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880A -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 Google Patents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880A
KR20160121880A KR1020150051664A KR20150051664A KR20160121880A KR 20160121880 A KR20160121880 A KR 20160121880A KR 1020150051664 A KR1020150051664 A KR 1020150051664A KR 20150051664 A KR20150051664 A KR 20150051664A KR 20160121880 A KR20160121880 A KR 20160121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height
manhole frame
fram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윤경
마기형
조상래
Original Assignee
삼영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영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1880A/ko
Publication of KR2016012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5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ning of th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05Y2900/6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맨홀뚜껑을 수용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 및 경사진 노면에서의 맨홀프레임에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과, 이 맨홀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과, 상기 맨홀슬라브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갖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는 맨홀슬라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와,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콘안착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와, 상기 콘안착부의 구면(球面)이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 저면과 접점(接點) 형태로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의 경사조절시 콘안착부가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의 저면과 접점 형태로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omit}
본 발명은 노면에 설치되어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있도록 하는 맨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맨홀뚜껑을 수용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 및 경사진 노면에서의 맨홀프레임에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를 달성하는 기술구성을 아주 간단히 하여 제작비의 절감을 물론 안정성 및 시공성 향상으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노면에 설치되어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든 구멍으로서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 및 용수관로, 통신관로 등의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각종 시설물이 배치된 장소나,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며, 기타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에도 이용되는바, 이러한 맨홀은 시공이 수월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맨홀은 차량 또는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도로의 지중에 설치되고 맨홀뚜껑은 도로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맨홀뚜껑은 필요에 따라 맨홀로부터 높이를 조절하여 도로의 노면과 높이를 맞춰 설치하게 되고, 경사진 도로에서는 맨홀뚜껑 또한 도로의 노면경사도에 맞게 조절하여 설치하게 된다.
또한, 이미 시공되어 있는 맨홀이 노면 오버레이(overlay) 시공에 의하여 노면과의 높이 편차가 발생된 경우나, 맨홀 주변의 침하나 파손 등으로 인해 맨홀을 인상하여 보수할 경우에도 맨홀의 높이 또는 경사도를 조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상기 맨홀 또는 맨홀이 설치되는 밸브실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14257의 '높이 조절용 맨홀'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97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8800의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밸브실'은 수개의 높이조절용 스크루를 이용하여 밸브실로부터 맨홀프레임을 수직방향의 높이조절만이 가능한 구조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91478의 '간편 설치형 밸브실'의 경우는 기울기를 갖는 두 장의 높이조절용 시트를 서로 겹치게 하여 이들의 놓는 방향에 따라 평평하거나 기울게 하여 이로부터 설치되는 맨홀뚜껑의 높이조절과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1049의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은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맨홀뚜껑 받침대의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볼트를 맨홀뚜껑 받침대 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하여 고정물인 맨홀슬라브에 받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경사진 도로에서 맨홀뚜껑이 설치되는 맨홀뚜껑 받침대를 경사지게 설치할 경우 이 맨홀뚜껑 받침대에 조절볼트가 함께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조절볼트도 맨홀뚜껑 받침대의 기울기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게 됨으로써 맨홀뚜껑을 밟고 지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조절볼트가 절단되거나 굽힘 변형되어 맨홀뚜껑이 도로면으로부터 주저앉게 되는 치명적이 결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16566의 '맨홀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의 경우 중량체인 맨홀프레임을 밸브실 본체의 상면판 사이에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스크루를 통해 설치한 상태에서 이 스크루를 조절하여 맨홀 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하는바, 이에 따른 구성에는 몇 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먼저, 스크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맨홀프레임의 높이 또는 경사도를 조절하고 조절이 끝난 스크루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맨홀프레임의 하측플랜지부에 하부에 배치되고 스크루에 나사 결합된 너트를 풀고 조여야만 하는바, 상기 너트가 맨홀프레임의 하측플랜지부에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 시공 현장에서의 너트를 풀고 조이는 스패너와 같은 공구의 사용을 어렵게 하여 작업성 및 시공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에 높낮이를 조절하는 스크루의 하단부가 밸브실 본체의 상면판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관통하여 직접 설치되어 있고 스크루의 상단부는 중량체인 맨홀프레임과 연결되어 있어 맨홀뚜껑을 밟고 지나는 차량의 하중이 스크루를 통해 밸브실 본체의 상면판에 직접 전달되어 스크루가 변형되거나 또는 밸브실 본체의 상면판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상면판과의 나사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맨홀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품이 많고 가공이 많아 제작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맨홀프레임의 높이 또는 경사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높이조절볼트를 통해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높이 또는 경사도가 조정된 높이조절볼트를 통해 맨홀프레임을 올려놓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게 하여 제작비의 절감과 함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기술이 여전히 필요하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14257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9710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8800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91478 특허문헌 5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61049 특허문헌 6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1656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맨홀의 본체를 통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 콘안착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높이조절볼트의 콘안착부를 통해 맨홀프레임이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맨홀프레임의 높이 조절 또는 경사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콘안착부에 안착되는 맨홀프레임의 마찰소음을 방지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과, 이 맨홀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과, 상기 맨홀슬라브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갖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는 맨홀슬라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와,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콘안착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와, 상기 콘안착부의 구면(球面)이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 저면과 접점(接點) 형태로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의 경사조절시 콘안착부가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의 저면과 접점 형태로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과, 이 맨홀프레임에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과, 상기 맨홀슬라브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갖는 맨홀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는 맨홀슬라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와,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받침부와 축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와,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받침부와 축부를 통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제1관절받침편과, 이 제1관절받침편에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상부에 받침부가 형성된 제2관절받침편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관절받침편의 받침부가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 저면에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의 경사조절시 제2관절받침편의 받침부가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의 저면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에는 이 높이조절볼트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소켓너트에 고정되도록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콘안착부에 받침되는 맨홀프레임의 플랜지의 저면에는 맨홀프레임이 콘안착부에서의 이탈방지 및 안착을 유도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콘안착부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받침부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콘안착부에는 맨홀프레임과 접촉시 소음방지를 위해 콘형 고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는 받침링에 설치되어 이 받침링에서 12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를 설치하여 맨홀프레임을 받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링은 맨홀슬라브에 볼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프레임과 받침링 사이의 공간을 몰탈층으로 충전하여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프레임과 받침링 사이의 공간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펀지고무링을 통해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펀지고무링은 EPDM 고무(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고무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통해 맨홀프레임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링에 맨홀프레임의 플랜지를 고정용 볼트 너트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통해 맨홀프레임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제2관절받침편의 받침부를 맨홀프레임에 형성된 플랜지 저면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에 의하면, 맨홀프레임의 높이 또는 경사 조절시 먼저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를 통해 조절을 하고, 이 상태에서 맨홀프레임을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에 올려놓는 것으로 맨홀프레임의 높이 또는 경사 조절을 할 수 있어 현상에서의 시공을 간단히 하여 시공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을 하기 위한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재료비 절감과 함께 제작비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구성품에 대한 분리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3a는 평탄한 도로면에서 높이를 조절한 것이고, 도 3b는 경사진 도로면에서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스펀지고무링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스펀지고무링을 적용한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를 예시한 맨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변형 예에 따른 구성품에 대한 분리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b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8a는 평탄한 도로면에서 높이를 조절한 것이고, 도 8b는 경사진 도로면에서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구성품에 대한 분리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3a는 평탄한 도로면에서 높이를 조절한 것이고, 도 3b는 경사진 도로면에서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맨홀(10)은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12)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1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30)과 이 맨홀프레임(30)의 단턱삽입부(32)를 통해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12)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100)과, 상기 맨홀슬라브(14)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30)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갖고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는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슬라브(14)의 상부를 통해 설치되는 받침링(2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42)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소켓너트(42)는 기둥형태로 하여 내부에 암사나가 형성되고, 하부가 받침링(22)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는 이 고정소켓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콘안착부(44a)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44)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는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받침된다.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상부에 형성되는 콘안착부(44a)는 콘형(cone type)으로 이루어지고 뾰쪽하지 않게 하여 플랜지(34) 저면(34a)에 받침될 때 맨홀프레임(30)의 하중에 의해 뭉개지지 않도록 구면(球面)의 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 구면(球面)이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평면(平面)으로된 저면(34a)과 접점(接點) 형태로 받침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44)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30)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시 콘안착부(44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저면(34a)과 접점 형태로 받침되는 것에 의해 간섭없이 맨홀프레임(30)의 경사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볼트(44)에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이 높이조절볼트(44)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소켓너트(42)에 고정되도록 고정너트(4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받침되는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저면(34a)에는 도 3a와 같이 맨홀프레임(30)이 콘안착부(44a)에서의 이탈방지 및 안착을 유도하는 안착홈(34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스패너와 같은 조임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44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는 도 3a와 같이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 또는 링받침대(36)의 저면(34a)(36a)과 접촉시 소음방지를 위해 콘형 고무(48)를 설치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44)는 고정소켓너트(42)를 통해 받침링(22)에 설치되어 이 받침링(22)에서 12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를 설치하여 맨홀프레임(30)을 받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나사산은 삼각나사, 사각나사 또는 사다리꼴나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맨홀슬라브(14)에 삽입 고정된 볼트(24)에 받침링(22)에 형성된 볼트공(22a)를 통해 삽입하고 너트로 고정하여 상기 받침링(22)을 맨홀슬라브(14)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몰탈층(26)으로 충전하여 폐쇄할 수 있고, 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펀지고무링(27)을 충전하여 폐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같이 도로면(200)이 평탄한 도로의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4)를 같은 높이로 조절한 후에 맨홀프레임(30)을 안착시키면 된다.
즉, 각각의 고정너트(46)를 풀은 다음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소켓너트(42)에서 나사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높이조절볼트(44)를 같은 높이로 조절하고 고정너트(46)를 조여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 또는 링받침대(36)를 통해 안착시킴으로써 맨홀프레임(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저면(34a)에 형성된 안착홈(34b)이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안착되어 맨홀프레임(3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맨홀프레임(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간이 거푸집(도시생략)을 형성하여 몰탈층(26)으로 충전하여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도로면(200)이 경사진 도로의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4)를 높낮이가 다른 높이로 조절한 후에 맨홀프레임(30)을 안착시키면 된다.
즉, 각각의 고정너트(46)를 풀은 다음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소켓너트(42)에서 나사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높이조절볼트(44)를 도로면(200)의 경사도에 따라 다른 높이로 조절하고 고정너트(46)를 조여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를 통해 안착시킴으로써 맨홀프레임(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저면(34a)에 형성된 안착홈(34b)이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안착되어 맨홀프레임(30)이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맨홀프레임(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간이 거푸집(도시생략)을 형성하여 몰탈층(26)으로 충전하여 폐쇄시킨다.
한편, 상기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펀지고무링(27)을 충전하여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펀지고무링(27)은 예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EPDM 고무(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고무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a와 같이 받침링(22)의 상부에 올려지고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수용하는 수용공(27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의 높이 또는 경사도 조절을 마친 상태에서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에 수용공(27a)을 통해 스펀지고무링(27)을 삽입하여 받침링(22)에 안착시킨 다음,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를 통해 안착시킴으로써 맨홀프레임(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스펀지고무링(27)은 탄성 변형되는 것을 감안하여 스펀지고무링(27)의 높이를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이 함으로써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안착되는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가 상기 스펀지고무링(27)을 압축시켜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양호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경우, 본 발명의 맨홀(10)은 맨홀 본체(12)를 지중에 매설하고 맨홀슬라브(14)를 통해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설치하여 도로면(200)의 높이 또는 경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에 반영하여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너트(46)를 풀은 다음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소켓너트(42)에서 나사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높이조절볼트(44)를 도로면(200)의 높이 또는 경사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너트(46)를 조여 높이조절볼트(44)를 고정함으로써 높이 또는 경사도의 세팅이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에 의해 이루어진 상태에서 맨홀프레임(30)을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올려지는 것에 의하여 설치가 완료되어 시공이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시 콘안착부(44a)의 구면(球面)을 통해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평면으로된 저면(34a)과 접점(接點) 형태로 받침되기 때문에, 높이조절볼트(44)가 수직방향을 유지한 상태에서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이 간섭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은 물론이거니와 맨홀프레임(30)의 하중이 수직방향을 유지하는 높이조절볼트(44)가 받게 되어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콘형 고무(48)를 설치함에 따라 이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저면(34a)과 접촉시 소음방지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맨홀프레임(30)은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를 통해 안착되는 형태로서, 이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가 맨홀슬라브(14) 측에 설치됨에 따라 사실상 맨홀프레임(30)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주위를 도로 여건에 따라 콘크리트나 아스콘으로 맨홀프레임(30)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있지만, 열악한 도로에서의 맨홀프레임(30)의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도 1a 및 도 5와 같이 받침링(22)에 형성된 볼트공(22a)과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볼트공을 통해 고정용 볼트(23)와 너트(25)로 고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변형 예에 따른 구성품에 대한 분리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b의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8a는 평탄한 도로면에서 높이를 조절한 것이고, 도 8b는 경사진 도로면에서 높이 및 경사도를 조절한 것이다.
상기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는 맨홀슬라브(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2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42)와,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받침부(47a)와 축부(47b)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47)와,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받침부(47a)와 축부(47b)를 통해 축부(47b)를 통해 스냅링(51)으로 설치되어 축부(47b)에서 축부(47b)를 중심으로 도 6b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제1관절받침편(48)과, 이 제1관절받침편(48)에 힌지핀(50)으로 결합되고 상부에 받침부(49a)가 형성된 제2관절받침편(49)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47)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30)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저면(34a)에서 힌지핀(50)에 의해 힌지핀(50)을 중심으로 도 6b의 화살표방향과 같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30)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설명부호 48a, 49b는 힌지핀(50)이 설치되는 힌지홀이고, 48b는 축부(47b)가 삽입되는 축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볼트(47)에는 이 높이조절볼트(47)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소켓너트(42)에 고정되도록 고정너트(4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받침부(47a)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47c)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는 받침링(22)에 설치되어 이 받침링(22)에서 12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를 설치하여 맨홀프레임(30)을 받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를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에 따르면, 도 7a와 같이 도로면(200)이 평탄한 도로의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7)를 같은 높이로 조절한 후에 맨홀프레임(30)을 안착시키면 된다.
즉, 각각의 고정너트(46)를 풀은 다음 높이조절볼트(47)를 고정소켓너트(42)에서 나사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높이조절볼트(47)를 같은 높이로 조절하고 고정너트(46)를 조여 높이조절볼트(47)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47)의 상부에 제1관절받침편(48)과 힌지핀(50)을 통해 설치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에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 저면(34a)을 통해 안착시킴으로써 맨홀프레임(30)의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7b와 같이 도로면(200)이 경사진 도로의 경우에는 각각의 높이조절볼트(47)를 높낮이가 다른 높이로 조절한 후에 맨홀프레임(30)을 안착시키면 된다.
즉, 각각의 고정너트(46)를 풀은 다음 높이조절볼트(47)를 고정소켓너트(42)에서 나사운동을 자유롭게 하여 높이조절볼트(47)를 도로면(200)의 경사도에 따라 다른 높이로 조절하고 고정너트(46)를 조여 높이조절볼트(47)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47)의 상부에 제1관절받침편(48)과 힌지핀(50)을 통해 설치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에 맨홀프레임(30)을 플랜지(34) 저면(34a)을 통해 안착시킴으로써 맨홀프레임(30)의 설치가 완료되는바, 이때 맨홀프레임(30)의 자중에 의하여 플랜지(34)의 저면(34)을 통해 받치고 있는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가 힌지핀(50)에 의해 맨홀프레임(30)의 경사도에 따라 자연스레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30)이 경사진 도로에서 높낮이가 조절되어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맨홀프레임(30)은 높이조절볼트(47)의 상부에 설치된 제2관절받침편(49)을 통해 안착되는 형태로서, 이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가 밸브실 본체(14) 측에 설치됨에 따라 사실상 맨홀프레임(30)은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주위를 도로 여건에 따라 콘크리트나 아스콘으로 맨홀프레임(30)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있지만, 열악한 도로에서의 맨홀프레임(30)의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를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용접 또는 볼트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맨홀
14 : 맨홀슬라브
30 : 맨홀프레임
40, 40a :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
42 : 고정소켓너트
44, 47 : 높이조절볼트
44a : 콘안착부
46 : 고정너트
48 : 제1관절받침편
49 : 제2관절받침편
50 : 힌지핀

Claims (16)

  1.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12)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1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30)과, 이 맨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12)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100)과, 상기 맨홀슬라브(14)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30)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갖는 맨홀(10)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는 맨홀슬라브(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2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42)와,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콘안착부(44a)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44)와, 상기 콘안착부(44a)의 구면(球面)이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과 접점(接點) 형태로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44)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30)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시 콘안착부(44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저면과 접점 형태로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3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2. 지중에 매설되는 맨홀 본체(12)의 상부를 형성하는 맨홀슬라브(14)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맨홀프레임(30)과, 이 맨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사람이 맨홀 본체(12)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뚜껑(100)과, 상기 맨홀슬라브(14)를 통해 복수 개로 배치되어 맨홀프레임(30)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를 갖는 맨홀(10)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는 맨홀슬라브(14)의 상부에 설치되는 받침링(22)에 수직으로 세워 고정되는 고정소켓너트(42)와,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운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여 높낮이가 조절되고 상부에는 받침부(47a)와 축부(47b)가 형성된 높이조절볼트(47)와,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받침부(47a)와 축부(47b)를 통해 설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제1관절받침편(48)과, 이 제1관절받침편(48)에 힌지핀(50)으로 결합되고 상부에 받침부(49a)가 형성된 제2관절받침편(49)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받침되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소켓너트(42)에 각각 설치된 높이조절볼트(47)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한 맨홀프레임(30)의 높이조절과,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조절높이에 따라 맨홀프레임(30)의 경사조절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가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의 저면(34a)에서 힌지핀(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받침되는 것에 의해 맨홀프레임(3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4)에는 이 높이조절볼트(44)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소켓너트(42)에 고정되도록 고정너트(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7)에는 이 높이조절볼트(47)의 높낮이 조절 후 고정소켓너트(42)에 고정되도록 고정너트(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 받침되는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의 저면(34a)에는 맨홀프레임(30)이 콘안착부(44a)에서의 이탈방지 및 안착을 유도하는 안착홈(3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44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7)의 받침부(47a)에는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볼트머리부(47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44)의 콘안착부(44a)에는 맨홀프레임(30)과 접촉시 소음방지를 위해 콘형 고무(4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는 받침링(22)에 설치되어 이 받침링(22)에서 12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를 설치하여 맨홀프레임(30)을 받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는 받침링(22)에 설치되어 이 받침링(22)에서 12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3개 또는 4개를 설치하여 맨홀프레임(30)을 받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링(22)은 맨홀슬라브(14)에 볼트(24)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몰탈층(26)으로 충전하여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프레임(30)과 받침링(22) 사이의 공간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스펀지고무링(27)을 통해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고무링(27)은 EPDM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링(22)에 맨홀프레임(30)의 플랜지(34)를 고정용 볼트(23) 너트(25)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겸 경사조절장치(40a)를 통해 맨홀프레임(30)을 높이 또는 경사도에 맞게 설치한 상태에서 제2관절받침편(49)의 받침부(49a)를 맨홀프레임(30)에 형성된 플랜지(34) 저면(34a)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20150051664A 2015-04-13 2015-04-13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160121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64A KR20160121880A (ko) 2015-04-13 2015-04-13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664A KR20160121880A (ko) 2015-04-13 2015-04-13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880A true KR20160121880A (ko) 2016-10-21

Family

ID=5725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664A KR20160121880A (ko) 2015-04-13 2015-04-13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188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4856U1 (ru) * 2017-06-01 2017-11-08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Люк колодца
CN108316357A (zh) * 2018-01-29 2018-07-24 南华大学 一种井盖修复系统及修复方法
KR20190102946A (ko) * 2018-02-26 2019-09-04 김명대 잠금장치가 설치된 맨홀덮개
CN113279430A (zh) * 2021-04-30 2021-08-20 上海捷旭门窗幕墙有限公司 智能窨井盖调节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57B1 (ko) 1999-05-13 2001-11-15 이현근 높이 조절용 맨홀.
KR100661049B1 (ko) 2006-01-23 2006-12-22 (주)우암건설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KR100949710B1 (ko)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20100091478A (ko)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간편 설치형 밸브실
KR100988800B1 (ko) 2010-07-07 2010-10-20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KR20120016566A (ko) 2010-08-16 2012-02-24 황인성 맨홀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57B1 (ko) 1999-05-13 2001-11-15 이현근 높이 조절용 맨홀.
KR100661049B1 (ko) 2006-01-23 2006-12-22 (주)우암건설 맨홀 높이조절장치 및 높이조절방법을 사용한 맨홀보수공법
KR20100091478A (ko)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간편 설치형 밸브실
KR100949710B1 (ko) 2010-01-07 2010-03-29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0988800B1 (ko) 2010-07-07 2010-10-20 (주) 디케이금속 높이조절장치가 구비된 밸브실
KR20120016566A (ko) 2010-08-16 2012-02-24 황인성 맨홀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4856U1 (ru) * 2017-06-01 2017-11-08 Алексей Викторович Чечевичкин Люк колодца
CN108316357A (zh) * 2018-01-29 2018-07-24 南华大学 一种井盖修复系统及修复方法
KR20190102946A (ko) * 2018-02-26 2019-09-04 김명대 잠금장치가 설치된 맨홀덮개
CN113279430A (zh) * 2021-04-30 2021-08-20 上海捷旭门窗幕墙有限公司 智能窨井盖调节系统及方法
CN113279430B (zh) * 2021-04-30 2023-09-12 上海捷旭门窗幕墙有限公司 智能窨井盖调节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49B1 (ko)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20160121880A (ko)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US8851800B2 (en) Concentrically loaded, adjustable piering system
KR200444445Y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US6371688B1 (en) Man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US20160348831A1 (en) Paver pedestal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470372B1 (ko) 보부재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량지붕틀의 보강구조
US6698973B2 (en) Adjustable manhole cover assembly
KR101689851B1 (ko) 경사도 조절형 우수용 맨홀커버
JP5752389B2 (ja) 他物固定具
CN212377461U (zh) 一种便于调整位置的抗震支吊架
CN102829287A (zh) 支撑调平装置及使用该支撑调平装置的试验台架
KR101023361B1 (ko) 관높이 조절용 배관 지지대
CA3139184A1 (en) Strut connector
KR101693219B1 (ko) 밸브 받침장치
KR101017424B1 (ko) 밸브실용 맨홀장치
KR102279572B1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
EP1156169A1 (en) Supporting device for prefabricated building components, particularly for prefabricated unit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with high resistance to earthquakes
KR20100126916A (ko) 도로용 스탠드
KR101196263B1 (ko) 경사조절 고정장치 일체형 맨홀프레임
KR200282457Y1 (ko) 맨홀보수장치
KR102472534B1 (ko)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KR20160011982A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JP2002242213A (ja) マンホール
KR101994679B1 (ko) 난간용 연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