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068B1 - 스크류잭 - Google Patents

스크류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68B1
KR100865068B1 KR1020070113422A KR20070113422A KR100865068B1 KR 100865068 B1 KR100865068 B1 KR 100865068B1 KR 1020070113422 A KR1020070113422 A KR 1020070113422A KR 20070113422 A KR20070113422 A KR 20070113422A KR 100865068 B1 KR100865068 B1 KR 100865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unit
screw jack
variable length
inclin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이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영 filed Critical 이태영
Priority to KR102007011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및 토목 구조용 스크류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고,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제1,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재와, 상기 길이가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잭, 가변수단, 길이가변부재, 기울기부재, 반구

Description

스크류잭{Screw mobile jack}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용 스크류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격 배치되는 지지부의 유격을 길이가변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스크류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버팀식 흙막이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반에 흙막이벽(1)과 중간말뚝(2)을 시공하고, 계획위치까지 지반을 굴착한 후 H빔의 띠장(3)을 설치하고, 버팀대(5)를 설치하여 띠장(3)을 지지한다.
이 때, 상기 버팀대(5)의 단부에 스크류잭(4)이 장착되어 버팀대(5)의 최종 치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잭(4)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3277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잭(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다수개의 핸들(13)이 외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핸들(13)의 상하부에 스크류(11, 12)가 형성된 몸통부(10)와, 상기 몸통부(10)의 상하부 스크류(11, 12)에 체결되는 상하부 결합관(21, 26)과 상기 상하부 결합관(21, 26)에 일체로 형성되어 지반이나 형강을 지 지하는 상하부 받침대(20, 25)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받침대(25)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11, 12)는 나사선이 서로 반대로 형성되어 핸들(13)을 돌리면 상하부 받침대(20, 25)가 동시에 서로 가까운 쪽으로 근접하거나 서로 멀어지게 이동한다.
종래의 스크류잭에 있어서는, 직선으로만 지지할 수 있어, 고르지 못한 설치공간에서는 버팀보를 절단하여 각도에 대응시켜야 하는 매우 어려운 작업을 해야하거나, 덧살을 채워야 하며,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류잭의 길이가변부재에 기울기부재를 구비하여 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고르지 못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를 절단하거나, 덧살을 채워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경제적이 효율을 향상시키는 스크류잭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 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고,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제1,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재와, 상기 길이가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는 상기 결합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가변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은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외주면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한 수용관을 형성하고, 상기 기울기부재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관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반구 형상의 회동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관의 수용홈은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와 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관에는 상기 기울기부재가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 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걸려 상기 기울기부재가 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부재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길이가변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를 제외한 부위의 단면형상은 다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링의 홀 형상은 상기 기울기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의 홀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에 의하면 길이가변부재에 기울기부재를 구비하여 지지부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고르지 못한 설치공간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버팀보를 절단하거나, 덧살을 채워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어 공사기간 단축과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또한, 핸들이 탈부착 가능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종래 발명과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단면도이며, 도 7 또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100)은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1지지부(110)와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부(120) 및,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의 유격을 가변시키고, 상기 제1,2지지부(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가 변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수단(140)은 상기 제1,2지지부(110,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110,120)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재(150)와,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지지부(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관(115)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50)는 상기 결합관(115)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지부(110,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수용홈(125)을 형성한 수용관(124)을 형성하고, 상기 기울기부재(160)는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관(124)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반구 형상인 회동돌기(16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지지부(112)에 결합관(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부(120)에 수용관(124)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112)는 지지판(112)과 결합관(1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120)는 지지판(122)과 수용관(1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지지판(112,122)과 결합관(114), 수용관(124)에는 일체로 보강편(130)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길이가변부재(150)는 축으로서, 외주면의 일단부에 나사산(154)을 형성 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170)이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핸들(170)은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외주면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170)의 일측 끝단에는 끼움돌기(172)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에는 다수개의 끼움공(152)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172)를 상기 끼움공(152)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핸들(170)은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124)의 수용홈(125)은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일단부의 회동돌기(162)가 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관(124)에는 상기 기울기부재(160)가 수용홈(12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80)는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182)과, 상기 걸림턱(182)이 걸려 상기 기울기부재(160)가 수용홈(12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관(124)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링(18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링(184)은 2개로 분리되어 상기 수용관(124)의 상면에 각각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홀은 상기 걸림턱(182)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기울기부재(16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기울기부재(160)는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울기부재(160)는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길이가변부재(160)는 타측부에는 나사산(154')이 형성되고, 상기 기울기부재(160)에는 상기 나사산(154')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연결홀(165)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중앙에 결합되는 핸들(170)을 중심으로 일측부의 나사산(154)과 타측부의 나사산(154')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관(114)의 나사산과 상기 연결홀(165)의 나사산은 또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를 제외한 부위의 단면형상은 다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홀 형상은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홀 내측면에는 경사면(18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85)은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조립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110)의 결합관(114)과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일측부 나사산(154)을 결합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타측부 나사 산(154')과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연결홀(165)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를 상기 제2지지부(120)의 수용관(124)에 삽입한 후, 상기 수용관(124)의 상단면에 상기 이탈방지링(184)을 볼트 조립한다.
상기 이탈방지링(184)은 2개로 분리 형성되어 각각 상기 수용관(124) 상단면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는 외측으로 이탈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스크류잭(100)을 띠장(2)과 버팀보(3) 사이에 적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우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지지부(110)를 버팀보(3)에 연결한 후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중심에 핸들(170)을 장착한 후 핸들(170)을 돌려주어 제2지지부(120)를 띠장(2)측으로 인접하게 한 후 띠장(2)과 제2지지부(12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띠장(2)이 흙막이 구조물의 고르지 못한 기울기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수용홈(125)에 접한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가 소정 각도 조절되어 상기 제2지지부(120)의 지지판(122)이 상기 띠장(2)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되어 연결한다.
상기 이탈방지링(184)에 의해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걸림턱(182)이 걸리게 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홀 내측면에는 경사 면(185)이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120)가 소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길이가변부재(150)가 회전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150)의 일측 나사산(154)은 제1지지부(110)의 결합관(114)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타측 나사산(154')은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연결홀(165)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해 제1,2지지부(110,120)를 각각 밀어내게 되어 제1지지부(110)는 버팀보(3)를, 제2지지부(120)는 띠장(2)을 가압하여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기울기부재(160)의 회동돌기(162)를 제외한 부위의 단면형상이 다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링(184)의 홀 형상이 기울기부재(160)의 단면과 대응되는 다각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되지 않아 양측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단면도.
도 7 또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잭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크류잭 110 : 제1지지부
112, 122 : 지지판 114 : 결합관
115 : 결합홀 120 : 제2지지부
124 : 수용관 125 : 수용홈
130 : 보강편 140 : 가변수단
150 : 길이가변부재 152 : 끼움홈
154,154' : 나사산 160 : 기울기부재
162 : 회동돌기 165 : 연결홀
170 : 핸들 172 : 끼움돌기
180 : 이탈방지부재 182 : 걸림턱
184 : 이탈방지링 185 : 경사면

Claims (13)

  1.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이격 배치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고,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가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제1,2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의 유격을 가변시키는 길이가변부재와;
    상기 길이가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기울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수용홈을 형성한 수용관을 형성하고;
    상기 기울기부재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관에 결합되며, 일단부에 반구 형상의 회동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관에는 상기 기울기부재가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걸려 상기 기울기부재가 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를 제외한 부위의 단면형상은 다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링의 홀 형상은 상기 기울기부재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한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변부재는 상기 결합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4.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길이가변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외주면에서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의 수용홈은 상기 기울기부재의 회동돌기와 접하도록 반구 형상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부재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11. 제 1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부재는 상기 길이가변부재와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링의 홀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
KR1020070113422A 2007-11-07 2007-11-07 스크류잭 KR100865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22A KR100865068B1 (ko) 2007-11-07 2007-11-07 스크류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422A KR100865068B1 (ko) 2007-11-07 2007-11-07 스크류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068B1 true KR100865068B1 (ko) 2008-10-23

Family

ID=4017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422A KR100865068B1 (ko) 2007-11-07 2007-11-07 스크류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6B1 (ko)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KR200478216Y1 (ko) 2014-04-23 2015-09-08 이진희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KR101612948B1 (ko) * 2014-11-28 2016-04-18 주식회사 해광 액세스 플로어 지주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0995B1 (ko) * 2017-02-03 2017-12-20 권영덕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CN110409457A (zh) * 2019-06-26 2019-11-05 贵州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喀斯特地质条件下的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00127556A (ko) * 2019-05-03 2020-11-11 (주)핸스 버팀보 연결구
CN112832250A (zh) * 2020-12-31 2021-05-25 浙江明思特建筑支护技术有限公司 一种钢支撑连接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097A (ja) 1996-12-04 1998-06-16 Nikken Corp 突っ張り用ジャッキ
KR19990022114U (ko) * 1999-03-03 1999-06-25 송영근 스크류잭
KR20020061250A (ko) * 2001-01-15 2002-07-24 코벡주식회사 분할너트를 갖는 유압나사잭과 다변위 흡수형 유압나사잭
KR200374703Y1 (ko) * 2004-11-04 2005-02-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띠장 고정용 부재 고정구
KR20060004599A (ko) * 2005-01-19 2006-01-12 유해준 버팀재 지지용 회전 스크루 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097A (ja) 1996-12-04 1998-06-16 Nikken Corp 突っ張り用ジャッキ
KR19990022114U (ko) * 1999-03-03 1999-06-25 송영근 스크류잭
KR20020061250A (ko) * 2001-01-15 2002-07-24 코벡주식회사 분할너트를 갖는 유압나사잭과 다변위 흡수형 유압나사잭
KR200374703Y1 (ko) * 2004-11-04 2005-02-02 금오금속공업 주식회사 띠장 고정용 부재 고정구
KR20060004599A (ko) * 2005-01-19 2006-01-12 유해준 버팀재 지지용 회전 스크루 잭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26B1 (ko) 2009-04-09 2010-02-02 서승권 사선버팀보 연결 지지장치
KR200478216Y1 (ko) 2014-04-23 2015-09-08 이진희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WO2015163637A1 (ko) * 2014-04-23 2015-10-29 이진희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KR101612948B1 (ko) * 2014-11-28 2016-04-18 주식회사 해광 액세스 플로어 지주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0995B1 (ko) * 2017-02-03 2017-12-20 권영덕 거더용 선형조절 및 고정장치
KR20200127556A (ko) * 2019-05-03 2020-11-11 (주)핸스 버팀보 연결구
WO2020226217A1 (ko) * 2019-05-03 2020-11-12 (주)핸스 버팀보 연결구
KR102213361B1 (ko) * 2019-05-03 2021-02-08 (주)핸스 버팀보 연결구
CN110409457A (zh) * 2019-06-26 2019-11-05 贵州建工集团第一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喀斯特地质条件下的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832250A (zh) * 2020-12-31 2021-05-25 浙江明思特建筑支护技术有限公司 一种钢支撑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068B1 (ko) 스크류잭
US8117787B2 (en) Construction support
US5590863A (en) Support
CN204311745U (zh) 一种建筑模板支撑装置
KR100765090B1 (ko) 건축용 동바리
KR101289572B1 (ko)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WO2012058832A1 (zh) 楼板通孔模板装置
KR101510158B1 (ko) 곡선형 연장구조를 갖는 비계시스템
KR20100004245U (ko) 가설공사용 잭서포트
KR20040079350A (ko) 건설 구조물용 스크류잭
KR102213361B1 (ko) 버팀보 연결구
KR100841979B1 (ko) 실린더식 하중잭
KR101013808B1 (ko) 하중잭
KR100910207B1 (ko) 실린더식 하중잭
KR102275450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및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US20070151074A1 (en) Power tool handle
KR20090110021A (ko) 건축용 서포터
WO2007026976A1 (en) Manhole
KR20120049687A (ko) 건축용 기능성 파이프 서포트
KR20060132153A (ko) 수도전 고정구
CN207376791U (zh) 一种可调式地漏盖板
KR20100111464A (ko) 강화유리 도어 손잡이
KR200398831Y1 (ko) 콘크리트분배기 회전장치
KR200209567Y1 (ko) 건축용 동바리
KR200230712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맨홀용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