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758B1 -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758B1
KR100855758B1 KR1020070014753A KR20070014753A KR100855758B1 KR 100855758 B1 KR100855758 B1 KR 100855758B1 KR 1020070014753 A KR1020070014753 A KR 1020070014753A KR 20070014753 A KR20070014753 A KR 20070014753A KR 100855758 B1 KR100855758 B1 KR 10085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uilding
support member
safety scaffol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624A (ko
Inventor
김천호
Original Assignee
김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호 filed Critical 김천호
Priority to KR102007001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안전발판을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과 리프트 구조물간의 간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리프트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안전발판이 설치된 층에 도착하여 리프트의 문을 오픈한 후 건물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일측은 건물의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건물의 난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리프트와 건물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소정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리프트에 근접될 때 발생되는 충격 또는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건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간격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안전발판, 리프트, 슬라이드부재, 고정부재, 지지부재,

Description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Safety scaffold preventing from worker from falling when using lift of working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지지부재
120: 제1고정부재
130 : 슬라이드부재
140: 제2고정부재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안전발판을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과 리프트 구조물간의 간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리프트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안전발판이 설치된 층에 도착하여 리프트의 문을 오픈한 후 건물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 등의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대형 중장비, 각종 자재 및 많은 수의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며, 이처럼 많은 자재와 인력을 사용하여 건물을 시공하게 되면 작업자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물의 공사중에 설치되는 리프트에는 작업자 또는 많은 물건을 실어나르고 있으나, 추락 등에 대한 충분한 안전장치나 장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건물의 난간과 리프트 구조물 사이에는 그 특성상 30-40cm 정도의 이격공간이 항상 존재하므로, 작업자 또는 물건의 낙하가 빈번히 발생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리프트의 출입구측 하단에 안전발판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출입시에 건물의 난간과 리프트 구조물 사이 공간에 안전발판을 설치한다.
그러나, 작업자들이 리프트를 출입할 때마다 안전발판을 설치한 후 이동하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여 이를 설치하지 않고 이동함으로써 안전발판의 이용률이 현저 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안전발판을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과 리프트 구조물간의 간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리프트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안전발판이 설치된 층에 도착하여 리프트의 문을 오픈한 후 건물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은,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일측은 건물의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건물의 난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리프트와 건물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소정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리프트에 근접될 때 발생되는 충격 또는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발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은 지지부재(110), 제1고정부재(120), 슬라이드부재(130) 및 제2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10)의 일측은 제1고정부재(120)에 의해 건물의 난간(예를들면, 발코니 턱 또는 창틀)에 고정되고, 지지부재(110)의 타측은 그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난간의 외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110)는 난간의 외측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130)가 지지부재(110)의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체결홀(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체결홀(116)은 제2고정부재(140)에 의해 슬라이드부 재(130)와 관통되게 체결된다. 즉, 건물의 난간과 공사장의 리프트와의 거리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30)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부재(110)에 체결된다.
제1고정부재(120)는 지지부재(110)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볼터/너트 결합구조 또는 브라켓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고정부재(120)의 조절을 통해 지지부재(110)가 슬라이드부재(130)의 폭에 해당하는 사이 간격을 갖으면서 나란히 건물난간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발코니 턱 또는 창틀의 턱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재(130)는 리프트(150)와 건물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키도록 지지부재(110)간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지지부재(110)간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리프트의 출입구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부재(130)는 지지부재(110)에 수용되면서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체결홀(116)과 체결되도록 슬라이드부재(130)의 양측단에 다수의 연결홀(136)을 형성한다.
제2고정부재(140)는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부재(130)를 소정위치에서 지지부재(110)에 고정시키며, 볼터/너트 또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고정부재(140)는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116)과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홀(136)을 관통하여 지지부재(110)에 슬라이드부재(130)를 체결시킨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리프트 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재(110)의 일측을 건물의 난간(예를들면, 베란다 턱, 발코니 턱 또는 창틀)에 밀착한 후 제1고정부재(120)를 조절하여 지지부재(110)가 건물의 난간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슬라이드부재(130)를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수용공간에서 필요로하는 길이만큼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지지부재(110)에 형성된 체결홀(116)과 슬라이드부재(130)에 형성된 연결홀(136)이 관통되도록 길이를 맞춘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홀(136)과 체결홀(116)을 관통하도록 제2고정부재(140)를 삽입하여 슬라이드부재(130)를 지지부재(110)에 고정시킨다.
즉,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안전발판이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리프트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안전발판이 설치된 층에 도착하여 리프트의 문을 오픈하여 건물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건물과 리프트 구조물간의 간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300)은 그 일측이 건물의 난간에 밀착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고정부재(320)는 상기 절곡되게 형성된 안전발판(300)의 일측을 일정 간격으로 건물의 난간에 고정시켜 안전발판(300)을 고정시킨다.
안전발판(300)의 타측 하단에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부(340)가 안전발판(300) 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멀어지게 되는 안전발판(300)의 타측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안전발판(300)은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출입구까지의 거리에 상관없이 건물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의 출입구에 다다르게 되는 안전발판(300)의 길이가 일정하도록 고정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대량생산에 용이하고 대부분의 공사장에서 바로 설치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서는, 슬라이드부재가 리프트에 근접될 때 발생되는 충격 또는 마찰을 줄이도록 슬라이드부재의 끝단에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슬라이드부재의 양측 하단부에 슬라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지지부재에는 슬라이드 레일을 수용하는 슬라이드 홈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레일이 슬라이드홈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은,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안전발판을 건물 의 난간으로부터 리프트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함으로써 건물과 리프트 구조물간의 간격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리프트를 이용하는 작업자가 안전발판이 설치된 층에 도착하여 리프트의 문을 오픈한 후 건물내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건물의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어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리프트 구조물과 건물간의 거리간격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Claims (5)

  1.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일측은 건물의 난간에 고정되고, 타측은 건물의 외측방향으로 설치되며, 소정의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건물의 난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리프트와 건물 사이의 틈을 최소화시키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공간에 슬라이드되게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소정위치에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리프트에 근접될 때 발생되는 충격 또는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끝단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볼터/너트 또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을 건물의 난간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수용공간의 양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결홀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상기 체결홀과 관통되도록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 및 연결홀을 관통하는 다수의 볼터/너트 또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4. 삭제
  5. 삭제
KR1020070014753A 2007-02-13 2007-02-13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085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53A KR100855758B1 (ko) 2007-02-13 2007-02-13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753A KR100855758B1 (ko) 2007-02-13 2007-02-13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624A KR20080075624A (ko) 2008-08-19
KR100855758B1 true KR100855758B1 (ko) 2008-09-01

Family

ID=3987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753A KR100855758B1 (ko) 2007-02-13 2007-02-13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059A (ko) 2019-02-11 2020-08-20 김윤호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102268866B1 (ko) * 2021-04-20 2021-06-24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호이스트 안전발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362Y1 (ko) * 2008-10-31 2009-07-23 주식회사 국제곤도라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KR101123884B1 (ko) * 2011-06-17 2012-03-23 박슬기 난간 안전장치
KR200470167Y1 (ko) * 2011-07-04 2013-12-02 주식회사 씨에이치건기 리프트용 안전발판구조
CN103526919B (zh) * 2013-10-21 2015-09-09 中山市电梯厂有限公司 一种电梯井道封口平台装置
CN109537867A (zh) * 2018-12-27 2019-03-29 上海绿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爬模装置的超高层核心筒内防护平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21U (ko) * 1995-09-20 1997-04-28 한준수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200150256Y1 (ko) 1995-11-14 1999-07-01 함영수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JP2003193684A (ja) 2002-12-06 2003-07-09 Okabe Co Ltd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JP2005155264A (ja) 2003-11-27 2005-06-16 Okabe Co Ltd 仮設部材支持用具
KR100752394B1 (ko) * 2006-08-07 2007-08-28 대주건설주식회사 리프트 발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21U (ko) * 1995-09-20 1997-04-28 한준수 건축용 다용도 브라켓
KR200150256Y1 (ko) 1995-11-14 1999-07-01 함영수 엘리베이터홀 안전망 지지대
JP2003193684A (ja) 2002-12-06 2003-07-09 Okabe Co Ltd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JP2005155264A (ja) 2003-11-27 2005-06-16 Okabe Co Ltd 仮設部材支持用具
KR100752394B1 (ko) * 2006-08-07 2007-08-28 대주건설주식회사 리프트 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059A (ko) 2019-02-11 2020-08-20 김윤호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KR102268866B1 (ko) * 2021-04-20 2021-06-24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호이스트 안전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624A (ko) 200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758B1 (ko)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1288683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장치
US20190194957A1 (en) Telescoping Break-Away Canopy Assembly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BRPI0808589A2 (pt) &#34;conjunto restritor de queda e método para instalar um comjunto restritor de queda&#34;
RU2593856C2 (ru) Система ограничения подъема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лестниц
KR20120008002U (ko) 건축물의 외벽 난간에 설치되는 안전도어가 구비된 비계
RU2711385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адения человека при подъеме и спуске на высотном объекте (варианты)
KR200389365Y1 (ko) 수직 추락 방지 장치
US20130069027A1 (en) Safety Barrier
KR20190022287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WO2012116411A1 (en) Safety frame and components therefor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KR100726445B1 (ko) 추락방지용 안전대 걸이 구조
US11518651B2 (en) Additional platform for a working platform
KR101559242B1 (ko) 안전난간대
US9526928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KR200426297Y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건축공사용 방호 케이지
RU21007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адения человека при подъеме, спуске и выполнении работ на высоте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KR20140118722A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