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688B1 -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688B1
KR101971688B1 KR1020170140103A KR20170140103A KR101971688B1 KR 101971688 B1 KR101971688 B1 KR 101971688B1 KR 1020170140103 A KR1020170140103 A KR 1020170140103A KR 20170140103 A KR20170140103 A KR 20170140103A KR 101971688 B1 KR101971688 B1 KR 10197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frame
building
flow connection
mov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용
강인동
Original Assignee
이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용 filed Critical 이준용
Priority to KR102017014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from the side, e.g. by walls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이동 통로 프레임과, 크레인측 연결 유닛과, 건축물측 연결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타워 크레인과 건축물 양 측 모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Transfer bridge apparatus for tower crane}
본 발명은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워 크레인은 탑 모양의 기중기로서, 주로 건축이나 하역 작업에 이용되고, 일정 높이로 높은 크레인 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되는 기중기 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워 크레인은 크레인 대상인 물체를 이용하여 건축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대상인 건축물의 인근에 세워지고, 타워 브레싱에 의해 건축물과 연결되어 전복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은 타워 크레인의 일정 높이 부분과 건축물 사이의 상공을 작업자 등이 오가기 편리하도록 연결해주는 것이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이고, 이러한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에 의하면,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가 타워 브레싱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타워 브레싱은 원형 단면, 사각 단면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단면 형태의 타워 브레싱에 연결하기 위한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가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타워 브레싱에 연결된 특성 상 그 거치가 불안정하고 작업자가 이동 중 낙하할 수 있는 안전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가 건축물 쪽에는 그 건축물의 난간 등에 단순히 걸쳐진 상태로 놓이는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가 건축물에서 임의로 이탈되어 낙하되는 안전 사고가 발생되거나 작업자의 이동 중 요동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1-0014341호, 공개일자: 2011.02.11., 발명의 명칭: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등록특허 제 10-0508125호, 등록일자: 2005.08.04., 발명의 명칭: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워 크레인과 건축물 양 측 모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는 건축물에 관한 공사를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인접하여 세워지고, 크레인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이 타워 브레싱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상기 건축물에 지지 고정되는 타워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 사이를 연결하는 골격인 이동 통로 프레임;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을 상기 크레인 프레임에 연결해주는 크레인측 연결 유닛; 및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을 상기 건축물에 연결해주는 건축물측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와, 상기 크레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와,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와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를 연결해주는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에 의하면,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이동 통로 프레임과, 크레인측 연결 유닛과, 건축물측 연결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타워 크레인과 건축물 양 측 모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 모습 중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건축물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 모습 중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타워 크레인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가 건축물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는 타워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이동 통로 프레임(110)과,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과,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을 포함한다.
상기 타워 크레인은 건축물(30)에 관한 공사를 위하여 상기 건축물(30)에 인접하여 세워지고, 일정 높이로 탑 형태로 세워지는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건축물(30)이 타워 브레싱(20)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상기 건축물(30)에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5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10) 중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대면 프레임이다.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은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건축물(30) 사이를 연결하는 골격이 되는 것이다.
작업자 등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은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건축물(30) 사이를 길게 연결하고, 그 양 측단이 낙하 방지를 위해 가이드 형태로 세워지며, 그 바닥면을 따라 통로 형성 발판(140)이 설치된 것이다.
도면 번호 12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상기 건축물(30) 쪽을 개폐시킬 수 있는 건물물측 개폐 도어이고, 도면 번호 13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10) 쪽을 개폐시킬 수 있는 크레인측 개폐 도어이다.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을 상기 크레인 프레임(10)에 연결해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은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와,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와,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와,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공간 상에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와,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10)에 걸리는 크레인 프레임 걸림체(157)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 프레임 걸림체(157)는 상기 수직 대면 프레임(15)의 일부에 걸릴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대면 프레임(15)이 H 형태로 세워진 단면의 에이치 빔(H-beam)인 경우, 상기 크레인 프레임 걸림체(157)는 상기 수직 대면 프레임(15)의 세워진 외벽에 평행한 형태로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 대면 프레임(15)에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외벽의 하부의 내면, 즉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와 대면되는 부분의 내면에 걸리게 된다.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는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유동 연결 몸체(171)와,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과,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과,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에서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 쪽으로 연장되는 유동 연결 연장체(174)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 연결 연장체(174)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로부터 연장되되 사각 단면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10) 쪽에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유동 연결 연장체(174)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는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리는 이동 통로 프레임 걸림체(15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하부 측면에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걸림체(153)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 상에 놓인 상기 유동 연결 연장체(174)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152) 상에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는 상기 유동 연결 연장체(174)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걸림체(153)에 걸림으로써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160)는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와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를 연결해주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160)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을 관통하는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156)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을 관통하는 제 2 메인 연결 축(162)과,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이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을 관통한 상태를 고정하는 제 1 메인 축 고정체(164)와,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이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을 관통한 상태를 고정하는 제 2 메인 축 고정체(1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의 외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인 축 고정체(164)와 상기 제 2 메인 축 고정체(165)의 각 내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의 나사산에 각각 맞물린다.
도면 번호 163은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의 하측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에 닿게 되고,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 형태로 형성된 하측 고정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하측 고정체(163)가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 상에 결합된 것으로 한다.
상기 크레인 프레임 걸림체(157)가 상기 수직 대면 프레임(15)의 내면에 걸리고, 상기 하측 고정체(163)가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 상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이 각각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과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을 관통한다. 이 때,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두께 등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이 각각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과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을 관통하는 깊이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161)과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162)이 각각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172)과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173)에 관통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고정체(163)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의 저면에 닿게 되고, 상기 제 1 메인 축 고정체(164)와 상기 제 2 메인 축 고정체(165)가 외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어 상기 유동 연결 몸체(171)의 상면에 각각 닿게 됨으로써,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두께 등에 따른 다양한 높이에 맞도록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의 신장 길이가 맞추어진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가 다양한 크기의 상기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을 상기 건축물(30)에 연결해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은 건축물 집게 부재(185)와, 건축물 가압 고정 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185)는 상기 건축물(30)의 일부를 집는 형태로 상기 건축물(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185)는 집게 몸체(186)와, 상기 집게 몸체(186)의 일 측부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건축물(30)의 일 측면에 대면되는 제 1 집게 다리(187)와, 상기 집게 몸체(186)의 타 측부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건축물(30)의 타 측면에 대면되는 제 2 집게 다리(188)와, 상기 집게 몸체(186)에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 쪽으로 연장되는 집게측 연장체(189)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 몸체(186),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 및 상기 제 2 집게 다리(188)는 아래로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30)의 난간 등 상기 건축물(30)의 일부의 양 단을 집기 위해 대면되고, 상기 집게측 연장체(189)는 상기 집게 몸체(186)에서 수직으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집게측 연장체(189)의 말단은 하방으로 굽혀진 형태를 이룬다.
상기 건축물 가압 고정 부재(190)는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185)에 집힌 상기 건축물(30)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185)와 상기 건축물(30)의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를 관통하는 가압 관통체(191)와, 상기 가압 관통체(191)의 말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와 상기 제 2 집게 다리(188)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건축물(30)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건축물(30)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접촉체(19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 관통체(191)의 외면과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의 관통 홀에는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 관통체(191)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를 관통하여 전진하거나 후진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 접촉체(192)가 상기 건축물(30)의 일 면을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축물(30)과의 접촉 면적 증대를 위하여, 상기 가압 접촉체(192)는 상기 가압 관통체(19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집게 몸체(186), 상기 제 1 집게 다리(187) 및 상기 제 2 집게 다리(188)가 상기 건축물(30)의 일부, 예를 들어 난간을 집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관통체(191)가 외력에 의해 전진되면, 상기 가압 접촉체(192)가 상기 건축물(30)의 일부의 일 면과 접하면서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 접촉체(192)와 상기 제 2 집게 다리(188)에 의해 상기 건축물(30)의 일부가 가압되면서 견고하게 집히게 되어, 상기 건축물 가압 고정 부재(190)에 의해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이 상기 건축물(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게측 연장체(189)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레일 부재(181)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부재(181)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상기 건축물(30) 쪽에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레일 몸체(182)와, 상기 레일 몸체(18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게측 연장체(189)의 말단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레일 홀(183)을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건축물(30) 사이의 거리에 맞도록 상기 레일 홀(183)을 따라 상기 집게측 연장체(189)의 말단이 이동 가능하여, 다양한 거리에 대응하여 범용적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10) 쪽 말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에서 상기 건축물(30) 쪽 말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의 결합 시에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이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건축물(30)의 일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가 상기 크레인 프레임(10)에 걸림과 함께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151)에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가 걸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160)에 의해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170)와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155)가 조여지면서 연결됨으로써, 상기 크레인 프레임(10)과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건축물(30)의 일부를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185)가 집은 상태에서, 상기 건축물 가압 고정 부재(190)가 상기 건축물(30)의 일부의 일 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건축물(30)의 일부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의 분리 시에는, 위의 결합 과정과 역의 과정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가 간편하게 상기 크레인 프레임(10) 및 상기 건축물(3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110)과,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150)과,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180)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100)가 다양한 형태의 상기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타워 크레인과 상기 건축물(30) 양 측 모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타워 크레인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타워 크레인과 건축물 양 측 모두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110 : 이동 통로 프레임
150 : 크레인측 연결 유닛
180 : 건축물측 연결 유닛

Claims (5)

  1. 건축물에 관한 공사를 위하여 상기 건축물에 인접하여 세워지고, 크레인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이 타워 브레싱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상기 건축물에 지지 고정되는 타워 크레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과 상기 건축물 사이를 연결하는 골격인 이동 통로 프레임;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을 상기 크레인 프레임에 연결해주는 크레인측 연결 유닛; 및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을 상기 건축물에 연결해주는 건축물측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측 연결 유닛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에 연결되는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와,
    상기 크레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와,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와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를 연결해주는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측 크레인 프레임 결합 부재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와,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크레인 프레임에 걸리는 크레인 프레임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측 유동 연결 부재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는 유동 연결 몸체와,
    상기 유동 연결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과,
    상기 유동 연결 몸체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과,
    상기 유동 연결 몸체에서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 쪽으로 연장되는 유동 연결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측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부재는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결합 몸체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유동 연결 연장체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는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리는 이동 통로 프레임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측 메인 연결 부재는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을 관통하는 제 1 메인 연결 축과,
    상기 크레인 프레임 결합 몸체에서 상기 유동 연결 몸체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을 관통하는 제 2 메인 연결 축과,
    상기 제 1 메인 연결 축이 상기 제 1 유동 연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를 고정하는 제 1 메인 축 고정체와,
    상기 제 2 메인 연결 축이 상기 제 2 유동 연결 관통 홀을 관통한 상태를 고정하는 제 2 메인 축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은
    상기 건축물의 일부를 집는 형태로 상기 건축물에 결합되는 건축물 집게 부재와,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에 집힌 상기 건축물의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와 상기 건축물의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는 건축물 가압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집게 부재는
    집게 몸체와,
    상기 집게 몸체의 일 측부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건축물의 일 측면에 대면되는 제 1 집게 다리와,
    상기 집게 몸체의 타 측부에서 굽혀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건축물의 타 측면에 대면되는 제 2 집게 다리와,
    상기 집게 몸체에서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 쪽으로 연장되는 집게측 연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측 연결 유닛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게측 연장체가 상기 이동 통로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레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KR1020170140103A 2017-10-26 2017-10-26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KR10197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03A KR101971688B1 (ko) 2017-10-26 2017-10-26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03A KR101971688B1 (ko) 2017-10-26 2017-10-26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688B1 true KR101971688B1 (ko) 2019-04-23

Family

ID=6628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03A KR101971688B1 (ko) 2017-10-26 2017-10-26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2195A (zh) * 2020-11-19 2021-03-12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塔吊与建筑连接便桥
KR102332640B1 (ko) * 2021-07-09 2021-12-01 위드비웰 주식회사 모듈식 건축을 위한 고중량물 자가인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25B1 (ko) 2005-02-16 2005-08-10 김천호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KR20110014341A (ko) 2009-08-05 2011-02-11 김기륜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125B1 (ko) 2005-02-16 2005-08-10 김천호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KR20110014341A (ko) 2009-08-05 2011-02-11 김기륜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2195A (zh) * 2020-11-19 2021-03-12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塔吊与建筑连接便桥
KR102332640B1 (ko) * 2021-07-09 2021-12-01 위드비웰 주식회사 모듈식 건축을 위한 고중량물 자가인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2456B1 (en) Locking and lifting mechanism for safety fence support post
US7510152B2 (en) Guard rail safety system
AU2005266809B2 (en) A support post for a safety fence assembly
KR101971688B1 (ko)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US20120186906A1 (en) Fall arrest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286681B2 (en) Compression post with retainer clip
US11377864B2 (en) Compression post with visual indication system
US4765106A (en) Conscreed bracket
US6371249B1 (en) Quick connector apparatus for elevator guide rail section
KR101409637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US5108139A (en) Device for remotely actuating the safety latch of a hoist hook
KR20170042069A (ko) 복공판 체결장치 및 이에 의한 복공판 구조물
KR102116606B1 (ko) 원터치체결부를 갖는 비계
WO2020053938A1 (ja) 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CN113775168B (zh) 吊篮安装结构
JP7354054B2 (ja) 形鋼への取付体、取付体装置、および吊ボルト設置構造
KR940008492Y1 (ko) 건축용 가설 난간지주
KR102675865B1 (ko) 천장 레일 설치용 곤도라장치
KR101466192B1 (ko) 브릿지 구조체
JP3091057U (ja) 建物内壁圧縮応力負担型家具類転倒防止装置
KR20130006325U (ko) 가설발판 고정장치
KR101524515B1 (ko) 스탠션 바
JP200912660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