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406A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0406A KR20120010406A KR1020100071920A KR20100071920A KR20120010406A KR 20120010406 A KR20120010406 A KR 20120010406A KR 1020100071920 A KR1020100071920 A KR 1020100071920A KR 20100071920 A KR20100071920 A KR 20100071920A KR 20120010406 A KR20120010406 A KR 201200104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gangform
- bracket
- build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gang form)의 수직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에 미리 설치된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guide show); 상기 가이드 슈에 마련된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하 수직 이동하는 레일;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을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격부를 통해 갱폼된 레일의 전/후면이 가이드 슈와 브래킷 사이에서 지지되어, 갱폼의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함으로, 산업재해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일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갱폼의 인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갱폼을 인양 시, 레일이 수직방향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갱폼의 추락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일장치에 갱폼의 인양을 위한 실린더가 더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한 능동적 인양이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격부를 통해 갱폼된 레일의 전/후면이 가이드 슈와 브래킷 사이에서 지지되어, 갱폼의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함으로, 산업재해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일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갱폼의 인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갱폼을 인양 시, 레일이 수직방향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갱폼의 추락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레일장치에 갱폼의 인양을 위한 실린더가 더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한 능동적 인양이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층건물의 외벽 시공을 위한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격부를 통해 갱폼이 설치된 레일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가이드 슈와,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갱폼을 인양 시, 레일의 전/후면이 각 가이드 슈와 브래킷에 각각 지지되어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하고, 또한, 레일의 추락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방지수단이 더 마련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상복합 등과 같은 고층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할 경우, 작업자의 안정성 및 공사기간 단축 및 건축물의 품질 향상을 위해 갱폼(gang form)을 사용하게 된다.
갱폼은 대형화된 금속의 거푸집을 갱폼이라 하며, 하층의 외벽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를 통해 그 상층으로 갱폼을 이동설치한 후, 상층의 외벽을 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갱폼은 대형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를 통해 하층에서 상층으로 인양되는데, 바람에 의한 영향을 심하게 받게 되어 갱폼을 인양하는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까다롭고, 작업대가 흔들려 작업자에게 공포심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심하게 흔들릴 경우에는 갱폼이 외벽과의 마찰로 인한 갱폼의 추락 및 붕괴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건축물의 외벽에 대한 훼손은 물론, 더한 경우, 인사사고까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갱폼을 인양할 때는 갱폼의 안정적 인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바람 등에도 갱폼이 요동치거나, 그 요동에 의한 추락 및 붕괴사고에 대한 방지가 요구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안정성을 확보하여 산업재해를 방지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격부를 통해 갱폼된 레일의 전/후면이 가이드 슈와 브래킷 사이에서 지지되어, 갱폼의 인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일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갱폼의 인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폼을 인양 시, 레일이 수직방향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갱폼의 추락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일장치에 갱폼의 인양을 위한 실린더가 더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한 능동적 인양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gang form)의 수직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에 미리 설치된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guide show); 상기 가이드 슈에 마련된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하 수직 이동하는 레일;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을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개시한다.
상기 가이드 슈는,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슈 몸체; 및 상기 슈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슈 몸체를 천공하는 핀홀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결합핀에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체결고리가 마련된 브래킷 몸체; 상기 몸체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이 수직방향에서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쇠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일면을 지지하여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은, 한 쌍의 형강이 걸림핀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갱폼이 수직방향에서 하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쇠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강은, 일면이 개방된 "ㄷ" 형태로서, 폐쇄된 타면이 상기 걸림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는, 일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상기 레일과 직교하게 결합되는 이격부 몸체; 및 일단이 상기 갱폼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격부 몸체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격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 몸체는, 길이방향의 외측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타면을 관통한 상기 회전 스크루의 단부에 설치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이격부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 스크루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 스크루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갱폼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너트와 결합되는 이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는,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 너트 사이에 이동 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장치는, 일단이 상기 브래킷의 어느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핀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을 수직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핀을 지지하는 실린더 브래킷;이 더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 시, 자중에 의해 위치에 복원되도록 상기 힌지의 타단에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격부를 통해 갱폼된 레일의 전/후면이 가이드 슈와 브래킷 사이에서 지지되어, 갱폼의 안정적인 인양이 가능함으로, 산업재해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일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갱폼의 인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갱폼을 인양 시, 레일이 수직방향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되어 갱폼의 추락 및 붕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레일장치에 갱폼의 인양을 위한 실린더가 더 장착되어 실린더를 통한 능동적 인양이 가능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걸림쇠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 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걸림쇠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갱폼(gang form)의 인양을 가이드 하는 레일장치(110)는,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120)(guide shoe)와, 가이드 슈(120)와 결합되는 브래킷(140)(bracket) 및 이격부(170)를 통해 갱폼(100)이 설치되는 레일(160)로 크게 구성된다.
가이드 슈(120)는 외벽에 설치된 앵커(201)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레일(16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며, 건축물의 각 층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140)은 각 가이드 슈(120)와 후크(hook)형태로 결합되고, 레일(160)의 안정적인 수직 이동을 지지하고, 또한 레일(160)의 추락 및 붕괴를 방지하는 방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레일(160)은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160)의 전/후면이 각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격부(170)는 레일(160)의 일면과 직교하게 설치되고, 이격부(170)에 설치된 갱폼(10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레일장치(100)의 결합상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상태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각 가이드 슈(120) 및 브래킷(140)의 개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이는 각 건축물 내지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슈(120)는 각 층에 해당하는 일 영역에 각각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층에 해당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슈(120)는 레일(16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 가이드(123)가 도시된 바와 같이 슈 몸체(121) 일면에 마련되어, 레일(160)의 안정적인 수직 이동은 물론, 레일(160)의 일면을 지지하여 레일(160)이 적어도 일 측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래킷(140)은 레일(160)을 사이에 두고, 각 가이드 슈(120)와 후크 형태로 결합하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소정의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브래킷(140)은 제1브래킷(140-1), 제2브래킷(140-2) 및 제3브래킷(140-3)으로 구분된다.
먼저 제2브래킷(140-2)과, 제3브래킷(140-3)은 레일(160)의 타면을 지지하는 롤러(149)가 더 구비되어, 롤러(149)가 레일(160)의 후면을 지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수직이동과, 레일(160)이 타 측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제1브래킷(140-1)은 일 측이 가이드 슈(120)와 결합되고, 타 측은 레일(160)의 상단부 일면에 고정 설치되어, 레일(160)의 수직 이동 시, 레일(160)과 함께 인양 되도록 구성된다.
레일(160)은 지시선을 따라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 사이에서 전/후면이 각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에 지지되어 안정적인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격부(170)는 레일(160)의 일면과 직교하게 설치되는 이격부 몸체(171)와, 도 1의 갱폼(100)이 설이되고, 이격부 몸체(171)와 수직하게 결합되는 이동 바(179)로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갱폼(100)을 외벽(200)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레일(160)이 추락하거나, 또는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 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슈(120)는 슈 몸체(121), 레일 가이드(123) 및 도 1의 앵커(201)를 통해 가이드 슈(120)를 외벽으로 설치하기 위한 체결볼트(129)가 채워지는 설치공(131)이 마련된다.
또한, 브래킷(140)이 결합되는 결합핀(125)이 슈 몸체에 마련된 핀홀(127)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160)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레일(160)의 수직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레일 가이드(123)와 함께 레일(160)이 일 측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레일 지지핀(133)이 더 마련되며, 레일 지지핀(133)은 슈 몸체(121)에 마련된 지지홀(135)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슈(120)와 결합하는 브래킷(140)은, 브래킷 몸체(141)와, 브래킷 몸체(141)의 일단에 마련되어 결합핀(125)에 후크(hook) 형태로 결합되는 체결고리(143), 및 수직이동하는 레일(160)의 타면을 지지하는 롤러(149)를 구비하며, 또한, 도 1의 갱폼(100)을 인양하기 위한 레일(160)을 수직 이동 시, 레일(160)을 지지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145)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쇠(1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몸체(141)와 걸림쇠 힌지(147)를 통해 결합하되, 걸림쇠 힌지(147)를 축으로 회전할 경우, 그 회전각도는 롤러(149)와의 마찰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160)은 한 쌍의 "ㄷ" 형강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일면이 서로 마주하게 결합하되, 소정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그 이격된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설치된 걸림핀(161)과, 레일(160)의 상단부에서 전면으로 소정 돌출된 걸림부재(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레일(160)의 형상을 "ㄷ" 형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레일(160)의 일례로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며, 또 다른 일례로는 "H" 형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브래킷(140)은 도 3을 통해 설명한 브래킷(140)은 도 2의 제2브래킷(140-2) 및 제3브래킷(140-3)을 토대로 설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 3을 통해 설명한 레일(160)과, 레일(160)의 전후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슈(120) 및 브래킷(140)의 작동상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걸림쇠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갱폼(100)이 크레인 등에 의해 인양될 경우, 각 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는 레일장치(110)가 외벽(200)에 설치된 최초의 상태를 타나낸 것으로, 가이드 슈(120)가 외벽에 고정 설치되고, 브래킷(140)은 결합핀(125)을 통해 후크 형태로 가이드 슈(120)와 결합되며, 그 사이로 레일(160)이 설치된다. 이때, 레일(160)의 전/후면은 각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에 지지되고, 레일(160)은 걸림핀(161)을 지지하는 걸림쇠(145)를 통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레일(160)이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걸림핀(161)과 걸림쇠(145)는 레일(16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으로써,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레일(160)의 상단부와 마주하는 가이드 슈(120)에 설치된 레일 지지핀(133)은 걸림부재(163)의 밑면을 지지하여 레일(160)의 추락이 방지되는 것을 한층 더 보강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일 지지핀(133)은 가이드 슈(120)의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소정 차이가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60)의 중단부 이하의 레일 지지핀(133)은 레일(160)의 일면을 지지하여 일 방향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4b는 레일(160)이 수직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레일(160)의 상승에 다른 걸림쇠(145)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60)이 상승할 경우, 제1브래킷(140-1)과 함께 상승하고, 그에 따라 걸림핀(161) 역시 그 위치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걸림쇠(145)의 하부에 위치하던 걸림핀(161)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걸림쇠(145)의 밑면을 밀어 걸림쇠(145)를 시계방향으로 소정 회전시키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 상승이동이 완료된 레일(160)은 다시, 도 4c와 같이 걸림쇠(145)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레일(160)이 하부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갱폼(미도시)의 인양은 갱폼(100)을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인양을 하게 되는 데, 갱폼(100)의 이격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미도시)의 이격은 이격부(17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이격부(170)는 레일(160)과 직교하게 설치된 이격부 몸체(171)와, 갱폼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바(179)로 구성된다.
이격부 몸체(171)는 일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이격부 몸체(17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회전부재(173)와, 관통된 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175)으로 구성된다.
이동 바(179)는 이격부 몸체(171)의 개방된 일면과 수직하게 결합하되, 이격부 몸체(1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 바(179)는 회전부재(173)와 체결되어 회전부재(173)를 회전 시, 회전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183)와, 이동 바(179)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18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73)를 회전 시, 이동부재(183)의 이동으로 이동 바(179)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갱폼(100)을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레일(160)에 설치된 이격부(170)를 지지하는 보강부재(177)가 더 설치되는데, 보강부재(17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부(170)의 밑면을 지지함으로써, 이격부(170)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부재(173)와 이동부재(183)는 도시된 볼트 및 너트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기어 구동에 의한 수동 혹은 전동으로도 변경실시가 가능하며, 일례로 전동 혹은 수동의 랙(rack)과 피니언(pinion)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장치(110)가 적용된 갱폼(100)의 인양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이다.
도 6a는 레일장치(110)에 의해 고정 설치된 갱폼(100)의 상태로서, 타설된 콘크리트 외벽을 양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을 마친 후, 갱폼(100)을 상위층으로 이동설치를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먼저 크레인을 통해 갱폼(100)을 지지하고, 레일(160)의 최하단에 설치된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을 해체한 후, 이격부(170)를 통해 갱폼(100)을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리고, 도 6c와 같이 최하단으로부터 분리된 가이드 슈(120)를 상위층에 설치하여, 갱폼(100)을 도 6d와 같이 인양하면, 도 6e와 같이 상위층에 설치된 가이드 슈(120)가 인양된 레일(160)의 단부를 지지하고, 해체된 브래킷(140) 다시 설치하여 레일(160)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레일(160)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브래킷(140)의 걸림쇠(145)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레일(160)이 추락하거나, 또는 붕괴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갱폼(100)의 인양은 크레인 등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동적 인양이 아닌 능동적 이양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7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나, 브래킷(140)의 어느 일면을 통해 설치되어 레일(160)의 능동적 인양이 가능한 실린더(19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19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실린더(190)는 실린더 체결부재(151)를 통해 브래킷(140)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타단에는 실린더 브래킷(140)이 설치되며, 이때, 실린더 브래킷(140)은 실린더 힌지(193)를 통해 설치된다.
실린더 브래킷(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161)을 지지하는 단부의 형태가 골이 형성된 "Y" 형태로서, 실린더(190)가 신장될 경우, 그 골 사이에 걸림핀(161)이 지지되어 레일(160)을 상부로 수직 이동시 골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실린더(190)의 신장에 따른 레일(160)의 수직 이동은 도 8a 내지 도 c와 수직 상승하는 것이며, 이하 타 부재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실린더(190)를 통한 갱폼(미도시)의 인양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인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인양상태도이다.
먼저 갱폼(100)의 인양에 있어, 도 6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동되나, 도 9는 실린더(190)를 이용한 인양으로서, 실린더(190)의 작동을 제외한 타 부재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실린더(19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실린더(190)의 압력이 해체된 상태로 인양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후, 도 9b는 양생과정을 거처 인양을 준비하는 상태로, 이때, 최하위에 설치된 가이드 슈(120)와 브래킷(140)을 해체한다.
그리고, 도 9c는 실린더(190)에 압력을 발생시켜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즉, 실린더(190)를 통한 갱폼(100)의 인양을 시작하는 상태이다. 이때, 실린더(190)는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여 하층에서 상층으로의 갱폼(100)의 인양을 진행한다. 이후, 갱폼(100)의 인양을 마친 후, 도 9d와 같이 실린더(190)의 압력을 다시 해제하여 상층의 콘크리트 타설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190)를 통한 갱폼(100)의 인양은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혹은 크레인의 작업이 원활치 못할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갱폼(100)을 인양함에 있어, 실린더(190)가 설치했다 하여도 크레인을 통한 인양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90)가 설치된 상태로 인양이 이루어질 경우, 실린더(190)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인양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이며, 이후, 도 10b와 같이 인양이 시작될 경우, 실린더 브래킷(140)이 레일(160)의 걸림핀(161)과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실린더 힌지(193)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실린더 브래킷(140)의 회전에 제한하는 걸림턱(195)이 더 마련되어, 실린더 브래킷(140)이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걸림핀(16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90)를 통한 인양이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실린더 브래킷(140)이 걸림핀(161)의 지지하는 범위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된 실린더 브래킷(140)이 자중에 의해 그 위치가 복원될 수 있도록 일면에 중량부(197)를 더 형성하여 자중에 의해 복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가 복원되도록 하여 추후 작업환경에 따른 실린더(190)에 의한 인양이 적용가능 하도록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갱폼(gang form) 101 : 거푸집
103 : 케이지 105 : 발판
110 : 레일장치
120 : 가이드 슈(guide shoe) 121 : 슈 몸체
123 : 레일 가이드 125 : 결합핀
127 : 핀홀 129 : 체결볼트
131 : 설치공 133 : 레일 지지핀
135 : 지지홀 140 : 브래킷
141 : 브레킷 몸체 143 : 체결고리
145 : 걸림쇠 147 : 걸림쇠 힌지
149 : 롤러 151 : 실린더 체결부재
160 : 레일 161 : 걸림핀
163 : 걸림부재 170 : 이격부
171 : 이격부 몸체 173 : 회전부재
175 : 클립 177 : 보강부재
179 : 이동 바 181 : 이동 가이드
183 : 이동부재 190 : 실린더
191 : 실린더 브래킷 193 : 실린더 힌지
195 : 걸림턱 197 : 중량부
200 : 외벽 201 : 앵커(anchor)
103 : 케이지 105 : 발판
110 : 레일장치
120 : 가이드 슈(guide shoe) 121 : 슈 몸체
123 : 레일 가이드 125 : 결합핀
127 : 핀홀 129 : 체결볼트
131 : 설치공 133 : 레일 지지핀
135 : 지지홀 140 : 브래킷
141 : 브레킷 몸체 143 : 체결고리
145 : 걸림쇠 147 : 걸림쇠 힌지
149 : 롤러 151 : 실린더 체결부재
160 : 레일 161 : 걸림핀
163 : 걸림부재 170 : 이격부
171 : 이격부 몸체 173 : 회전부재
175 : 클립 177 : 보강부재
179 : 이동 바 181 : 이동 가이드
183 : 이동부재 190 : 실린더
191 : 실린더 브래킷 193 : 실린더 힌지
195 : 걸림턱 197 : 중량부
200 : 외벽 201 : 앵커(anchor)
Claims (12)
- 건축용 갱폼(gang form)의 수직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에 미리 설치된 앵커(anchor)를 통해 상기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 슈(guide show);
상기 가이드 슈에 마련된 가이드에 안내되어 상/하 수직 이동하는 레일;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이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브래킷; 및
상기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갱폼을 상기 외벽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는,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슈 몸체; 및
상기 슈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이 결합되는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슈 몸체를 천공하는 핀홀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결합핀에 후크 형태로 결합되는 체결고리가 마련된 브래킷 몸체;
상기 몸체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레일의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이 수직방향에서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쇠; 및
상기 걸림쇠를 지지하여 상기 걸림쇠의 회동을 제한하고,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의 일면을 지지하여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한 쌍의 형강이 걸림핀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갱폼이 수직방향에서 하부로 이동될 경우, 상기 걸림쇠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은,
일면이 개방된 "ㄷ" 형태로서, 폐쇄된 타면이 상기 걸림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결합되며,
상기 걸림핀은,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일면이 개방된 함체형상으로 상기 레일과 직교하게 결합되는 이격부 몸체; 및
일단이 상기 갱폼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이격부 몸체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격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 몸체는,
길이방향의 외측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 설치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타면을 관통한 상기 회전 스크루의 단부에 설치되는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이격부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 스크루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회전 스크루와 체결되어 상기 회전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일단이 상기 갱폼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 너트와 결합되는 이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는,
상기 타단과 상기 이동 너트 사이에 이동 가이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는,
일단이 상기 브래킷의 어느 일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핀을 지지하여 상기 레일을 수직 상승시키기 위한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타단과 힌지 결합되어 상기 걸림핀을 지지하는 실린더 브래킷;이 더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브래킷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 시, 자중에 의해 위치에 복원되도록 상기 힌지의 타단에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1920A KR101223614B1 (ko) | 2010-07-26 | 2010-07-26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1920A KR101223614B1 (ko) | 2010-07-26 | 2010-07-26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0406A true KR20120010406A (ko) | 2012-02-03 |
KR101223614B1 KR101223614B1 (ko) | 2013-01-17 |
Family
ID=4583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1920A KR101223614B1 (ko) | 2010-07-26 | 2010-07-26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361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17331A1 (en) * | 2012-11-01 | 2014-05-01 | Samsung Display Co., Ltd. |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50016174A (ko) * | 2013-08-01 | 2015-02-11 | 서갑수 | 건축용 갱폼 견인장치 |
KR20180076608A (ko) * | 2016-12-28 | 2018-07-06 | 이경화 |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
CN110219452A (zh) * | 2019-05-31 | 2019-09-10 | 武汉天蝎建筑装备有限公司 | 防护架及其提升结构 |
KR200490875Y1 (ko) * | 2018-11-16 | 2020-01-15 | (주)해일 | 갱폼의 슈 어셈블리 |
KR20200088007A (ko) * | 2019-01-14 | 2020-07-22 | (주)대우건설 |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
KR20210030372A (ko) * | 2018-07-23 | 2021-03-17 | 페리 게엠베하 |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
KR102645175B1 (ko) * | 2023-07-07 | 2024-03-08 |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 갱폼 인양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9035B1 (ko) * | 2014-08-28 | 2015-07-23 | 손영진 | 콘크리트 1단 타설높이가 증가된 클라이밍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물 시공방법 |
KR102198891B1 (ko) * | 2018-12-31 | 2021-01-05 | 서보산업 주식회사 | 케이지 승강장치 |
KR102387167B1 (ko) * | 2019-11-11 | 2022-04-18 | 이병영 | 갱폼 클라이밍 시스템 |
KR102534964B1 (ko) | 2022-07-15 | 2023-05-26 | 이승준 | 갱폼 인양용 가이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0363B1 (ko) * | 2007-01-29 | 2008-04-07 | 주식회사 미래에스에프이 | 갱폼용 고정장치 |
KR200445741Y1 (ko) * | 2007-09-06 | 2009-08-28 | 삼목정공주식회사 | 상승시스템 |
-
2010
- 2010-07-26 KR KR1020100071920A patent/KR10122361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17331A1 (en) * | 2012-11-01 | 2014-05-01 | Samsung Display Co., Ltd. |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150016174A (ko) * | 2013-08-01 | 2015-02-11 | 서갑수 | 건축용 갱폼 견인장치 |
KR20180076608A (ko) * | 2016-12-28 | 2018-07-06 | 이경화 |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
KR20210030372A (ko) * | 2018-07-23 | 2021-03-17 | 페리 게엠베하 | 레일 가이드식 크라이밍 시스템을 위한 리프트 드라이브 |
KR200490875Y1 (ko) * | 2018-11-16 | 2020-01-15 | (주)해일 | 갱폼의 슈 어셈블리 |
KR20200088007A (ko) * | 2019-01-14 | 2020-07-22 | (주)대우건설 |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
CN110219452A (zh) * | 2019-05-31 | 2019-09-10 | 武汉天蝎建筑装备有限公司 | 防护架及其提升结构 |
KR102645175B1 (ko) * | 2023-07-07 | 2024-03-08 | 주식회사 선진알씨에스 | 갱폼 인양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3614B1 (ko) | 2013-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3614B1 (ko)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
RU2427691C2 (ru) | Направляющий башмак и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троительной отрасли | |
KR100918970B1 (ko) | 앙카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추락방지용 갱폼 | |
CA2733317C (en) |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in buildings | |
KR101553966B1 (ko)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
KR20180130537A (ko) | 자체-인양 시스템, 자체-인양 유닛 및 이러한 자체-인양 유닛을 콘크리트 빌딩 구조물 상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 |
KR20110083186A (ko) |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
JP6503716B2 (ja) |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 |
KR101142875B1 (ko) | 서포터의 드럽장치 | |
KR20130043765A (ko) | 갱폼 인양 안전장치 | |
JP6009332B2 (ja) | 自昇降式外部養生装置用の固定装置とその設置方法 | |
JP5825864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構造、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 |
KR20190008918A (ko) | 주위 안전 스크린 어셈블리 | |
KR200413527Y1 (ko) | 갱폼 추락방지구 | |
AU2016208273A1 (en) |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 |
KR101213276B1 (ko) |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 |
KR200415037Y1 (ko) |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 | |
KR100660426B1 (ko) | 갱폼 추락방지구 | |
KR100866412B1 (ko) | 갱폼 추락 방지 장치 | |
KR100835613B1 (ko) |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 |
KR200480362Y1 (ko) | 갱 폼의 낙하방지망 | |
KR100982277B1 (ko) | 갱폼 추락 방지장치 | |
JP6173771B2 (ja) | 建築物の解体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建築物解体用支持装置 | |
JP7253909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フロアクライミング工法 | |
KR200435107Y1 (ko) |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