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395B1 -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395B1
KR101873395B1 KR1020160108170A KR20160108170A KR101873395B1 KR 101873395 B1 KR101873395 B1 KR 101873395B1 KR 1020160108170 A KR1020160108170 A KR 1020160108170A KR 20160108170 A KR20160108170 A KR 20160108170A KR 101873395 B1 KR101873395 B1 KR 10187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rotation
blocking membe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218A (ko
Inventor
이경화
Original Assignee
이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화 filed Critical 이경화
Priority to KR1020160108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3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케이지에서 자재 등의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는,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승강케이지는, 상기 고정슈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와 건물외벽 사이의 이격간극에 배치되어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작업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격간극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 ELEVATING TYPE CAGE FOR ARCHITECTURE }
본 발명은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케이지에서 자재 등의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를 함에 있어서 외벽마감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외벽에 별도의 케이지를 장착하여 공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케이지는 건물 외벽에 단순하게 배치되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거나, 건물 외벽에 장착되어 건물 외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식 등으로 되어 있다.
승강식 케이지의 경우에는 케이지가 건물외벽과 마찰없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해, 케이지와 건물외벽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빈공간이 있게 되면, 케이지 등에 있는 작업자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작업시에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부자재들이 떨어져 인명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낙하물 방지장치 또는 방지 구조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35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18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283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건축 시공시 발생되는 낙하물 등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지의 상승시에는 건물외벽과의 마찰없이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는,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승강케이지는, 상기 고정슈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와 건물외벽 사이의 이격간극에 배치되어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작업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격간극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된 탄성재질의 차단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하여 상기 이격간극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건물외벽에 접하는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은 상기 이격간극의 거리에 따라 탄성변형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가 건물외벽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진다.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건물외벽 사이의 방향인 상기 차단부재의 너비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가 건물외벽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압축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고정부와 회전부의 힌지결합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건물외벽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회전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건물외벽으로부터 더 먼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경사지게 결합된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이격간극을 폐쇄하였을 때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작업대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와 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건물외벽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이격간극을 폐쇄하였을 때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차단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시키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은 절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곡진 상기 브라켓의 일면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단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브라켓보다 더 돌출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낙하방지부재를 구성하는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건축 시공시 발생되는 낙하물 등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 발명은 낙하방지부재가 고정부, 회전부 및 스토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또한, 승강케이지의 상승시에는 회전부를 고정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건물외벽과의 마찰없이 승강케이지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설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로 표시된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덮개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변형구조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설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로 표시된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덮개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변형구조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는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20)와, 작업대(30)와, 낙하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20)는 상기 고정슈(1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써, H빔 등으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상기 고정슈(10)의 구조 및 상기 레일부재(20)와 고정슈(10)의 결합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작업대(30)는 상기 레일부재(20)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외벽(5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작업대(30)에는 작업자들이 올라가서 건물외벽(50)의 마감 작업 등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작업대(30)는 상기 레일부재(20)와 함께 상기 고정슈(1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물외벽(50)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낙하방지부재(40)는 상기 작업대(30)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30)와 건물외벽(50) 사이의 공간인 이격간극(D)에 배치되어 여러 가지 공사잔재물 등의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낙하방지부재(40)는 고정부(41)와 회전부(42)와 스토퍼(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작업대(30)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42)는 상기 고정부(4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회전부(4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회전부(42)가 상기 작업대(30)에 대하여 약 180도 정도 회전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3)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1)와 회전부(42)의 힌지결합부위에 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42)가 약 180도 정도 회전되었을 때, 상기 고정부(41)와 회전부(42)에 형성된 스토퍼(43)가 서로 맞닿아 상기 회전부(42)의 회전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41)에 대한 상기 회전부(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42)는 상기 이격간극(D)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작업대(30)를 승강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42)를 상기 고정부(4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격간극(D)을 개방하도록 하고, 작업자가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42)를 상기 고정부(41)의 반대방향인 상기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이격간극(D)을 폐쇄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회전부(42)는 지지부재(45)와 차단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5)는 상기 고정부(41)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고무패드(46)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고무패드(46)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5)가 회전하여 상기 이격간극(D)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건물외벽(50)에 접하는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은 상기 이격간극(D)의 거리에 따라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45)가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50)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무패드(46)가 상기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50)에 접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46)가 상기 건물외벽(50)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약간 휘어져 탄성변형됨으로써,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이 상기 건물외벽(50)에 밀착되어 그 틈새로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46)로 이루어진 상기 차단부재가가 보다 상방향으로 잘 휘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재(45)와 건물외벽(50) 사이의 방향인 상기 고무패드(46)의 너비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에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이 상방향으로 보다 잘 탄성변형되어, 상기 건물외벽(50)과 고무패드(46)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4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상기 스토퍼(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1)와 회전부(42)의 힌지결합부위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회전부(42)가 상기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회전부(4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작업대(30)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상기 스토퍼(43)에 의해 상기 회전부(42)가 약 180도 정도 회전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건물외벽(50)에 작업을 하는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42)를 상기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부(42)는 상기 스토퍼(43)에 의해 약 180도 정도 회전된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42)를 구성하는 상기 고무패드(46)는 타단이 상기 건물외벽(50)에 밀착되면서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탄성변형된다.
위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46)의 타단이 건물외벽에 밀착됨으로써, 작업시 발생하는 낙하물이 상기 작업대(30)와 건물외벽(5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이격간극(D)을 통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재(20) 및 작업대(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42)를 상기 고정부(4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낙하방지부재(40)를 접는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42)가 상기 건물외벽(50)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레일부재(20) 및 작업대(30)의 상승시 상기 건물외벽(50)과의 마찰없이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차단부재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고무패드(46)와 브러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47)는 상기 고무패드(46)의 끝단에 결합되어 건물외벽(50)에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45)가 건물외벽(50) 방향으로 회전될 때, 타단이 상기 건물외벽(50)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를 이루는 상기 브러쉬(47)가 상기 건물외벽(50)에 밀착됨으로써, 그 틈새로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재는 고무패드(46)와, 고무패드(46)에 결합된 브러쉬(47)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브러쉬(47)만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45)에 직접결합될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승강케이지의 주요 부위의 작동과정도이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고정부(41) 및 회전부(42)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작업대(3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42)는 지지부재(45)와 브라켓(48)과 차단부재(고무패드(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5)는 상기 고정부(4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41)와 지지부재(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런, 상기 고정부(41)는 상기 작업대(30)에 상하방향이 아닌 수평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부재(45) 또한 상기 고정부(41)에 대하여 상하방향이 아닌 일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41)와 지지부재(45)는 상기 이격간극(D)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브라켓(48)은 상기 차단부재 즉 상기 고무패드(46)를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48)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48)은 본 실시예에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절곡된 상기 브라켓(48)의 일단은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재(45)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48)의 타단에는 상기 고무패드(46)가 결합된다.
상기 고무패드(46) 즉 차단부재는 상기 브라켓(48)의 타단에서 건물외벽으로부터 더 먼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48)보다 더 돌출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브라켓(48)은 상기 고무패드(46)를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브라켓(48)은 90도로 절곡되지 않고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면서 절곡될 수도 있다.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지지부재(45)에 대하여 건물외벽(50)으로부터 더 먼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45)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브라켓(48)을 통해 상기 지지부재(45)에 결합되어 있지만, 상기 브라켓(48)이 없는 경우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지지부재(45)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지지부재(45)에 대하여 건물외벽(50)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무패드(46)가 상기 이격간극(D)을 폐쇄하였을 때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45)가 상기 고정부(41)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42)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상기 스토퍼(43)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지지부재(45)가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41)에 접하면서 형성된다.
만일, 상기 지지부재(45)가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건물외벽(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배치된 경우, 상기 스토퍼(43)는 상기 지지부재(45)가 상기 작업대(30)에 앞면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42)의 회전이 정지되면서 형성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48)이 결합되는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브라켓(48)보다 더 돌출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42)가 상기 이격간극(D)을 폐쇄하도록 회전되었을 때,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고무패드(46)는 끝단이 일부 휘어지면서 상기 이격간극(D)을 보다 잘 폐쇄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고정슈, 20 : 레일부재, 30 : 작업대,
40 : 낙하방지부재, 41 : 고정부, 42 : 회전부, 43 : 스토퍼, 45 : 지지부재, 46 : 고무패드, 47 : 브러쉬, 48 : 브라켓,
50 : 건물외벽,
D : 이격간극.

Claims (10)

  1. 건물외벽에 설치된 고정슈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건축용 승강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승강케이지는,
    상기 고정슈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외벽으로부터 이격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와 건물외벽 사이의 이격간극에 배치되어 낙하물이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낙하방지부재는,
    상기 작업대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이격간극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일단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타단을 형성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타단에서 건물외벽으로부터 더 먼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보다 더 돌출되어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이격간극을 폐쇄하였을 때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고정부 또는 작업대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고무패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가 건물외벽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지지부재와 건물외벽 사이의 방향인 상기 차단부재의 너비 방향으로 다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가 건물외벽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부재의 타단은 상기 건물외벽에 접하면서 상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건물외벽의 반대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되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이격간극을 폐쇄하였을 때 회전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고정부에 접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10. 삭제
KR1020160108170A 2016-08-25 2016-08-25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KR10187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70A KR101873395B1 (ko) 2016-08-25 2016-08-25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170A KR101873395B1 (ko) 2016-08-25 2016-08-25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18A KR20180023218A (ko) 2018-03-07
KR101873395B1 true KR101873395B1 (ko) 2018-07-02

Family

ID=6168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170A KR101873395B1 (ko) 2016-08-25 2016-08-25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9677A (zh) * 2018-05-31 2018-11-02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槽罐集成提升的安装方法
CN109797958A (zh) * 2019-02-26 2019-05-24 彭绍华 智能安全升降脚手架
CN111155753B (zh) * 2019-09-02 2021-06-0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建筑物外墙造楼移动平台
CN112411991B (zh) * 2020-11-20 2022-01-28 恒尊集团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的外墙施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39B1 (ko) * 2009-07-02 2012-05-08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39B1 (ko) * 2009-07-02 2012-05-08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18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395B1 (ko)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US8627925B2 (en) Foldable work platform
JP4839566B2 (ja) エレベータケージ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20190002260A1 (en) Safety Barrier For Loading Dock Lift
KR101639418B1 (ko) 건설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체
CN109476455B (zh) 具有特殊构造的保护顶盖的电梯设备
KR20200050555A (ko) 엘리베이터 승강로용 사다리
KR10134638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KR101750210B1 (ko)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US20160130115A1 (en)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KR101945325B1 (ko) 비계용 화물 승강기
US3702645A (en) Loading platform
US20110302844A1 (en) Platform safety gate
KR200445741Y1 (ko) 상승시스템
JP6861436B2 (ja) 足場用仮設扉
KR102258349B1 (ko)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KR101557013B1 (ko) 갱폼 및 갱폼용 도어 장치
KR102186318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1884465B1 (ko) 비계용 발판
KR102139885B1 (ko) 화물 운반 설비를 가진 비계장치
JP4249006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搭載用移動作業床
KR20200056643A (ko) 지하 구조물용 안전장치
JP6702572B1 (ja) 乗客コンベアとその点検方法
CN214658621U (zh) 一种建筑工程用安全装置
JP2006103872A (ja) 乗客コンベアのマンホール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