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249Y1 -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 Google Patents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249Y1
KR200257249Y1 KR2020010028549U KR20010028549U KR200257249Y1 KR 200257249 Y1 KR200257249 Y1 KR 200257249Y1 KR 2020010028549 U KR2020010028549 U KR 2020010028549U KR 20010028549 U KR20010028549 U KR 20010028549U KR 200257249 Y1 KR200257249 Y1 KR 200257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outer tube
support
clamping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룽칭
Original Assignee
신룽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룽칭 filed Critical 신룽칭
Priority to KR2020010028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249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의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버틸 수 있는 강철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강철 지지대는 외부관, 한쪽 끝단이 상기 외부관에 삽입되는 내부관; 각각 몸체를 가지는 두 개의 클램핑(clamping)부재, 상기 각 몸체의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내면에는 가로방향의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서로 밀착되거나 멀어지도록 일정한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면 상단에는 같은 간격으로 돌출된 두 개의 결속 립(Lip)이 있고, 상기 두 개의 결속 립 사이에는 각각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립 바닥면에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으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부관 상단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에 놓이고, 프레스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결속 립 하부에 놓인다.
상기 지지부재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부재의 결속 립 밑면의 가압부가 클램핑부재의 프레스부를 눌러서 상기 클램핑부재가 외부관을 조이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클램핑부재에 의해 조여져 있던 내부관이 풀리게 된다.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놓인 몰드보드를 지지할 수 있어서 넓은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The Steel Prop Capable of Bearing Bidirectional Applied Force}
본 고안은 몰드보드를 지지하는 강철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축의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버틸 수 있는 강철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몰드보드를 지지하는 강철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강철 지지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12)과, 상기 외부관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13)와, 상기 조절대를 감싸며 돌아가는유지나사(15)와, 상기 외부관 및 조절대와 포개지며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핀홀(17)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관(16)과, 상기 조절대에 형성된 홈(14)을 통해 상기 내부관의 핀홀 중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핀(18)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려면, 먼저 내부관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해서 삽입핀(18)을 내부관의 핀홀(17)에 끼우고, 유지나사(15)는 상기 삽입핀을 고정하기 위해서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돌려서 끼운다.
그러나 종래의 강철 지지대는 길이를 조절할 때 조절 방법이 복잡해서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삽입핀과 핀홀의 접촉면적도 좁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은 강철 지지대가 개발되었다. 상기 지지대(20)는 외부관(22)과, 내부관(24)과, 두 개의 클램핑부재(25) 및 지지부재(28)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관의 상단은 도 4와 같이 원뿔모양(23)을 하고 있으며, 상기 내부관의 몸체(24)에는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25)의 내면에는 가로모양의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분(23)에 놓인 상태로 한쪽 방향에서 핀(27)을 꽂아서 연결한다. 또한 지지부재(28)는 상기 핀(27)을 꽂은 반대쪽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와 같이 지지부재(28)의 고정막대(29)를 위쪽으로 향하게 하고 내부관을 원하는 길이만큼 잡아당긴다. 이때, 내부관과 클램핑부재의 나삿니가 서로 맞물리지 않으면 내부관을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살짝 잡아당긴 다음 도 7과 같이 고정막대(29)를 아래로 내려서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8과 같이 클램핑부재와 내부관의 나삿니와 서로 맞물려서 내부관이 외부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고 몰드보드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강철 지지대는 길이를 조절하는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클램핑부재의 나삿니가 내부관 표면의 나삿니와 맞물리기 때문에 높은 길이도 지지할 수 있도록 강하게 조여진다.
그러나 상기 강철 지지대는,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관이 외부관 속으로 들어가지는 않지만 외부관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여 내부관이 바깥쪽으로 당겨지면 외부관과 분리되어 버린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강철 지지대는 수직으로 서 있는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비스듬한 상태나 가로로 놓인 상태로는 몰드보드를 지지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강철 지지대는 도 1의 삽입핀(18)과 유지나사(15)의 이동식핸들(151)과, 도 3의 고정막대(29) 등 외부에 장착되는 장치가 많아서 사용자가 상처를 입을 수 있고, 상기 지지대를 옮기거나 쌓아놓을 때 상기 외부에 부착된 장치들이 충돌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특히 축의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버틸 수 있는 강철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강철 지지대의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
도 4는 도 3의 분해도,
도 5는 도 3의 내부관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내부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8은 도 7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의 구조도,
도 10은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의 분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수직단면도로서 잠금상태를 나타낸 도,
도 13은 도 12의 점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점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가 풀린 상태를 나타낸 도,
도 16은 도 15의 수직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점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8은 도 16에서 내부관을 위쪽으로 당겼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
도 19는 외부관과 내부관이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 및
도 2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지지대 40 : 외부관 44 : 하판
50 : 내부관 52 : 상판 54 : 나삿니
60 : 클램핑부재 66 : 리프트핸들 70 : 지지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외부관, 상기 외부관 상단에는 내벽이 안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원뿔면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관, 상기 내부관은 외면에 연속적인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 끝단이 상기 외부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몸체를 가지는 두 개의 클램핑(clamping)부재, 상기 각 몸체의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내면에는 가로방향의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리프트핸들(Lift Handle)이 있고, 상기 각 리프트핸들 하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프레스부가 있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서로 밀착되거나 멀어지도록 일정한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면 상단에는 같은 간격으로 돌출된 두 개의 결속 립(Lip)이 있고, 상기 두 개의 결속 립 사이에는 각각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립 바닥면에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부관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끝단이 상기 외부관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외부관 상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하단부 절반이 상기 지지부재로 둘러싸여 있고;
평상시에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에 놓이고, 프레스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결속 립 하부에 놓이고, 상기 리프트핸들은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지지부재 바깥쪽에 놓여있고;
상기 지지부재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 결속 립 밑면인 가압면이 클램핑부재의 프레스부와 접촉되고 상기 프레스부를 눌러서 상기 지지부재와 클램핑부재가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을 통해 서로 접근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나삿니는 내부관의 나삿니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끝단이 외부관 상단과 결속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결속 립이 프레스부에서 떼어지고, 상기 프레스부가 함몰부에 놓이게 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와 지지부재의 결속이 풀리고, 상기 클램핑부재에 의해 조여져 있던 내부관이 풀리고, 상기 클램핑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지대(30)는 외부관(40)과 내부관(50)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관 상단에는 외부관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Flange,42)가 있으며, 상기 플랜지 내벽은 안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면(4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관의 하단에는 하판(44)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내부관의 상단에는 상판(52)이 부착되어 있고, 내부관의 몸체에는 사다리꼴로 연속적인 나삿니(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은 외부관 속으로 미끄러지듯이 포개진다.
상기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43)에 위치하며 동일한 형상을 한 두 개의 클램핑(Clamping)부재(60)는 단면이 반원인 몸체(6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면에는 가로모양의 나삿니(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삿니 상단에는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는 두 개의 다리(65)가 있고, 상기 몸체의외면 가운데 부분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리프트핸들(Lift Handle,66)이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핸들 하단에는 가로로 돌출된 프레스부(67)가 있고, 상기 프레스부의 주변에는 몸체를 감싸며 리브(Rib,6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의 두 다리에는 각각 구멍이 있는데, 상기 구멍으로 삽입된 핀(69)에 의해 두 개의 클램핑부재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재 사이에는 틈이 있고, 상기 틈에 의해서 두 클램핑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지지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70)는 내부가 비어있는 고리모양으로 상기 클램핑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 상단에는 두 개의 결속 립(Lip)(7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 립(72)에 의해 그 사이에는 두 개의 함몰부(74)가 형성되며, 상기 결속 립의 바닥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가압면(73)이 있고, 지지부재 내면 하단에는 고리모양의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고리모양의 홈(76)에 C자 모양 고리인 정지장치(77)를 끼우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두 개의 조절장치(7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 상단의 플랜지(42)에 맞물린 정지장치(77)에 의해 외부관과 연결되고, 클램핑부재(60) 몸체(62) 하부의 절반정도가 상기 지지부재 내로 삽입된다. 상기 클램핑부재 외면 하단에 형성된 프레스부(67)와 상기 프레스부 주위의 리브(68)는 지지부재 내면의 결속 립(72) 하부에 끼워지고, 클램핑부재의 리프트핸들(66)은 수동 작동을 위해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는 잠금 상태의 강철 지지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지지부재의 결속 립(72)의 가압면(73)이 클램핑부재(60)의 프레스부(67)를 누르면 상기 클램핑부재는 서로 접근하면서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에 의해 외부관 내로 삽입된다. 이때 클램핑부재 내부의 나삿니(63)가 외부관 외면의 나삿니(54)와 맞물리면서 내부관을 조이게 되므로, 상기 내부관이 외부관 안으로 쑥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70) 내면 하단의 고리모양의 홈(76)에 끼워진 정지장치(77)는 외부관(40)의 플랜지(42)와 맞물려서 내부관이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부재(60)와 내부관(50)은 상기 지지부재(70)에 의해 외부관과 결합되며, 상기 여러 장치들이 서로 맞물려 있음으로 해서 내부관은 외부관 안으로 쑥 들어가지도 않고, 외부관 밖으로 이탈되지도 않는다.
외부관(40)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부관(50)의 길이를 조절하려면, 먼저 지지부재(70)를 도 15의 화살표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90도 돌린다. 그러면 클램핑부재(60)의 프레스부(67)가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지지부재 내의 함몰부(74)에 끼워져서 더 이상 결속 립(72)의 압력을 받지 않게 되므로 클램핑부재는 지지부재의 압력에서 풀려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관을 손으로 붙잡아서 도 18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원하는 길이만큼 늘릴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내부관과 맞물려 있어서 내부관과 함께 움직이게 되고, 클램핑부재의 하단이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43)과 떨어지면서 도 18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 같이 두 클램핑부재간 거리가 멀어진다. 따라서 클램핑부재의 나삿니(63)는 더 이상 내부관의 나삿니(54)와 맞물려있지 않게 되므로 내부관을 잡아당길 수 있다.
내부관(50)이 위쪽으로 움직일 때 클램핑부재(60)가 내부관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일정거리 만큼 상기 내부관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도 17과 같이 클램핑부재의 프레스부(67)를 지지부재 내의 함몰부(74)에 맞추면 상기 클램핑부재는 자유롭게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부재 하단의 리브(68)가 지지부재의 결속 립(72)과 맞물려서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멈추게 되므로 클램핑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50)을 원하는 높이만큼 잡아당긴 후 손을 놓으면 중력에 의해 다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클램핑부재(60)가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43)에 놓이고, 클램핑부재 내면의 나삿니(63)가 내부관 외면의 나삿니(54)와 맞물리게 되므로 위로 잡아당기던 내부관을 놓더라도 상기 클램핑부재에 의해 내부관이 고정되어 원하는 높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를 사용할 때 몰드보드까지는 내부관의 상판(52)을 빠르게 움직일 수 있지만, 내부관 나삿니(54)의 피치 때문에 내부관 상판이 몰드보드와 완전히 밀착되지 못한다. 이때 사용자는 클램핑부재의 리프트핸들(66)을 두 손으로 잡고 클램핑부재(6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클램핑부재의 나삿니(63)와 내부관의 나삿니(54)가 완전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내부관의 상판(52)을 몰드보드와 완전히 밀착되게 함으로써 몰드보드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부재(7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해서 도 9, 도 12~14와 같은 위치로 되돌려 놓으면 결속 립(72)의 가압면(73)이 두 개의클램핑부재(60)를 누르게 되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43)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외부관을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73)은 경사가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70)를 위쪽으로 약간 잡아당겨서 도 12와 같이 정지장치(77)가 플랜지(42)와 완전히 접촉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여러 장치들(40, 50, 60, 70)이 완전히 서로 맞물리게 되어 내부관이 외부관 밖으로 빠지거나 외부관 속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의 길이를 줄일 때는 먼저 지지부재를 클램핑부재에서 분리하고, 리프트핸들(66)을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재를 시계방향으로 돌린 후 내부관을 아래로 내려서 몰드보드와 떨어지게 한다. 그런 다음 두 개의 리프트핸들(66)을 도 19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즉, 상기 클램핑부재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 17에서 클램핑부재의 프레스부(67)가 지지부재 내면의 결속 립(72)과 분리되기 때문에 클램핑부재를 위로 올릴 수 있게 되고 원뿔면(43)에서도 분리되므로 조여졌던 것이 풀리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부재는 더 이상 내부관을 조이지 않게 되고 내부관은 중력에 의해 외부관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클램핑부재를 올리더라도 클램핑부재 하단을 둘러싼 리브(68)는 지지부재의 결속 립(7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서 내부관(50)을 내리기 위해 클램핑부재(60)를 위로 올리면 내부관의 외면이 클램핑부재 내면 상단의 돌출부(64)와 부딪쳐서 닳게 되므로 클램핑부재 내면의 나삿니(63)가 클램핑부재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상태의 조절장치(78)는 클램핑부재의 리프트핸들(66)과 나란히 놓이고, 풀림 상태에서는 상기 조절장치(78)가 클램핑부재의 다리(65)와 나란히 놓이게 되므로 지지대의 상태를 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놓인 상태에서 사용됨은 물론, 도 20과 같이 지지대(30)의 한쪽 끝을 바닥에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바닥과 수직으로 놓인 벽면이나 몰드보드(80)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대각선으로 놓인 상태에서도 상기 벽면이나 몰드보드(8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1과 같이 지지대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도 지지대 양단에 수직으로 서 있는 몰드보드(8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놓인 몰드보드를 지지할 수 있어서 넓은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강철 지지대는 외부에 고정되지 않는 장치가 없어서 사용자가 상처를 입을 염려가 없고, 상기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쌓아 올릴 때도 장치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외부관, 상기 외부관 상단에는 내벽이 안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원뿔면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관, 상기 내부관은 외면에 연속적인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 끝단이 상기 외부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각각 몸체를 가지는 두 개의 클램핑(clamping)부재, 상기 각 몸체의 단면이 반원형상이고, 내면에는 가로방향의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출된 리프트핸들(Lift Handle)이 있고, 상기 각 리프트핸들 하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프레스부가 있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서로 밀착되거나 멀어지도록 일정한 거리 내에서 이동 가능하며;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면 상단에는 같은 간격으로 돌출된 두 개의 결속 립(Lip)이 있고, 상기 두 개의 결속 립 사이에는 각각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속립 바닥면에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외부관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끝단이 상기 외부관 상단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외부관 상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하단부 절반이 상기 지지부재로 둘러싸여 있고;
    평상시에는 상기 클램핑부재의 바닥면은 상기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에 놓이고, 프레스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결속 립 하부에 놓이고, 상기 리프트핸들은 수동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지지부재 바깥쪽에 놓여있고;
    상기 지지부재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면 결속 립 밑면인 가압면이 클램핑부재의 프레스부와 접촉되고 상기 프레스부를 눌러서 상기 지지부재와 클램핑부재가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부재는 외부관 상단의 원뿔면을 통해 서로 접근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의 나삿니는 내부관의 나삿니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 끝단이 외부관 상단과 결속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결속 립이 프레스부에서 떼어지고, 상기 프레스부가 함몰부에 놓이게 되고, 상기 클램핑부재와 지지부재의 결속이 풀리고, 상기 클램핑부재에 의해 조여져 있던 내부관이 풀리고, 상기 클램핑부재가 지지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 상단에는 상기 외부관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가 있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정지되는 정지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 하부에는 고리모양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에는 상기 정지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클램핑부재 외면의 프레스부 하단에는 가로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리브가 있고, 상기 리브는 지지부재 내면의 결속 립에 의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의 양 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다리가 있고, 상기 다리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핀이 각각 다리의 홀을 통과하여 두 개의 클램핑부재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핑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외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이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의 상면이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KR2020010028549U 2001-09-17 2001-09-17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KR200257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9U KR200257249Y1 (ko) 2001-09-17 2001-09-17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9U KR200257249Y1 (ko) 2001-09-17 2001-09-17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249Y1 true KR200257249Y1 (ko) 2001-12-24

Family

ID=7310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549U KR200257249Y1 (ko) 2001-09-17 2001-09-17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24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394B1 (ko) * 2006-08-07 2007-08-28 대주건설주식회사 리프트 발판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100979817B1 (ko) * 2008-04-17 2010-09-09 이세원 건축용 서포터
US8117787B2 (en) 2008-08-15 2012-02-21 Sei-Won Lee Construction support
KR102472534B1 (ko) * 2021-12-14 2022-12-01 정우진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394B1 (ko) * 2006-08-07 2007-08-28 대주건설주식회사 리프트 발판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100979817B1 (ko) * 2008-04-17 2010-09-09 이세원 건축용 서포터
US8117787B2 (en) 2008-08-15 2012-02-21 Sei-Won Lee Construction support
KR102472534B1 (ko) * 2021-12-14 2022-12-01 정우진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290B1 (ko) 안전 서포트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0257249Y1 (ko)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US11319714B2 (en) Telescoping formwork support with twist-proof region
EP0522230A1 (en) Jack for supporting construction works
KR20130123665A (ko) 간편 조절형 파이프 렌치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1049893B1 (ko) 내풍압성이 우수한 가로등
KR101971688B1 (ko)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KR102039439B1 (ko) 잭베이스 서포터
KR200214426Y1 (ko) 석재 벽판 지지용 앵글
CN214658825U (zh) 一种用于卫生间止水坎台模板的加固装置
KR101883887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수평조절장치
KR200189895Y1 (ko)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KR20090042695A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20210115124A (ko) 콘크리트 매설 전도방지용 인서트 앵커너트
KR20030031732A (ko) 압연롤 쵸크 고정장치
KR102637867B1 (ko) 고정력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앵커볼트
JP7534208B2 (ja) 仮設足場における足場板の位置決め係止装置
KR940002693Y1 (ko) 책상용 다리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43641Y1 (ko)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JP3152431U (ja) のぼり用横棒
KR200173856Y1 (ko) 나사봉을 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중 너트 결속 구조
JPS5918174Y2 (ja) 伸縮管体の固定装置
KR200341623Y1 (ko) 다단식 지팡이용 승강체 및 압지체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