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916A - 도로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도로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916A
KR20100126916A KR1020090045345A KR20090045345A KR20100126916A KR 20100126916 A KR20100126916 A KR 20100126916A KR 1020090045345 A KR1020090045345 A KR 1020090045345A KR 20090045345 A KR20090045345 A KR 20090045345A KR 20100126916 A KR20100126916 A KR 2010012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flange
base
stand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계영아이엔
Priority to KR102009004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6916A/ko
Publication of KR2010012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대에 세워지는 도로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기초대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기초대상에 안착된 상태로 강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사방에 나사공이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나사공에 관통상태로 체결되고, 플랜지의 하부로 나사축이 돌출됨에 따라 나사축의 단부가 상기 기초대에 의해 지지되며, 기초대상에서 피벗회전하는 나사축에 의해 플랜지를 승강시키면서 플랜지에 연결된 상기 강관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보정볼트 및; 상기 기초대의 사방에 제각기 배치되어 상기 보정볼트들과 제각기 대응하고, 보정볼트의 나사축이 안착되는 홈형태의 안착시트를 가지며, 기초대상에서 나사축의 단부를 받치면서 나사축의 단부가 기초대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받침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정볼트에 의해 플랜지의 수평도가 조절되면서 강관의 수직도가 보정된다.
강관, 풍압, 횡력, 도로, 스탠드

Description

도로용 스탠드 { STAND FOR STREE }
본 발명은 도로용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 하게는 지중에 매립된 기초대에 설치되어 도로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도로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가로등이나 신호등 또는 표지판이 설치된 포스트와 같은 스탠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탠드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강관의 하단부가 지중에 매립됨에 따라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따라서, 스탠드는 도로에 세워진 상태로 조명이나 교통신호를 제공하거나 행선지 등을 안내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스탠드는 통상적으로 지중에 매립되고, 표면이 지상에 노출된 콘크리트 기초대상에 강관의 하부가 고정된다. 이때, 스탠드는 앵커볼트에 의하여 기초대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스탠드는 기초대의 하중에 의해 견고한 상태로 지중에 고정된다.
한편, 최근에는 앵커볼트가 지면으로 노출되어 도시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행인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킴에 따라 앵커볼트까지 지중에 매립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탠드는 강관의 하단부를 깊게 지중에 매립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스탠드는 시공이 잘 될 경우 일직선을 이루면서 올 곧게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으나, 기초대가 약간 기울어지게 설치된 경우 기초대로 인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세워진다. 물론, 스탠드의 강관은 상단으로 갈수록 더욱 기울어진다.
이와 같은 스탠드는 보통 약 1° 내지 3°의 기울기로 기울어진다. 하지만, 시공자는 강관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경우 기초대 및 강관의 하중으로 인하여 강관의 수직도를 사실상 보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시공자는 크레인을 동원하여 강관의 수직도를 보정하여야 하거나, 앵커볼트를 다시 풀고 앵커볼트에 납작한 금속판을 몇 겹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즉, 일반적인 스탠드는 수직도의 보정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스탠드는 앵커볼트의 매립을 위해 지중에 깊이 박힐 경우 작업자의 팔이 강관의 하단에 위치한 앵커볼트에 닿지 않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도중에 작업자의 손이 강관의 하단에 눌리는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탠드는 기초대의 하중에 의해 사실상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태풍과 같은 풍압이나 지진과 같은 횡력에 취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즉, 일반적인 스탠드는 과도한 풍압이나 횡력에 의해 좌굴되거나 도괴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20153호(명칭: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지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4) 및 수평판(3)을 통해 스탠드용 강관(2)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고안을 제안한 바가 있다. 이러한 볼트(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2)의 플랜지(5)를 관통하여 기초 대(1)에 안착되는 수평판(3)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GL)를 갖는 지면(G)에 기초대(1)가 설치될 경우 강관(2)의 플랜지(5) 양측에 체결되는 볼트(4)를 조이거나 풀러줌으로써 플랜지(5)의 수평을 조절한다. 따라서, 강관(2)은 일직선으로 수직도가 보정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콘크리트재 기초대(1)의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지 못하고 울퉁불퉁하게 형성되므로 강관(2)의 수직도를 보정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기초대(1)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사실상 편평하게 형성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수평판(3)은 기초대(1)의 어느 한 곳이라도 볼록하게 융기되어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경우 기초대(1)의 융기된 부분으로 인하여 수평을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평판(3)은 강관(2)의 수직도를 사실상 완전하게 보정할 수 없다. 즉, 종래기술은 수평판(3)이 기초대(1)의 상부면에 전체적으로 안착되므로 기초대(1)의 상부면이 편평하지 않을 경우 강관(2)의 수직도를 보정할 수 없다.
또, 수평판(3)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므로 수평판(3)의 무게로 인하여 가로등의 설치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도 있으며, 이에 더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2) 및 플랜지(5)에 대응하는 배선공(3a)과 장공(3b) 및 볼트공(3c)을 수평판(3)에도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강관의 하단부와 일체를 이루면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기초대에 부분적으로 지지되어 기초대에 설치된 강관의 하단을 부분적으로 승강시키면서 강관의 수직도를 올바르게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도로용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강관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반력을 강관의 하부에 제공하여 강관의 하단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억제할 수 있는 부재가 마련된 도로용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스탠는, 지중에 매립된 기초대에 설치되어 도로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도로용 스탠드에 있어서, 하부가 기초대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는 강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기초대상에 안착된 상태로 강관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사방에 나사공이 형성된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나사공에 관통상태로 체결되고, 플랜지의 하부로 나사축이 돌출됨에 따라 나사축의 단부가 상기 기초대에 의해 지지되며, 기초대상에서 피벗회전하는 나사축에 의해 플랜지를 승강시키면서 플랜지에 연결된 상기 강관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보정볼트 및; 상기 기초대의 사방에 제각기 배치되어 상기 보정볼트들과 제각기 대응하고, 보정볼트의 나사축이 안착되는 홈형태의 안착시트를 가지며, 기초대상에서 나사축의 단부를 받치면서 나사축의 단부가 기초대와 마 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받침판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시트는, 상기 보정볼트의 나사축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정볼트는, 상기 받침판에 나사축의 단부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강관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반력을 강관의 하부에 제공하여 강관의 하단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억제시키는 휨모멘트 엑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예컨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강관의 하단부측 흙에 수평상태로 매립되어 토압에 의해 반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강관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관링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관링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흙이 충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강관링은, 상기 강관의 하단부측 흙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형태의 통로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예컨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중량을 제공하는 물질이 충전되어 강관의 하단부측에 중량을 제공하는 자켓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자켓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강관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자켓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강관의 하단부측 흙에 수평상태로 매립되는 강관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는, 플랜지의 사방에 체결된 상태로 받침판에 받쳐지는 보정볼트의 풀림이나 조임을 통해 플랜지를 승강시키면서 플랜지의 수평도를 조절하므로 수평을 이루는 플랜지를 통해 강관의 설치각도(수직도)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받침판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기초대의 사방에서 보정볼트의 단부를 지지하므로 기초대의 표면이 편평하지 않아도 플랜지를 용이하게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받침판이 기초대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므로 기초대의 표면이 편평하지 않아도 플랜지를 용이하게 수평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또, 휨모멘트 억제부재가 토압이나 하중에 의해 강관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강관이 풍압이나 횡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좌굴되거나 도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벨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벨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레벨러의 사용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레벨러의 사용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설치되는 플랜지(50)를 갖는다. 플랜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1)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플랜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형태의 레벨러(LV)가 마련된다.
강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0)를 통해 기초대(1)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강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은 링형태의 휨모멘트 억제부재(MC)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1)에 돌출형성된 앵커볼트(1a)가 관통하는 장공(52)을 갖는다. 또, 플랜지(50)는 강관(10)을 지지하는 리브(56)를 갖는다. 또한, 플랜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에 후술되는 보정볼트(62)가 체결되는 나사공(54)을 갖는다. 이러한 나사공(54)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갖는다.
레벨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0)의 나사공(54)에 나사결합되어 플랜지(50)를 사방에서 관통하는 보정볼트(62) 및, 플랜지(50)의 나사공(54)을 관통한 보정볼트(62)의 나사축에 결합되는 받침판(64)으로 구성하였다. 물론, 받침판(64)은 보정볼트(62)의 나사축에 결합됨에 따라 플랜지(50)의 하부에 위치한다.
받침판(64)은 기초대(1)의 표면에 융기가 형성된 경우 융기를 피해 융기의 측방으로 배치된다. 즉, 받침판(64)은 기초대(1)의 융기상에 배치되지 않고 편평한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받침판(64)은 기초대(1)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물론, 받침판(64)의 배치위치가 변경되려면 플랜지(50)를 기초대(1)상에서 조금 돌린 후 안착시켜야 한다.
한편, 휨모멘트 억제부재(MD)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강관(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판상의 강관링(70)으로 구성하였다. 강관링(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어 이격된 상태로 강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강관링(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a)가 관통된 후 너트(1b)가 체결됨에 따라 기초대(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플랜지(50)는 기초대(1)와 일체를 이룬다.
보정볼트(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0)의 나사공(54)에 체결되어 나사축이 플랜지(50)의 하부로 돌출된다. 물론, 보정볼트(62)는 피벗회전될 경우 플랜지(50)의 하부로 돌출된 나사축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보정볼트(62)는 플랜지(50)가 승강됨에 따라 나사축의 돌출길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보정볼트(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64)을 통해 기초대(1)에 지지된다.
받침판(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볼트(62)의 나사축이 밀착된다. 받침판(64)은 보정볼트(62)가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홈형태의 안착시트(64a)를 갖는다. 이러한 안착시트(64a)는 보정볼트(62)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시트(64a)는 보정볼트(62)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64) 및 보정볼트(62)는 나사결합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받침판(64)은 도시된 바와 달리 안착시트(64a)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받침판(64)은 홈이 없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정볼트(62)는 용접(WD)에 의해 영구적으로 받침판(64)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보정볼트(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64)의 안착시트(64a)에 나사축이 삽입될 경우, 나사축의 단부가 안착시트(64a)에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판(64)과 용접(WD)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초대(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선(HZ)에 대해 경사(β)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50)는 기초대(1)와 동일하게 경사(β)를 형성한다. 따라서, 강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VT)에 대하여 경사(α)를 갖는다. 즉, 강관(10)은 삐뚤게 설치된 기초대(1)로 인하여 삐뚤어 진다. 이러한 강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갈수록 더 심하게 경사(α)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기초대(1)가 삐뚤어진 경우 작업자는 미도시된 공구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보정볼트(62)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보정볼트(62)는 기초대(1)상에서 피벗회전한다. 따라서, 플랜지(50)는 보정볼트(62)에 의해 승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랜지(50)는 도면상의 오른쪽에 도시된 보정볼트(62)가 풀림에 따라 오른쪽부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플랜지는 도면상의 왼쪽에 도시된 보정볼트(64)가 반대로 잠김에 따라 왼쪽부위가 하강한다. 즉, 플랜지(50)는 양측의 보정볼트(62)가 제각기 풀리거나 잠김에 따라 양측이 제각기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따라서, 플랜지(50)는 보정볼트(62)에 의해 수평을 형성한다.
물론, 기초대(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경사(β)를 형성한다. 하지만, 플랜지(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형성하면서 강관(10)을 일직선으로 올곧게 세운다. 따라서, 강관(10)은 수직선(VT)과 일치하는 상태로 세워진다.
한편, 받침대(64)는 기초대(1)의 사방으로 분할배치될 뿐만 아니라 편평한 부위에 배치되므로 보정볼트(6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플랜지(50)는 기초대(1)의 표면이 울퉁불퉁하여도 수평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른 한편, 강관(10)이 일직선으로 세워지면, 작업자는 강관(10)의 하단부에 흙을 매립한다. 이때, 흙은 강관링(70)들의 사이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강관링(70)은 상부 및 하부에 충전되는 흙에 완전하게 매립된다.
강관링(70)은 강관(10)이 풍압이나 횡력에 의해 흔들릴 경우 흙의 토압에 의해 강관(10)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즉, 강관링(70)은 강관(10)에 휨모멘트가 작용할 경우 토압을 통해 강관(10)의 하단부에 반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강관(10)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강관링(70)은 지중에 매립됨에 따라 토압에 의해 가압되므로, 풍압이나 횡력과 같은 외력에 의해 강관(10)이 들어올려 지려고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따라서, 강관(10)은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휨모멘트 억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강관링(70)을 경사지게 형성한 것과, 강관링(70)에 흙이 투입되는 투입공(70a)이 형성된 것이 전술한 휨모멘트 억제부재와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러한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휨모멘트 억제부재의 강관링(70)은 경사를 갖는다. 이러한 강관링(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으로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강관링(70)은 하부로 흙이 용이하게 들어가고, 상부가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에 흙이 용이하게 충전된다.
강관링(70)은 상광하협의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쐐기형태로 지중에 박힌다. 따라서, 강관링(70)은 강관(10)이 외력에 의해 들어올려 지려고 할 경우 지중에서 잘 안 빠진다. 따라서, 강관링(70)은 강관(10)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강관링(70)은 상광하협의 경사에 의해 강관(10)에 대한 지지력이 강화된다.
한편, 강관링(70)은 하광상협의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하부면으로 흙이 원활하게 충전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강관링(70)은 도시된 바와 같은 투입공(7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공(70a)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흙이 투입된다. 즉, 투입공(70a)은 흙이 투입되는 통로이다.
이와 같은 투입공(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링(7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입공(70a)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휨모멘트 억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강관(1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자켓(80)이다. 이러한 자켓(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박스나 원통형의 박스이다.
자켓(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내부에 흙이 충전된다. 이에 따라, 자켓(80)은 흙의 하중에 의해 강관(10)의 하부에 중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강관(10)은 자켓(80)에 의해 하단부가 견고하게 지중에 고정된다.
자켓(80)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가 배수되지 않을 경우 강관(10)의 외측에 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켓(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배수공(8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자켓(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전술한 강관링(7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강관링(70)은 자켓(8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강관(10)의 하단부측 흙에 수평상태로 매립된다. 강관링(70)은 지중에 매립됨에 따른 토압과 자켓(80)의 하중에 의해 강관(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강관링(70)은 강관(10)에 용접으로 고정되지 않고, 그냥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관링(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80)의 상부에도 마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자켓(80)은 흙이 아닌 다른 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물론, 자켓(80)은 콘크리트나 금속재와 같이 흙 보다 비중이 큰 물질이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용 스탠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로용 스탠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벨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벨러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레벨러의 사용 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벨러의 사용 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휨모멘트 억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휨모멘트 억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플랜지
62 : 보정볼트
64 : 받침판
70 : 강관링
80 : 자켓

Claims (11)

  1. 지중에 매립된 기초대(1)에 설치되어 도로상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도로용 스탠드에 있어서,
    하부가 기초대(1)와 함께 지중에 매립되는 강관(10);
    상기 강관(10)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기초대(1)상에 안착된 상태로 강관(1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사방에 나사공(54)이 형성된 플랜지(50);
    상기 플랜지(50)의 나사공(54)에 관통상태로 체결되고, 플랜지(50)의 하부로 나사축이 돌출됨에 따라 나사축의 단부가 상기 기초대(1)에 의해 지지되며, 기초대(1)상에서 피벗회전하는 나사축에 의해 플랜지(50)를 승강시키면서 플랜지(50)에 연결된 상기 강관(10)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보정볼트(60); 및
    상기 기초대(1)의 사방에 제각기 배치되어 상기 보정볼트(62)들과 제각기 대응하고, 보정볼트(62)의 나사축이 안착되는 홈형태의 안착시트(64a)를 가지며, 기초대(1)상에서 나사축의 단부를 받치면서 나사축의 단부가 기초대(1)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받침판(64)을 포함하는 도로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시트(64a)는,
    상기 보정볼트(62)의 나사축과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를 더 포함하는 도로용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볼트(62)는,
    상기 받침판(64)에 나사축의 단부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한 반력을 강관(10)의 하부에 제공하여 강관(10)의 하단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억제시키는 휨모멘트 엑제부재를 더 포함하는 도로용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상기 강관(10)의 하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고, 강관(10)의 하단부측 흙에 수평상태로 매립되어 토압에 의해 반력을 제공하는 판상의 강관링(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링(70)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링(70)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에 흙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링(70)은,
    상기 강관(10)의 하단부측 흙이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구멍형태의 통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휨모멘트 억제부재는,
    상기 강관(1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중량을 제공하는 물질이 충전되어 강관(10)의 하단부측에 중량을 제공하는 자켓(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스탠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80)은,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시키는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도로용 스탠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10)의 하단부에 끼워져서 상기 자켓(80)의 하중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강관(10)의 하단부측 흙에 수평상태로 매립되는 강관링(70)을 더 포함하는 도로용 스탠드.
KR1020090045345A 2009-05-25 2009-05-25 도로용 스탠드 KR20100126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345A KR20100126916A (ko) 2009-05-25 2009-05-25 도로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345A KR20100126916A (ko) 2009-05-25 2009-05-25 도로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916A true KR20100126916A (ko) 2010-12-03

Family

ID=4350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345A KR20100126916A (ko) 2009-05-25 2009-05-25 도로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69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286A (zh) * 2011-08-17 2012-03-28 北京新联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接触网立柱调节装置
KR101339042B1 (ko) * 2013-05-07 2013-12-09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지주 회전구조를 갖는 신호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0286A (zh) * 2011-08-17 2012-03-28 北京新联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接触网立柱调节装置
KR101339042B1 (ko) * 2013-05-07 2013-12-09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지주 회전구조를 갖는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057B2 (en) Tower foundation system
US8028476B1 (en) Pool leveling system
US6256940B1 (en) Foundation with side struts for manufactured home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US20100257794A1 (en) Lateral support device
KR101650349B1 (ko)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US6371688B1 (en) Manhole cover mounting structure
KR101077238B1 (ko) 기둥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4445Y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090017783A (ko) 기둥의 기초 연결부 마감구조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US4862992A (en) Noise barrier
US200500585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roadway and greenway appurtenances
KR20100126916A (ko) 도로용 스탠드
KR102286320B1 (ko)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된 막 구조물
KR20160121880A (ko) 맨홀프레임의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0875276B1 (ko) 도로용 강관유닛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JP4698661B2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376457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구조물
US7454871B2 (en) Adjustable pier
CA3121283C (en) Anchoring system for securing a post
KR200420153Y1 (ko)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지주
KR101017424B1 (ko) 밸브실용 맨홀장치
KR101141150B1 (ko) 무앵커 가로등 기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