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627B1 -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627B1
KR101546627B1 KR1020140096467A KR20140096467A KR101546627B1 KR 101546627 B1 KR101546627 B1 KR 101546627B1 KR 1020140096467 A KR1020140096467 A KR 1020140096467A KR 20140096467 A KR20140096467 A KR 20140096467A KR 101546627 B1 KR101546627 B1 KR 10154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oor
body frame
main body
toothed portion
rectangula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주
Original Assignee
최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주 filed Critical 최재주
Priority to KR1020140096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5Platforms with an access hatch for getting through from one level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통로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안전도어 개폐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안전도어가 갑자기 개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관통공(20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과;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대(206)와;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2고정대(20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1고정대(206)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1철망(210)과; 상기 제1철망(2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2고정대(208)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2철망(212)과;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전도어(214)와; 상기 안전도어(214)의 상면에 설치된 제3철망(216)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SAFETY DOOR SYSTEM FOR SCAFFOLD BOARD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통로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갱폼이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도어가 갑자기 개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에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지는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고층에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갱폼의 케이지는 다단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각 층마다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사다리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 및 작업발판을 통해 수평이동을 하면서 거푸집의 설치, 해체작업 및 후속 미장작업 등을 수행하여 왔다.
이와 같은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4411호(2010.07.26)"에 개시되었는데, 이는 거푸집과 이격되도록 세워지는 수직난간과 일측이 상기 거푸집과 수직난간 중 어느 하나에 볼트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일면이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고정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거푸집과 수직난간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볼트로 결합되는 수직부를 구비하는 둘 이상의 받침대와 둘 이상의 수평부 상에 거치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작업발판케이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의 경우 사다리가 설치된 작업통로가 관통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하이동 및 작업발판을 통해 수평이동을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로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에 따라 상기 작업통로를 개폐하는 안전도어를 설치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종래 안전도어의 경우에는 안전도어가 닫힐 때 안전도어의 하중에 의해 빠른 속도로 닫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신체 일부가 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갱폼의 작업발판은 상하이동을 위한 사다리가 작업발판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발판의 공간이 협소해짐과 함께 사다리의 설치구조상 작업자의 수평이동을 방해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01월 04일자 출원번호 제10-2012-0001038호(발명의 명칭 :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 외부거푸집의 외측으로 다단으로 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이 각각 설치된 케이지가 결합되고, 상기 작업발판의 중앙에 작업자의 이동로인 작업통로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작업통로에 작업자가 상하이동하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상기 작업통로 측으로 힌지결합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작업통로를 회동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안전도어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는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통로의 일측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내부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중앙프레임이 중앙측에 설치된 제1도어프레임과; 상기 제1도어프레임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쇼크업소버의 신장 및 신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안전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억제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쇼크업소버는 상기 안전도어가 닫히면 상기 중앙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 이다.
그러나, 상기한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잦은 고장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는 쇼크업소버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도어가 너무 느리게 개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통로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갱폼이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하도록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은, 관통공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과;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대와; 상기 제1고정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2고정대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상면과 제1고정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1철망과; 상기 제1철망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상면과 제2고정대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2철망과; 상기 제1고정대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전도어와; 상기 안전도어의 상면에 설치된 제3철망과; 상기 안전도어의 끝단에 연장 돌출되어 상기 안전도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안전도어가 제2고정대 보다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연장부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일측과 안전도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의 일측과 안전도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통로인 도어를 빠르게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갱폼의 다단으로 설치된 작업발판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작업통로와 안전도어가 설치됨과 동시에 안전도어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안전도어가 개폐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안전도어와 작업발판 사이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도어가 갑자기 개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의 안전도어를 상측으로 올려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이다.
도 4는 도 3의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b 내지 도 6c는 도 6a의 안전도어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3의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의 회전조절스프링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삭제
도 1 내지 도 6(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은, 관통공(20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과;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대(206)와;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2고정대(20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1고정대(206)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1철망(210)과; 상기 제1철망(2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2고정대(208)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2철망(212)과;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전도어(214)와; 상기 안전도어(214)의 상면에 설치된 제3철망(216)과; 상기 안전도어(214)의 끝단에 연장 돌출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안전도어(214)가 제2고정대(208) 보다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연장부(21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시계방향(열림) 또는 반시계방향(닫힘)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214)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과;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214)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 및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2)와; 상기 헤드(302)에 연장 설치되되,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일면이 깎여 있는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과;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의 치합되되,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와; 상기 제1톱니부(3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308)의 완전나사산(304)에 치합되되, 상기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에 마주보게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와; 상기 제1톱니부(3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을 수용하고 있는 와셔(318)와;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을 수용하되, 상기 제1톱니부(312)와 와셔(318)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320)과;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320)을 압축하거나 원위치시키는 너트(32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톱니부(316)는 안전도어(214)에 용접되고, 상기 헤드(302)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에 용접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의 500은 제2톱니부(316)와 안전도어(214)가 용접된 용접부위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조립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관통공(20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제1고정대(206)를 설치하고,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제2고정대(208)를 설치한다.
삭제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1고정대(206)의 상면 사이에 제1철망(210)을 설치한 후,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2고정대(208)의 상면 사이에 제2철망(212)을 설치한다.
그리고, 안전도어(21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안전도어(214)의 상면에 제3철망(216)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안전도어(214)의 끝단에 연장부(218)를 돌출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제3철망(216)과 연장부(218)가 설치된 안전도어(214)를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헤드(302)와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과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와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와 와셔(318)와 스프링(320)과 너트(322)를 포함한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 및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위치시킨다.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과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한 후,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 및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이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헤드(302)와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을 위치시킨다.
상기 봉(308)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관통시킨 후, 상기 헤드(302)를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에 용접한다.
상기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를 상기 봉(308)의 외주연에 형성된 불완전나사산(306)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를 상기 봉(308)의 외주연에 형성된 불완전나사산(306)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와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는 치합된다.
상기 제2톱니부(316)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용접하고,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이 수용되도록 스프링(320)과 와셔(318)를 끼운 다음, 너트(32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너트(322)를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322)를 조인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6(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비계에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을 설치한다.
삭제
건축물의 비계에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작업통로인 관통공(202)을 통과하기 위해, 안전도어(21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삭제
상기 안전도어(21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안전도어(214)에 용접되어 있는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가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가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안전도어(214)는 봉(308)의 완전한 완전나사산(304)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안전도어(214)의 회전에 따라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가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상기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는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를 너트(322)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312)는 스프링(320)을 너트(322) 방향으로 압축시킨다.
이로 인해, 제2톱니부(316)와 제1톱니부(31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함에 따라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가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도 6b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도어(2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안전도어(214)의 개폐각도를 원하는 각도 즉, 10˚, 20˚, 30˚····, 90˚로 조절하여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개방되므로, 상기 안전도어(214)는 작업자가 원하는 개폐각도에 언제라도 멈추거나 열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열리면, 작업자가 사다리(600)를 타고 위층으로 올라가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안전도어(2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삭제
상기 안전도어(2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안전도어(214)에 용접되어 있는 제2톱니부(316)가 제1톱니부(312)를 타고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도어(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안전도어(214)의 회전에 따라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폐쇄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는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을 도시한 확대사시도로, 상기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은 안전도어(214)의 회전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삭제
안전도어(21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헤드(402)와; 상기 제1헤드(4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안전도어(21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봉(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봉에 연장 설치되되, 수용홈(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헤드(406)와; 상기 봉을 수용하되, 제2헤드(406)의 일측에 설치되는 와셔(408)와; 상기 봉의 외주연을 감싸되, 일단은 제2헤드(406)의 수용홈에 설치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헤드(402)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는 회전조절스프링(410)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과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관통공(20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제1고정대(206)를 설치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제2고정대(208)를 설치하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1고정대(206)의 상면 사이에 제1철망(210)을 설치한 후,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2고정대(208)의 상면 사이에 제2철망(212)을 설치한다.
삭제
상기 안전도어(21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안전도어(214)의 상면에 제3철망(216)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안전도어(214)의 끝단에 연장부(218)를 돌출되게 설치한다.
상기 제3철망(216)과 연장부(218)가 설치된 안전도어(214)를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시킨다.
상기 헤드(302)와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과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와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와 와셔(318)와 스프링(320)과 너트(322)를 포함한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위치시킨다.
상기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한 후, 상기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이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헤드(302)와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을 위치시킨다.
상기 봉(308)을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관통시킨 후, 상기 헤드(302)를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에 용접한다.
상기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를 상기 봉(308)의 외주연에 형성된 불완전나사산(306)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를 상기 봉(308)의 외주연에 형성된 불완전나사산(306)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와 제2톱니부(316)의 제2톱니(314)는 치합된다.
상기 제2톱니부(316)를 안전도어(214)의 일측에 용접한 후에,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이 수용되도록 스프링(320)과 와셔(318)를 끼운다.
삭제
그리고, 너트(32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너트(322)를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에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322)를 조인다.
그리고, 제1헤드(402)와 제2헤드(406)에 연결된 봉과 와셔(408)와 회전조절스프링(410)을 포함한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헤드(402)를 안전도어(214)의 내면 일측에 설치한 후, 봉에 와셔(408)와 회전조절스프링(410)을 설치한다.
삭제
상기 제1헤드(4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을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에 마주보게 안전도어(214)에 설치하고, 상기 회전조절스프링(410)의 타단을 상기 제1헤드(402)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삭제
상기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과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이 설치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비계에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을 설치한다.
상기 건축물의 비계에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작업통로인 관통공(202)을 통과하기 위해, 안전도어(21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삭제
상기 안전도어(214)을 시계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안전도어(214)에 용접되어 있는 제2톱니부(316)가 제1톱니부(312)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의 제2톱니부(316)가 제1톱니부(312)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의 회전조절스프링(410)의 타단이 제1헤드(402)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조절스프링(410)은 안전도어(214)가 천천히 회전하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상기 안전도어(2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안전도어(214)의 회전에 따라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열리므로, 상기 안전도어(214)는 작업자가 원하는 개폐각도에서 언제라도 멈추거나 열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열리면, 작업자가 사다리(600)를 타고 위층으로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안전도어(2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삭제
상기 안전도어(21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안전도어(214)에 용접되어 있는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의 제2톱니부(316)가 제1톱니부(312)를 타고 반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제2톱니부(316)가 제1톱니부(312)를 타고 시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400)의 회전조절스프링(410)의 타단이 제1헤드(402)의 외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조절스프링(410)은 안전도어(214)를 천천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안전도어(21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안전도어(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통로인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관통공(202)이 폐쇄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202 : 관통공 204 :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
206 : 제1고정대 208 : 제2고정대
210 : 제1철망 212 : 제2철망
214 : 안전도어 216 : 제3철망
218 : 연장부
220 :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
222 :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
400 : 제3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

Claims (5)

  1. 삭제
  2. 관통공(20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과;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고정대(206)와; 상기 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2고정대(20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1고정대(206)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1철망(210)과; 상기 제1철망(2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상면과 제2고정대(208)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 제2철망(212)과; 상기 제1고정대(20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 안전도어(214)와; 상기 안전도어(214)의 상면에 설치된 제3철망(216)과; 상기 안전도어(214)의 끝단에 연장 돌출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안전도어(214)가 제2고정대(208) 보다 밑으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는 연장부(218)와; 상기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214)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과; 상기 제1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사각형상의 본체프레임(204)의 일측과 안전도어(214)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안전도어(21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안전도어(214)의 개폐각도를 조절하는 제2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2);을 포함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도어개폐각도조절수단(220)(222)은, 헤드(302)와; 상기 헤드(302)에 연장 설치되되, 외주연에 완전한 완전나사산(304)과 일면이 깎여 있는 불완전한 불완전나사산(306)을 구비하고 있는 봉(308)과;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의 치합되되, 제1톱니(310)를 구비하고 있는 제1톱니부(312)와; 상기 제1톱니부(3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308)의 완전나사산(304)에 치합되되, 상기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에 마주보게 제2톱니(314)를 구비하고 있는 제2톱니부(316)와; 상기 제1톱니부(31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을 수용하고 있는 와셔(318)와;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을 수용하되, 상기 제1톱니부(312)와 와셔(318)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320)과; 상기 봉(308)의 불완전나사산(306)에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320)을 압축하거나 원위치시키는 너트(322)를 포함하되,
    상기 제2톱니부(316)는 안전도어(214)에 용접되고 상기 안전도어(214)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톱니부(312)의 제1톱니(310)에 치합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96467A 2014-07-29 2014-07-29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54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67A KR101546627B1 (ko) 2014-07-29 2014-07-29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467A KR101546627B1 (ko) 2014-07-29 2014-07-29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627B1 true KR101546627B1 (ko) 2015-08-21

Family

ID=5406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467A KR101546627B1 (ko) 2014-07-29 2014-07-29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771B1 (ko) * 2023-05-30 2024-02-27 이점식 Mss공법으로 제작된 교량 교각에 발생하는 구멍으로 인한 테러방지용 사방조임 안전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78B1 (ko) 2009-07-13 2011-07-04 주식회사 창건 오픈형 안전발판
KR101262635B1 (ko) 2013-02-22 2013-05-08 정기환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KR101346387B1 (ko) 2012-01-04 2014-01-02 정기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178B1 (ko) 2009-07-13 2011-07-04 주식회사 창건 오픈형 안전발판
KR101346387B1 (ko) 2012-01-04 2014-01-02 정기환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KR101262635B1 (ko) 2013-02-22 2013-05-08 정기환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771B1 (ko) * 2023-05-30 2024-02-27 이점식 Mss공법으로 제작된 교량 교각에 발생하는 구멍으로 인한 테러방지용 사방조임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390150B1 (ko) 추락방지용 난간대
KR10154662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34638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AU2012243421A1 (en) Adjustable safety barrier system
KR101262635B1 (ko) 보조 완충수단이 구비된 갱폼의 안전도어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101564516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시스템
KR101906503B1 (ko) 건축용 안전 보호망
KR101541837B1 (ko) 외부 거푸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JP4190452B2 (ja) 可搬式作業台の手摺
KR101756054B1 (ko) 갱폼 작업자 추락 방지용 접이식 위험표시장치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KR20160070652A (ko) 갱폼 일체형 데크 운영 시스템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515038B1 (ko) 작업자 안전을 강화한 갱폼 및 갱폼용 도어 조립체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200003562A (ko) 접이식 대피장치
KR10103586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557013B1 (ko) 갱폼 및 갱폼용 도어 장치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20140116286A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KR101581928B1 (ko) 돌출형태에 대응구성을 갖는 건축용 갱폼
KR200496217Y1 (ko) 어린이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KR102058790B1 (ko) 갱폼의 작업발판 출입용 자동식 안전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