1 (en) A climbing head for hoisting a self-climbing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AU2014224104B2 (en) Construction Site Safety Screen System
CN211172563U (zh) 斜玻璃幕墙安装系统
CN211286565U (zh) 一种爬架
EP3260629B1 (en) Fall protection device
JP2019027145A (ja) 朝顔装置の設置方法
EP2911971B1 (en) Hoisting platform system
IL257315B (en) Climbing screen scaffolding system
GB2571942A (en) Climbing screen support
SU1096360A1 (ru) Опалубка перекрытий
KR20090105907A (ko) 자동상승장치용 리프팅유닛 장착장치
NO20090338L (no) System for modulbasert mobil arbeidsplat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