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534B1 -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 Google Patents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534B1
KR102472534B1 KR1020210178907A KR20210178907A KR102472534B1 KR 102472534 B1 KR102472534 B1 KR 102472534B1 KR 1020210178907 A KR1020210178907 A KR 1020210178907A KR 20210178907 A KR20210178907 A KR 20210178907A KR 102472534 B1 KR102472534 B1 KR 10247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haft
thread
screw
supporter member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진
정진희
정상준
윤기중
이명순
Original Assignee
정우진
정진희
정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진, 정진희, 정상준 filed Critical 정우진
Priority to KR102021017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2Scaffold feet, e.g. with arrangements for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계의 높이 조정을 빠르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쟈키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Jack base of scaffolding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계의 높이 조정을 빠르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쟈키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는 시공중인 건물의 외벽에 가설되어 작업자 등의 안전을 보호하거나 작업발판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대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파이프를 연장시켜 일정 규격의 프레임을 형성한 후에, 그 사이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한 안전 발판을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비계는 조립 방법 등의 차이에 따라 단관 비계나 틀 비계 등과 같이 구별되기도 하나, 어떠한 경우라도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비계 파이프와 각 비계 파이프를 교차하는 가새 및 수직 파이프의 최하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비계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계에 있어서, 상기 비계베이스는 지면에 접촉되는 일정 면적이 베이스 판과 이 베이스 판 상에 일정 길이로 직립되어 상기 수직파이프를 결합하도록 된 단관체 형태의 서포터로 이루어진 것이다.
지반을 어느 정도 다진 후 비계를 설치하는데 폭우나 해빙 등으로 인해 지반이 침하될 때 비계의 일부(베이스)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계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공사 중 비계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비계는 하부에 설치된 쟈키베이스를 통해 비계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종래의 쟈키베이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축(32)에 서포터부재(33)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서포터부재(33)에 수직파이프(10)가 지지되어 구성된다.
서포터부재(33)를 회전시키면 서포터부재(33)가 스크류 축(32)을 따라 승강하며 수직파이프(10)가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비계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그런데. 고하중을 견디도록 설계된 비계는 스크류 축(32)과 서포터부재(33)의 나사산 사이의 간격인 피치(pitch)를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조절하여야 하는 높낮이가 큰 경우에는 서포터부재(33)를 많이 돌려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3007호,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쟈키"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3735호,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274호, "비계베이스"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1959호,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 쟈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비계의 높낮이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는 외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고, 하부에 베이스 판(101)이 체결된 원통 형태의 스크류 축(110); 링 형태로 성형되고, 몸체(121) 내면에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되되, 상기 몸체(121)는 분할 구성되어 분할된 몸체(121)가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었을 때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이 나사 결합되고, 몸체(121)가 분리되면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과 나사 결합이 해제되도록 형성된 서포터 부재(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축(110)의 외면에 소정 간격마다 방사상으로 돌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111)의 외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부(111)와 이웃한 돌부(111) 사이에 수직의 홈 형태로 홈(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에는 수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수단은 분할된 몸체(121)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23); 및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체결 수단은 분할된 몸체(121)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23);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일측의 플랜지(123)를 체결하여 분할된 몸체(12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128); 및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타측의 플랜지(123)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5);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123) 사이에는 스프링(127)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서포터 부재(12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절하여야 하는 높낮이가 큰 경우 서포터 부재(120)를 분리하여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을 해제한 후, 서포터 부재(120)를 목표 높이까지 빠르게 이동시키고 다시 서포터 부재(120)를 스크류 축(110)에 나사 결합하여 정밀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빠르게 여러 비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계를 최초 설치할 때도 상술한 방식으로 모든 비계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쟈키베이스가 적용된 건축용 비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쟈키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크류 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일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가 스크류 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가 스크류 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가 스크류 축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가 스크류 축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접하는 판 형태의 베이스 판(101)과, 상기 베이스 판(101)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축(110)과, 상기 스크류 축(110)에 나사 결합되어 비계의 수직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서포터 부재(120)로 구성된다.
스크류 축(1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판 형태의 베이스 판(101)이 체결되고, 외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된다.
이때, 스크류 축(110)의 몸체 외면에 방사상으로 소정 간격마다 돌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111)에 나사산(1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류 축(110)의 돌부(111)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수직 골 형태로 홈(113)이 형성된다.
스크류 축(110)은 이후 설명하는 서포터 부재(120)와 나사 결합되어 서포터 부재(12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외면에 나사산(112)이 구비된 돌부(111)를 스크류 축(120)의 몸체 외면에 방사상으로 형성하면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과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서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킬 때보다 적은 힘으로도 서포트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서포터 부재(120)와 스크류 축(110) 사이에 흙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서포트 부재(120)를 회전시킬 때 이물질이 스크류 축(110)의 홈(113)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쟈키베이스(100)를 구성하는 서포터 부재(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 부재(120)는 원통 형태의 몸체 내부에 나사산(124)이 형성되고, 몸체 외부에는 핸들(122)이 돌출됨으로써, 작업자가 핸들(122)을 파지하여 회전시키거나, 공구를 핸들(122)에 체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서포터 부재(12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분할하여 반원통 형태의 제1 몸체(121A)와 제2 몸체(121B)를 형성하고, 상기 제1,2 몸체(121A,121B)는 체결수단으로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2 몸체(121A,121B)의 양측에 각각 플랜지(123)를 돌출형성하고, 제1,2 몸체(121A,121B)를 체결할 때는 상기 플랜지(123)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볼트(125)를 삽입함으로써 제1,2 몸체(121A,121B)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2 몸체(121A,121B)의 플랜지(123) 사이에 스프링(127)을 삽입(체결볼트(125)가 코일 형태의 스프링을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함으로써, 서포터 부재(120)를 분리할 때 체결볼트(125)를 어느 정도 풀기만 하면 스프링(127)의 탄력에 의해 제1,2 몸체(121A,121B)가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2 몸체(121A,121B)의 플랜지(123)에는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제1,2 몸체(121A,121B)가 체결될 때 플랜지(123)의 홈에 스프링이 수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2 몸체(121A,121B)의 플랜지(123)가 접하면서 체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몸체(121A,121B)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124)에는 소정 간격마다 수직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하였을 때 접촉 면적을 줄여 적은 힘으로도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포터 부재(120)와 스크류 축(110) 사이에 흙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서포트 부재(120)를 회전시킬 때 이물질이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에 형성된 수직의 홈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에 형성된 수직의 홈과, 스크류 축(110)의 홈(113)이 일치하면서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8은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서포터 부재(120)의 제1,2 몸체(121A,121B)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도 7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과 스크류 축(110)이 나사산(112)이 물려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키면 서포터 부재(120)는 스크류 축(110)을 따라 승강하며 비계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만일, 조절하여야 할 비계의 높낮이 정도가 크다면 도 8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의 제1,2 몸체(121A,121B)를 분리하여 비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의 제1,2 몸체(121A,121B)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볼트(125)를 풀면, 스프링(127)의 탄력에 의해 제1,2 몸체(121A,121B)가 벌어지면서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에서 빠진다.
이때, 체결볼트(125)를 완전히 푸는 것보다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에서 빠질 수 있는 정도로 풀어 제1,2 몸체(121A,121B)를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에서 빠질 정도로 제1,2 몸체(121A,121B)가 벌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서포터 부재(120)를 들고 빠르게 높낮이를 조정한다.
이때는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에서 빠진 상태이므로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킬 필요 없이 들어올리거나 내려 빠르게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목표 높이까지 서포터 부재(120) 위치를 어느 정도 조정한 후에는 다시 체결볼트(125)를 조여 서포터 부재(120)의 제1,2 몸체(121A,121B)를 체결함으로써, 서포터 부재(120)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과 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 축(110)을 따라 서포터 부재(120)의 정밀한 높낮이를 조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1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1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몸체(121A,121B)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23) 중 어느 한쪽의 플랜지(123)는 체결볼트(125)로 체결되고, 다른 한쪽의 플랜지(123)는 힌지(128)로 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서포터 부재(120)는 작은 정도의 높낮이 조정은 도 10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가 스크류 축(110)에 체결(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켜서 조정한다.
그리고 조절하여야 하는 높낮이 정도가 크면 도 11과 같이 체결볼트(125)를 풀어 서포터 부재(120)의 제1,2 몸체(121A,121B)를 분리한다.
도 11과 같이 체결볼트(125)를 풀면 힌지(128)를 중심으로 제1,2 몸체(121A,121B)가 회전하며 벌어져서 서포터 부재(120)와 스크류 축(110)의 나사 결합이 해재된다.
도 11과 같이 서포터 부재(120)와 스크류 축(110)의 나사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서포터 부재(120)를 조절하여야 하는 높이까지 빠르게 이동시킨 후, 제결볼트(125)로 제1,2 몸체(121A,121B)를 체결하여 서포터 부재(120)를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시킨다.
그리고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된 서포터 부재(120)를 회전시켜서 목표 높이까지 정밀하게 높낮이를 조절한다.
또한, 도 4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터 부재(120)의 몸체(120) 상부{제1 몸체(121A) 및 제2 몸체(121B)의 상부}에는 가이드 경사면(126)을 형성함으로써, 도 2와 같이 서포터 부재(120)에 수직 파이프(10)를 올려놓을 때 수직 파이프(10)가 가이드 경사면(126)을 따라 서포터 부재(120)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서포터 부재(120)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조절하여야 하는 높낮이가 큰 경우 서포터 부재(120)를 분리하여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을 해제한 후 서포터 부재(120)를 목표 높이까지 빠르게 이동시키고, 다시 서포터 부재(120)를 스크류 축(110)에 나사 결합하여 정밀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빠르게 여러 비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계를 최초 설치할 때도 상술한 방식으로 모든 비계를 빠르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수직 파이프
11 : 받침판
100 : 쟈키베이스
101 : 베이스 판
110 : 스크류 축
111 : 돌부
112 : 나사산
113 : 홈
120 : 서포터 부재
121 : 몸체
121A : 제1 몸체
121B : 제2 몸체
122 : 핸들
123 : 플랜지
124 : 나사산
125 : 체결볼트
126 : 가이드 경사면
127 : 스프링
128 : 힌지

Claims (7)

  1. 외면에 방사상으로 나사산(112)이 구비된 돌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111)와 돌부(111) 사이에 수직의 홈(113)이 형성되며, 하부에 베이스 판(101)이 체결된 원통 형태의 스크류 축(110);
    링 형태로 성형되고, 몸체(121) 내면에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되되,
    상기 몸체(121)는 분할 구성되어 분할된 몸체(121)가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었을 때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이 나사 결합되고, 몸체(121)가 분리되면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과 나사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나사산(124)에는 소정 간격마다 수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21)가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다가 몸체(121)의 홈이 스크류 축(110)의 홈(113)과 일치되었을 때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스크류 축(110)과 몸체(121) 사이의 이물질이 일치된 홈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서포터 부재(1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분할된 몸체(121)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23)와,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플랜지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5)와, 상기 플랜지(123) 간의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에 수납되는 스프링(1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2. 외면에 방사상으로 나사산(112)이 구비된 돌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돌부(111)와 돌부(111) 사이에 수직의 홈(113)이 형성되며, 하부에 베이스 판(101)이 체결된 원통 형태의 스크류 축(110);
    링 형태로 성형되고, 몸체(121) 내면에 나사산(124)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되되,
    상기 몸체(121)는 분할 구성되어 분할된 몸체(121)가 체결 수단으로 체결되었을 때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이 나사 결합되고, 몸체(121)가 분리되면 몸체(121)의 나사산(124)이 스크류 축(110)의 나사산(112)과 나사 결합이 해제되며,
    상기 나사산(124)에는 소정 간격마다 수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21)가 스크류 축(110)과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다가 몸체(121)의 홈이 스크류 축(110)의 홈(113)과 일치되었을 때 나사 결합을 유지하면서 스크류 축(110)과 몸체(121) 사이의 이물질이 일치된 홈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 서포터 부재(12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분할된 몸체(121)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123)와,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일측의 플랜지(123)를 체결하여 분할된 몸체(121)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128)와, 분할된 각각의 몸체(121) 타측의 플랜지(123)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25)와, 상기 플랜지(123) 간의 접하는 면에 형성된 홈에 수납되는 스프링(12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178907A 2021-12-14 2021-12-14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KR10247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07A KR102472534B1 (ko) 2021-12-14 2021-12-14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07A KR102472534B1 (ko) 2021-12-14 2021-12-14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534B1 true KR102472534B1 (ko) 2022-12-01

Family

ID=8444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907A KR102472534B1 (ko) 2021-12-14 2021-12-14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53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49Y1 (ko) * 2001-09-17 2001-12-24 신룽칭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KR20050091179A (ko) * 2004-03-11 2005-09-1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0413007Y1 (ko) 2006-01-05 2006-04-05 김홍찬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쟈키
KR20150053735A (ko) 2015-04-07 2015-05-18 권오명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20170011274A (ko)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비계베이스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200116398A (ko) * 2019-11-19 2020-10-12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KR20210041959A (ko) 2019-10-08 2021-04-16 김광배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 쟈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249Y1 (ko) * 2001-09-17 2001-12-24 신룽칭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KR20050091179A (ko) * 2004-03-11 2005-09-15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0413007Y1 (ko) 2006-01-05 2006-04-05 김홍찬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쟈키
KR20150053735A (ko) 2015-04-07 2015-05-18 권오명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20170011274A (ko) 2015-07-22 2017-02-02 주식회사 창건 비계베이스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210041959A (ko) 2019-10-08 2021-04-16 김광배 건축용 비계의 베이스 쟈키
KR20200116398A (ko) * 2019-11-19 2020-10-12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6091C (en) Stabilizing systems for deck pedestals
US6524026B2 (en) Adjustable height utility access device
US5590863A (en) Support
US6220577B1 (en) Temporary guard railing
US20080105172A1 (en) Pedestal for Ballast Block Decking
US3991964A (en) Self-locking device for telescopic props
RU193541U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несу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фальшпола
US6520713B2 (en) Height and angle adjustable utility access device and method
US5711122A (en)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 floor form assembly on surrounding walls of a structure
US6419201B1 (en) Self-supporting post leveling device
CA2840414C (en) Work platform system configured for use in structure with internal cavity, and relate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KR100865068B1 (ko) 스크류잭
KR102472534B1 (ko)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KR101689851B1 (ko) 경사도 조절형 우수용 맨홀커버
KR200492348Y1 (ko) 팝너트가 체결된 높이조절 지지대
KR20160121880A (ko)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CN109898820B (zh) 装配式建筑外防护架及装配式建筑施工方法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EP1460024B1 (de) Säulenschwenkkran
KR20120008956A (ko) 팬스용 관절형 브라켓 구조
KR102216052B1 (ko) 가로대의 회전이 방지되는 각도조절 난간 구조체
WO2007088376A1 (en) Portable foundation
DE202004007314U1 (de) Befestigung eines Säulenschwenkkranes auf einem Betonboden
CN112538960A (zh) 一种方便拆装且稳固的脚手架
KR100815585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