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735A -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735A
KR20150053735A KR1020150050224A KR20150050224A KR20150053735A KR 20150053735 A KR20150053735 A KR 20150053735A KR 1020150050224 A KR1020150050224 A KR 1020150050224A KR 20150050224 A KR20150050224 A KR 20150050224A KR 20150053735 A KR20150053735 A KR 2015005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lumn
protruding
ring
rotar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명
Original Assignee
권오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명 filed Critical 권오명
Priority to KR102015005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735A/ko
Publication of KR2015005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735A/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핸들과 수직기둥의 하부를 용접으로 결합하지 않고 회전링으로 설치하되, 이 회전링은 회전핸들을 돌리면 회전핸들과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구에 의해 회전핸들이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핸들 상측의 수직기둥이 승하강하되, 수직기둥은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수직기둥의 높이조절은 당연히 이루어지고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이 곡선인 경우에도 수직기둥만 돌려서 수평지지대를 원하는 곡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기둥유닛의 회전핸들이나 높이조절구가 손상된 경우에 그 손상된 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하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수평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 판형 바닥지지대(3a)가 설치된 숫나사관 형태의 높이조절구(3)에는 암나사관 형태의 회전핸들(2)이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핸들(2)은 핸들부(2c)가 외향 설치된 본체부의 상부에 상부측의 외경이 감축되는 상부몸체(2e)의 외주연 전둘레에 돌기회전안내홈(2d)이 형성되고, 이 상부몸체(2e) 외측에는 돌기회전안내홈(2d)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관통홈(12a)을 형성한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가 끼움 설치되며,
상기 돌기관통홈(12a) 외측의 하부수직기둥(12)의 외주연에는 일측 단부에 볼트(23)가 체결되는 클램핑부(2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물림부(21)가 구비되며 중간부분의 내주연에 돌기부(22)가 내향 돌출된 한 쌍의 반링몸체(19)가 서로 결합되는 회전링(18)이 설치되고,
양측 반링몸체(19)의 돌기부(22)는 하부수직기둥(12)의 돌기관통홈(12a)을 통하여 돌기회전안내홈(2d)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반링몸체(19)는 클램핑부(20)에 또 다른 반링몸체(19)의 물림부(21)가 볼트(23)의 체결에 의해 링형태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링(18) 상측의 하부수직기둥(12)에는 수개의 조립구멍(5)이 형성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수직기둥(12) 상부에는 복수의 핀구멍(11)이 형성된 상부수직기둥(10)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에 핀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상부수직기둥(10)의 외주연에는 인접한 상부수직기둥(10)과 수평지지대(4)로 연결하는 관형연결구(15)를 설치하되, 이 관형연결구(15)는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 끼워지는 슬리브(14)에 상부수직기둥(10)의 핀구멍(11)과 대응되는 핀구멍(13)이 관통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13,11)으로 조립핀(16)이 끼워져 조립되고, 슬리브(14)의 외주연에 수개의 조립구멍(5)이 형성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The vertical pillar unit of prefabricated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핸들과 수직기둥의 하부를 용접으로 결합하지 않고 회전링으로 설치하되, 이 회전링은 회전핸들을 돌리면 회전핸들과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구에 의해 회전핸들이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핸들 상측의 수직기둥이 승하강하되, 수직기둥은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수직기둥의 높이조절은 당연히 이루어지고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이 곡선인 경우에도 수직기둥만 돌려서 수평지지대를 원하는 곡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기둥유닛의 회전핸들이나 높이조절구가 손상된 경우에 그 손상된 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하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수평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용 비계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수직기둥(1)이 삽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기둥(1)의 하단에는 회전핸들(2)을 돌림에 따라 나사식으로 높이조절이 되는 높이조절구(3)가 나사식으로 설치되며, 인접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수직기둥(1)은 수평지지대(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평지지대(4)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수직기둥(1)에는 사방에 조립구멍(5)을 형성한 연결판(6)이 용접(w)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4)의 양단에는 조립구멍(5)에 대응하는 쐐기핀구멍(7)을 형성한 결합구(8)가 설치되어있다.
따라서, 결합구(8)의 쐐기핀구멍(7)과 연결판(6)의 조립구멍(5)이 일치되게 결합구(8)를 연결판(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한 쐐기핀구멍(7)과 조립구멍(5)으로 쐐기핀(9)을 끼우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수직기둥(1)이 수평지지대(4)에 이해 한 줄이나 두 줄은 물론이고, 평면에서 볼 때 바둑판 모양으로도 연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건축용 비계를 설치할 때, 수직기둥(1)에 용접으로 설치된 연결판(6)에 4개의 조립구멍(5)이 90도 간격으로 사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비계는 인접한 수직기둥(1) 들을 직선방향이나 직각방향으로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과 선박건조물과 같은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이 곡선인 경우에는 종래비계가 직선방향이나 직각방향으로만 설치되기 때문에,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과 근접하게 비계를 설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3)가 설치되는 수직기둥(1)의 하단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파이프로 된 수직기둥(1)의 하단부에 암나사관과 같은 회전핸들(2)이 수직기둥(1)의 하단부와 용접(w)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고, 암나사관과 같은 회전핸들(2)의 암나사부(2a)에는 숫나사관 형태의 높이조절구(3)가 나사식으로 체결되고, 높이조절구(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바닥지지대(3a)는 판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핸들(2)은 내주연에 암나사부(2a)가 구비되고, 외주연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단턱부(2b)가 구비되어 이 단턱부(2b)의 외부로 수직기둥(1)의 하단부가 끼워져 용접으로 결합되게 되며, 넓은 하단부의 외주연에 핸들부(2c)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기둥(1)의 외주연에 연결판(6)이 설치되고 하단부에 회전핸들(2)과 높이조절구(3)가 설치되어 하나의 수직기둥 결합체(수직재)를 구성하는 것을 수직기둥유닛이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수직기둥유닛과 수평지지대(수평재), 그리고 수직기둥유닛과 수평재를 연결하는 쇄기핀(9)과 같은 연결재를 포함하는 비계는 각종 공사현장과 같은 열악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금속재로 제작되어 무게도 무겁기 때문에 마구 내던지거나 떨어트려서 많은 손상이 발생되게 된다.
특히, 비계를 구성하는 구성품 중에 수직기둥유닛이 가장 크고 무거운데, 이 수직기둥유닛 중에서 회전핸들(2)과 높이조절구(3)가 설치된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회전핸들(2)과 높이조절구(3)가 설치된 부분을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하지 못하게 되어 수직기둥유닛 자체를 폐기하게 되어 경제적 손실이 큰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특허등록 제10-0546069호(발명의 명칭 : 건축용 비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핸들과 수직기둥의 하부를 용접으로 결합하지 않고 회전링으로 설치하되, 이 회전링은 회전핸들을 돌리면 회전핸들과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구에 의해 회전핸들이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핸들 상측의 수직기둥이 승하강하되, 수직기둥은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수직기둥의 높이조절은 당연히 이루어지고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이 곡선인 경우에도 수직기둥만 돌려서 수평지지대를 원하는 곡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수직기둥유닛의 회전핸들이나 높이조절구가 손상된 경우에 그 손상된 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하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수평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판형 바닥지지대가 설치된 숫나사관 형태의 높이조절구에는 암나사관 형태의 회전핸들이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핸들은 핸들부가 외향 설치된 본체부의 상부에 상부측의 외경이 감축되는 상부몸체의 외주연 전둘레에 돌기회전안내홈이 형성되고, 이 상부몸체 외측에는 돌기회전안내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관통홈을 형성한 하부수직기둥의 하단부가 끼움 설치되며,
상기 돌기관통홈 외측의 하부수직기둥의 외주연에는 일측 단부에 볼트가 체결되는 클램핑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물림부가 구비되며 중간부분의 내주연에 돌기부가 내향 돌출된 한 쌍의 반링몸체가 서로 결합되는 회전링이 설치되고,
양측 반링몸체의 돌기부는 하부수직기둥의 돌기관통홈을 통하여 돌기회전안내홈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반링몸체는 클램핑부에 또 다른 반링몸체의 물림부가 볼트의 체결에 의해 링형태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링 상측의 하부수직기둥에는 수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된 연결판이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수직기둥 상부에는 복수의 핀구멍이 형성된 상부수직기둥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에 핀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상부수직기둥의 외주연에는 인접한 상부수직기둥과 수평지지대로 연결하는 관형연결구를 설치하되, 이 관형연결구는 상부수직기둥의 외측에 끼워지는 슬리브에 상부수직기둥의 핀구멍과 대응되는 핀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으로 조립핀이 끼워져 조립되고, 슬리브의 외주연에 수개의 조립구멍이 형성된 연결판이 용접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은, 회전핸들과 수직기둥의 하부를 용접으로 결합하지 않고 회전링으로 설치하되, 이 회전링은 회전핸들을 돌리면 회전핸들과 나사식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구에 의해 회전핸들이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회전핸들 상측의 수직기둥이 승하강하되, 수직기둥은 제자리에서 공회전하게 되어 수직기둥의 높이조절은 당연히 이루어지고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이 곡선인 경우에도 수직기둥만 돌려서 수평지지대를 원하는 곡선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와, 수직기둥유닛의 회전핸들이나 높이조절구가 손상된 경우에 그 손상된 부품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서 공사비용을 절감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연결판을 상하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수평지지대를 설치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와,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비계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둥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의 (가) 내지 (다)는 도 4에 도시된 수직기둥유닛의 "가, 나, 다" 부를 구분하여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E"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의 (가)(나)는 도 5의 C-C선 단면도로서, 회전링을 분해한 상태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둥유닛(100)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 판형 바닥지지대(3a)가 설치된 숫나사관 형태의 높이조절구(3)에는 암나사관형태의 회전핸들(2)이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회전핸들(2) 하측의 높이조절구(3)에는 수직기둥유닛(1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높이조절구(3)을 돌리고자 하는 경우에 쇠막대나 드라이버를 삽입시켜 돌릴 수 있게 하는 핀구멍(3b)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핸들(2)은 핸들부(2c)가 외향 설치된 본체부의 상부에 상부측의 외경이 감축되는 상부몸체(2e)의 외주연 전둘레에 돌기회전안내홈(2d)이 형성되고, 이 회전핸들(2)의 상부몸체(2e) 외측에는 돌기회전안내홈(2d)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관통홈(12a)을 형성한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가 끼움 설치된다.
이때,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는 회전핸들(2)의 단턱부(2b)에 얹히게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관통홈(12a) 외측의 하부수직기둥(12)의 외주연에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볼트(23)가 체결되는 클램핑부(2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물림부(21)가 구비되며 중간부분의 내주연에 돌기부(22)가 내향 돌출된 한 쌍의 반링몸체(19)가 서로 결합되는 회전링(18)이 설치된다.
상기 양측 반링몸체(19)의 돌기부(22)는 하부수직기둥(12)의 돌기관통홈(12a)을 통하여 돌기회전안내홈(2d)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반링몸체(19)는 클램핑부(20)에 또 다른 반대편의 반링몸체(19)의 물림부(21)가 볼트(23)의 체결에 의해 링형태로 결합 설치된다.
상기 하부수직기둥(12)의 회전링(18)이 설치된 상부에 수개의 공지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된다. 이 연결판(6)은 사방에 조립구멍(5)이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 연결판(6)은 필요에 따라 3방향에 조립구멍(5)이 형성되거나, 또는 4~8방향으로 조립구멍(5)이 형성된 것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측 연결판(6) 상측의 하부수직기둥(12)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핀구멍(11)이 형성되며, 이 하부수직기둥(12)의 상부에는 하부수직기둥(12)의 내측으로 상부수직기둥(10)이 삽입되는데, 이 상부수직기둥(10)에는 하부수직기둥(12)에 형성된 핀구멍(11)과 동일한 간격으로 핀구멍(11)이 형성되어 상하부수직기둥(10,12)의 서로 일치하는 2개의 핀구멍(11)으로 "ㄷ" 형핀(17)이 끼워져서 상하부수직기둥(10,12)이 상하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상부수직기둥(10)의 상부에는 판형 상부지지대(10a)가 용접으로 설치되며, 상부수직기둥(10)의 외주연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형연결구(15)가 설치위치를 상하로 높이조절되게 설치된다.
상기 관형연결구(15)는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 끼워지는 슬리브(14)에 상부수직기둥(10)의 핀구멍(11)과 대응되는 핀구멍(13)이 관통되고 슬리브(14)의 외주연에 사방향에 조립구멍(5)이 형성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되어 관형연결구(15)가 형성된다.
서로 일치하는 관형연결구(15)의 핀구멍(13)과 상부수직기둥(10)의 핀구멍(11)으로 조립핀(16)이 끼워져서 관형연결구(15)의 설치위치를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서 상하로 높이조절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기둥유닛(100)의 조립은, 도 5의 (다)에서와 같이 암나사관 형태로 형성된 회전핸들(2)을 숫나사관 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구(3)의 외부에 나사식으로 체결한다.
그 다음에 회전핸들(2)의 상부에 하부수직기둥(12)의 하부를 끼우는데, 이때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핸들(2)의 외경이 감축된 상부몸체(2e)의 외주연에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를 끼우면,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는 회전핸들(2)의 단턱부(2b)에 얹혀 걸리게 되고 상부몸체(2e)와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는 헛도는 상태로 끼워져 있으며, 하부수직기둥(12)에 형성된 돌기관통홈(12a)과 상부몸체(2e)의 외주연 전둘레에 형성된 돌기회전안내홈(2d)은 동일한 높이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반링몸체(19)를 하부수직기둥(12)의 외측에서 링형으로 결합시키는데, 이때는 양측 반링몸체(19)의 중간부분 내측에 내향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22)를 하부수직기둥(12)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관통홈(12a)으로 삽입시키면, 양측 돌기부(22)는 그 길이가 하부수직기둥(12)의 살두께 보다 길어서 돌기관통홈(12a)을 관통하면서 그 선단부가 돌기회전안내홈(2d)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양측 반링몸체(19)의 돌기부(22)가 돌기관통홈(12a)을 관통하고 그 선단부가 돌기회전안내홈(2d)으로 삽입되면, 양측 반링몸체(19)의 일측 "ㄷ" 형 클램핑부(20)의 내측으로 또 다른 반대편 반링몸체(19)의 타측 선단부에 납작하게 형성된 물림부(21)가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양측 반링몸체(19)의 클램핑부(20)에 가조립 상태로 체결된 볼트(23)를 체결하면, 그 클램핑부(20)가 조여들면서 그 클램핑부(20)로 삽입된 물림부(21)가 클램핑부(20)에 의해 클램핑되어 한 쌍의 반링몸체(19)의 든든하게 링형태로 조립되어 하부수직기둥(12)의 외측에 회전링(18)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회전링(18)가 하부수직기둥(12)의 외측에 설치되게 되면, 도 5 및 도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핸들(2)을 돌리면, 회전핸들(2)의 암나사부와 높이조절구(3)의 숫나사부가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회전핸들(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회전핸들(2)이 높이조절구(3)의 외측에서 승하강하게 되고, 회전핸들(2)이 승하강함에 따라 회전핸들(2)의 상측에 설치된 하부수직기둥(12)도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수직기둥(12)만 돌리게 되면 회전핸들(2)과 하부수직기둥(12)이 용접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고, 회전링(18)의 돌기부(22)가 하부수직기둥(12)의 돌기관통홈(12a)을 통과하여 회전핸들(2)의 상부몸체(2e)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회전안내홈(2d)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핸들(2)은 제자리에 있으면서 하부수직기둥(12)만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 관형연결구(15)의 슬리브(14)를 끼우고, 상부수직기둥(10)에 형성된 핀구멍(11)과 슬리브(14)에 형성된 핀구멍(13)을 원하는 위치에서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일치한 핀구멍(13,11)으로 조립핀(16)을 끼우면,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 관형연결구(15)를 조립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수직기둥(12)의 상부 내측으로 상부수직기둥(10)의 하단부를 삽입시키면서 상부수직기둥(10)의 핀구멍(11)과 하부수직기둥(12)의 핀구멍(11)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렇게 일치시킨 핀구멍(11)으로 "ㄷ" 형핀(17)을 끼우면 상하부수직기둥(10,12)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위의 상하부수직기둥(10,12)에 형성된 2개의 핀구멍(11)을 동시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ㄷ" 형핀(17)의 상하측 2개의 핀부분이 동시에 끼워지므로 더욱더 견고하고 안정되게 상하부수직기둥(10,12)을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 완료된 수직기둥유닛(100)을 필요로 하는 작업위치에 설치할 때는, 설치할 작업장소의 높이에 맞추어 상하부수직기둥(10,12)의 조립위치를 맞추어 조립하고, 2차로는 하부수직기둥(12) 하측의 (2)을 돌리면서 필요로 하는 높이를 맞추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기둥유닛(100)의 높이까지 작업장소에 맞게 맞춘 뒤에 인접한 또 다른 수직기둥유닛(100)들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수평지지대(4)를 종래방식과 동일하게 수직기둥유닛(100)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판(6)과 수평지지대(4)의 결합구(8)를 끼우고, 연결판(6)과 결합구(8)의 형성된 각각의 쐐기핀구멍(7)과 조립구멍(5)으로 쐐기핀(9)을 끼워서 인접한 수직기둥유닛(100)을 연결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부수직기둥(10)에 설치된 관형연결구(15)에도 수평지지대(4)를 연결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위와 같이 인접한 수직기둥유닛(100) 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설치하는 수직기둥유닛(100)을 곡선으로 설치해야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핸들(2) 상측의 하부수직기둥(12)을 손으로 잡아서 돌리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핸들(2)과 하부수직기둥(12)이 용접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고 회전링(18)의 돌기부(22)가 하부수직기둥(12)의 돌기관통홈(12a)을 통과하여 회전핸들(2)의 상부몸체(2e)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회전안내홈(2d)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핸들(2)은 제자리에 있으면서 하부수직기둥(12)만 회전하여 상부수직기둥(10)과 하부수직기둥(12)에 설치된 관형연결구(15)와 연결판(6)이 하부수직기둥(12)을 돌리는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하부수직기둥(12)을 돌리는 각도만큼 관형연결구(15)와 연결판(6)의 각도가 변경되어 필요로 하는 곡선방향으로 인접한 수직기둥유닛(100)을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그로인하여 공사대상물체의 작업면과 근접하게 수직기둥유닛(100)을 포함한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핸들(2) 하방의 높이조절구(3)에 형성된 핀구멍(3c)은 수직기둥유닛(100)의 설치를 완료한 뒤에 작업환경에 따라 높이조절구(3)의 설치방향을 조정해야하는 경우나, 하부수직기둥(12)의 높이를 미세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쇠막대나 드라이버 등을 끼워서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수직기둥유닛(100)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수직기둥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 들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기둥유닛(100)가 모든 구성품들이 분리가 가능하여 손상된 부분만 수리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수직기둥 2 : 회전핸들 3 : 높이조절
4 : 수평지지대 5 : 조립구멍 6 : 연결판
7 : 쐐기핀구멍 8 : 결합구 9 : 쐐기핀
10 : 상부수직기둥 11 : 핀구멍 12 : 하부수직기둥
13 : 핀구멍 14 : 슬리브 15 : 관형연결구
16 : 조립핀 17 : "ㄷ" 형핀 18 : 회전링
19 : 반링몸체 20 : 클램핑부 21 : 물림부
22 : 돌기부 23 : 볼트 100 : 수직기둥유닛

Claims (2)

  1. 저면에 판형 바닥지지대(3a)가 설치된 숫나사관 형태의 높이조절구(3)에는 암나사관 형태의 회전핸들(2)이 나사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핸들(2)은 핸들부(2c)가 외향 설치된 본체부의 상부에 상부측의 외경이 감축되는 상부몸체(2e)의 외주연 전둘레에 돌기회전안내홈(2d)이 형성되고, 이 상부몸체(2e) 외측에는 돌기회전안내홈(2d)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관통홈(12a)을 형성한 하부수직기둥(12)의 하단부가 끼움 설치되며,
    상기 돌기관통홈(12a) 외측의 하부수직기둥(12)의 외주연에는 일측 단부에 볼트(23)가 체결되는 클램핑부(2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물림부(21)가 구비되며 중간부분의 내주연에 돌기부(22)가 내향 돌출된 한 쌍의 반링몸체(19)가 서로 결합되는 회전링(18)이 설치되고,
    양측 반링몸체(19)의 돌기부(22)는 하부수직기둥(12)의 돌기관통홈(12a)을 통하여 돌기회전안내홈(2d)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반링몸체(19)는 클램핑부(20)에 또 다른 반링몸체(19)의 물림부(21)가 볼트(23)의 체결에 의해 링형태로 결합 설치되며,
    상기 회전링(18) 상측의 하부수직기둥(12)에는 수개의 조립구멍(5)이 형성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수직기둥(12) 상부에는 복수의 핀구멍(11)이 형성된 상부수직기둥(10)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에 핀이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상부수직기둥(10)의 외주연에는 인접한 상부수직기둥(10)과 수평지지대(4)로 연결하는 관형연결구(15)를 설치하되, 이 관형연결구(15)는 상부수직기둥(10)의 외측에 끼워지는 슬리브(14)에 상부수직기둥(10)의 핀구멍(11)과 대응되는 핀구멍(13)이 관통 형성되어 서로 일치하는 핀구멍(13,11)으로 조립핀(16)이 끼워져 조립되고, 슬리브(14)의 외주연에 수개의 조립구멍(5)이 형성된 연결판(6)이 용접으로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직기둥(12)의 상부에는 상부수직기둥(10)에 형성된 핀구멍(11)과 동일한 간격의 핀구멍(11)이 형성되어 상하부수직기둥(10,12)의 서로 일치하는 2개의 핀구멍(11)으로 "ㄷ" 형핀(17)이 끼워지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1020150050224A 2015-04-07 2015-04-07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20150053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24A KR20150053735A (ko) 2015-04-07 2015-04-07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224A KR20150053735A (ko) 2015-04-07 2015-04-07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735A true KR20150053735A (ko) 2015-05-18

Family

ID=5339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224A KR20150053735A (ko) 2015-04-07 2015-04-07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7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329A (zh) * 2018-02-06 2018-07-1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脚手架可调丝杆及其使用方法
KR102472534B1 (ko) 2021-12-14 2022-12-01 정우진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329A (zh) * 2018-02-06 2018-07-17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脚手架可调丝杆及其使用方法
CN108286329B (zh) * 2018-02-06 2023-10-31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脚手架可调丝杆及其使用方法
KR102472534B1 (ko) 2021-12-14 2022-12-01 정우진 건축용 비계의 쟈키베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3823A1 (en) Panel and kit for constructing fence
KR101396229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2286870B1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의 관 연결장치
KR20150053735A (ko) 조립식 가설재의 수직기둥 유닛
KR101782292B1 (ko) 비계용 각도조절형 보강프레임
WO2016165408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JP6210608B1 (ja) 支保工
TWI751278B (zh) 臨時支架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1528913B1 (ko) 싱글레이어 스페이스 프레임
US8651463B2 (en) Balustrade
US20200139183A1 (en) Playground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KR101867079B1 (ko)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20050034707A (ko) 비계 파이프 어셈블리
KR101489386B1 (ko) 거푸집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서포트용 소켓 및 이 소켓이 적용된 시스템 서포트
JP2017110421A (ja)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KR20120073181A (ko) 가설공사용 비계
JP2015124551A (ja) 組立家屋の接続構造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KR20140119455A (ko) 핸드레일용 지주와 지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지주 결합장치
KR101236751B1 (ko) 선박의 의장품 취부구조
CN215594987U (zh) 一种建筑设备用装配式集成连接装置
CN203213573U (zh) 自锁式脚手架免焊接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