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542B1 -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542B1
KR101345542B1 KR1020120004102A KR20120004102A KR101345542B1 KR 101345542 B1 KR101345542 B1 KR 101345542B1 KR 1020120004102 A KR1020120004102 A KR 1020120004102A KR 20120004102 A KR20120004102 A KR 20120004102A KR 101345542 B1 KR101345542 B1 KR 101345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lab
gangform
wal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351A (ko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권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규 filed Critical 권종규
Priority to KR102012000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5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인 포스트부에 의해 갱폼이 인양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외벽의 외측에 ACS를 고정하는 다수의 슈를 설치 및 해체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지지되고, 외단열 시공에도 ACS와 같은 갱폼 인양이 가능하며, ACS보다 경량이고 안전하면서도 ACS와 같이 갱폼 인양이 가능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IN POST CLIMB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인 포스트에 의해 갱폼이 인양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ACS: Auto Climbing System)은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가이드 슈와, 이 가이드 슈를 따라 인상되는 가이드 레일과, 이의 상부에 고정된 갱폼 및 작업대, 케이지 등이 구비되고, 이를 인양하는 인양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갱폼을 인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구성 및 작동이 복잡하고, 갱폼에 설치되는 구성들이 많아서 갱폼의 중량이 대폭적으로 증대되며, 갱폼 인양을 위해 많은 다양한 공정이 추가되며, 가이드 슈 등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임대비용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ACS를 경량화 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20246호(발명의 명칭 :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100)과, 작업대(200)와, 클라이밍장치(400)로 구성되되,
상기 레일(100)은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300)에 맞물려, 상기 고정슈(300)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며, 상기 레일(100)에는 상기 고정슈(300) 방향으로 상기 고정슈(300)가 걸리는 제1상승돌기(1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방향 즉 상기 작업대(200) 방향으로는 상기 클라이밍장치(400)가 걸리는 제2상승돌기(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업대(200)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할 수 있는 곳으로서, 상기 레일(10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상부에는 거푸집이 장착되며,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작업대(200)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클라이밍장치(400)는 상기 레일(100)을 상승시킨 후에 스스로 상기 레일(100)을 타고 상승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슈(300)에 레일(100)일 맞물려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슈(300)에 대하여 레일(100)을 포함한 갱폼, 작업대(200), 클라이밍장치(400) 모두가 함께 승강 되는 것이어서 갱폼의 경량화에 효과적이지 못 하고 오히려 무게가 증대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무게가 증대된 중량물을 고정하고 가이드 해야 하는 고정슈(300) 또한 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중량물이어서, 이러한 다수의 고정슈(300)는 원가 절감을 위해 재사용 되는 것이므로 ACS가 상승함에 따라 하층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슈(300)를 해체하여 상층으로 이동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서, 설치 및 해체와 관련된 일련의 작업이 번거롭고, 중량체인 다수의 고정슈(300)를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작업자가 하나하나 외벽 외측에 설치하여야 하는 힘이 드는 공정이다.
또한 이러한 고정슈(300)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고층의 외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항상 낙하의 위험이 존재하며,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량물을 취급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ACS는 외벽 표면에 고정 설치된 고정슈(300)와 레일(100)에 의해 고정 및 인양되는 것이어서 외벽의 외측 표면에 단열 시공하는 외단열 시공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202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벽의 외측에 ACS를 고정하는 다수의 슈를 설치 및 해체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지지되고, 외단열 시공에도 ACS와 같은 갱폼 인양이 가능하며, ACS보다 경량이고 안전하면서도 ACS와 같이 갱폼 인양이 가능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갱폼을 승강시켜 인양하는 인양 장치가 구비된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스스로 통공을 형성하고, 다수층의 슬라브에 지지되며, 상부에 돌출된 인양암이 갱폼에 연결되고, 상기 인양 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인 포스트부와,
상기 슬라브 위에서 상기 인 포스트부에 결합되어 슬라브의 상방으로 인 포스트부를 지지하며, 지지하는 인 포스트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가 구성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물 내에 인 포스트부가 세워지고, 인 포스트부 상부에 돌출된 인양암과 고정된 갱폼이 연결되는 인 포스트부 설치 단계와,
벽체와 슬라브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인 포스트부의 둘레를 감싸는 협지부가 슬라브 형성 위치로 이동되어, 양생되는 슬라브와 인 포스트부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라브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 단계와,
상기 협지부가 인 포스트부의 상부로 이동되고, 인양 장치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는 인양 장치 설치 단계와,
상기 인 포스트부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로부터 분리되는 스토퍼 분리 단계와,
벽체에 고정된 갱폼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고, 인 포스트부의 인양암과 갱폼을 연결하고 있는 이격 장치가 벽체로부터 갱폼을 이격시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양 장치가 갱폼과 함께 인 포스트부를 상층으로 인양하는 갱폼 인양 단계와,
상기 인양 장치와 슬라브 사이에서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인 포스트부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 설치 단계와,
상기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 갱폼의 레벨이 조절되는 레벨 조절 단계와,
갱폼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 장치가 분리되는 인양 장치 분리 단계로 구성된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설치, 해체가 외벽의 외측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두 슬라브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안전하고, 슬라브의 전체 면이 작업공간이 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작업 공간을 마련할 필요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외벽에 고정된 다수의 슈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층의 슬라브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경량이며, 비용이 절감되고, 인양 방법이 단순화 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갱폼을 인양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 포스트부가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설치되고, 슬라브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외단열 시공과 내단열 시공의 구별 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며, 항상 연결되어 있는 갱폼과 인 포스트부가 외벽을 사이에 두고 고정되어 있고, 인 포스트부가 다수 층의 슬라브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모든 슬라브와 외벽이 무너지지 않는 한 갱폼과 인 포스트부가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없으므로 매우 안전하게 갱폼을 인양할 수 있는 것이며, 종래의 ACS는 최소 4층 이상부터 적용 가능하나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은 2층부터 바로 적용 가능하여 활용성이 매우 높아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3,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측면도.
도6,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협지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협지부에 의해 통공이 형성됨을 보이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스토퍼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인양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시도.
도11,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측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에서 상방과 관련된 용어의 방향은 건축물의 상층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방과 관련된 용어의 방향 하층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갱폼(100)을 승강시켜 인양하는 인양 장치(500)가 구비된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외벽 내측의 슬라브(200)에 스스로 통공(210)을 형성하고, 다수층의 슬라브(200)에 지지되며, 상부에 돌출된 인양암(330)을 통해 갱폼(100)에 연결되고, 상기 인양 장치(500)에 의하여 승강되는 인 포스트부(300)와,
상기 슬라브(200) 위에서 상기 인 포스트부(300)에 결합되어 슬라브(200)의 상방으로 인 포스트부(300)를 지지하며, 지지하는 인 포스트부(30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4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인 포스트부(300)는 도 3과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100)의 반대측의 슬라브(200)에 형성된 통공(210)에 지지되는 H빔 또는 원형 또는 각형의 관으로 된 세로보(310)와,
상기 세로보(310)의 일면에 랙기어(Rack gear)형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311)와,
상기 돌기(311)를 포함한 세로보(310)의 둘레를 감싸며, 상단에 돌출편(321)이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져 세로보(310)의 둘레에 슬라브(200)가 형성될 때 통공(210)을 형성하며, 양생되는 슬라브(200)와 세로보(310)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부(320)와,
상기 세로보(310)의 상부에 외벽을 향하여 돌출된 인양 암(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협지부(32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세로보(3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써, 도 6 내지 도 8에서는 H빔으로 된 세로보(310)에 적용된 협지부(320)를 예시하는 것이고, 세로보(310)가 원통형의 관일 경우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협지부(320)의 상단에는 건설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렛대와 같은 배척의 끝단에 걸려 슬라브(200)의 통공(210)으로부터 탈출이 용이하도록 상단 둘레에 돌출편(321)이 돌출되어 있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다음층의 벽체와 슬라브(200) 형성을 위해 갱폼(100)과 함께 인 포스트부(300)가 승강될 때 인 포스트부(300)의 협지부(320)가 함께 승강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슬라브(200) 형성 위치에 미리 상기 협지부(320)가 위치되므로 슬라브(200)가 양생되면서 인 포스트부(300)를 지지하는 통공(210)이 슬라브(200)에 형성되는 것이어서, 인 포스트부(30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슬라브(200)에 별도의 통공(210)을 뚫는 것이 아닌 인 포스트부(300) 스스로가 통공(210)을 형성해가며 지지되는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상기 인 포스트부(300)의 상부에 외벽을 향하여 돌출된 인양 암(330)은 갱폼(100)의 인양 고리와 연결되는 후크(332)와, 상기 후크(332)를 인양 암(330)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갱폼(100) 이격 장치(331)가 구비될 수 있어서, 갱폼(100)과 인 포스트부(3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갱폼(100)과 함께 인 포스트부(300)의 인양 시 갱폼(100)이 외벽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갱폼(100)과 외벽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인양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갱폼(100)을 외벽에 밀착시켜 용이하게 갱폼(100)을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 포스트부(300)는 스스로가 다수의 슬라브(200)에 형성하는 통공(210)에 지지되어 외벽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하층으로 하강하는 것은 슬라브(200) 위에 설치되는 상기 스토퍼(4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400)는 도 9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 포스트부(300)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311)의 하단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구(410)와, 상기 지지구(410)와 나사 결합되어 지지구(410)를 승, 하강시켜 인 포스트부(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420)와, 상기 스토퍼(400)를 슬라브(200) 위에서 인 포스트부(300)의 둘레를 감싸 스토퍼(400)를 인 포스트부(300)에 고정시키는 고정 암(4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 장치(500)는 도 10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유압펌프(51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520)와, 인 포스트부(300)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311)와 맞물리며, 상기 유압모터(5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 포스트부(300)를 승강시키는 기어박스(530)와,
상기 기어박스(530) 내에서 상기 인 포스트부(300)의 돌기(311)와 돌기(311) 사이에 삽입되며, 상방으로는 회동 가능하고, 하방으로는 회동이 제한되어 인 포스트부(300)의 하강 시 돌기(311)의 하단을 지지하여 인 포스트부(300)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구(540)와,
상기 스토퍼(400)와 같이 상기 기어박스(530)가 인 포스트부(30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인 포스트부(300)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하는 브래킷(550)과,
상기 기어박스(530)와 슬라브(200) 사이에 상기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기어박스(530)를 슬라브(200) 위에 지지하는 스탠드(5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양 장치(500)는 인 포스트부(300)의 돌기(311)와 기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인양이 가능하고, 낙하가 방지되며, 인양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양 장치(500)로 바람직하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방으로 인 포스트부(300)를 밀어 올리는 방식의 인양 장치(50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은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외벽의 외측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모두 슬라브(200)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작업자의 낙하나 공구나 물체 등의 낙하 위험성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슬라브(200)의 전체 면적이 작업공간이 되는 것이므로 별도의 작업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자의 활동에 제약이 없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갱폼(100) 인양, 설치, 해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ACS와 같이 외벽에 고정되는 다수의 슈에 의해서 갱폼(100)이 고정되고 인양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 층의 슬라브(200)에 지지되는 인 포스트부(300) 하나로 지지되고 인양되는 것이어서 경량 시스템인 것이며, 이와 같이 경량이고 다수의 슈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인양 방법이 단순화 되어 안전하고 신속하게 갱폼(100)을 인양, 설치, 해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은 갱폼(100)을 고정하고 인양하는 인 포스트부(300)가 외벽 내측의 슬라브(200)에 설치되고, 슬라브(200)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외벽 표면에 슈를 설치할 필요 없고, 외벽 표면을 지지 수단으로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벽의 외측에 직접 단열 시공하는 외단열 시공이 이루어지는 건물에도 적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건물의 시공이 완료되기까지 항상 연결되어 있는 갱폼(100)과 인 포스트부(300)가 외벽을 사이에 두고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인 포스트부(300)가 다수 층의 슬라브(200)에 지지되는 것이어서, 모든 슬라브(200)와 외벽이 무너지지 않는 한 갱폼(100)과 인 포스트부(300)가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없으므로 매우 안전하게 갱폼(100)을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을 이용하여 갱폼(100)을 인양 시공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은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100)의 반대측인 건물 내 슬라브(200)에 형성된 통공(210)에 삽입 설치된 인 포스트부(300)와 갱폼(100)이 외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200)에 설치된 인 포스트부(300)의 세로보(310)와 슬라브(200) 사이의 협지부(320)가 탈거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200) 위에서 일면에 다수의 돌기(311)가 형성된 상기 인 포스트부(300)에 유압모터(520)와 기어박스(530)로 구성된 인양 장치(500)가 고정되고, 상기 인양 장치(500)의 기어박스(530)와 인 포스트부(300)의 돌기(311)가 기어결합 되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인양 장치(500)가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된 후 상기 슬라브(200)의 통공(210)에 삽입되어 전도가 방지되도록 지지되는 상기 인 포스트부(300)가 하강되지 않도록 슬라브(200) 위에서 상층 방향으로 인 포스트부(300)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스토퍼(400)가 해체되는 단계와,
상기 스토퍼(400)가 해체된 후 상기 갱폼(100)이 벽체와 분리되고, 상기 벽체로부터 갱폼(100)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양 장치(500)에 의해 갱폼(100)과 인 포스트부(300)가 함께 상층으로 인양되는 단계와,
인양 완료 후 슬라브(200) 위에서 상기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되어 인 포스트부(300)가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되고, 갱폼(100)이 고정된 후 상기 인양 장치(500)가 인 포스트부(300)로부터 해체되는 단계와,
인양된 갱폼(100)을 기준으로 철근 배근 및 내부 형틀이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배근 및 내부 형틀 설치가 완료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인 포스트부(300)의 세로보(310) 둘레를 감싸는 협지부(320)가 세로보(310) 중 슬라브(200)와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협지부(320)가 이동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 및 슬라브(200)가 형성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100)의 반대측인 건물 내에 인 포스트부(300)가 세워지고, 상기 인 포스트부(300) 상부에 돌출된 인양 암(330)과 상기 외벽에 고정된 갱폼(100)이 연결되는 인 포스트부(300) 설치 단계와,
벽체와 슬라브(200) 시공이 이루어질 층으로 갱폼(100)을 포함한 인 포스트부(300)가 인양되어 고정된 후 벽체와 슬라브(200)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인 포스트부(300)의 세로보(310) 둘레를 감싸는 협지부(320)가 슬라브(200) 형성 위치로 이동되어, 양생되는 슬라브(200)와 인 포스트부(300)의 세로보(310)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라브(200)에 통공(210)이 형성되는 통공(210) 형성 단계와,
상기 협지부(320)가 인 포스트부(300)의 상부로 이동되고, 인양 장치(500)가 슬라브(200) 위에서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되는 인양 장치(500) 설치 단계와,
벽체에 고정된 갱폼(100)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고, 갱폼(100)이 벽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양 장치(500)가 갱폼(100)과 함께 인 포스트부(300)를 상층으로 인양하는 갱폼(100) 인양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갱폼(100) 인양 단계는 인 포스트부(300)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로부터 분리되는 스토퍼(400) 분리 단계와,
벽체에 고정된 갱폼(100)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고, 인 포스트부(300)의 인양 암(330)과 갱폼(100)을 연결하고 있는 이격 장치(331)가 벽체로부터 갱폼(100)을 이격시켜 간격을 유지하는 이격 단계와,
인양 완료 후 슬라브(200) 위에서 상기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에 설치되어 인 포스트부(300)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400) 설치 단계와,
갱폼(100)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 장치(500)가 분리되는 인양 장치(500) 분리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400)가 인 포스트부(30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 갱폼(100)의 레벨이 조절되는 레벨 조절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갱폼(100)을 해체하고, 인양하고, 설치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은 외벽을 중심으로 갱폼(100)과 인 포스트부(300)가 나란하게 연결 설치되고, 시공이 완료될 때까지 이러한 인 포스트부(300)가 슬라브(200)에 스스로 형성하는 통공(210)에 지지되며, 인양되는 것만으로 갱폼(100) 인양이 가능하므로 인양 방법이 단순화 되고,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갱폼(100)을 인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갱폼 200:슬라브 210:통공 300:인 포스트부
310:세로보 311:돌기 320:협지부 321:돌출편
330:인양암 331:이격 장치 332:후크 400:스토퍼
410:지지구 420:조절 볼트 430:고정 암 500:인양 장치
510:유압펌프 520:유압모터 530:기어박스 540:하강 방지구
550:브래킷 560:스탠드

Claims (10)

  1. 갱폼을 승강시켜 인양하는 인양 장치가 구비된 클라이밍 시스템에 있어서,
    외벽 내측의 슬라브에 스스로 통공을 형성하고, 다수층의 슬라브에 지지되며, 상부에 돌출된 인양암을 통해 갱폼에 연결되고, 상기 인양 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인 포스트부와,
    상기 슬라브 위에서 상기 인 포스트부에 결합되어 슬라브의 상방으로 인 포스트부를 지지하며, 지지하는 인 포스트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스토퍼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 포스트부는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의 반대측의 슬라브에 형성된 통공에 지지되는 H빔으로 된 세로보와,
    상기 세로보의 일면에 랙기어(Rack gear)형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를 포함한 세로보의 둘레를 감싸며, 상단에 돌출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져 세로보의 둘레에 슬라브가 형성될 때 통공을 형성하며, 양생되는 슬라브와 세로보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부와,
    상기 세로보의 상부에 외벽을 향하여 돌출된 인양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 포스트부는 다수층의 슬라브에 형성된 통공에 지지되는 관형으로 된 세로보와,
    상기 세로보의 일면에 랙기어(Rack gear)형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를 포함한 세로보의 둘레를 감싸며, 상단에 돌출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져 세로보의 둘레에 슬라브가 형성될 때 통공을 형성하며, 양생되는 슬라브와 세로보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협지부와,
    상기 세로보의 상부에 외벽을 향하여 돌출된 인양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암은 갱폼의 인양 고리와 연결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를 인양암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갱폼 이격 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장치는 유압펌프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와, 인 포스트부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와 맞물리며,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인 포스트부를 승강시키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 내에서 상기 인 포스트부의 돌기와 돌기 사이에 삽입되며, 상방으로는 회동 가능하고, 하방으로는 회동이 제한되어 인 포스트부의 하강 시 돌기의 하단을 지지하여 인 포스트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하강방지구와,
    상기 기어박스가 인 포스트부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래킷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인 포스트부의 일면에 돌출된 돌기의 하단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와 나사 결합되어 지지구를 승, 하강시켜 인 포스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스토퍼를 슬라브 위에서 인 포스트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암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7.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의 반대측인 건물 내 슬라브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 설치된 인 포스트부와 갱폼이 외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고정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에 설치된 인 포스트부의 세로보와 슬라브 사이의 협지부가 탈거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 위에서 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상기 인 포스트부에 유압모터와 기어박스로 구성된 인양 장치가 고정되고, 상기 인양 장치의 기어박스와 인 포스트부의 돌기가 기어결합 되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인양 장치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된 후 상기 슬라브의 통공에 삽입되어 전도가 방지되도록 지지되는 상기 인 포스트부가 하강되지 않도록 슬라브 위에서 상층 방향으로 인 포스트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스토퍼가 해체되는 단계와,
    상기 스토퍼가 해체된 후 상기 갱폼이 벽체와 분리되고, 상기 벽체로부터 갱폼이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양 장치에 의해 갱폼과 인 포스트부가 함께 상층으로 인양되는 단계와,
    인양 완료 후 슬라브 위에서 상기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인 포스트부가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고, 갱폼이 고정된 후 상기 인양 장치가 인 포스트부로부터 해체되는 단계와,
    인양된 갱폼을 기준으로 철근 배근 및 내부 형틀이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배근 및 내부 형틀 설치가 완료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상기 인 포스트부의 세로보 둘레를 감싸는 협지부가 세로보 중 슬라브와 교차되는 위치로 이동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협지부가 이동 설치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 및 슬라브가 형성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
  8. 외벽을 기준으로 갱폼의 반대측인 건물 내에 인 포스트부가 세워지고, 상기 인 포스트부 상부에 돌출된 인양암과 상기 외벽에 고정된 갱폼이 연결되는 인 포스트부 설치 단계와,
    벽체와 슬라브 시공이 이루어질 층으로 갱폼을 포함한 인 포스트부가 인양되어 고정된 후 벽체와 슬라브가 형성되기 전에 상기 인 포스트부의 세로보 둘레를 감싸는 협지부가 슬라브 형성 위치로 이동되어, 양생되는 슬라브와 인 포스트부가 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며 슬라브에 통공이 형성되는 통공 형성 단계와,
    상기 협지부가 인 포스트부의 상부로 이동되고, 인양 장치가 슬라브 위에서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는 인양 장치 설치 단계와,
    벽체에 고정된 갱폼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고, 갱폼이 벽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인양 장치가 갱폼과 함께 인 포스트부를 상층으로 인양하는 갱폼 인양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 인양 단계는 인 포스트부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로부터 분리되는 스토퍼 분리 단계와,
    벽체에 고정된 갱폼이 벽체로부터 분리되고, 인 포스트부의 인양암과 갱폼을 연결하고 있는 이격 장치가 벽체로부터 갱폼을 이격시켜 간격을 유지하는 이격 단계와,
    인양 완료 후 슬라브 위에서 상기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인 포스트부를 지지 고정하는 스토퍼 설치 단계와,
    갱폼이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인양 장치가 분리되는 인양 장치 분리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인 포스트부의 높이를 미세 조절하여 갱폼의 레벨이 조절되는 레벨 조절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 포스트 클라이밍 방법.
KR1020120004102A 2012-01-12 2012-01-12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5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02A KR101345542B1 (ko) 2012-01-12 2012-01-12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02A KR101345542B1 (ko) 2012-01-12 2012-01-12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51A KR20130083351A (ko) 2013-07-22
KR101345542B1 true KR101345542B1 (ko) 2013-12-26

Family

ID=4899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102A KR101345542B1 (ko) 2012-01-12 2012-01-12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7203B2 (ja) * 2018-03-20 2022-07-07 清水建設株式会社 クライミング式テルハ及び建物の解体方法
CN114427291A (zh) * 2022-02-12 2022-05-03 陈青腾 一种液压千斤顶与爬架爬升导轨的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69B1 (ko) 2007-07-09 2007-12-24 이규명 갱폼 인양 장치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140884B1 (ko) 2011-06-30 2012-05-03 김원철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169B1 (ko) 2007-07-09 2007-12-24 이규명 갱폼 인양 장치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KR101140884B1 (ko) 2011-06-30 2012-05-03 김원철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351A (ko) 201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0372A (ko)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KR100774883B1 (ko) 반자동 상승장치
KR100968068B1 (ko) 다중 수평구조부재 형성방법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CN102912996B (zh) 一种钢管混凝土柱高空施工安全防护体系
KR102305399B1 (ko) 시공 건축물의 높낮이 조절형 리프팅 장치
KR101345542B1 (ko)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KR102294219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2387167B1 (ko)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100774553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101146735B1 (ko)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폼
JP5645334B2 (ja) 構造物解体システム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20120122800A (ko) 지하돔 구조물의 유압승강식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62317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KR101328663B1 (ko) 천정 슬라브의 거푸집패널 해체장치 및 방법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JP6318076B2 (ja) 鉄塔の解体方法及び鉄塔の解体装置
KR20190037847A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KR102207793B1 (ko) 이동식 크레인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9015151A (ja) 既存構造物の解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