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192B1 - 브릿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브릿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192B1
KR101466192B1 KR1020120087018A KR20120087018A KR101466192B1 KR 101466192 B1 KR101466192 B1 KR 101466192B1 KR 1020120087018 A KR1020120087018 A KR 1020120087018A KR 20120087018 A KR20120087018 A KR 20120087018A KR 101466192 B1 KR101466192 B1 KR 101466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nection
frame
presen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159A (ko
Inventor
박관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1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브릿지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서로 떨어진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이어주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점에 설치된 고정부가 삽입가능한 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과 다른 타측에 연결되며, 제2 지점에 설치된 받침부에 걸쳐질 수 있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릿지 구조체{BRIDGE STRUCTURE}
본 발명은 브릿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양 구조물 또는 건물이나 이들의 제작 및 건축 과정에서 서로 떨어진 지점들을 연결하는 브릿지(bridge)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브릿지는 일반 사람이나 작업자가 서로 떨어진 지점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걸리는 시간과 거리를 단축시켜준다.
하지만 브릿지가 설치되려면 브릿지의 양단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야 한다. 또한 브릿지의 해체 시에도 고정된 부분을 분리해야 하므로 브릿지의 해체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 20-0213319와 같은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이보다 개선된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21331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설치 환경에 따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떨어진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이어주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점에 설치된 고정부가 삽입가능한 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과 다른 타측에 연결되며, 제2 지점에 설치된 받침부에 걸쳐질 수 있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릿지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상기 홀에 삽입가능한 핀과 상기 홀에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걸쳐지는 받침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받침대에 걸쳐지도록 유도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기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 중 하나의 기준면에 대한 높이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기준면에 대한 높이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핀이 삽입되는 제1 연결부와 받침부에 걸쳐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여 설치 환경에 따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제1 연결부 및 고정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제2 연결부 및 받침부를 나타낸다.
도 5는 제2 연결부와 받침부 사이에 구비된 마찰저감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돌출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높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설치예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는 크레인(crane) 기둥(10)에 접근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크레인 기둥(10) 주변의 다른 구조물(20)과 크레인 기둥(10)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가 설치됨으로써 선원이나 작업자가 크레인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는 크레인 기둥(10)과 주변 구조물(20)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거나 크레인 기둥(10)과 주변 구조물(2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따라서 크레인 기둥(10)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이 크레인 기둥(10)과 구조물(20) 사이를 지날 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가 구조물(20)과 크레인 기둥(10)으로부터 분리되고 선원이나 작업자가 크레인에 접근할 때에는 구조물(20)과 크레인 기둥(10) 사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100)의 설치 및 분리에 대한 하나의 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물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브릿지 구조체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 해양 구조물이나 건물에 포함된 서로 이격된 다양한 물체들을 연결하는데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2의 상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하측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브릿지(110), 제1 연결부(130) 및 제2 연결부(150)를 나타낸다.
브릿지(110)는 서로 떨어진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이어준다.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도 1의 크레인 기둥(10) 및 크레인 기둥(10)에 인접한 구조물(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130)와 제2 연결부(150) 각각의 수면이나 지면과 같은 기준면에 대한 높이는 서로 다르므로 작업자의 이동 편의를 위하여 브릿지(110)에 계단(111)이 설치될 수 있다.
브릿지(110)는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3)과, 제1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3)을 연결하는 제3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인접한 제2 프레임들(113)은 연결프레임(11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프레임(115)은 브릿지 구조체보다 높은 장소로부터 소정의 물체가 떨어질 때 브릿지 구조체를 지나는 작업원이 소정의 물체에 맞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110)는 제2 프레임(113) 또는 제3 프레임(114)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러그(lug)(116)를 포함할 수 있다. 러그(116)는 크레인의 후크(hook)(미도시) 등을 걸기 위한 것이다. 후크가 러그(116)에 걸린 후 크레인이 후크와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거나 풂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에 대한 설치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30)는 브릿지(11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제1 지점에 설치된 고정부가 삽입가능한 홀이 형성된다. 제1 연결부(130) 및 고정부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 연결부(150)는 일측과 다른 타측에 연결되며, 제2 지점에 설치된 받침부에 걸쳐질 수 있다. 제2 연결부(150) 및 받침부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1 연결부(130)의 홀에 고정부가 삽입가능하고 제2 연결부(150)가 받침부에 걸쳐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브릿지 구조체의 분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볼트/너트로 브릿지 구조체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자가 손쉽게 브릿지 구조체를 분리하거나 설치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고정부 및 받침부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점선원 부분의 확대도로서 제1 연결부(130) 및 고정부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홀(131)에 삽입가능한 핀(210)과 홀(131)에 핀(210)이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230)를 포함하는 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핀(210)은 지지대(250)에 고정되고 제1 가이드부(230)는 핀(210)에 인접하게 지지대(250)와 연결된다. 제1 가이드부(230)는 지지대(250)에 대하여 경사진 일면(231)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가 설치될 때 제1 연결부(130)는 제1 가이드부(230)의 일면(231)을 따라 하강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130)가 제1 가이드부(231)의 일면(231)을 따라 하강하므로 제1 가이드부(230)는 제1 연결부(130)의 홀(131)이 제1 가이드부(230)의 핀(210)을 향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결부(130)의 홀(131)에 제1 가이드부(230)의 핀(21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2 연결부(150) 및 받침부(300)를 나타낸다. 이 때 도 4는 도 2의 A1-A2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는 제2 연결부(150)가 걸쳐지는 받침대(310)와 제2 연결부(150)가 받침대(310)에 걸쳐지도록 유도하는 제2 가이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20)는 받침대(310)에 대하여 경사진 일면(321)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가 설치될 때 제2 연결부(150)는 제2 가이드부(320)의 일면(321)을 따라 하강한다. 이와 같이 제2 연결부(150)가 제2 가이드부(320)의 일면(321)을 따라 하강하므로 제2 가이드부(320)는 제2 연결부(150)가 서로 떨어진 2개의 제2 가이드부(320) 사이의 영역(R)으로 향하도록 제2 연결부(150)를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50)와 받침부(30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재(410)가 받침부(300)와, 받침부(300)에 인접한 제2 연결부(150)의 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마찰저감부재(410)는 SUS 플레이트 또는 폴리펜코(polypenco)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돌출부를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에는 제2 연결부(150)가 생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10)의 서로 인접한 제1 프레임들(112)은 플레이트(117)와 용접 연결될 수 있고, 플레이트(117)의 일면에 받침부(300)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제2 연결부(150)가 받침부(300)에 걸쳐진 후 걸림턱(118)의 이동은 받침부(300)의 스톱퍼(stopper)(33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50)가 y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제2 가이드부(320)에 의하여 제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8)이 x축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스톱퍼(330)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30) 또는 제2 연결부(150) 중 하나의 기준면에 대한 높이는 제1 연결부(130) 또는 제2 연결부(150) 중 다른 하나의 기준면(예를 들어, 지면 또는 수면)에 대한 높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0)의 기준면에 대한 높이(H1)는 제2 연렬부의 기준면에 대한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서로 높이가 다른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잇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의 경우 브릿지의 제1 연결부(130)는 고정부에 삽입되고 제2 연결부(150)는 받침부에 걸쳐지므로 브릿지 구조체의 제1 연결부(130)는 움직임이 제한되나 제2 연결부(150)는 제1 연결부(1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가 잇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바람과 같은 환경에 의하여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브릿지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고정되어 있으면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의 연결물체와 브릿지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브릿지를 통하여 이동하는 사람은 안정감을 얻을 수 없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 구조체는 제1 연결부(130)의 움직임은 제한되고 제2 연결부(150)는 제1 연결부(1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우므로 브릿지를 통하여 이동하는 사람은 안정감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물체 및 브릿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 크레인 기둥 20 : 구조물
100 : 브릿지 구조체 110 : 브릿지
111 : 계단 112 : 제1 프레임
113 : 제2 프레임 114 : 제3 프레임
115 : 연결프레임 116 : 러그
117 : 플레이트 118 : 걸림턱
130 : 제1 연결부 131 : 홀
150 : 제2 연결부 200 : 고정부
210 : 핀 230 : 제1 가이드부
250 : 지지대 300 : 받침부
310 : 받침대 320 : 제2 가이드부
330 : 스톱퍼 410 : 마찰저감부재

Claims (5)

  1. 서로 떨어진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이어주는 브릿지;
    상기 브릿지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지점에 설치된 고정부가 삽입가능한 홀이 형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일측과 다른 타측에 연결되며, 제2 지점에 설치된 받침부에 걸쳐질 수 있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브릿지는, 서로 떨어진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홀에 삽입가능한 핀과 상기 홀에 상기 핀이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걸쳐지는 받침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받침대에 걸쳐지도록 유도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프레임은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상기 받침부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받침부에 걸쳐진 후 상기 걸림턱의 이동은 상기 받침부의 스톱퍼에 의하여 제한되는 브릿지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마찰저감부재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 인접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는 브릿지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 중 하나의 기준면에 대한 높이는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기준면에 대한 높이와 다른 브릿지 구조체.
KR1020120087018A 2012-08-09 2012-08-09 브릿지 구조체 KR101466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18A KR101466192B1 (ko) 2012-08-09 2012-08-09 브릿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018A KR101466192B1 (ko) 2012-08-09 2012-08-09 브릿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59A KR20140021159A (ko) 2014-02-20
KR101466192B1 true KR101466192B1 (ko) 2014-11-27

Family

ID=5026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018A KR101466192B1 (ko) 2012-08-09 2012-08-09 브릿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509B (zh) * 2020-06-02 2021-08-03 嘉兴考普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客船船舶与登船平台稳定性连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053A (ko) * 2002-05-16 2003-1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용 사다리
JP3718460B2 (ja) * 2001-05-10 2005-11-24 株式会社リバーコーポレーション 可動連絡橋
KR20120083590A (ko) * 2011-01-18 2012-07-26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딩 사다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접근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460B2 (ja) * 2001-05-10 2005-11-24 株式会社リバーコーポレーション 可動連絡橋
KR20030089053A (ko) * 2002-05-16 2003-1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승하선용 사다리
KR20120083590A (ko) * 2011-01-18 2012-07-26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딩 사다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접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159A (ko)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307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JP5300311B2 (ja) 立て管施工方法および立て管ユニット
KR101466192B1 (ko) 브릿지 구조체
KR101438449B1 (ko) 층고 변화용 갱폼 인양 안전장치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KR101971688B1 (ko)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KR102148450B1 (ko) 추락방지용 개인용 죔줄 체결끈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추락방지방법
KR200480134Y1 (ko) 선박 출입용 사다리 시스템
KR20120095092A (ko) 송전 철탑 인상 장치
US10465822B2 (en) Connection system for subsea pipelines
JP5769094B2 (ja) ネットの補強用ロープ、及び該補強用ロープを用いたネットの吊り張り方法
JP5859610B1 (ja) 重量構造物
CN104994917B (zh) 支架和升/降设备总成
KR200478137Y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KR101278924B1 (ko) 타정식 현수교의 세그먼트 가설용 슬라이딩 힌지장치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CN113775168B (zh) 吊篮安装结构
JP5157173B2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内配線装置
KR101779063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101555508B1 (ko) 차량 루프텐트 착탈형 사다리
KR200486423Y1 (ko) 리깅 고정식 리프팅 스프레더 바
KR200496266Y1 (ko) 리프팅 프레임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