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608A -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 Google Patents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608A
KR20180076608A KR1020160180952A KR20160180952A KR20180076608A KR 20180076608 A KR20180076608 A KR 20180076608A KR 1020160180952 A KR1020160180952 A KR 1020160180952A KR 20160180952 A KR20160180952 A KR 20160180952A KR 20180076608 A KR20180076608 A KR 20180076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uilding
shoe
main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321B1 (ko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16018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3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는,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레일을 지지하는 건축용 고정슈에 있어서, 건물외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받침판이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외측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 VARIALBE LENGTH TYPE SUSPENSION SHOE FOR CONSTRUCTION }
본 발명은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레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승강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에 관한 것이다.
고층빌딩 건축공사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외벽 거푸집으로 반복사용 할 수 있는 전용성 그리고, 인력이 아닌 장비(크레인)로 작업, 자재비 인건비 절감방법으로 대형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철재 대형거푸집에 작업대를 설치한 것을 갱폼이라 하며, 이 갱폼을 설치 해체시, 크레인 연결전에 모든 볼트를 해체하여 발생하는 갱폼 낙하사고, 갱폼 인양중 바람 또는 기타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접한 갱폼과 충돌하는 2차사고, 콘크리트 미양생으로 콘크리트파단 볼트파손 등으로 인한 갱폼추락 사고란 안전사고가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개특허 제10-2010-0120031호, 공개특허 제10-2011-0119252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갱폼상승유도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갱폼상승유도기는 레일 등으로 이루어지고 거푸집이 장착되어 있으며, 건물외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슈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위와 같은 갱폼상승유도기는 건물외벽에 고정 설치된 고정슈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된 경우에, 레일이 고정슈에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외형을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시공하게 되는데, 건물외벽의 일부가 일정한 높이에서만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된 구조도 있다.
위와 같이 건물외벽 중 특정높이에서 외부로 돌출된 구조에서는, 돌출된 부위에 설치된 고정슈와, 돌출되지 않은 부위에 설치된 고정슈의 돌출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고정슈에 지지되면서 상승하는 레일을 돌출 길이가 서로 다른 고정슈에 설치하기가 곤란하다.
즉, 건물외벽의 돌출부가 형성된 경우 건물외벽 및 돌출부에 설치된 고정슈의 돌출길이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다수개의 고정슈가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게 되는바, 직선형상의 레일이 다수개의 고정슈에 지지되면서 상승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0-0120031호 공개특허 제10-2011-01192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건물외벽의 일부가 일정한 높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도, 고정슈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레일이 용이하게 지지되면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는,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레일을 지지하는 건축용 고정슈에 있어서, 건물외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받침판이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판 및 지지대로 이루어진 메인슈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외측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건물외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 및 지지대로 이루어진 메인슈는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건물외벽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이동되되,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제2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공 및 제2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시킨다.
상기 삽입공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폐쇄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되, 상기 고정부재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공 및 제2조절공에 삽입된다.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에는 걸림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에는 걸림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 및 지지대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슈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건물외벽에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정슈를 건물외벽의 돌출부위와 돌출되지 않은 부위에 설치한 후 고정슈를 돌출길이를 가변시킴으로서, 레일이 상기 고정슈에 의해 지지되면서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비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를 돌출형 건물외벽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평면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100)는 건물외벽(300)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레일(200)을 지지하는 것으로써, 본체(110)와 받침판(120)과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건물외벽(300)에 접하고, 고정볼트 등에 의해 건물외벽(300)에 고정된다.
상기 받침판(120)은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본체(11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12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받침판(120)이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120) 및 지지대(130)에 의해 상기 레일(200)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에 걸려 임의로 하방향으로 하강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받침판(120)과 지지대(130)의 구성은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110)는 건물외벽(300)으로부터 외측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가변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10)는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과 고정부재(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1)의 일단은 건물외벽(300)에 접하여 상기 고정볼트 등에 의해 상기 건물외벽(300)에 고정된다.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일단은 상기 제1하우징(111)의 타단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20) 및 지지대(130)로 구성된 메인슈(140)는 상기 제2하우징(112)의 타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슈(140)는 상기 제2하우징(112)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메인슈(140)에는 H형상의 레일(200)을 감싸는 날개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는 상기 건물외벽(300)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하우징(112)은 상기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으로 구성된 상기 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되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111)에는 제1조절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112)에는 제2조절공(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조절공(114)은 상기 제1하우징(111)의 측벽에 총 2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조절공(115)은 상기 제2하우징(112)의 측벽에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6)는 핀과 같은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공(114) 및 제2조절공(115)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13)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쪽 이상이 폐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113)은 상부 및 하부 모두가 폐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11)의 삽입공(113)에 삽입된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일단은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지지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공(113)의 상부 및 하부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116)를 1개만 설치하여도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112)이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제2하우징(112)에 형성된 제2조절공(115) 중에서 건물외벽(300)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것을 제2전방조절공(115a)이라 하고, 건물외벽(300)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제2후방조절공(115b)이라고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100)를 돌출형 건물외벽(300)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고정슈(100)는 건물외벽(300) 중 돌출되어 있는 곳과 돌출되어 있지 않은 곳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판(120) 및 지지대(130)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레일(200)이 상기 고정슈(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건물외벽(300)이 돌출된 곳에서는 상기 고정슈(100)의 본체(110)의 길이를 짧게 하여야 하고, 건물외벽(300)에 돌출되지 않은 곳에서는 상기 고정슈(100)의 본체(110)의 길이를 길게 하여야 한다.
상기 본체(110)의 길이를 짧게 할 경우에는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의 삽입공(113)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1조절공(114) 및 제2전방조절공(115a)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전방조절공(115a)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112)은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이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절공(114) 및 제2전방조절공(115a)은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16)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112)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재(116)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공(113)은 상부 및 하부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에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의 삽입공(113)에 인출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1조절공(114) 및 제2후방조절공(115b)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16)가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후방조절공(115b)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112)은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이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외벽(300)에 돌출부가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정슈(100)를 건물외벽(300)의 돌출부위와 돌출되지 않은 부위에 설치하여,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레일(200)이 상기 고정슈(100)에 의해 지지되면서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는, 갱폼 뿐만 아니라 마감용 케이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1하우징(111)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3)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재(116)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11)에 결합된 상기 제2하우징(112)이 상기 고정부재(116)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116)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1하우징(111)의 하부에 걸림핀(117)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하우징(112)의 하부에는 걸림홈(118)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걸림핀(117)은 상기 고정부재(116)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116)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1하우징(111)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걸림핀(11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118)은 상기 제2하우징(112)의 하부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117)이 상기 걸림홈(118)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도 8에서는 상기 걸림홈(118)을 건물외벽(3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방걸림홈(118a)과, 건물외벽(300)으로부터 인접한 후방걸림홈(118b)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제2하우징(112)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117)이 전방걸림홈(118a)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2하우징(112)을 약간 들어 상기 전방걸림홈(118a)이 걸림핀(117)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제2하우징(112)을 인출시키고 하강시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117)에 상기 후방걸림홈(118b)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112)이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비교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2하우징(112)의 상부에 걸림핀(117)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부에는 걸림홈(118)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걸림핀(117)은 상기 고정부재(116)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116)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112)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2하우징(112)이 상기 제1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핀(117)은 상기 제2하우징(112)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18)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걸림핀(11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118)은 상기 제1하우징(111)의 상부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한 상기 제2하우징(112)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117)이 상기 걸림홈(118)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도 10에서는 상기 걸림홈(118)을 건물외벽(3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전방걸림홈(118a)과, 건물외벽(300)으로부터 인접한 후방걸림홈(118b)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제2하우징(112)이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117)이 후방걸림홈(118b)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12)을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117)이 장착된 상기 제2하우징(112)을 약간 들어 상기 걸림핀(117)이 상기 후방걸림홈(118b)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제2하우징(112)을 인출시키고 하강시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핀(117)이 상기 전방걸림홈(118a)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제1조절공(114)과 제2조절공(115)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서 상기 제1하우징(111)에 대하여 상기 제2하우징(112)이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의 분해사시도이다.
제5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받침판(120) 및 지지대(130)로 구성된 메인슈(140)가 상기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슈(140)는 상기 제2하우징(112)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120) 및 지지대(130)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슈(140)는 종래의 공지된 고정슈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112)에 볼트 등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동일 유사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고정슈,
110 : 본체, 111 : 제1하우징, 112 : 제2하우징, 113 : 삽입공,
114 : 제1조절공, 115 : 제2조절공, 115a : 제2전방조절공, 115b : 제2후방조절공, 116 : 고정부재, 117 : 걸림핀, 118 : 걸림홈, 118a : 전방걸림홈, 118b : 후방걸림홈,
120 : 받침판, 130 지지대, 140 : 메인슈,
200 : 레일,
300 : 건물외벽.

Claims (9)

  1.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레일을 지지하는 건축용 고정슈에 있어서,
    건물외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받침판이 하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판 및 지지대로 이루어진 메인슈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외측방향인 전후방향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건물외벽에 접하여 고정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슈는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건물외벽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이동되되,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제2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공 및 제2조절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되,
    상기 고정부재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조절공 및 제2조절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7.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에는 걸림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2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8.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에는 걸림핀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 및 지지대로 이루어진 상기 메인슈는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20160180952A 2016-12-28 2016-12-28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196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52A KR101962321B1 (ko) 2016-12-28 2016-12-28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52A KR101962321B1 (ko) 2016-12-28 2016-12-28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08A true KR20180076608A (ko) 2018-07-06
KR101962321B1 KR101962321B1 (ko) 2019-03-26

Family

ID=6292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52A KR101962321B1 (ko) 2016-12-28 2016-12-28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75Y1 (ko) * 2018-11-16 2020-01-15 (주)해일 갱폼의 슈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3B1 (ko) * 2020-11-30 2023-01-11 다성알앤이 주식회사 건축용 슬라이딩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782A (ko) * 2007-09-07 2009-03-11 주식회사 덕성정공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00120031A (ko) 2009-05-04 2010-11-12 이병영 갱폼 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1004273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20110119252A (ko) 2010-04-27 2011-11-02 이병영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5782A (ko) * 2007-09-07 2009-03-11 주식회사 덕성정공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KR20100120031A (ko) 2009-05-04 2010-11-12 이병영 갱폼 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10042739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콘솔에스더블유씨 벽부착용 브라켓 확장장치
KR20110119252A (ko) 2010-04-27 2011-11-02 이병영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KR20120010406A (ko) * 2010-07-26 2012-02-03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75Y1 (ko) * 2018-11-16 2020-01-15 (주)해일 갱폼의 슈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321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321B1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110002524A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213276B1 (ko) 외단열 시공 겸용 시스템 거푸집, 외벽 및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666212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20090047103A (ko) 가설대 승강장치
JP6740117B2 (ja) エレベーター
KR200393396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의 안내 걸림 슈
KR102309285B1 (ko) 슬라이드 방식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063968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427020B1 (ko) 갱폼 안전인양 장치
KR102486863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102086828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20090112820A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KR101379897B1 (ko)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101062157B1 (ko) 서포트 장치
KR20180101486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74466B1 (ko)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CN206395632U (zh) 无机房电梯
JP2008120580A (ja) ドラム架台
KR101301633B1 (ko) 익스텐션유닛이 구비된 장폭 트레일러
CN212029111U (zh) 一种控制柜固定工装
JP4293855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