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572B1 -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572B1
KR101289572B1 KR20110084088A KR20110084088A KR101289572B1 KR 101289572 B1 KR101289572 B1 KR 101289572B1 KR 20110084088 A KR20110084088 A KR 20110084088A KR 20110084088 A KR20110084088 A KR 20110084088A KR 101289572 B1 KR101289572 B1 KR 101289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foot
nut
base plate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8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393A (ko
Inventor
디크 슈뢰더
Original Assignee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매니토웍 크레인 그룹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1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16C17/08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for supporting the end face of a shaft or other member, e.g. footstep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Jib Cran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은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너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외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베어링 풋(3)과, 풋 베어링이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에 회전가능하게 조여진 베어링 풋(3)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ADJUSTABLE FOOT BEARING}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foot bearing)은 내부 나사산을 갖는 너트, 너트에 조여지는 외부 나사산을 갖는 베어링 풋(bearing foot)과, 적당한 위치에서 회전되는 너트에 결합되고,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크레인 하부 조립체들의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과 관련된다.
현재, 예를 들어 이동 크레인의 카운트웨이트 베이스 플레이트(counterweight base plate)와 같은 크레인 하부 조립체들은 차대(undercarriage) 상의 지지부에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렬은 복수의 받침대의 수단에 의하여 정교하게 수행되나 베이스 플레이트에 카운트웨이트 베이스 플레이트들의 배치는 단순하게 허용 된다.
복수의 받침대는 차대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변경과 같은 조정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정 가능한 풋 베어링과, 크레인 하부 조립체의 풋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은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너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외부 나사산을 포함하는 베어링 풋과, 베어링 풋이 고정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에 회전가능하게 조여진 베어링 풋을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베어링 풋은 외부 나사산을 갖는 부분과,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베어링 풋의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이탈방지부재는 잠금디스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의 외부 지름보다 크거나 대응되는 외부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베어링 풋의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너트의 전면과, 베어링 풋에 결합된 이탈방지부재에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베어링 풋의 외부 나사산이 구비된 부분의 단면은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상이하게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는 베어링 풋의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중 일 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이탈방지부재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너트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을 전면에 구비하며,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의 전면에 스크류로 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은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에 있어서, 구멍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풋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구멍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너트는 구멍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이탈방지부재에는 원주 형상으로 배치된 관통공을 구비하며, 너트의 전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의 전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스크류를 통해 조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트 베이스 플레이트(counterweight base plate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조정가능한 풋 베어링과 청구항 제8항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들을 위한 조정가능한 풋 베어링에 의하여 해결된다.
도 1은 3개의 풋 베어링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각각의 풋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풋 베어링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조정가능한 풋 베어링과 청구항 제8항에 따른 크레인 하부 조립체들을 위한 조정가능한 풋 베어링에 의하여 해결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8항에 따르면, 구멍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멍에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내부 나사산을 갖는 너트와,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베어링 풋은 너트의 내부 나사산의 외부 또는 내부로 손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되며, 이탈방지부재를 베어링 풋의 회전된 위치에 결합시킨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들을 구비하며, 너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각각의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너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멍에 연결되면, 이러한 너트는 더 이상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되며, 이때, 내부 나사산을 구비한 너트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베어링 풋에 조여질 수 있다. 풋 베어링의 각각은 베어링 풋이 너트에 추가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질 수 있으나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조여진 베어링 풋은 이탈방지부재에 의해 더 이상 너트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되거나, 선형 또는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멍들은 바람직하게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저면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관통될 수 있다. 구멍들은 일정한 부분까지만 형성된 스크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멍에는 베어링 풋이 조여져 결합되며, 각각의 베어링 풋은 조여진 상태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된다. 이 점에 있어, 각각의 베어링 풋은 스크류 구멍 내에서 조여지며, 베어링 풋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정렬된 위치와 같은 위치에서 결합된다.
구멍들이 관통 형성된 경우, 너트는 구멍에 완전하게 수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및/또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너트는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멍에 용접되거나, 억지끼워 질 수 있다. 이 점에서 너트의 외부 형상은 임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풋은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과 외부 나사산이 없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부의 길이방향과 후면부의 길이방향에서 이러한 부분은 외부나사산이 없는 부분과 각각 접하게 된다.
베어링 풋은 너트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어링 풋은 공구를 사용하여 풋 베어링을 너트로 조일 수 있도록 측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풋의 나사산 부분은 너트의 나사의 길이 전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만일 베어링 풋의 나사산 부분의 양측 상에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없는 경우 나사산이 없는 부분의 두 개의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저면에 돌출될 수 있으며, 베어링 풋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은 너트의 내부 나사산에서 완벽하게 조여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조정 또는 정렬을 위해서, 이것은 지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풋 베어링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풋 베어링은 너트 내부에서 개별적으로 조여지거나, 너트를 통과해 조여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을 넘어 돌출된 풋 베어링의 부분의 길이는 너트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기초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치는 대응하여 조절된다. 풋 베어링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는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구를 적용하기 위한 지역은 외부 나사산의 지역에 비교하여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풋 베어링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나, 도구를 적용할 수 있는 지역의 단면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타원형 또는 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준 도구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시간를 갖는 변화에 너트 내의 풋 베어링의 위치와, 연속적인 재조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풋 베어링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정렬 후 즉시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너트 내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탈방지부재는 대략 볼트의 외측직경에 대응하거나 보다 큰 외측 직경을 갖는 잠금 디스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잠금 디스크는 도구가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풋 베어링의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중앙개구를 갖는다. 나아가, 잠금 디스크는 너트의 전면에 놓이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너트는 원주상으로 배치된 내부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 구멍을 구비하며, 너트의 전면에는 이탈방지부재가 놓여진다. 스크류는 이탈방지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너트의 스크류 구멍에서 조여져, 이탈방지부재는 너트와 견고하게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며, 이탈방지부재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탈방지부재의 돌출된 부분에는 풋 베어링의 형상과, 이탈방지부재를 관통하여 돌출된 풋 베어링의 개구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풋 베어링은 너트와의 관계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선형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3개의 구멍은 너트의 전면에 동일한 거리로 배치되며, 각각의 구멍사이의 각도는 각각 12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4개의 구멍 또는 6개의 구멍인 경우에는 각각의 구멍 사이의 각도는 90도와 6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부재의 구멍은 풋 베어링의 각각의 위치 내에 너트의 전면이 배치된 너트를 정렬하는 이탈방지부재의 구멍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풋 베어링은 가능한 전부는 아니더라도, 수개의 너트의 위치와 연결된다.
만일 너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돌출되지 않는 경우, 이탈방지부재는 외부 지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너트의 외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탈방지부재 내의 나사구멍들은 풋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스크류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너트의 전면부에 고정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가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조여지는 경우, 이러한 프로텍션은 너트의 더 이상의 회전으로부터 풋 베어링을 보호한다. 풋 베어링의 회전방향으로의 이탈방지부재에 걸리는 하중은 너트로 전달되지 않으며, 단지 베이스 플레이트에 전달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기본적인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하부 조립체의 베이스 플레이트, 특히 크레인의 가운터 웨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풋 베어링과 관련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설치에 대한 풋 베어링의 정렬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풋 지지제는 너트, 너트 내에서 조여질수 있거나 조여지는 풋 베어링, 이탈방지부재, 선택적인 스크류를 포함하며, 이탈방지부재에 의하여 너트의 전면 나사산 구멍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유지될 수 있다. 배어링 풋의 모든 특징은 베어링 지지체에 연결되어 설명되며, 예를 들어 다른 단면과 관통공을 갖는 이탈방지 디스크와 같은 이탈방지 부재에 풋 베어링은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부분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성 내에서 확장되거나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은 3개의 풋 베어링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며, 도 2는 이탈방지부재를 구비한 각각의 풋 베어링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풋 베어링의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3개의 풋 베어링(10)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 1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는 추가적인 구멍 또는 개구가 도시되며, 구멍 또는 개구는 본 발명의 요지와 중요한 관련이 없으므로 추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베어링 풋(3)은 너트(2)가 회전되어 조여지며, 견고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와 이탈방지부재(4)에 결합된다.
이탈방지부재(4)는 너트의 전면이 조여지는 이탈방지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베어링 픗(2)이 너트(2)에 대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너트(2)의 내부 또는 너트(2)의 외부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베어링 픗(2)의 각각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평단하지 않은 면에서 너트(2) 각각이 삽입되어 개별적으로 조여져, 풋 베어링(1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제조단계의 공차가 보상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너트(2)가 수용되는 수개의 구멍(8)을 구비할 수 있으나, 너트(2)는 각각의 구멍(8)에 모두에 수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각각의 너트(2)에 베어링 풋(3)은 조여지지 않을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는 너트의 전면에 조여진다. 이때, 예를 들어 너트(2)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면(5)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 경우 이탈방지부재(4)는 직접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에 조여질 수 있다. 구멍(7)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에 직접적으로 이탈방지부재(4)가 조여지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너트(2)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너트들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억지끼워질 수도 있으며, 억지끼워지는 경우 너트(2)를 냉간 처리한 후 끼워진 상태에서 열을 가해 확장시켜 구멍(8)에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에 너트의 특별한 결합 방법을 배제하지는 않으며, 가능한 모든 방법을 조합하여 너트(2)를 베이스 플레이트(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풋 베어링(10)이 도시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4)는 원주 형상으로 배치된 수개의 관통공(41)을 구비한다. 관통공(41) 사이의 공간은 베어링 풋(3)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풋 베어링(10)의 실시예에서, 너트(2)의 전면으로 유도되는 세 개의 구멍이 120도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탈방지부재(4)는 스크류(9) 수단에 의해 조여진다. 베어링 풋(3)은 관통공(41)이 나사공에 정렬된 상태에서 조여진다. 더 많은 관통공(41)을 이탈방지부재(4)에 형성하여 풋 베어링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공(41) 사이의 공간은 각각의 관통공(41)이 하중에 의해 변경되도록 좁게 선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공(41)의 개수는 이탈방지부재의 외부 반지름의 크기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는 너트(2)의 전면에 부착되지 않으나, 직접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에 부착될 수 있으며, 베어링 플레이트의 정확한 맞춤을 허용할 수 있다.
풋 베어링(10)의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베어링 풋(3)은 3개의 부분(32, 33, 34)를 구비한다. 외부 나사산(31)을 구비한 중앙 부분(33)은, 너트(2)의 내부 나사산(21)에 조여질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의 양측 부분(32, 34)은 외부 나사산이 없이 형성된다. 중앙 부분(33)과 외부 나사산이 없는 부분 중 하부 부분(34)은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나사산이 없는 부분 중 상부 부분(32)는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사각 스패너를 이용하여 베어링 풋(3)에 조여져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풋 베어링(10)은 베어링 풋(3)이 너트(2)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재(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는 원주형상으로 배치된 관통공(41)들을 갖으며, 스크류(9)를 이용하여 너트의 전면에 형성된 스크류 구멍(22)에 결합시켜, 이탈방지부재(4)를 결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탈방지부재(4)는 중앙 개구(42)를 형성하며, 이러한 중앙 개구의 형상은 베어링 풋(3)의 외부 나사산이 없는 상부 부분(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풋 베어링(10)의 기능은 설명한 내용에서 확장될 수 있다. 너트(2)가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1)가 사용될 수 있으며, 베어링 풋(3)은 조여질 수 있다. 너트(2)에 삽입된 베어링 풋(3)은 베어링 풀레이트의 저면으로 유출되기 전 또는 저면으로 너트(2)가 돌출되어 유출되기 전까지 조여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 등을 이용하여 베어링 풋(3)을 추가적으로 조여 조절되어 상승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베어링 풋(3)은 이탈방지부재(4)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매우 작은 풋 베어링의 위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스크류 구멍(22) 위의 관통공(41)의 위치를 스크류(9)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풋(3)의 부분(34)은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 놓여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플레이트 2 : 너트
3 : 베어링 풋 4 : 이탈방지부재
5 : 상면 6 : 저면
7, 8 : 구멍 9 : 스크류
10 : 풋 베어링 21 : 내부 나사산
22 : 스크류 구멍 31 : 외부 나사산
32, 33, 34 : 부분 41 : 관통공
42 : 중앙개구

Claims (13)

  1. 내부 나사산(21)을 포함하는 너트(2);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외부 나사산(31)을 포함하는 베어링 풋(3); 및
    상기 베어링 풋(3)을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재(4)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4)는 너트(2)에 회전가능하게 조여진 베어링 풋(3)을 고정시키고,
    상기 베어링 풋(3)은 외부 나사산(31)을 갖는 부분과,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 34)을 갖으며,
    상기 외부 나사산(31)이 구비된 부분의 단면은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32, 34)과 상이하게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4)는 베어링 풋(3)의 외부 나사산(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중 일 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 개구(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32, 34)은 외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33)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는 잠금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는 상기 너트(2)의 외부 지름보다 크거나 대응되는 외부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나사산(31)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32, 34)은 너트의 전면과, 상기 베어링 풋(3)에 결합된 상기 이탈방지부재(4)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는 관통공(41)을 구비하며,
    너트(2)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22)을 전면에 구비하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너트(2)의 전면에 스크류(9)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7.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에 있어서,
    구멍(8)을 구비한 베이스 플레이트(1); 및
    제1항에 따른 풋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8)은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는 상기 구멍(8)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에는 원주 형상으로 배치된 관통공(41)을 구비하며,
    너트(2)의 전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5)에는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 구멍(22)이 형성되며, 이탈방지부재(4)는 너트(2)의 전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상면에 스크류(9)를 통해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는 크레인의 카운터웨이트 베이스 플레이트(counterweight base pla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하부 조립체용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12. 삭제
  13. 삭제
KR20110084088A 2010-08-24 2011-08-23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KR101289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0011720.8 2010-08-24
DE201020011720 DE202010011720U1 (de) 2010-08-24 2010-08-24 Einstellbares Fußla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93A KR20120019393A (ko) 2012-03-06
KR101289572B1 true KR101289572B1 (ko) 2013-07-24

Family

ID=42994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84088A KR101289572B1 (ko) 2010-08-24 2011-08-23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32998B2 (ko)
EP (1) EP2423150B1 (ko)
JP (1) JP2012071989A (ko)
KR (1) KR101289572B1 (ko)
CN (1) CN102381629B (ko)
BR (1) BRPI1106921A2 (ko)
CA (1) CA2748115A1 (ko)
DE (1) DE202010011720U1 (ko)
ES (1) ES241610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6862A (zh) * 2012-03-05 2012-07-11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轮式起重机及其活动配重组件
CN104948878A (zh) * 2015-05-12 2015-09-30 刘磊 一种全自动过滤加油机机体平衡支脚
CN106764264A (zh) * 2016-12-29 2017-05-31 深圳智慧能源技术有限公司 可微调设备水平及位置的底架
TWI631575B (zh) * 2017-01-10 2018-08-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用以將裝載有機台之浮動平台鎖固於底板上之鎖固機構、制震裝置以及其方法
CN107081862A (zh) * 2017-06-29 2017-08-22 湖州宏侨橡胶机械有限公司 平板硫化机的安装支架
CN110775116A (zh) * 2019-10-18 2020-02-11 南京和畅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超市购物系统及其智能购物车
US20230060078A1 (en) * 2021-08-18 2023-02-23 Amsted Rail Company, Inc. Threaded faste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0U (ja) * 1993-06-15 1995-0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重量コンクリート製カウンタウェイト
JPH07137990A (ja) * 1993-11-17 1995-05-30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調整装置
EP1098094A1 (fr) 1999-11-02 2001-05-09 Techspace aero Plaque de securité crantée et bridée
JP2002146842A (ja) 2000-11-09 2002-05-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1081A (en) * 1919-11-11 Adjustable shim for automobiles
US2940784A (en) * 1956-06-06 1960-06-14 William B Fell Precision threaded adjustment
US3077913A (en) * 1957-07-29 1963-02-19 Bryson William Adjustable locking sleeve for a nut
US3669393A (en) * 1970-07-31 1972-06-13 Nasa Adjustable support
US3891095A (en) * 1974-04-22 1975-06-24 Case Co J I Removable counterweight mounting mechanism
US4096952A (en) * 1976-12-21 1978-06-27 Diggs Richard E Adjustable jib crane
JPS61124720A (ja) * 1984-11-20 1986-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ボルト弛み止め構造
US4690365A (en) * 1986-05-16 1987-09-01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Jack stud
US5000416A (en) * 1990-01-26 1991-03-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lignment positioning mechanism
US5402898A (en) * 1992-07-21 1995-04-04 Jlg Industries, Inc. Crane having boom rest
JPH072560A (ja) 1993-01-20 1995-01-06 Haruki Obata 強化プラスチック合金バインダー
US5511760A (en) * 1993-11-02 1996-04-30 Kambara; Goro Post installable self locking machine leveling device
JP2853533B2 (ja) * 1993-11-09 1999-02-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車のコントローラ取付け構造
JPH0729317U (ja) * 1993-11-12 1995-06-02 株式会社前川工業所 立込みボルトの緩み止め具
JPH08270016A (ja) * 1995-03-28 1996-10-15 Yutani Heavy Ind Ltd カウンタウエイトの取付構造
JPH10332077A (ja) * 1997-05-28 1998-12-15 Nifco Inc 高さ調節具
KR100271737B1 (ko) 1997-12-11 2000-11-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다리높이 조절장치
JP3066895B2 (ja) * 1998-12-10 2000-07-17 株式会社東京精密 顕微鏡チルト機構
US20020014573A1 (en) * 2000-07-31 2002-02-07 Anderson Phillip S. Machine leveler and method
US6547196B2 (en) * 2000-10-27 2003-04-15 Imi Cornelius Inc. Anchor structure and method
JP2003187312A (ja) * 2001-12-18 2003-07-04 Sanden Corp 高さ調整脚
KR200345713Y1 (ko) * 2004-01-03 2004-03-25 김헌규 너트 풀림방지구조
JP4727259B2 (ja) * 2005-03-04 2011-07-20 株式会社ニフコ 脚装置
US7487692B2 (en) * 2006-04-13 2009-02-10 Hiwin Technologies Corp. Guiding device for ball nut
US7370769B2 (en) * 2006-04-25 2008-05-13 Richard Picard Hoist for retrieving and lifting loads
DE102007041415B4 (de) 2006-09-05 2016-11-10 Winden- Und Maschinenbau Gressbach Gmbh Kraneinheit
JP4870003B2 (ja) * 2007-03-27 2012-02-0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カウンタウエイトの位置決め具
US7802773B2 (en) * 2007-03-29 2010-09-28 PPP 2007 Royalty Trust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JP5015731B2 (ja) * 2007-11-14 2012-08-29 智志 小久江 緩み止めナット装置
US20090206231A1 (en) * 2008-02-19 2009-08-20 Steven Andrew Firman Adjustable equipment assembly and base therefor
WO2009141862A1 (ja) * 2008-05-19 2009-11-26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用の高さ調整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775411B2 (ja) * 2008-06-23 2011-09-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ネジ孔封止構造
US8393601B2 (en) * 2008-10-04 2013-03-12 Applied Concepts Aircraft Solutions, Inc. Vibration isolation fastener inse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0U (ja) * 1993-06-15 1995-0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重量コンクリート製カウンタウェイト
JPH07137990A (ja) * 1993-11-17 1995-05-30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調整装置
EP1098094A1 (fr) 1999-11-02 2001-05-09 Techspace aero Plaque de securité crantée et bridée
JP2002146842A (ja) 2000-11-09 2002-05-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2998B2 (en) 2015-09-15
KR20120019393A (ko) 2012-03-06
CN102381629A (zh) 2012-03-21
JP2012071989A (ja) 2012-04-12
CN102381629B (zh) 2014-07-02
US20120074292A1 (en) 2012-03-29
EP2423150A1 (de) 2012-02-29
CA2748115A1 (en) 2012-02-24
EP2423150B1 (de) 2013-03-27
DE202010011720U1 (de) 2010-10-21
ES2416109T3 (es) 2013-07-30
BRPI1106921A2 (pt)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572B1 (ko)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JP2014500444A (ja) 位置誤差を補正する形状ロック接続
JP2011509387A (ja) 公差累積補正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3187298U (ja) ダブルロックナット
EP3572681B1 (en) Slant-adjusting unit and furniture
JP3194864U (ja) 高さ調整式杭
KR20170094822A (ko) 가변형 앵커소켓이 구비된 하부 교량받침대
JP7125165B2 (ja) 床板支持具
KR10160848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펌프용 받침대
JP2006207286A (ja) 芯出し機能付き螺旋杭
JP3161900U (ja) 支柱取付金物
JP4555872B2 (ja) ブリッジ型工具
JP5197862B2 (ja) 自在固定装置
CN202522245U (zh) 旋转编码器
BR112016020332B1 (pt) elemento de fixação e método para fixar uma roda em um veículo
JP6842017B2 (ja) ナット、部材固定具及び部材固定構造
JP4299190B2 (ja) フロアパネルの取付構造、フロアパネルを取付用パネル押さえおよびフロアパネル取付用パネル押さえのための回転工具
WO2014017901A1 (en) Tensioning system with tensioning ring applicable therein
KR101269143B1 (ko) 한면 체결형 볼트 구조물
CN213511752U (zh) 一种快速拆装轴承座
US5971349A (en) Machinery mount anchor base
KR20170050463A (ko) 발판 고정 장치
JP2020090840A (ja) 建設現場用敷き鉄板のジョイント
JP2010281151A (ja) 手すり用支柱固定具
JP2020023879A (ja) 床板の隙間調整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