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394B1 - 리프트 발판 - Google Patents

리프트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394B1
KR100752394B1 KR1020060074028A KR20060074028A KR100752394B1 KR 100752394 B1 KR100752394 B1 KR 100752394B1 KR 1020060074028 A KR1020060074028 A KR 1020060074028A KR 20060074028 A KR20060074028 A KR 20060074028A KR 100752394 B1 KR100752394 B1 KR 10075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upport plate
balcony
scaffol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대주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주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주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발판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에 안착 되는 각형의 관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측으로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중공형 고정축을 형성하며, 양 측면으로는 삽입홀을 형성한 받침판과, 상기 발코니의 턱에 고정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으로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받침판의 삽입홀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된 결합홈을 구성하며, 상기 삽입홀과 결합홈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구성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트 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발판은 받침판의 삽입홀을 연결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을 법정기준치 이하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발판으로써 리프트와 발코니를 연결할 수 있어 작업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 발판이 리프트 내부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의 승강시에도 발판 제거의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전 문을 닫는 과정에서도 상기 리프트 발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고정축과 클램프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발판의 움직임이 발생 되지 않음은 물론, 받침판의 하측에 형성된 레벨조절수단과 양측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리프트 발판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프트, 발판, 발코니, 승강

Description

리프트 발판{Footboard of lift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발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턱 2 : 발코니
4 : 파이프 5 : 리프트
10 : 받침판 11 : 관
12 : 요철부 13, 13' : 고정축
14 : 삽입홀 15 : 연장축
16 : 조절볼트 17 : 완충부
18 : 레벨조절수단 20 : 고정수단
21 : 고정나사 22 : 결합홈
23 : 연결핀 30 : 지지부재
31 : 클램프 50 : 리프트 발판
본 발명은 리프트 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을 법정기준치 이하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발판으로 리프트와 발코니를 연결하여 발판의 설치와 제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효율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발판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와 손수레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리프트 발판에 관한 것이다.
법적으로 리프트는 시정정밀도를 감안하여 건물과의 거리가 40mm 이내에 설치되도록 정해져 있다.
그러나, 실상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이 40mm 이내에 설치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건물과의 간격을 기준치 이상 이격하여 상기 리프트를 설치하고, 상기 리프트 내부에 발판을 장착함으로써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을 좁혀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트 발판의 측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지는 리프트 발판(150)은 리프트 내부발판(110)과 건물 내부발판(120)으로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내부발판(110)은 리프트(105)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승,하차시 상기 리프트 내부발판(110)을 발코니(102)의 턱(101)에 안착시켜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으며, 상기 건물 내부발판(120)은 상기 발코니(102)에 장착하여 상기 리프트 내부발판(110)과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손수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승,하차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리프트 발판(150)은 리프트 내부발판(110)을 사용 후 리프트(105)의 승강시마다 리프트 내부발판(110)의 젖힘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리프트 내부발판(110)을 젖힐 때와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 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닫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트(105)와 건물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수레 이동시에는 리프트 내부발판(110) 외에도 건물 내부발판(120)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더욱 개량된 리프트 발판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받침판의 삽입홀을 연결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을 법정기준치 이하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발판으로써 리프트와 발코니를 연결할 수 있어 작업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 발판이 리프트 내부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의 승강시에도 발판 제거의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전 문을 닫는 과정에서도 상기 리프트 발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리프트 발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받침대의 고정축과 클램프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발판의 움직임이 발생 되지 않음은 물론, 받침판의 하측에 형성된 레벨조절수단과 양측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리프트 발판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리프트 발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트 발판은 발코니에 안착 되는 각형의 관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측으로는 요철부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중공형 고정축을 형성하며, 양 측면으로는 삽입홀을 형성한 받침판과, 상기 발코니의 턱에 고정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으로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받침판의 삽입홀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된 결합홈을 구성하며, 상기 삽입홀과 결합홈을 연결하는 연결핀을 구성한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프트 발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판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발판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 발판(5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5)와 건물 사이에 발생되는 간격을 줄이기 위해 연결하는 수단으로써, 받침판(10)과 고정수단(20)으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상기 받침판(10)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2)에 안착 되는 각형의 관(11)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지는 것으로, 상측으로는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부(12)를 형성하고 있고, 하측으로는 중공형 고정축(13)을 형성하고 있으며, 양 측면으로는 소정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홀(14)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13)의 중공부 지름(Φ)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파이프(4)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발코니의 턱에 따른 상기 받침판(1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파이프(4)를 결합할 수 있는 지름인 48.6mm로 일정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3)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연장축(15)과 상기 연장축(15)의 하측에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볼트(16)와 상기 조절볼트(16)의 하단에 연결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완충부(17)를 구비한 레벨조절수단(1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0)의 높이와 기울기를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2)의 턱(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제작된 것으로, 하측으로는 상기 발코니(2)의 턱(1)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나사(21)를 형성하고 있고, 상측면으로는 상기 받침판(10)의 삽입홀(1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된 결합홈(22)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상기 삽입홀(14)과 결합홈(22)을 연결하는 연결핀(23)의 의해 결합되어 상기 발코니(2)의 턱(1)에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2)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연결핀(23)과 결합시 용이한 결합이 됨과 동시에 상기 받침판(10)에 경사를 주었을 때에 상기 받침판(10)이 용이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에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14)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프트(5)와 건물의 간격에 상관없이 상기 받침판(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0)으로 발코니(2)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0)의 일측으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3)과 클램프(31)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0)이 건물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었을 시에도 상기 받침판(10)이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10)의 상측 가장자리에 고정축(1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0)이 경사지게 설치되었을 시에도 클램프(31)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상기 고정축(13')과 지지부재(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물에 리프트(5)를 설치한 후, 상기 리프트(5)와 건물의 간격이 법정기준치인 40mm이하로 되도록 받침판(10)을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10)을 리프트(5) 근처에 위치시킨 후에는 ㄷ자형상의 고정수단(20)을 발코니(2)의 턱에 삽입한 다음, 연결핀(23)을 사용하여 결합홈(22)과 삽입홈(14)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고정수단(20)과 받침판(1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받침판(10)의 양 측면을 상기 고정수단(20)을 통해 연결한 후에는 상기 고정수단(2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나사(21)로 상기 고정수단(20)을 발코니(2)의 턱(1)에 고정시킴으로써 받침판(10)과 고정수단(20)의 고정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20)에 의해 발코니(2)의 턱(1)에 고정된 받침판(10)은 상기 고정수단(20)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되게 되며, 상기와 같이 받침판(10)을 상기 고정수단(20)을 축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한 후에는, 상기 고정축(13)의 하측에 공사장에서 사용되는 파이프(4)를 절단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0)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축(13)의 하측에 레벨조절수단(18)이 구성되어 있을 시에는 별도의 파이프(4) 없이도 레벨조절수단(18)의 조절볼트(16)를 통하여 받침판(10)의 높이와 기울기를 더욱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코니(2)와 맞닿는 면에 구비된 완충부(17)에 의해 자재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0)과 발코니(2)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10)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축(13)과 클램프(31)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3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13)과 상기 지지부재(30) 가 클램프(31)에 의해 결합고정 되게 되어 상기 받침판(10)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판(10)의 상측 가장자리에 고정축(13')을 더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13')과 지지부재(30)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리프트 발판(50)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리프트(5)의 승강에 따른 분리 해체의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증대됨과 동시에 상기 리프트 발판(50)의 해체과정에서 발생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리프트 발판(50)이 항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 설치된 안전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닫는 과정에서도 안전사고가 방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 발판은 받침판의 삽입홀을 연결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리프트와 건물과의 간격을 법정기준치 이하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발판으로써 리프트와 발코니를 연결할 수 있어 작업준비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프트 발판이 리프트 내부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의 승강시에도 발판 제거의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전 문을 닫는 과정에서도 상기 리프트 발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고정축과 클램프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형성 함으로써 발판의 움직임이 발생 되지 않음은 물론, 받침판의 하측에 형성된 레벨조절수단과 양측에 형성된 고정수단에 의해 리프트 발판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턱이 형성된 건물의 발코니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리프트를 연결하는 리프트 발판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2)에 안착 되는 각형의 관(11)의 조합으로 구성되되, 상측으로는 요철부(12)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중공형 고정축(13)을 형성하며, 양 측면으로는 삽입홀(14)을 형성한 받침판(10);
    상기 발코니(2)의 턱(1)에 고정되도록 ㄷ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측으로 발코니(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21)가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상기 받침판(10)의 삽입홀(14)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된 결합홈(22)을 구성하며, 상기 삽입홀(14)과 결합홈(22)을 연결하는 연결핀(23)을 구성한 고정수단(2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트 발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에는 상기 고정축(13)에 삽입되는 레벨조절수단(18)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레벨조절수단(18)은 고정축(13)에 삽입되는 연장축(15)과 상기 연장축(15)의 하측에 결합되어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조절볼트(16)와 상기 조절볼트(16)의 하단에 연결되는 완충부(17)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트 발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고정축(13')이 더 형성되어 진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트 발판.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의 일측으로 상기 고정축(13, 13')과 클램프(31)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지지부재(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리프트 발판.
KR1020060074028A 2006-08-07 2006-08-07 리프트 발판 KR10075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028A KR100752394B1 (ko) 2006-08-07 2006-08-07 리프트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028A KR100752394B1 (ko) 2006-08-07 2006-08-07 리프트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394B1 true KR100752394B1 (ko) 2007-08-28

Family

ID=3861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028A KR100752394B1 (ko) 2006-08-07 2006-08-07 리프트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3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58B1 (ko) * 2007-02-13 2008-09-01 김천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1006364B1 (ko) * 2008-05-09 2011-01-10 탑시스템 주식회사 리프트용 보조발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30A (ko) * 2000-12-15 2001-04-06 신승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
KR200257249Y1 (ko) * 2001-09-17 2001-12-24 신룽칭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330A (ko) * 2000-12-15 2001-04-06 신승철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조통행로
KR200257249Y1 (ko) * 2001-09-17 2001-12-24 신룽칭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758B1 (ko) * 2007-02-13 2008-09-01 김천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1006364B1 (ko) * 2008-05-09 2011-01-10 탑시스템 주식회사 리프트용 보조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41Y1 (ko) 마루판 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받침대
EP2267243B1 (en) Concrete slab form system
KR10077377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457578B1 (ko) 보일러용 공중 비계 및 그 조립방법
CN111456330A (zh) 一种用于预埋钢筋的定位模具
KR100752394B1 (ko) 리프트 발판
KR101094022B1 (ko) 안전성을 높인 간판 작업용 사다리
KR100767645B1 (ko) 갱폼 레벨 및 수직 조절장치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200436779Y1 (ko) 난간살 지지대
KR20140000271U (ko) 이동식 사다리
US6607341B1 (en) Cabin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70246301A1 (en) Ladder leveling apparatus for adapting a ladder to an uneven surface
KR200472094Y1 (ko)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소작업용 사다리
KR200408510Y1 (ko)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JP5578905B2 (ja) ユニット式スロープ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20060095220A (ko) 방망 설치장치 및 그 방법
JP6664833B2 (ja) 車いす用のスロープ中継台
KR20180052874A (ko) 수직벽 지지 장치용 안전 장치
US1482898A (en) Scaffold
KR20120126580A (ko) 발코니 난간지지용 브래킷
JP6920173B2 (ja) ベルトコンベア支持装置
KR20180116061A (ko) 좌우측수직부가 각각 높이조절이 되는 사다리
KR102350422B1 (ko) 교량 점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