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0372A -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372A
KR20210030372A KR1020217002053A KR20217002053A KR20210030372A KR 20210030372 A KR20210030372 A KR 20210030372A KR 1020217002053 A KR1020217002053 A KR 1020217002053A KR 20217002053 A KR20217002053 A KR 20217002053A KR 20210030372 A KR20210030372 A KR 2021003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ing
rail
lift
sho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611B1 (ko
Inventor
요세프 슈미드
Original Assignee
페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3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1)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되거나 상기 프레임 유닛(11)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포함한다.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26)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 4, 5)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레일(24)의 이동(3', 3', 4', 5', 5")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4)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도록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다.

Description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본 발명은,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이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 및 크라이밍 슈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에 통합되거나 프레임 유닛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 및 상기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이러한 리프트 드라이브는 크라이밍 시스템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독일 특허출원공개 DE 10 2016 205 956 A1호 및 국제공개 WO 2009/117986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건설에서, 크라이밍 시스템은, 예를 들어 수직으로 배향된 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소위 건물 코어, 교량, 댐 등의 건설에서 크라이밍 거푸집 공사 및/또는 크라이밍 보호 벽으로서 그리고/또는 크라이밍 프레임의 형태로 사용된다. 크라이밍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프레임 유닛으로서 작업 플랫폼을 구비하고, 건설될 또는 마감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측 마감된 콘크리트 벽 부분으로부터 위에 배열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추가 경화된 콘크리트 타설 부분까지 크레인과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크라이밍 슈에 의해 지지되는 유압 실린더를 통해 위로 이동될 수 있는, 즉 크라이밍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 또는, 작업 콘솔 또는 작업 플랫폼은 작업 콘솔 아래의 콘크리트 벽에 그리고 작업 콘솔에 고정된 크라이밍 콘솔에 앵커 볼트에 의해서 고정된 크라이밍 실린더에 의해서 올려질 수 있다. 유압 실린더 없이 작동되는 크레인 크라이밍 시스템이 또한 알려져 있다.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알려진 리프트 드라이브의 단점은, 다음 크라이밍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 부분에 대해 유압 실린더가 매번 다음 가장 높은 층으로 운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되는 리프트 드라이브에 따라, 건물에 수동으로 부착되어야 하는 리딩 레일도 필요할 수 있으며, 이 레일을 당기기 위해서 크라이밍 동안 크라이밍 시스템 상에서 크라이밍 방향이 수동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리프팅 과정 후에 수동 노력이 커, 연속 크라이밍이 가능하지 않다. 또한, 기존의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는 너무 크게 구성될 수 있어, 크라이밍 시스템이 사용될 때, 크라이밍 레일의 길이로 인해 건물 높이가 먼저, 제1 콘크리트 타설 부분이 세워지는 지면과 또는 제1 콘크리트 타설 부분 아래에 세워질 수 있는 바닥 슬래브와 크라이밍 레일의 자유 단부가 충돌하지 않도록 충분하게 도달되어야 한다. 기어 모터 구동식 크라이밍 시스템은 비용이 많이 들고 수리에 민감하기 때문에 기어가 있는 드라이브는 훨씬 단순한 방식으로 설계된 리프트 드라이브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연속적인 크라이밍을 가능하게 하는 단순하게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 리프팅 과정 후 이전에 요구되던 높은 수동 노력 없이 단계별 연속 크라이밍이 가능한 리프트 드라이브가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리프트 드라이브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통해 최대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콤팩트한 구성을 가져야 한다.
이 문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리프트 드라이브와 청구항 18의 특징을 가진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 청구항은 편리한 개량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제는 따라서,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용 리프트 드라이브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리프트 드라이브는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 크라이밍 슈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에 통합되거나 프레임 유닛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의 길이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이동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되도록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고,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이동 가능하고, 리프트 디바이스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에 연결되는 유닛으로서 제공된다.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고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예를 들어, 크라이밍 레일의 가이드 슈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 상에서 고정되거나 가이드된다. 크라이밍 레일에 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이동은 연장 및 수축 가능한 리프트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된다. 리프트 디바이스는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 즉 일 단부에서 크라이밍 레일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하측 단부 또는 상측 단부, 즉 타 단부에서 리프트 디바이스는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즉 이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지 않은 결합 및 체결 탭을 가질 수 있다.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되고 축소되는 경우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는 크라이밍 레일의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된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도록 선택된다.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와 크라이밍 레일 사이의 연결의 구성에 따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리프트 디바이스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의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가 커버되어야 한다.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될 때 건물에 관하여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과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될 때 크라이밍 레일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향 이동으로, 프레임 유닛의 연속 크라이밍이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는 리프트 이동으로 인해 크라이밍된다.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슈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키고 및 축소시키는 각 단계에 대한 수동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다음 크라이밍 부분 또는 콘크리트 타설 부분을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는 분해된 상태에서 다음의 최고 층으로 더 이상 운반될 필요가 없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움직일 때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크라이밍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어, 리프트 디바이스가 완전히 연장된 경우에도 크라이밍 레일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세로 방향 연장이 합산되지 않도록 하며, 이는 리프트 드라이브의 콤팩트한 구조로 귀결된다.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되고 연장되는 경우 모두 리프트 디바이스의 일 단부가 크라이밍 레일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것과 별도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단지 리프트 디바이스를 통해서만 크라이밍 레일에 연결되기 때문에, 리프트 드라이브는 매우 간단하게 구성되었으며 그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손실이 거의 없이 작동되며 수리에 민감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는 또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를 커버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사전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전체 장착 스트로크 거리를 커버해야 하는 경우에도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하여 장착할 수 있다. 크라이밍 레일에 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하향 이동보다 건물에 관한 크라이밍 레일의 상향 이동을 위해 리프트 디바이스의 전체 스트로크 길이 중 더 큰 부분을 사용하기 위하여, 장착 스트로크 거리가 장착 거리보다 작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의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해 설명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따라서 요구되지 않음)의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크라이밍 슈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거나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모두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크라이밍 슈가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크라이밍 레일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모두 장착하도록 크라이밍 슈가 구성되면 전체 크기 및 특히 요구되는 크라이밍 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과 상기 크라이밍 슈 사이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또는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라이밍 슈와 함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래치, 특히 잠금 래치 또는 크라이밍 래치, 멈춤쇠, 특히 스냅인 노즈(snap-in nose) 또는 볼트, 특히 잠금 볼트의 형태로, 선회 가능, 접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크라이밍 래치 또는 접힘 가능 스냅인 노즈의 형태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일렬로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지 요소는, 도면에 의해 아래에 설명된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상기 크라이밍 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와 결합되기 위한 유지 리세스의 형태로 일렬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유지 손잡이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예를 들어, 용접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후크-인 윤곽선(hook-in contour), 특히 치형부를 갖는 프로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일 측부에 상기 유지 리세스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특히,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크라이밍 슈에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만 있는 경우,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 형태의 유지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유지 리세스로서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은 특히, 리프트 디바이스가 연장될 때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만이 크라이밍 시스템을 지지해야 하는 경우 치형부들 사이에 완전히 엣지가 있는 리세스가 아닌 경우보다 더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반면에,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리세스들 사이에서 생성되는 치형부는 제조하기가 더 쉬우므로 홀 패턴보다 비용 효율적이다. 적용(예를 들어: 요구되는 안정성 및/또는 비용 사양)에 따라, 이러한 경우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중실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압착되거나 또는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된 형태(lasered form)로 중공 프로파일로서 존재될 수 있다.
상기 크라이밍 슈 상에 또는 안에 배열된 래칭/스냅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모두를 장착하도록 크라이밍 래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크라이밍 래치의 이중 기능으로 인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크라이밍 래치가 제공되는 경우보다 더 간단하게 크라이밍 슈가 구성될 수 있다.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적용 사례에 따라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배열되거나 서로 옆에 놓여 있을 수 있다.
하나가 다른 하나 내부에 놓여 있는 배열의 경우, 크라이밍 레일에 의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가이드가,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놓이는 배열보다 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배열보다 더 효과적 일 수 있다.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또는 L, T 또는 I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또한, 이중 T라고도 함)을 갖는다. 그 결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성이 보장된다.
유압 실린더, 스핀들 드라이브,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 액추에이터 또는 선형 드라이브는 리프트 디바이스로서 고려되며, 상기 스핀들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인 표준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수직 축선에 관하여 적어도 4도만큼 선회되도록 구성되면, 리프트 드라이브는 또한, 수정 없이 건물의 외측 벽 또는 외측 벽의 비수직 구성을 생성하는데 적합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통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이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 유닛을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의 전체 길이가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의 상기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기에 충분하다. 동시에 여러 개의 크라이밍 레일을 사용함으로써 크라이밍 시스템의 하중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건물에 크라이밍 시스템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서,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복수의 크라이밍 레일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복수의 크라이밍 레일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각각의 연장 및 수축 후에 단부 위치 보상을 통해 동기화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의 층 높이 또는 그 일부에 대략적으로 해당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다. 대략 한 층 높이의 간격으로, 크라이밍 시스템이 한 층 높이만큼 위쪽으로 이동되는 각 크라이밍 사이클마다 크라이밍 슈가 건물 외측 벽에 놓이거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거푸집 작업, 콘크리트 타설 등과 같은 추가 작업 없이 크라이밍 슈를 놓거나 제거하기 위한 중간 크라이밍 사이클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본 발명의 부분이다. 이 방법은,
- 상기 장착된 크라이밍 레일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아래로 이동되는, 상기 연장시키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수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만큼 위로 이동되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시키는 단계; 및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의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리프트 디바이스는, 크라이밍 레일을 동시에 가이드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크라이밍 슈의 하측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에 장착될 때까지 연장된다. 그러면 건물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추가 하향 이동이 더 이상 불가능하고, 리프트 디바이스의 추가 스트로크는 프레임 유닛이 부착된 크라이밍 레일을, 이제 건물에 관하여 제 자리에 고정되고 리프트 디바이스에 연결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위로, 설치될 때까지 크라이밍 레일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은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상의 리프트 디바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그 결과, 이전에 수직 하중 전달을 담당했던, 크라이밍 레일을 가이드하기 위한 3개의 크라이밍 슈 중 가운데 하나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이 리프트되고, 수직 하중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장착되어 있는 하측 크라이밍 슈에 전달된다.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가 장착 거리만큼 오프셋된 크라이밍 레일을 장착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크라이밍 레일은 3개의 크라이밍 슈 중 상측의 하나를 넘어 간다. 크라이밍 스트로크가 완료된 후, 리프트 디바이스가 수축될 때, 하측 크라이밍 슈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이 이제 장착된 상측 크라이밍 슈로의 수직 하중 전달이 변경된다. 다른 실시형태가 가능하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영역에 위치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임의의 크라이밍 슈가 상향 밀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크라이밍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능을 갖는 크라이밍 슈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 위에 위치된다. 그러나, 추가 래치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슈로서 구성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능을 갖는 크라이밍 슈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에 관하여 임의의 지점에, 예를 들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하고 지지하기 위한 크라이밍 슈 아래 또는 중간 크라이밍 슈의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서 정의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이 건물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의 추가 층 또는 복수의 추가 층에 도달될 때까지 사이클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 특허 청구범위 및 본 발명에 필수적인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특징부는 본 발명에 따른 특수 특징부가 명확하게 볼일 수 있도록 묘사되어 있다. 상이한 특징부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로 실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시스템의 일련의 크라이밍 프로세스 a 내지 e의 단면도이며, 크라이밍 시스템은 외측 거푸집을 운반하는 작업 플랫폼, 및 또한 트레일링 플랫폼을 갖는 프레임 유닛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측면도(a) 및 평면도(b)로 2개의 크라이밍 레일을 갖는 도 1b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는 도 2a의 섹션 B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크라이밍 슈의 평면도를 갖는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도 3a의 평면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식 리프트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공간적 외부도이다.
도 5는 도 2b의 섹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확대된 공간적 단면도이다.
도 1a는 건물(1)의 층 주위의 프레임 유닛(11)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일련의 크라이밍 프로세스 동안의 단면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크라이밍 시스템(10)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다. 건물(1)은 외측 벽(40, 44, 48, 52)을 갖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며, 이 외측 벽은 예를 들어, 창문 설치를 위한 절결부(41, 45, 49, 53)에 의해 단면도에서 수직 방향(Y)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층 높이(42, 46, 50, 54)를 갖고 위로 적층 배치되는 건물(1)의 층들은 층 슬래브(43, 47, 51, 5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크라이밍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건물(1)의 한 층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을 완성하기 위해 건물(1)을 향해 그리고/또는 건물(1)로부터 멀어지도록 수평 방향(14)으로 공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푸집(13)을 구비하는 거푸집 플랫폼(12)을 구비하는 프레임 유닛(11)을 포함한다. 거푸집 플랫폼(12)에 고정된 작업 플랫폼(16)은 거푸집 플랫폼(12) 아래에 배열된다. 거푸집을 이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및/또는 크라이밍 시스템을 크라이밍시키기 위한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이 작업 플랫폼(16)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작업 플랫폼(16) 아래에 배열되고 작업 플랫폼(16)에 고정되는 트레일링 플랫폼(22) 상에 위치된다. 도 1a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에서, 프레임 유닛(11)은 따라서, 거푸집 플랫폼(12), 작업 플랫폼(16) 및 트레일링 플랫폼(22)을 포함하며, 크라이밍 레일(18)은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을 프레임 유닛(11)에 체결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트레일링 플랫폼(22)은, 무엇보다도 크라이밍 슈(32, 34, 36, 38)를 부착하고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 슈는 건물(1)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열되고, 프레임 유닛(11)에 의해 운반되는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고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보어(19) 및, 스페이서라고도 불리는 지지 볼트(19')를 가지며, 이들은 장착 거리(20)만큼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있고, 크라이밍 레일(18)이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어 하향 이동의 경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고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크라이밍 레일이 크라이밍 슈(32, 34, 36, 38) 각각에 관하여 제거되어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각각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라이밍 레일(18)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도 존재하며, 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한 방향으로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고 크라이밍 슈(32, 34, 36, 38) 각각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서 이동가능하고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될 수 있다.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 외에도,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리프트 디바이스(26)를 통해 크라이밍 레일(18)에만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리프트 디바이스는 그 하측 단부(27)로 리프트 레일(24)에 연결되고 그 상측 단부(28)로 크라이밍 레일(18)에 연결된다.
크라이밍 과정의 초기에, 리프트 디바이스, 보다 정확하게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리프팅 실린더 또는 램이 완전히 수축되어, 리프트 디바이스의 스트로크 길이(2)가 0이다.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된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측 엣지의 높이(25)와 크라이밍 레일(18)의 상측 엣지의 높이(21) 사이에 거리(2')가 존재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어, 수직 하중이 상기 크라이밍 슈를 통해 전달된다.
도 1b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0이 아닌 스트로크 길이(3)만큼 연장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여전히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고,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도 1a에 도시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높이(25)에 관하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측 엣지의 높이(25a)가 아래로 거리(3')만큼 이동되는 방식으로 아래로 이동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에서의 높이에 관하여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이동(3')에 대응된다. 리프트 디바이스(26)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될 때까지 연장되지만, 도 1b에서는 아직 그렇지 않다.
도 1c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스트로크 길이(3)보다 더 큰 스트로크 길이(4)만큼 연장되어, 이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되어 더 아래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이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대신에 크라이밍 레일(18)이 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프레임 유닛(11)을 포함하는 전체 크라이밍 시스템(10)이 위로 올라간다. 도 1a 및 도 1b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에 관해, 도 1c의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1a)는 거리(4')만큼 위로 이동된다. 따라서,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4)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아래로 이동된 거리(3') 및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위쪽으로 이동된 거리(4')로 구성된다. 이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4)는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어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되기에 충분하다. 적어도 장착 거리(20)가 커버된다. 따라서, 하측 크라이밍 슈(32)에 지지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지지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크라이밍 레일(18)을 적어도 장착 거리(20)만큼 밀어 올린다. 도 1c의 경우, 크라이밍 레일(18)은 장착 거리(20)만큼 그리고 또한 크라이밍 슈(36)에 크라이밍 레일(18)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유지 지점 거리만큼 오프셋된다.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될 수 있기 위해서 크라이밍 레일(18)로부터 상기 크라이밍 슈의 유지 지점 위로 크라이밍된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18)의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6)의 장착 높이(36') 위에 위치된다. 유지 지점 거리는 대략 크라이밍 레일(18)에서 2개의 인접한 보어(19) 사이의 수직 거리이다. 다른 구성에서, 유지 지점 거리가 더 작게 되거나 0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상태에서 스트로크 길이(4)가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를 커버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 크라이밍 레일이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스트로크 길이(4)보다 더 긴 스트로크 길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스트로크 길이(4)는 최대 스트로크 길이이다. 그러나, 더 높은 최대 스트로크 길이가 가능하다.
도 1d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수축되어, 스트로크 길이(5)는 도 1c의 스트로크 길이(4)보다 더 작다. 도 1a 및 도 1b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에 관해,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1b)는 거리(5')만큼 위로 이동된다. 상기 거리는 도 1c의 거리(4')보다 유지 지점 거리만큼 더 작고 장착 거리(20)와 동일하여, 크라이밍 레일(18)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다. 이는 지지 볼트(19')가 크라이밍 슈(35)의 장착 높이(36')에 위치된다는 사실로부터 알 수 있다. 스트로크 길이(5)를 갖는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스트로크 길이(4)에 관해 유지 지점 거리보다 더 많이 수축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되어 있어 더 아래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는 이제 크라이밍 레일(18) 대신 위쪽으로 이동된다. 도 1a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단 엣지의 높이(25)에 관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상단 엣지의 높이(25b)는 아래로 단지 거리(5")이며, 여기서 상기 거리는 도 1b 및 도 1c의 거리(3')보다 작다.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5)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아래로 이동된 거리(5") 및 크라이밍 레일(18)이 도 1a의 높이에 관하여 위쪽으로 이동된 거리(5')로 구성된다. 따라서, 크라이밍 레일(18)을 통해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 프레임 유닛(11)의 이동 없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위쪽으로 당겨진다.
도 1d에서,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완전히 수축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길이(2)는 0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이밍 레일(18)의 상단 엣지의 높이(21b)는 장착 거리(20)에 대응하는 거리(5')만큼 위쪽으로 이동된다.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5)의 장착 높이(36')의 높이에 위치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은, 도 1a 및 도 1d의 상단 엣지의 높이들(21 및 21b)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듯이, 도 1a에서 그 높이에 관하여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오프셋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단 엣지의 높이(25c)는 또한, 도 1d에서 거리(5''')로 도시된, 도 1a에서 높이(25)에 관하여 장착 거리(20)만큼 위쪽으로 오프셋되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로부터 크라이밍 레일의 상단 엣지들(21b 및 25c)의 거리(2")는 도 1a의 거리(2')에 대응된다. 도 1d의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될 때,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6)에 장착된다. 도 1a에서, 크라이밍 레일(18)은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수축된 상태로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었다.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의 측면도이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이 보이지 않도록 크라이밍 레일(18)에 놓여 있다. 거푸집(13)은 거푸집용 수직 빔(13')에 장착된다. 이 영역에서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난간(13")이 수직 빔(13')의 상측 단부에 부착된다.
도 2b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크라이밍 레일(18)을 갖는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크라이밍 시스템(10)의 평면도이다. 거푸집 플랫폼(12), 작업 플랫폼(16) 및 트레일링 플랫폼(22) 이외에, 수직 빔(13') 및 난간(13'')을 구비하는 거푸집(13) 및 건물(1)의 외측 벽(44)에 있는 절결부(41, 45, 49)가 도시된다.
도 3a는 단면 확대도로서 도 2a의 하측 영역의 섹션(B)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가이드 슈(19")와 함께 도 1b에서 이미 도시된 섹션을 도시한다. 크라이밍 레일(18)은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되며, 지지 볼트(19')는 크라이밍 슈(34)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크라이밍 슈(34)에 장착된다.
도 3b는, 2개의 대향하는 U 자형 요소를 포함하는 크라이밍 레일(18) 및 I 자형 단면(이중 T 자형 단면이라고도 함)을 갖는 크라이밍은 리프트 레일(24)의 도 3a에서 평면(A-A)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크라이밍 레일(18)의 U 자형 요소들 사이에서 크라이밍 레일(18)에 배열되고, 크라이밍 레일(18)의 U 자형 요소들 사이에서 또한 배열되는 가이드 슈(19")에 의해 가이드된다. 가이드 슈(19")는 외측 벽(40)으로부터 멀어지게 대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만을 가이드하며,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는 크라이밍 래치(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래치는, 크라이밍 레일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의 단면뿐만 아니라, 크라이밍 슈(32)의 평면도가 도시되기 때문에, 도 3b에서 잘 보여질 수 있다. 크라이밍 래치(32")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외측 벽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에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러그(lug)를 갖는다. 크라이밍 슈(32)는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2개의 림(limb)(32')을 갖는다. 림들(32″)은 각각 수직 축선(y)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고, 잠금 핀으로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선회 가능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잠금 핀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림이 가능하다. 크라이밍 래치(32")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및 크라이밍 레일(18) 모두가 크라이밍 슈(3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및 크라이밍 레일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크라이밍 레일이나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을 장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라이밍 래치가 이용 가능한 크라이밍 슈의 구성이 또한 착상 가능하다.
도 4는, 리프트 디바이스(26)가 이미 도 1b 및 도 3a에서 도시된 스트로크 길이(3)를 갖고 하측 단부(27)에서 고정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공간적 외부도로 도시한다. 리프트 디바이스(26)의 하측 단부(27)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 단부(28)는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연결을 위해 개방된다. 도 4의 상측 단부에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단면이 도시될 수 있으며, 도 3b에 따른 외측 벽(40)을 향하는 측부는 도 3b에 따른 가이드 슈(19")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상기 측부의 반대 쪽 측부보다 더 넓다. 더 넓은 측부는 직사각형 리세스(61)를 갖는 톱니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로 이어진다. 톱니형 프로파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 리세스(61) 대신에,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 형태의 리세스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세스는 리세스(61)보다 더 큰 리세스 당 수직 하중을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2b의 섹션(C)에 도시된 크라이밍 레일(18) 및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확대된 공간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트로크 길이(3)를 갖는 리프트 디바이스의 하측 단부(27)는 나사 연결에 의해 외측 벽(40)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에 고정되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상측 단부(28)는 외측 벽(44)으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가이드 슈(19")의 측부 상에 나사 연결에 의해 고정된다. 도 5의 하측 영역에서, 외측 벽(40)에 고정 방식으로 부착된 크라이밍 슈(32)는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측부를 가이드하는 림(32')을 갖는다. 크라이밍 래치(32")는 크라이밍 레일(18)의 지지 볼트(19') 및 외측 벽(40)을 향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측부 상의 리세스(61)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지지 볼트(19') 사이의 도 3에 도시된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는 인접된 보어들(19) 사이의 거리 4개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는 장착 거리 (20)보다 작고, 인접된 보어들(19) 사이의 대략 2개의 거리이다. 따라서, 리프트 디바이스를 연장시킬 때, 장착 거리(20)만큼 크라이밍 레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요구되는 스트로크 길이의 2/3가 크라이밍 레일(18)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기 위해서 스트로크 길이의 최대 1/3만 필요하다.
도 4에 따른 크라이밍 레일(24)의 톱니형 프로파일과 같이, 도시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부는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기술적인 이유로 본질적으로 금지되지 않는 한, 크라이밍 레일(18) 내에 배열되지 않고 크라이밍 레일(24) 옆에 놓인다.
참조 부호 목록
1 건물
2, 3, 4, 5 스트로크 길이 리프트 디바이스
2', 2" 거리 상측 엣지 크라이밍 레일 내지 상측 엣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3', 5", 5"' 이동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4', 5' 이동 크라이밍 레일
10 크라이밍 시스템
11 프레임 유닛
12 거푸집 플랫폼
13 거푸집
13' 수직 빔 거푸집
13" 난간 거푸집 플랫폼
14 수평 방향
16 작업 플랫폼
18 크라이밍 레일
19 크라이밍 레일의 보어
19' 지지 볼트 크라이밍 레일
19" 크라이밍 레일을 위한 가이드 슈 크라이밍 레일
20 장착 거리 크라이밍 레일
21, 21a, 21b 높이 상측 엣지 크라이밍 레일
22 트레일링 플랫폼
24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25, 25a, 25b, 25c 높이 상측 엣지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26 리프트 디바이스
27 하측 단부 리프트 디바이스
28 상측 단부 리프트 디바이스
32, 34, 36, 38 크라이밍 슈
32' 림 크라이밍 슈
32" 크라이밍 래치
36' 장착 높이 크라이밍 슈
40, 44, 48, 52 외측 벽 건물
41, 45, 49, 53 외측 벽 건물의 절결부
42, 46, 50, 54 층 슬래브
43, 47, 51, 55 층 높이 건물
60 장착 스트로크 거리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61 유지 리세스
A-A 단면도 도 3a
B 섹션 도 2a
C 섹션 도 2b
Y 수직 방향 위로

Claims (19)

  1.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용 리프트 드라이브로서,
    고정된 방식으로 건물(1)에 배열될 수 있는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의해 가이드되고, 프레임 유닛(11)에 통합되거나 상기 프레임 유닛(11)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각각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이밍 레일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은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 및 일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고정되고, 타 단부에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고정된 리프트 디바이스(26)로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스트로크의 길이(3, 4, 5)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이동(3', 3', 4', 5', 5")에 대응되는,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4)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장착 거리(20)만큼 오프셋되도록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리프트 드라이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길이(4)는 또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장착 스트로크 거리(60)를 커버하기에 충분한, 리프트 드라이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경우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는 상기 크라이밍 슈(34, 36)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된 상기 크라이밍 슈(32)의 위 또는 아래에 배열되는, 리프트 드라이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거나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모두 장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또는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및 상기 복수의 래칭/스냅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에 의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장착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위치되는, 리프트 드라이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이동 가능한 요소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요소는, 래치, 특히 잠금 래치 또는 크라이밍 래치(32"), 멈춤쇠, 특히 스냅인 노즈(snap-in nose) 또는 볼트, 특히 잠금 볼트의 형태로, 선회 가능, 접힘 가능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스냅 요소는 크라이밍 래치(32") 또는 접힘 가능 스냅인 노즈의 형태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일렬로 존재하는, 리프트 드라이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와 결합되기 위한 유지 리세스(61)의 형태로 일렬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도입되거나, 또는 유지 손잡이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예를 들어, 용접으로 적용될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후크-인 윤곽선(hook-in contour), 특히 치형부를 갖는 프로파일 형태로 존재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일 측부에 상기 유지 리세스(61)를 갖거나, 또는,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을 장착하도록 구성된 크라이밍 슈(32, 34, 36, 38)에 단지 하나의 래칭/스냅 요소가 있는 경우,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이어(ear)라고도 불리는, 완전히 엣지가 있는 구멍의 형태의 상기 유지 리세스(61)를 가질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중실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압착되거나 또는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된 형태(lasered form)로 중공 프로파일로서 존재하는, 리프트 드라이브.
  11. 제6항 또는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슈(32, 34, 36, 38) 상에 또는 안에 배열된 크라이밍 래치(32") 형태의 래칭/스냅 요소는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 모두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리프트 드라이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및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하나가 다른 하나 내에 배열되거나, 또는 서로 옆에 놓여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은 직사각형 프로파일 또는 L, T 또는 I 형태의 단면 프로파일(또한, 이중 T라고도 함)을 갖는, 리프트 드라이브.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는 유압 실린더, 스핀들 드라이브,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 액추에이터 또는 선형 드라이브로서 구성되고, 상기 스핀들 또는 랙과 피니언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리프트 드라이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은 수직 축선에 관하여 적어도 4도만큼 선회되도록 구성되는, 리프트 드라이브.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 및 상기 크라이밍 레일(18) 중 적어도 하나가 통합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이 고정되는 상기 프레임 유닛(11)을 구비하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라이밍 레일(18)의 전체 길이가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서로 이격된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32, 34, 36, 38)의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을 가이드하기에 충분한,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크라이밍 슈(32, 34, 36, 38)는 상기 건물(1)의 층 높이(43, 47, 51, 55) 또는 그 일부에 대략적으로 대응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프트 드라이브를 구비하는, 특히 크라이밍 거푸집, 크라이밍 프레임, 크라이밍 보호 벽 및/또는 크라이밍 작업 플랫폼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10)을 크라이밍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장착된 크라이밍 레일(18)로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연장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아래로 이동되는, 상기 연장시키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상기 장착에 의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의 추가 하향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거리(20)만큼 위로 제거되어 이동되는, 상기 연장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를 수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20)만큼 위로 이동되어 장착될 때까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이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에 대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시키는 단계; 및
    - 상기 리프트 디바이스(26)의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로서,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추가 하향 이동은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상기 장착에 의해 방지되고 상기 크라이밍 리프트 레일(24)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에 대해 상기 크라이밍 레일(18)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장착 거리(20) 만큼 제거되어 위로 이동되는, 상기 수축 이동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8항에 따른 방법 단계는 사이클로서 정의되고, 상기 프레임 유닛(11)이 건물(1) 또는 콘크리트로 만들 건물(1)의 콘크리트 타설 부분의 추가 층 또는 복수의 추가 층(43, 47, 51, 55)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방법.
KR1020217002053A 2018-07-23 2019-07-15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KR102625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17727:5 2018-07-23
DE102018117727.5A DE102018117727A1 (de) 2018-07-23 2018-07-23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PCT/DE2019/100652 WO2020020412A1 (de) 2018-07-23 2019-07-15 Hubantrieb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372A true KR20210030372A (ko) 2021-03-17
KR102625611B1 KR102625611B1 (ko) 2024-01-16

Family

ID=6751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053A KR102625611B1 (ko) 2018-07-23 2019-07-15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293037A1 (ko)
EP (1) EP3827146B1 (ko)
KR (1) KR102625611B1 (ko)
CN (1) CN112513392A (ko)
AU (1) AU2019311134A1 (ko)
CA (1) CA3106333A1 (ko)
DE (2) DE102018117727A1 (ko)
ES (1) ES2968201T3 (ko)
PL (1) PL3827146T3 (ko)
SG (1) SG11202100494PA (ko)
WO (1) WO20200204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5956A1 (de) *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ES2695626B2 (es) * 2017-06-30 2020-05-19 Hws Concrete Towers S L Dispositivo auto-trepante por superficies de hormigón verticales y cuasi-verticales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102019115346A1 (de) * 2019-06-06 2020-12-10 Peri Gmbh Anordnung von einer kletterschiene und einer kletterhubschiene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0439251B (zh) * 2019-08-13 2021-05-11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一种井道爬架
US11655641B2 (en) * 2019-12-29 2023-05-23 The Third Construction Co., Ltd Of China Construction Third Engneering Bureau Construction building equip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E102020134812A1 (de) 2020-12-23 2022-06-23 Peri Se Kletterschuhvorrichtung für ein schienengeführtes Klettersystem
CN114232969B (zh) * 2021-12-22 2023-12-29 丽水市卓越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防护架
CN114876178B (zh) * 2022-05-13 2024-03-01 中交四公局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爬架夹持机构
WO2023245672A1 (zh) * 2022-06-24 2023-12-28 深圳市海柔创新科技有限公司 爬货架机器人及仓储系统
CN115162822B (zh) * 2022-06-29 2024-04-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安阳供电公司 一种电网电线杆架设装置及施工方法
CN115142658B (zh) * 2022-08-17 2024-03-15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一种组合附着式升降脚手架系统
CN115370118B (zh) * 2022-09-02 2023-10-27 中建一局集团第五建筑有限公司 一种建筑用装配式爬架及其使用方法
CN115823409B (zh) * 2023-02-20 2023-06-06 山东鑫海矿业技术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爬壁功能的矿用双级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246A (ko) * 2007-08-23 2009-02-26 이병영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7513480B2 (en) * 2003-11-27 2009-04-07 Ulma C Y E, S. Coop Climbing system for shuttering, scaffolding and loads in general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DE112009005086T5 (de) * 2009-07-21 2012-08-16 Tms Tüfekc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rägerkopf mit Bolzenmechanismus für mit Kolben angetriebene Klettersysteme
KR101225811B1 (ko) *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3924B1 (de) * 2006-08-18 2008-02-15 Rund Stahl Bau Gmbh & Co Kletterschalung zum betonieren einer wand eines bauwerks
CN201660379U (zh) * 2010-01-28 2010-12-01 陈亚洲 一种高塔或高层建筑类用攀爬系统
CN103669818B (zh) * 2012-09-07 2016-08-10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密封型一体化爬架及其使用方法
CA2838259C (en) * 2013-12-30 2020-08-18 International Chimney Corporation Scaffold system
CN205840293U (zh) * 2016-03-09 2016-12-28 陕西开友实业有限公司 脚手架升降装置
DE102016205956A1 (de) 2016-04-08 2017-10-12 Peri Gmbh Selbstklettersystem, Selbstklettereinheit sowie Verfahren zum Umsetzen einer solchen Selbstklettereinheit an einem Betonbaukörper
CN107762132B (zh) * 2017-11-02 2020-02-04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侧摆式机械臂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3480B2 (en) * 2003-11-27 2009-04-07 Ulma C Y E, S. Coop Climbing system for shuttering, scaffolding and loads in general
KR20090020246A (ko) * 2007-08-23 2009-02-26 이병영 자립 오토 클라이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225811B1 (ko) * 2008-03-25 2013-01-23 페리 게엠베하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폼워크 시스템을 갖는 콘크리트 섹션
DE112009005086T5 (de) * 2009-07-21 2012-08-16 Tms Tüfekcioglu Mühendisl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rägerkopf mit Bolzenmechanismus für mit Kolben angetriebene Klettersysteme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311134A1 (en) 2021-02-11
EP3827146A1 (de) 2021-06-02
ES2968201T3 (es) 2024-05-08
KR102625611B1 (ko) 2024-01-16
DE102018117727A1 (de) 2020-01-23
EP3827146B1 (de) 2023-10-25
US20210293037A1 (en) 2021-09-23
EP3827146C0 (de) 2023-10-25
WO2020020412A1 (de) 2020-01-30
CA3106333A1 (en) 2020-01-30
CN112513392A (zh) 2021-03-16
PL3827146T3 (pl) 2024-04-02
SG11202100494PA (en) 2021-02-25
DE112019003709A5 (de)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611B1 (ko)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US6557817B2 (en) Wall climbing form hoist
JP7193151B2 (ja) 垂直及び略垂直なコンクリート表面用のセルフクライミング装置及び動作方法
US20220325541A1 (en) Assembly consisting of a climbing rail and a climbing lift rail for a rail-guided
US10914083B2 (en) Wall-climbing concrete form lifting system
EP2191086B1 (en) A means of stripping concrete formwork from a concrete surface
EP2412894B1 (en) A climbing screen support system
KR20200116937A (ko) 상승 시스템 및 상승 시스템 작동 방법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JP2016108875A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102386880B1 (ko) 데크-거푸집 모듈의 순차적인 승하강에 따른 세그먼트의 순차적인 구축 및 데크-거푸집 모듈의 회수를 이용한 교각 무인화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구축된 교각
US20130263549A1 (en) Safety screen system for steel erection work
KR101116254B1 (ko) 슬래브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는 테이블폼을 이용한 고층 건축물 축조 공법
CN108660928B (zh) 桥梁高墩翻爬模提升装置
RU2793508C2 (ru) Подъем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рельсовой подъемной системы
WO1993011315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torey buildings
KR101314170B1 (ko) 탑사일로시공방법
JP6391135B2 (ja) 仮設柱の設置方法
JP2003097092A (ja) 塔状構造物の建設装置及び方法
WO2009127007A1 (en) Climbing mast assembly
KR101345542B1 (ko)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15084A (ja) 作業用足場の吊り上げ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築造方法
RU2780416C2 (ru)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подъемной системы
EP3615468B1 (en) Crane, method for assembling a crane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 crane
CN219298724U (zh) 一种新型云端建造工厂支撑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