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524A -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524A
KR20110002524A KR1020090060019A KR20090060019A KR20110002524A KR 20110002524 A KR20110002524 A KR 20110002524A KR 1020090060019 A KR1020090060019 A KR 1020090060019A KR 20090060019 A KR20090060019 A KR 20090060019A KR 20110002524 A KR20110002524 A KR 2011000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rail
main rail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839B1 (ko
Inventor
이병영
Original Assignee
이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영 filed Critical 이병영
Priority to KR102009006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8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외벽에 장착되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부공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자재를 건물의 시공부위로 용이하게 유입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는,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연결판재와;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핀과; 상기 슬라이드핀을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공원통 형상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공은 상기 연결판재의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슬라이드공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핀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핀의 둘레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벽마감공사, 작업대, 스토퍼

Description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 WORKING CAGE APPARATUS FOR CONSTRUC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외벽에 장착되는 작업대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부공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자재를 건물의 작업할 위치로 용이하게 유입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서 외벽마감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외벽에 별도의 작업대를 장착하여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작업대는 건물 외벽에 단순하게 배치되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거나, 건물 외벽에 장착되어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식 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물 외벽에 작업대가 장착되어 외벽마감공사를 수행하는 작업과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외벽마감공사를 하기 위해서 자재를 건물 외벽과 작업대 사이 공간을 통해 아래로 내려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시켰다.
그러나, 건물 외벽과 작업대 사이의 공간은 좁기 때문에, 크기가 큰 자재의 경우 건물 외벽과 작업대 사이의 공간이 좁아 이 사이 공간을 통해 자재를 이송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축공사의 외벽마감공사를 함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큰 자재도 건물 외부를 통해 작업할 위치로 용이하게 유입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는,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연결판재와;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핀과; 상기 슬라이드핀을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공원통 형상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공은 상기 연결판재의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슬라이드공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핀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핀의 둘레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메인레일에 상기 슬라이드핀의 상방향에서 상기 연결판재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핀은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진 경우 상기 메인레일에 상기 연결판재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면이 상기 연결판재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메인레일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메인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한 제1보조레일과; 상기 제1보조레일과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보조레일로 이루어지되,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 사이에는 상기 연결판재의 타단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핀은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을 결합한다.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인접한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핀과; 일단이 상기 돌출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메인레일과 접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킬 때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핀에 삽입 장착되는 고리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의 사용방법은,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된 작업대와;상기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린 후 건물외벽과 작업대 사이공간으로 자재를 유입하여 작업할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연결부를 따라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연결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전체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연결부를 따라 독립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연결부에 고정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에 따르면, 건축공사의 외벽마감공사를 함에 있어서, 작업대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면서 큰 자재도 건물외벽과 작업대장치 사이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작업할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부 및 제2스토퍼부에 의해 작업대장치가 임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메인레일과 가이드레일이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메인레일과 가이드레일이 인접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가 건물 외벽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작업대장치를 벌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벽(110)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200)는, 건물의 외부에서 건물 외벽(110)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가이드레일(210)과, 메인레일(220)과, 작업대(230)와, 연결부(240), 제1스토퍼부(250), 제2스토퍼부(260)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작업대(230)를 도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상기 건물 외벽(11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승강시키기 위한 고정슈(1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슈(115)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사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긴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물 외벽(110)에 부착된 고정슈(115)에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써, 단면이 'H','I','C'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메인레일(220)은 긴 레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H','I','C' 형상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레일(220)을,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평행한 제1보조레일(221)과,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보조레일(222)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은 각각 단면이 'ㄷ' 형상을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은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메인레일(220)은 건물 외벽(110)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210)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상기 작업대(230)는 상기 메인레일(220)에 건물 외벽(1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레일(220)과 가이드레일(210)은 각각 상기 작업대(2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230)에는 작업발판(231) 등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작업대(230)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메인레일(220)을 연결하는 것으로써,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220)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상기 메인레일(220)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240)는, 연결판재(241)와, 슬라이드핀(243)과, 회전부재(2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재(241)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레일(2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연결판재(241)의 타단은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판재(241)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양측 관통하는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공(24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판재(241)는 상하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는 얇게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공(242)은 상기 연결판재(241)의 좌우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공(242)은 상기 연결판재(241)의 타단방향 즉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핀(243)은 상기 메인레일(220)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관통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핀(243)은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을 결합한다.
상기 회전부재(244)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핀(243)을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부재(244)는 상기 슬라이드공(242)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핀(243)이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핀(243)의 둘레를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핀(243)이 보다 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스토퍼부(250)는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스토퍼부(250)를 상기 제1보조레일(221) 및 제2보조레일(222)을 관통하는 고정핀(25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 제1스토퍼부(250)는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종래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핀(250)은 상기 슬라이드핀(243)이 장착되는 부위의 상방향에서 상기 메인레일(2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에는 상기 고정핀(250)이 장착되기 위한 관통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진 경우,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에 형성된 관통공(223)이 상호 연통되었을 때 상기 연결판재(241) 방향으로 상기 관통공(223)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50)을 장착할 경우, 상기 고정핀(250)의 하면은 상기 연결판재(241)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메인레 일(220)이 상기 고정핀(250)에 의해 상기 연결판재(241)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레일(220)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스토퍼부(260)는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인접한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스토퍼부(260)가 돌출핀(264)과, 볼트부재(261)와, 너트부재(262)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2스토퍼부(260)는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인접한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종래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돌출핀(264)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부재(261)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볼트부재(261)의 일단에는 고리부(263)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263)가 상기 돌출핀(264)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재(262)는 상기 메인레일(220)과 접하도록 상기 볼트부재(26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일(220)이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인접한 경우, 상기 볼트부재(261)의 타단은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에 사이에 배치되고, 이때 상기 너트부재(262)는 상기 볼트부재(261)의 타 단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레일(220)에 접할 때까지 이동한다.
상기 너트부재(262)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부재(262)가 상기 메인레일(220)에 접하게 되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임의로 멀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메인레일(220) 및 작업대(230)가 상승할 때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함이 없이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200)를 이용하여 외벽(110)마감공사를 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작업대장치(200)를 도 7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외벽(110)에 장착된 고정슈(115)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고정슈(115)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상승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210)에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과 같이 상기 고정슈(115)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건물의 외부공사를 시공하는데 있어서 자재(130)를 작업할 위치까지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도 8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미도시)과 연결된 와이어(120)를 상기 메인레일(220)에 결합한 후, 상기 작업대(230) 및 메인레일(220)을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261)는 상기 돌출핀(254)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도록 한 다.
또한, 상기 고정핀(250)도 상기 메인레일(220)로부터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메인레일(220)을 상승시키면,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관통하여 장착된 상기 슬라이드핀(243)은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핀(243)은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된다.
결국, 상기 메인레일(22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메인레일(220)에 장착된 상기 작업대(230)가 상기 건물외벽(110)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이동되어, 상기 건물외벽(110)과 작업대(23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핀(243)이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회전부재(2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핀(243)과 상기 슬라이드공(242) 사이에는 작은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슬라이드핀(243)은 상기 슬라이드공(242)을 보다 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레일(220)의 상승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도 8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부(250)인 고정핀(250)을 상기 메인레일(220)에 삽입 장착한다.
상기 고정핀(250)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250)의 하면은 상기 연결판재(241)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고정핀(250) 을 통해 상기 연결판재(241)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레일(220)은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레일(220)에 연결된 와이어(120)를 분리시켜도, 상기 메인레일(220)은 하강하지 않고, 도 8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20)를 투입하고자 하는 자재(130)에 연결한다.
상기 와이어(120)에 연결된 자재(130)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외벽(110)과 작업대(23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아래방향으로 이송된다.
작업자는 자재(130)가 작업할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재(130)를 작업발판(231)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와이어(120)를 분리시킨다.
그 후 작업자는 작업발판(231)에 놓인 자재(130)를 이용하여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공사를 시행한다.
한편, 상기 자재(130)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공사가 마무리된 후, 건물의 다른 층으로 작업대장치(20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와이어(120)를 다시 상기 메인레일(220)에 연결한 후 상기 고정핀(250)을 상기 메인레일(220)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레일(220)을 천천히 하강시킨다.
상기 메인레일(220)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핀(243)가 슬라이드공(242)에 의해,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 일(210) 방향으로 인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레일(220)이 하강한 후, 상기 볼트부재(261)의 고리부(263)를 상기 돌출핀(264)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볼트부재(261)의 타단이 상기 제1보조레일(221)과 제2보조레일(222) 사이에 삽입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너트부재(262)를 상기 볼트부재(261)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레일(220)에 닿을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로부터 멀어지지 않게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승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레일(21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 후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120)를 상승시키면,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레일(220), 작업대(230) 및 가이드레일(210)로 이루어진 작업대장치(200)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작업대장치(200) 전체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 상기 제2스토퍼부(260)재에 의해 상기 메인레일(220)은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대해 독립적으로 상승됨이 없이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작업대장치(200)의 상승시 상기 메인레일(220)이 임으로 유동되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물 외벽에 작업대가 장착되어 외벽마감공사를 수행하는 작업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메인레일과 가이드레일이 벌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메인레일과 가이드레일이 인접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가 건물 외벽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작업대장치를 벌린 상태의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장치를 이용하여 외벽마감공사를 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건물 외벽, 115 : 고정슈, 120 : 와이어, 130 : 자재, 200 : 작업대장치, 210 : 가이드레일, 220 : 메인레일, 221 : 제1보조레일, 222 : 제2보조레일, 223 : 관통공, 230 : 작업대, 231 : 작업발판, 240 : 연결부, 241 : 연결판재, 242 : 슬라이드공, 243 : 슬라이드핀, 244 : 회전부재, 250 : 제1스토퍼부, 고정 핀, 260 : 제2스토퍼부, 261 : 볼트부재, 262 : 너트부재,

Claims (8)

  1.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된 작업대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고, 내부에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연결판재와;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는 슬라이드핀과;
    상기 슬라이드핀을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공원통 형상의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공은 상기 연결판재의 타단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슬라이드공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핀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드핀의 둘레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메인레일에 상기 슬라이드핀의 상방향에서 상기 연결판재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핀은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진 경우 상기 메인레일에 상기 연결판재방향으로 삽입 장착되어, 상기 고정핀의 하면이 상기 연결판재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메인레일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한 제1보조레일과; 상기 제1보조레일과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보조레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 사이에는 상기 연결판재의 타단이 삽입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핀은 상기 슬라이드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인접한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스토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핀과;
    일단이 상기 돌출핀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보조레일과 제2보조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메인레일과 접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대를 상승시킬 때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핀에 삽입 장착되는 고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7. 건물 외벽에 부착된 고정슈와 맞물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가이드레일과; 상 기 가이드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에 장착된 작업대와;상기 가이드레일과 메인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승할 때에 상기 메인레일이 하강되었을 때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사이가 더 벌어지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도록 벌린 후 건물외벽과 작업대 사이공간으로 자재를 유입하여 작업할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의 사용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멀어지도록 한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연결부를 따라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연결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인접한 상태에서 상기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전체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메인레일이 상기 연결부를 따라 독립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 또는 연결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90060019A 2009-07-02 2009-07-02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KR10114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19A KR101142839B1 (ko) 2009-07-02 2009-07-02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019A KR101142839B1 (ko) 2009-07-02 2009-07-02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524A true KR20110002524A (ko) 2011-01-10
KR101142839B1 KR101142839B1 (ko) 2012-05-08

Family

ID=4361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019A KR101142839B1 (ko) 2009-07-02 2009-07-02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3032B2 (en) 2011-08-29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20190106089A (ko) 2018-03-07 2019-09-18 이경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20200103589A (ko) 2020-08-24 2020-09-02 이경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102159964B1 (ko) 2020-03-03 2020-09-28 (주)아이엘엔지니어링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43Y1 (ko) 2012-06-01 2012-10-30 영성건업(주) 갱폼 상승 유도 장치
KR101425750B1 (ko) * 2013-04-04 2014-08-05 권종규 레벨 가이드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3395B1 (ko) * 2016-08-25 2018-07-02 이경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98B1 (ko) * 2002-05-11 2005-04-18 손경식 건축장의 레일난간(비계) 협지(狹支) 장치
KR20070000811U (ko) * 2007-06-22 2007-07-12 이병영 갱폼 상승유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3032B2 (en) 2011-08-29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KR20190106089A (ko) 2018-03-07 2019-09-18 이경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KR102159964B1 (ko) 2020-03-03 2020-09-28 (주)아이엘엔지니어링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KR20200103589A (ko) 2020-08-24 2020-09-02 이경화 추락 방지용 외부 마감용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839B1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839B1 (ko)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KR100704720B1 (ko)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KR101040033B1 (ko) 가설대 승강장치
TWI362360B (ko)
KR20070116222A (ko) 건설장치용 클램프
KR101873394B1 (ko) 건축용 클라이밍 시스템의 고정슈
KR20020062259A (ko) 레일 브래킷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이동형 비계
CN215101724U (zh) 一种简易式管道施工升降机
KR200423750Y1 (ko) 가설대 승강장치
KR101962321B1 (ko) 가변형 건축용 고정슈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214034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각재 거치장치
KR102427020B1 (ko) 갱폼 안전인양 장치
KR20180013643A (ko) 갱폼 클라이밍 장치
KR102129286B1 (ko) 엘리베이터 통로 시공용 승강장치
KR101062157B1 (ko) 서포트 장치
WO2005007551A1 (ja) エレベータの作業足場装置
KR102653955B1 (ko) 건축용 작업대
KR20100021023A (ko) 지지바와 서포터 연결구조
JP2009161346A (ja) エレベータ
KR101168079B1 (ko)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KR102250101B1 (ko) 접이식 고소작업대
CN108301765A (zh) 便于安装钻具的自起吊式卧式钻机
KR101306590B1 (ko) 프로파일 안내 걸림 장치
JPH01157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