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387B1 -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 Google Patents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387B1
KR101346387B1 KR1020120001038A KR20120001038A KR101346387B1 KR 101346387 B1 KR101346387 B1 KR 101346387B1 KR 1020120001038 A KR1020120001038 A KR 1020120001038A KR 20120001038 A KR20120001038 A KR 20120001038A KR 101346387 B1 KR101346387 B1 KR 101346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door
safety
work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233A (ko
Inventor
정기환
Original Assignee
정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9924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638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환 filed Critical 정기환
Priority to KR102012000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387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에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에 쇼크업소버를 통해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이를 통해 안전도어의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SAFTY DOOR FOR SCAFFOLD BOARD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에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에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는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갱폼의 케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사다리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 및 작업발판으로 수평이동을 하면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하여 왔다.
이와 같은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4411호(2010.07.26)"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거푸집과 이격되도록 세워지는 수직난간과 일측이 상기 거푸집과 수직난간 중 어느 하나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일면이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거푸집과 수직난간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볼트로 결합되는 수직부를 구비하는 둘 이상의 받침대와 둘 이상의 수평부 상에 거치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업발판케이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의 경우 사다리가 설치된 작업통로가 관통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하이동 및 작업발판에서 수평이동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에 따라 상기 작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도어를 설치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 안전도어의 경우에는 안전도어가 닫힐 때 안전도어의 하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닫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신체 일부가 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은 상하이동을 위한 사다리가 작업발판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발판의 공간이 협소해짐과 함께 사다리의 설치구조상 작업자의 수평이동을 방해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에 쇼크업소버를 통해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안전도어의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상하이동하기 위한 사다리를 작업발판에 평행하게 거푸집 측으로 밀착하여 설치함에 따라 작업발판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작업자가 작업발판에서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거푸집의 외측으로 다단으로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이 각각 설치된 케이지가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중앙에 작업자의 이동로인 작업통로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작업통로에 작업자가 상하이동하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상기 작업통로 측으로 힌지결합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를 회동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도어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의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도어프레임과; 상기 제1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쇼크업소버의 신장 및 신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안전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는 완충장치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에 쇼크업소버를 통해 개폐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가 설치됨에 따라 이를 통해 안전도어의 개폐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하이동하기 위한 사다리가 작업발판에 평행하게 거푸집 측으로 밀착되어 설치됨에 따라 작업발판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의 작동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들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건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거푸집(10)의 외측으로 다단으로 작업발판(21)이 각각 설치된 케이지(20)가 결합되며, 상기 작업발판(21)으로 작업자의 이동로인 작업통로(30)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작업통로(30)에 작업자가 상하이동하는 사다리(40)가 설치되어 상기 작업통로(30)를 측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업통로(30)를 회동개폐하는 안전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100)는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제1도어프레임(110)와;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쇼크업소버(210)의 신장 및 신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안전도어(100)의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는 완충장치(200)가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갱폼(1)은 고층 아파트와 같은 평면상에 상,하부가 동일한 건물에서 외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거푸집(10)의 외측에는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케이지(2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20)는 안전난간(22)이 상기 외부거푸집(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사각 틀 형태로 상기 외부거푸집(10) 외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전난간(22)에 다단으로 다수의 작업발판(21)이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갱폼(1)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21)에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발판(21)을 오르내리면서 상하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다리(40)가 설치되는데, 상기 사다리(40)는 상기 작업발판(21)에 관통형성된 작업통로(30) 측으로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40)를 통해 오르내리면 상기 작업통로(30)를 통과하면서 작업발판(21)을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다리(40)는 작업발판(21)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작업자가 상기 작업발판(21)에서 수평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작업발판(21)에 평행하게 상기 외부거푸집(10) 측으로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가 사다리(40)를 통해 상하이동하기 이동로인 작업통로(30)는 상기 작업발판(21)에 관통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30)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안전도어(100)가 상기 작업통로(30) 측에서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왔다.
한편, 상기 안전도어(100)의 제1도어프레임(110)은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상기 작업통로(30)의 크기에 대응되어 제작됨과 동시에 상단으로 작업자가 보행하기 위한 발판(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중앙측에는 " ㄷ "자 형상으로 중앙프레임(113)이 결합되되, 상기 중앙프레임(113)의 내부에는 완충장치(200)를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매설하여 상기 완충장치(200)를 보호하기 위한 수용공간(11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일측면으로 상기 작업발판(21)과 연계되어 제1도어프레임(110)를 작업발판(21)에 고정시키는 제1힌지축(111)이 상기 작업발판(21)과 제1도어프레임(110)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을 작업통로(30) 상에서 회동개폐시키는 것이며, 상기 작업통로(30)의 내측에는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이 상기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닫히면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을 지지하는 고정턱(31)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은 상기 작업발판(21)의 형상 및 재질과 동일하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안전도어(100)의 무게를 줄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거운 금속재질로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이 제작될 때에 비해 작업자가 손쉽게 제1도어프레임(110)를 개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발판(112)은 상기 작업발판(21)의 상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도어(100)의 완충장치(200)는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이상기 작업통로(30) 내측에 제1힌지축(111)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개폐작동하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을 지지하여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완충장치(200)는 상기 안전도어(100)가 개폐되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을 지지하여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는 쇼크업소버(21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쇼크업소버(210)는 상기 작업통로(30) 내측에 형성된 결합판(32)에 소버몸체(211)의 끝단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소버몸체(211) 내부로 로드(212)가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로드(212)의 끝단이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 내측에 형성된 중앙프레임(113)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도어(100)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로드(212)는 상기 소버몸체(211) 내부에서 신장 및 신축작동함에 따라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11)에는 상기 안전도어(100)가 개폐되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안전도어(100)의 닫히는 속도를 보조적으로 완충하는 탄성체(220)가 결합되는데, 상기 탄성체(220)는 상기 제1힌지축(111) 상에 코일스프링 형태의 결합부(222)가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222)에 " ㄷ "자 형태의 지지부(221)가 일체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갖음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221)가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안전도어(100)가 닫히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안전도어(100)의 닫히는 속도를 보조적으로 완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통로(30)를 개폐하는 안전도어(100)의 내측에 쇼크업소버(210)와 탄성체(220)로 이루어진 완충장치(20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안전도어(1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안전도어(100)와 작업발판(21)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는 작업자가 상기 사다리(40)를 이용해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21)에 오르내리면서 상기 작업통로(30)를 통해 상하이동하기 위해 상기 안전도어(100)를 회동하여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작업자가 상기 작업발판(21)을 상하이동하기 위해 상기 사다리(40)를 통해 오르내리면 상기 작업발판(21)에 관통형성된 작업통로(30)를 통과하기 위해 상기 안전도어(100)를 작업자가 직접 회동시켜 개방하며, 상기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회동되는 안전도어(100)는 제1도어프레임(110) 일측으로 관통결합된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도어(100)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상기 쇼크업소버(210)의 로드(212)가 소버몸체(211) 내부에서 신장됨에 따라 상기 쇼크업소버(210)가 상기 안전도어(100)의 회동범위에 대응되어 회동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안전도어(100)가 열리면 작업자가 상기 작업통로(30)를 통해 상하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와 같이 개방된 상태의 안전도어(100)를 상기 작업통로(30) 측으로 회동시켜 닫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전도어(100)가 열린 상태로 작업자가 작업발판(21) 상에서 작업을 하면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30)로 작업자가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안전도어(100)를 작업통로(30) 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안전도어(100)는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작업통로(30) 측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전도어(100)의 내측에 설치된 쇼크업소버(210)의 로드(212)가 상기 안전도어(100)의 회동범위에 대응되어 소버몸체(211) 내측으로 신축하게 되며, 상기 쇼크업소버(210)의 신축작용에 의해 빠른 속도로 안전도어(1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안전도어(100)와 작업발판(21)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부에 위치된 탄성체(220)를 통해 상기 안전도어(100)가 상기 작업통로(30) 내측으로 거의 닫혀지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측면을 상기 탄성체(220)의 지지부(221)가 지지함에 따라 상기 탄성체(220)가 안전도어(100)의 회동작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안전도어(100)가 일시적으로 회동작동이 정지되면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를 안전도어(100)와 작업발판(21) 사이에 끼이기 전에 빼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체(220)의 탄성력은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보다 작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정지된 안전도어(100)는 서서히 작업통로(30) 측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도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로, 상기 작업통로(30)에 구비되는 안전도어(100)는 제1도어프레임(110) 또는 제2도어프레임(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사용하되, 상기 제1힌지축(111)을 통해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단부로 제2도어프레임(150)이 결합되며,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은 상기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30) 상에서 회동개폐되기 때문에 상기 작업통로(30)의 크기에 대응되어 제작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하측단으로 제1힌지축(111)이 결합되는 결합부분에는 상기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톱니부(151)가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에 양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톱니부(151)는 반원의 판형태로 결합홈(152)을 갖는 톱니가 다수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회동에 대응되어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에는 제2힌지축(161)이 관통삽입되며, 상기 제2힌지축(161)에는 걸쇠(153)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며, 상기 걸쇠(153)는 상기 톱니부(151)가 회전되는 작동에 대응되어 상기 톱니부(151)의 걸림홈(152)에 걸림에 따라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이 회동되면서 상기와 같은 걸림작동에 의해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안전도어(100)가 닫히는 것을 완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걸쇠(153)와 함께 제2힌지축(161)에 결합되는 탄성스프링(154)에 의해 상기 걸쇠(153)를 상기 톱니부(151)의 걸림홈(152)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쇠(153)가 상기 톱니부(151)에 걸림 작동될 수 있는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이 회동개폐작동하면 상기 톱니부(151)의 걸림홈(152)에 상기 걸쇠(153)가 걸림작동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상기 안전도어(10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안전도어(100)와 작업발판(21)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톱니부(151)의 내측에는 상기 제1힌지축(111)에는 상기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자유회동되도록 복귀판(155)이 결합되며, 상기 복귀판(155)은 상기 걸쇠(153)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걸쇠(153)를 톱니부(151)에서 걸림 해제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복귀판(155)은 원판형태로 상기 톱니부(151)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며, 상기 복귀판(155)의 상측에는 회전돌기(157)와 하측에는 절개부(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이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내부면이 상기 복귀판(155)의 회전돌기(157) 일측면에 면착되어 가압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회전돌기(157)를 가압하면 상기 복귀판(155)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회동방향과 동일하게 회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귀판(155)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과 동일하게 회동되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귀판(155)의 하측에 형성된 절개부(156)가 상기 걸쇠(153)가 결합되어 있는 위치를 벗어나게 됨에 따라 상기 복귀판(155)의 외부면이 상기 걸쇠(153)를 가압하여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며, 상기 복귀판(155)은 상기 톱니부(151)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기 때문에 걸쇠(153)가 톱니부(151)에서 걸림 해제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걸쇠(153)가 톱니부(151)에서 걸림 해제되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을 걸쇠(153)의 걸림작용 없이 상기 작업통로(30)의 반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2도어프레임(150)이 작업통로(130)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내부면이 상기 복귀판(155)의 회전돌기(157) 일측면에 면착되어 상기 복귀판(155)이 원위치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복귀판(155)이 원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복귀판(155)의 절개부(156)가 상기 걸쇠(153)가 결합된 위치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걸쇠(153)가 상기 톱니부(151)의 걸림홈(152)으로 복귀되어 걸림 작동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갱폼 10.외부거푸집
20.케이지 21.작업발판
22.안전난간 30.작업통로
40.사다리 100.안전도어
110.제2도어프레임 111.제1힌지축
112.발판 113.중앙프레임
151.톱니부 152.걸림홈
153.걸쇠 154.탄성스프링
155.복귀판 156.절개부
157.회전돌기 161.제2힌지축
200.완충장치 210.쇼크업소버
220.탄성체

Claims (7)

  1.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거푸집(10)의 외측으로 다단으로 작업발판(21)과 안전난간(22)이 각각 설치된 케이지(20)가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21)의 중앙에 작업자의 이동로인 작업통로(30)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작업통로(30)에 작업자가 상하이동하는 사다리(40)가 설치되어 상기 작업통로(30) 측으로 힌지결합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30)를 회동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도어(100)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100)는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내부로 수용공간(113a)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13)이 중앙측에 설치된 제1도어프레임(110)과;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쇼크업소버(210)의 신장 및 신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안전도어(100)의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는 완충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쇼크업소버(210)는 상기 안전도어(100)가 닫히면 상기 중앙프레임(113)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3a)으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200)의 쇼크업소버(210)는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구비되되, 상기 작업통로(30)의 하부 일측단에 결합된 결합판(32)에 힌지결합되는 소버몸체(211)와,
    상기 소버몸체(211)의 내부에서 신장 및 신축작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도어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중앙프레임(113)에 결합되는 로드(2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111)에는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측면을 지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지지부(221)가 상기 안전도어(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전도어(100)의 닫히는 속도를 보조적으로 완충하는 탄성체(2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100)는 제1도어프레임(110) 또는 제2도어프레임(1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사용하되,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은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에서 회동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로 수용공간(113a)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13)이 중앙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도어프레임(150)의 하측단부의 양측에는 제1힌지축(11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톱니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151) 측에는 상기 작업통로(30)의 일측으로 제2힌지축(161)이 관통삽입되어 결합된 걸쇠(153)가 걸림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151) 내측으로 제1힌지축(111) 상에는 상기 걸쇠(153)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작동에 의해 상기 톱니부(151)에서 상기 걸쇠(153)를 걸림해제시키는 복귀판(15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40)는 작업발판(21)에 평행하게 상기 외부거푸집(10) 측으로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KR1020120001038A 2012-01-04 2012-01-04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KR10134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38A KR101346387B1 (ko) 2012-01-04 2012-01-04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38A KR101346387B1 (ko) 2012-01-04 2012-01-04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233A KR20130080233A (ko) 2013-07-12
KR101346387B1 true KR101346387B1 (ko) 2014-01-02

Family

ID=4899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038A KR101346387B1 (ko) 2012-01-04 2012-01-04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3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038B1 (ko) * 2014-07-24 2015-05-04 (주)태건정공 작업자 안전을 강화한 갱폼 및 갱폼용 도어 조립체
KR101546627B1 (ko) 2014-07-29 2015-08-21 최재주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564516B1 (ko) 2014-09-26 2015-10-29 최재주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20190110751A (ko) 2018-03-21 2019-10-01 (주)케이에스산업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KR102221195B1 (ko) * 2020-08-27 2021-02-26 김성술 작업현장 간이 설치형 페리 스탠드폼의 안전난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99B1 (ko) * 2013-10-28 2015-03-12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작업발판용 해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07Y1 (ko) 2001-01-19 2001-06-15 효성드라이비트주식회사 건축 및 외벽단열마감용 작업대
KR20070090571A (ko) * 2006-03-03 2007-09-06 임성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JP2010116718A (ja) 2008-11-13 2010-05-27 Olympus Corp 作業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07Y1 (ko) 2001-01-19 2001-06-15 효성드라이비트주식회사 건축 및 외벽단열마감용 작업대
KR20070090571A (ko) * 2006-03-03 2007-09-06 임성호 쇼크업쇼바를 이용한 점검구 안전커버
JP2010116718A (ja) 2008-11-13 2010-05-27 Olympus Corp 作業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038B1 (ko) * 2014-07-24 2015-05-04 (주)태건정공 작업자 안전을 강화한 갱폼 및 갱폼용 도어 조립체
KR101546627B1 (ko) 2014-07-29 2015-08-21 최재주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564516B1 (ko) 2014-09-26 2015-10-29 최재주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20190110751A (ko) 2018-03-21 2019-10-01 (주)케이에스산업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KR102221195B1 (ko) * 2020-08-27 2021-02-26 김성술 작업현장 간이 설치형 페리 스탠드폼의 안전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233A (ko) 201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38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US10428536B2 (en) Scaffold system
CN109476461A (zh) 具有低净空的电梯装置
KR101501899B1 (ko) 작업발판용 해치
KR101262635B1 (ko)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KR100855758B1 (ko)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2101779B1 (ko)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KR100937832B1 (ko) 긴급 피난설비
KR101750210B1 (ko)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KR102058942B1 (ko)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JP20102751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41301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EP3243988A1 (en) Easy to install overhead door
KR200490603Y1 (ko)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JP6837567B2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乗場ドア装置
JP6975686B2 (ja) エレベーター保守安全装置
KR101908783B1 (ko) 자동 닫힘 도어가 구비된 작업발판
KR101749022B1 (ko) 가설용 갱폼 작업 발판용 속도 제어 댐퍼 장치
KR102058790B1 (ko)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KR10154662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438452B1 (ko) 갱폼 안전 인양장치
KR101473698B1 (ko) 피난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050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222

Effective date: 201907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