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83B1 - 반자동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83B1
KR100774883B1 KR1020070078845A KR20070078845A KR100774883B1 KR 100774883 B1 KR100774883 B1 KR 100774883B1 KR 1020070078845 A KR1020070078845 A KR 1020070078845A KR 20070078845 A KR20070078845 A KR 20070078845A KR 100774883 B1 KR100774883 B1 KR 100774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evice
guide
hydraulic unit
pi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진
김재준
양준석
Original Assignee
(주) 콘스텍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스텍,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 콘스텍
Priority to KR1020070078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실린더와 하부 및 상부 유압유닛을 포함하는 반자동 상승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H 빔을 지지하고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하부 유압유닛이 유압 실린더 및 H 빔으로부터 분리 결합이 용이하고,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상부 유압유닛이 유압 실린더 및 H 빔으로부터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을 대폭 줄이고 유압 실린더나 하부 및 상부 유압유닛의 이동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GCS, ACS, 유압 실린더, H 빔, 이동작업.

Description

반자동 상승장치{Semiautomatic Climbing System}
본 발명은 가이드 상승장치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로 상승시키기 위한 반자동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자동 상승장치와 대등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H 빔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와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H 빔으로부터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또는 빌딩과 같은 각종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그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여 각 층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바닥과 각 층의 내부에 다수개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대들보 및 내벽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규격을 가지는 합판에 각목을 부착시킨 거푸집을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에 맞는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철근과 함께 타설 시공하여 양생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각 거푸집 사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충분히 양생시킨 다음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거푸집 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뜯어내서 재사용하게 되는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을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옹벽으로부터 거푸집을 분리하고 이를 다시 재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분리 및 재설치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위험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골조용 프레임을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연결 고정시켜 건물의 2 내지 3층 높이에 해당하는 골조용 구조물을 1차적으로 조립한 다음, 이 골조용 구조물의 내측과 상단 후방 면에는 각 층의 외벽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표면 작업 및 1개 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타설작업을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용 발판과 거푸집을 골조용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시킨 가이드 상승장치를 제작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 상승장치를 인양하면서 콘크리트 옹벽에 대한 타설 및 마감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거푸집은 타이볼트에 의하여 다른 거푸집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되며, 앵커 볼트에 의하여 건물 외벽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상승장치를 건물의 높이에 맞춰 인양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타워 크레인에 가이드 상승장치를 걸어서 인양시킨 다음 이를 해당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이나 가이드 상승장치(Guide Climbing System)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방법 및 유압기로 가이드 상승장치를 인양하는 자동 상승장치(Automatic Climbing System) 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7480호(레일식 상승시스템)와 제10-2006-0087481호(자가 상승 폼웍의 상승 실린더)에 상기한 방법 중 하나인 유압기로 가이드 상승장치를 인양하는 자동 상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자는 레일식 상승 시스템이 상승 브라켓에 의해 구조물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승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레일식 상승장치가 구조물의 상부로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승 레일이 상승 실린더에 의해 상승 브라켓을 타고 구조물의 상부로 일정높이 상승하게 된다. 후자 역시 상승 실린더가 상승 레일을 구조물의 상부로 상승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자동 상승장치는 상승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캐치가 카운팅 베어링을 밀어올려 상승레일을 상승시키는 구조이나, 별도의 체결구조 없이 장착 플레이트가 상승레일에 기대어 있는 것만으로 캐치를 상승레일에 체결하고 있어 캐치와 상승레일과의 결합관계가 불안정하다.
이는 상승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승레일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승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진동을 가져와 가이드 상승장치를 안정적이고도 정밀하게 상승시킬 수 없다. 또한 상승 실린더를 지지하고 있는 상승 슈를 포함하는 상승장치의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가이드 상승장치(GCS)의 타워 크레인 인양 부하시 가이드 상승장치를 스스로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자동 상승장치(ACS)의 능력을 가지 면서도 상승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비용을 대폭 줄이고 유압 실린더나 유압 유닛의 이동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상승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이 2개의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내재되고, H 빔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를 지지하는 플리퍼 아암이 헤드핀에 의해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 내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며,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하부 유압유닛; 상기 하부 유압유닛의 외부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된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H 빔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를 지지하는 플리퍼 아암이 연결핀에 의해 상기 2개의 내측 플레이트 내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며,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롤핀이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상부 유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유압유닛은 헤드 핀 및 연결핀의 분리 결합으로 상기 2개의 외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플리퍼 아암 및 상기 유압 실린더를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레이트 내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리퍼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고 H 빔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리퍼 아암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접하도록 결합 요홈이 형성되고, 상 기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핀의 외주면에 걸림 편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핀의 단부에 핸들 바가 형성되어, 핸들 바의 조작으로 클리퍼 아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유압유닛은 연결핀의 분리 결합으로 상기 2개의 내측 플레이트로부터 로드 블록과 상기 플리퍼 아암 및 상기 유압 실린더를 분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리퍼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고 H 빔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제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핀에는 H 빔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 파이프가 끼워지고, 상기 롤핀의 단부에는 상기 롤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자동 상승장치(Semiautomatic Climbing System)에 의하면, 가이드 상승장치(Guide Climbing System)가 스스로 인양 가능하고, 기존의 자동 상승장치(Automatic Climbing System)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면서도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반자동 상승장치는 기존의 자동 상승장치(ACS)와 대등한 능력을 가지면서도 자체 중량이 가벼워 별도의 상승레일이나 가이드 박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자동 상승장치는 유압 실린더의 이동이 용이하고 가이드 상승장치에 유압 실린더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유압 유닛의 이동도 수월하여 유압 유닛의 설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상승장치는 도1 내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상승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인 H 빔(10)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고 유압 실린더(11)와 H 빔(10)을 지지하며 H 빔(10)의 상승을 유도하는 하부 유압유닛(12), 동력원인 유압 실린더(11) 및 유압 실린더(11)의 상부에 위치하며 H 빔(10)의 상승을 유도하는 상부 유압유닛(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H 빔(10)은 가이드 상승장치(GCS)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도시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접하는 일측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과 인접하는 면에 다수의 걸림 돌기(14)가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걸림 돌기(14)의 하단은 플리퍼 아암(17)(49)에 걸릴 수 있도록 수평지게 가공되고, 상단은 플리퍼 아암(17)(49)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가공되어 있다.
상기 하부 유압유닛(12)은 유압 실린더(11)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에 개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 사이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를 연결시켜 주는 고정블록(16)과 H 빔의 걸림 돌기에 걸리는 플리퍼 아암(17) 등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의 상부에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1)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결합 구멍(18)이 형성되어 있고, 유압 실린 더(11)가 연결핀(20)에 의해 결합 구멍(18)에 분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핀(20)의 일측에는 도5에서와 같이 연결 핀(20)을 분리 결합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리(21)가 형성되고, 타측의 고정구멍(22)에는 결합 구멍(18)에 결합된 연결 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핀이 꼽혀 있다.
H 빔에 인접하는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의 내면에는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19)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데, 이 가이드 플레이트(19)는 도면에서와 같이 H 빔과의 접촉면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해 원호 형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 내면 하단에는 플리퍼 아암(17)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2개의 걸림 턱(24)(25)이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 플레이트(19)의 아래에 위치한 걸림 턱(24)은 플리퍼 아암(17)이 H 빔의 걸림 돌기에 걸린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하는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고정블록의 아래에 위치한 걸림 턱(25)은 H 빔이 상승할 때 H 빔의 걸림 돌기에 걸려 회전하는 플리퍼 아암(17)이 과도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9)가 위치한 반대편의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의 내면에는 고정블록(16)을 분리 결합하기 위한 연결핀이 끼워지는 두 개의 결합 구멍(23)이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결합 구멍(23)에 결합되는 연결핀(26)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연결 핀(26)을 분리 결합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고리(27)가 형성되고, 타측의 고정구멍(28)에는 결합 구멍(23)에 결합된 연결 핀(2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핀이 꼽혀 있다.
상기한 고정블록(16)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배면 플레이트(38)의 양측에 측면 플레이트(39)가 직각으로 결합되고, 배면 플레이트(38)와 측면 플레이트(39)의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40)와 함께 라버 커버(41) 및 핸들 바(42)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39)에는 연결핀(26)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면 플레이트(38)에는 도시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된 앵카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걸림 턱(24)(25) 사이의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에는 결합 구멍(32)이 형성되고,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 사이에 위치한 플리퍼 아암(17)의 플리퍼(30)에도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멍(29)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결합구멍(32)(29)에 헤드핀(33)이 결합되어 있어, 플리퍼 아암(17)이 헤드핀(3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특히, 플리퍼(30)의 일측에는 H 빔의 걸림 돌기와 맞닿아 H 빔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핀(33)의 일측에는 도11에서와 같이 헤드 핀(33)을 분리 결합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 바(34)가 형성되고, 타측의 고정구멍에는 결합 구멍(29)(32)에 결합된 헤드 핀(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이 꼽혀 있으며, 헤드 핀(33)의 외주면에는 폴리퍼(30)의 폭보다는 넓고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 사이의 간격보다는 좁은 좌우 폭을 가지는 걸림 편(3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결합구멍(29)(32)의 일측에는 걸림 편(35)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결합 요홈(36)(3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 바(34)를 회전시켜 플리퍼 아암(17)을 회 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 유압유닛(12)의 구조가 단순할 뿐더러 연결핀(20)(26) 및 헤드 핀(33)의 분리 결합만으로 고정블록(16) 및 H 빔으로부터 2개의 외부 플레이트(15)와 고정블록(16) 및 플리퍼 아암(17)을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유압 실린더(11)와 함께 하부 유압유닛(12)의 이동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상부 유압유닛(13)은 유압 실린더(11)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도12 및 도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로드 블록(45) 양측의 볼트(47)에 2개의 측면 플레이트(46)가 나사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로드 블록(45) 내에는 연결핀(48)에 의해 플리퍼 아암(49)이 일정각도 제한적으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측면 플레이트(46)의 내면에는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롤핀(50)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롤핀(50)에는 H 빔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 파이프(5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롤핀(50)의 단부에는 롤 파이프(5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레이트(5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측면 플레이트(46)에는 로드 블록(45) 볼트(47)와의 분리 결합을 위한 2개의 볼트 구멍(53)과 로드 블록(45)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48)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2개의 핀 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핀(48)의 단부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로드 블록(45)의 핀 구멍(55)과 측면 플레이트(46)의 핀 구멍(54)과 결합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핀(48)의 단부 에 와셔(56)가 끼워지는 한편 핀 구멍(57)에 고정 핀이 끼워져 있으므로 로드 블록(45)의 핀 구멍(55)에 끼워진 연결핀(48)이 핀 구멍(5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로드 블록(45)은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내측 플레이트(58)가 연결편(59)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이 내측 플레이트(58)의 하단부에는 플리퍼 아암(49)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턱(60)이 형성되며, 이 내측 플레이트(58) 외측면에 형성된 두 개의 볼트(47)에는 로드 블록(45)의 양측에 위치한 측면 플레이트(46)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61)가 결합되어 있다.
이 내측 플레이트(58)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2개의 핀 구멍(55)은 연결핀(48)과의 분리결합을 위한 구멍이다.
핀 구멍(55)에 끼워지는 연결핀(48)에 의해 유압 실린더와 함께 보드 블록(45)에 결합되는 플리퍼 아암(49)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H 빔을 상승시킬 때 H 빔의 걸림 돌기에 걸려 H 빔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19 및 도20에 2개의 판재(62) 중앙부위에는 연결핀(48)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결합 구멍(63)이 형성되고, 2개의 판재(62)의 일측은 스톱퍼(63)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타측은 제한 봉(64)에 의해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스톱퍼(63)는 H 빔을 상승시킬 때 H 빔의 걸림 돌기에 맞닿은 부분이고, 제한 봉(64)은 플리퍼 아암(49)이 역방향 즉,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유압유닛(13)의 구조가 단순할 뿐더러 볼트(47) 너트(61) 및 연결핀(59)의 분리 결합만으로 로드 블록(45) 및 H 빔으로부터 2개의 측면 플레이트(46)와 플리퍼 아암(49)을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므로 유압 실린더(11)와 함께 상부 유압유닛(13)의 이동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 상승장치(SCS)와 H 빔과의 결합상태 및 반자동 상승장치(SCS)에 의해 H 빔을 상승시키는 과정은 도21 내지 도2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21 및 도22에서와 같이 하부 유압유닛(12)의 고정블록(16)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고 유압 실린더(11)가 압축된 상태에서는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이 H 빔(10)의 걸림 돌기(14)를 지지한다.
이때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은 H 빔(10)의 걸림 돌기(14)에 닿지 않는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11)가 일부 확장되면 도23에서와 같이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이 H 빔(10)의 걸림 돌기(14)에 닿으면서 H 빔(10)의 걸림 돌기(14)를 지지하던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이 H 빔(10)의 걸림 돌기(14)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한다.
유압 실린더(11)가 최대 길이 직전까지 확장되면 도24에서와 같이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이 H 빔(10)의 걸림 돌기(14)를 지지하는 한편 H 빔(10)의 걸림 돌기(14)에 걸려있던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이 최상점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후 유압 실린더(11)가 최대 길이까지 확장되면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은 도25에서와 같이 H 빔(10)의 걸림 돌기(14)를 여전히 지지하고 있으며, H 빔(10)의 걸림 돌기(14) 상단부에 걸려 최상점까지 회전했던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은 걸림 돌기(14)로부터 해지되면서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25에서와 같이 확장되었던 유압 실린더(11)가 도26에서와 같이 축소되기 시작하면 하나의 걸림 돌기(14)가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에 걸림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걸림 돌기(14)가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에 걸리면서 H 빔(10)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이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에서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으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유압 실린더(11)가 계속해서 축소되면 도27에서와 같이 H 빔(10)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이 하부 유압유닛(12)의 플리퍼 아암(17)에 모두 가해지고, H 빔(10)의 걸림 돌기(14)를 지지하고 있던 상부 유압유닛(13)의 플리퍼 아암(49)이 이로부터 해지되면서 지지하고 있던 걸림 돌기(14)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걸림 돌기(14)에 의해 도27에서와 같이 최상점까지 회전하였다 유압 실린더(11)의 계속적인 축소로 도28에서와 같이 다시 수평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이 한번 이루어질 때마다 H 빔(10)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는 걸림 돌기(14)들의 간격만큼 상승하므로 작업자는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이드 상승장치를 필요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H 빔(10)의 길이에 한계(2, 3층의 콘크리트구조물 높이)가 있으므로 작업자는 H 빔(10)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를 1층 또는 2층 높이까지 상승시킨 후 유압 실린더(11)와 하부 유압유닛(12) 및 상부 유압유닛(13)을 분리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층 즉, H 빔(10)의 상부로 이동시켜 결합해서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반자동 상승장치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유압유닛을 보인 도면이다.
도3 및 도4는 도1 및 도2에 개시된 2개의 외부 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5는 2개의 외부 플레이트와 유압 실린더의 분리결합을 위한 연결핀을 보인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2개의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고정블록을 보인 도면이다.
도8은 2개의 외부 플레이트와 고정블록의 분리 결합을 위한 연결핀을 보인 도면이다.
도9 및 도10은 플리퍼 아암을 보인 도면이다.
도11은 2개의 외부 플레이트와 플리퍼 아암의 분리 결합을 위한 헤드핀을 보인 도면이다.
도12 및 도13은 반자동 상승장치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유압유닛을 보인 도면이다.
도14 및 도15는 도12 및 도13에 개시된 2개의 측면 플레이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16은 유압 실린더에 플리퍼 아암과 함께 로드 블록 및 측면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핀을 보인 도면이다.
도17 및 도18은 로드 블록을 보인 도면이다.
도19 및 도20은 플리퍼 아암을 보인 도면이다.
도21 내지 도28은 반자동 상승장치(SCS)와 H 빔과의 결합상태 및 반자동 상승장치(SCS)에 의해 H 빔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블록이 2개의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내재되고, H 빔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를 지지하는 플리퍼 아암이 헤드핀에 의해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 내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며,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2개의 외부 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하부 유압유닛;
    상기 하부 유압유닛의 외부 플레이트 상부에 결합된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고, H 빔의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를 지지하는 플리퍼 아암이 연결핀에 의해 상기 2개의 내측 플레이트 내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되며, H 빔의 상승을 유도하기 위한 롤핀이 2개의 측면 플레이트 내면에 형성된 상부 유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압유닛은 헤드 핀 및 연결핀의 분리 결합으로 상기 2개의 외측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플리퍼 아암 및 상기 유압 실린더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 내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리퍼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고 H 빔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퍼 아암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접하도록 결합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에 결합되는 상기 헤드핀의 외주면에 걸림 편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핀의 단부에 핸들 바가 형성되어, 핸들 바의 조작으로 클리퍼 아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압유닛은 연결핀의 분리 결합으로 상기 2개의 내측 플레이트로부터 로드 블록과 상기 플리퍼 아암 및 상기 유압 실린더를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플리퍼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고 H 빔을 포함하는 가이드 상승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제한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핀에는 H 빔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 파이프가 끼워지고, 상기 롤핀의 단부에는 상기 롤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상승장치.
KR1020070078845A 2007-08-07 2007-08-07 반자동 상승장치 KR100774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845A KR100774883B1 (ko) 2007-08-07 2007-08-07 반자동 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845A KR100774883B1 (ko) 2007-08-07 2007-08-07 반자동 상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883B1 true KR100774883B1 (ko) 2007-11-09

Family

ID=3906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845A KR100774883B1 (ko) 2007-08-07 2007-08-07 반자동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8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1Y1 (ko) * 2007-09-06 2009-08-28 삼목정공주식회사 상승시스템
KR100919255B1 (ko) * 2007-10-02 2009-09-30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크라이밍 장치
KR101060186B1 (ko) 2009-07-09 2011-08-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KR101060187B1 (ko) 2009-07-13 2011-08-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CN102312579A (zh) * 2011-07-15 2012-01-11 长沙科达建设机械制造有限公司 混凝土布料机楼面自动内爬装置
CN106049855A (zh) * 2016-06-28 2016-10-2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封闭曲线导槽式全自动调向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612298A (zh) * 2018-06-07 2018-10-02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物外部爬升式建筑施工操作平台
CN109650226A (zh) * 2019-02-02 2019-04-19 甘肃建科技术试验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液压顶升钢平台防坠落支撑梁柱系统及其使用方法
CN110521421A (zh) * 2019-08-28 2019-12-03 三峡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的树障自动清除机器人及使用方法
CN111576836A (zh) * 2020-04-28 2020-08-25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翻爪附墙顶升设备及其顶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494A (ko)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인상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494A (ko)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근하기공 슬라이딩폼의 인상 공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41Y1 (ko) * 2007-09-06 2009-08-28 삼목정공주식회사 상승시스템
KR100919255B1 (ko) * 2007-10-02 2009-09-30 주식회사 신호시스템 크라이밍 장치
KR101060186B1 (ko) 2009-07-09 2011-08-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KR101060187B1 (ko) 2009-07-13 2011-08-29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 승강장치용 전환유니트
CN102312579A (zh) * 2011-07-15 2012-01-11 长沙科达建设机械制造有限公司 混凝土布料机楼面自动内爬装置
CN106049855B (zh) * 2016-06-28 2019-01-29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封闭曲线导槽式全自动调向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049855A (zh) * 2016-06-28 2016-10-26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封闭曲线导槽式全自动调向防坠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612298A (zh) * 2018-06-07 2018-10-02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物外部爬升式建筑施工操作平台
CN109650226A (zh) * 2019-02-02 2019-04-19 甘肃建科技术试验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液压顶升钢平台防坠落支撑梁柱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650226B (zh) * 2019-02-02 2023-11-10 甘肃建科技术试验检测有限责任公司 一种液压顶升钢平台防坠落支撑梁柱系统及其使用方法
CN110521421A (zh) * 2019-08-28 2019-12-03 三峡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的树障自动清除机器人及使用方法
CN111576836A (zh) * 2020-04-28 2020-08-25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翻爪附墙顶升设备及其顶升方法
CN111576836B (zh) * 2020-04-28 2021-11-0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翻爪附墙顶升设备及其顶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883B1 (ko) 반자동 상승장치
RU2427691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башмак и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троительной отрасли
KR101553966B1 (ko)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KR20100001123U (ko)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JP5847239B2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設置方法および装置
KR100647977B1 (ko) 탈부착되는 실린더와 이동되는 펌프가 구비된 거푸집작업발판의 인양방법
US3203669A (en) Climbing jack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101369009B1 (ko) 갱폼 인양 안전장치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10039998A (ko) 서포터의 드럽장치
JP5825864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構造、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KR101146735B1 (ko)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KR102168154B1 (ko) 조립식 방호선반
JP516960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345542B1 (ko)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6508958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200182858Y1 (ko) 건축물의 코어부 시공용 이동식 작업발판
KR200366291Y1 (ko) 고층건물의 콘크리트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승강시스템
AU2009238217A1 (en) Climbing mast assembly
JP5638443B2 (ja) 揚重システム
JP2016044470A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1011811B1 (ko) 중량물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