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125B1 -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125B1
KR100508125B1 KR1020050012783A KR20050012783A KR100508125B1 KR 100508125 B1 KR100508125 B1 KR 100508125B1 KR 1020050012783 A KR1020050012783 A KR 1020050012783A KR 20050012783 A KR20050012783 A KR 20050012783A KR 100508125 B1 KR100508125 B1 KR 10050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ing beam
safety
safety passage
brac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호
박성태
Original Assignee
김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호 filed Critical 김천호
Priority to KR102005001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8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한 브레싱 빔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브레싱 빔 상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안전통로를 이격시켜 설치하는 이격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중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는,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한 브레싱 빔에 설치되는 안전통로에 있어서,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A Safety Way Equipment for a Tower Crane and Install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한 브레싱 빔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브레싱 빔 상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안전통로를 이격시켜 설치하는 이격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워크레인(tower crane)은 수직타워 상부에 지브(jib)가 설치되어, 지브에 매달린 후크로 권상·하동작 또는 횡행동작을 통하여 인양물을 들어올린 후 목적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건설기계로써, 텔레스코핑(telescoping:몸체를 높이는 과정)을 통해 높은 고도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인양물을 높이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범위가 넓어 시공체에 근접한 작업이 가능하므로 특히 대도시의 밀집된 고층 건축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타워크레인을 지지해 주는 기둥 역할을 하는 마스트(mast:10) 상단부에 운전실(cabin:20)이 선회가능하게 놓이고, 운전실(20)의 상단에 외팔보 형태의 메인 지브(main jib:30)와 카운터 지브(counter jib:40)가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메인 지브(30)에 후크(hook:50)가 매달린 트롤리(trolley:60)가 오가면서 권상 작업을 위한 선회 반경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일예로 앵커(anchor)가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이루어진 기초(basic:80)에 의하여 전체가 지지되나 그 높이로 인한 구조적 불안전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지지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통상적으로 타워크레인이 시공체에 인접하여 설치된 때에는 소정 높이마다 주기적으로 시공체의 벽(90)과 타워크레인의 마스트(10)를 H 빔 등의 브레싱 빔(bracing beam:100)으로 연결한 월 브레싱(wall bracing)을 구성함으로써 타워크레인이 시공벽체(90)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월 브레싱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브레싱 빔(100)을 타워크레인 마스트 (10)의 일 측면에 볼트 등으로 결합하여 시공벽체(90)에 연결하거나,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브레싱 빔(100)을 마스트(10)의 양 측면에 각기 결합하여 시공벽체(90)에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브레싱 빔(100)을 가로지르도록 크로스 빔(110)을 결합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히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타워크레인을 운전하거나 텔레스코핑 작업을 담당하는 작업자는 마스트 (10)에 구비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각기 운전실(20) 또는 텔레스코핑 케이지(70)까지 올라가도록 되어 있는데, 타워크레인이 이와 같은 브레싱 빔(100)으로 시공벽체(90)에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보통 시공체에 구비된 작업용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브레싱 빔(100)의 위치까지 올라간 후 브레싱 빔(100)을 건너 타워크레인의 사다리를 통해 원하는 높이까지 올라간다.
그러나 브레싱 빔(100)으로 통상 사용되는 H 빔은 그 폭이 대략 30 cm 에 불과하여 보행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할 뿐더러 브레싱 빔(100)이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고도에는 고지풍이 강하게 불게되므로 작업자가 브레싱 빔(100)을 건널때 추락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았고 만약 추락하게 되면 심각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브레싱 빔을 건너 타워크레인에 오를때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브레싱 빔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자가 브레싱 빔을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를 크로스 빔에 의하여 지지된 브레싱 빔에 설치할 때, 브레싱 빔 상에서 크로스 빔에 의하여 지장받는 공간을 감안하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이격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는,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한 브레싱 빔에 설치되는 안전통로에 있어서,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 상에서 브레싱 빔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바로 밑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채 고정되는 체결바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펜스부재에는 안전망이 부가로 설치되고, 상기 발판재와 고정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프레임의 손괴를 방지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부가로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브레싱 빔에 설치되는 안전통로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이격하여 설치하는 과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또다른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이격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전통로가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은 건축현장에서 브레싱 빔(100)에 의하여 시공벽체(90)에 연결된 채 지지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으며, 안전통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재(200)와, 펜스부재(300)와, 고정프레임(400)과,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판재(200)는 긴 직사각형의 발판프레임(210) 내부에 메탈망(220)이 채워져 브레싱 빔(100)의 상단에 놓이면서 작업자가 밟고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고, 이때 충분한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레싱 빔(100)의 폭보다 더욱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여, 일예로 브레싱 빔(100)으로 폭이 305mm 인 H 빔이 사용될 때 이보다 더욱 넓은 약 600mm 의 폭을 가진다.
안전통로는 발판재(200)의 길이가 예로써 1미터, 2미터, 3미터 등의 규격화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조된 채 판매될 수도 있고, 설치되는 작업현장에 따라 맞춤형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제조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펜스부재(300)는 발판재(200)에서 작업자의 이동경로인 브레싱 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발판프레임(210)의 양측면상에 수직상방으로 연결된 격자형의 펜스프레임(310)으로, 사용자가 안전통로를 지날 때 측면상으로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높이를 가지면서 펜스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프레임(400)은 발판프레임(210)에서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지되, 브레싱 빔(10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 상기의 예에서는 305mm 의 간격을 가지는 한쌍이 일정 거리마다 구비되면서 브레싱 빔(10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타이트하게 끼워진다.
한편, 고정프레임(400)이 브레싱 빔(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중에 의해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정프레임(400)과 발판프레임(210)을 연결하는 지지부재, 예로써 지지프레임(410)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프레임(400)에서 브레싱 빔(10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체결공(420)이 구비되어, 브레싱 빔(100)에 고정프레임(400)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수단(500)으로써 체결바(510)를 한쌍의 고정프레임(400)의 체결공(420) 간을 관통하도록 삽입시킨 후 체결하면 체결바(510)가 브레싱 빔(100)의 하단부에 접하게 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예로써 볼트로 된 체결바(510)를 일 체결공(420)으로부터 다른 체결공까지 관통하여 삽입시킨 후 나비볼트(520)를 체결바(510)에 체결하면 체결바(510)가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브레싱 빔(100)에 설치된 안전통로에 있어 펜스프레임(310)에 안전망(320)을 설치하여 더욱 안전을 도모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때 안전망(320)은 큰 하중을 견딜 필요는 없으므로 PVC 망으로도 충분하고, 안전망(320)의 설치는 공지된 설치법에 의하면 된다.
이와 같은 타워트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의 상부에서부터 하강시켜 고정프레임(400)을 브레싱 빔(100)의 외부에 끼워넣고, 고정프레임(400)간에 고정수단(500)을 연결고정함으로써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통로를 설치할 타워크레인 자신이나 혹은 다른 크레인으로 안전통로를 인양하여 브레싱 빔(10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고정프레임(400)이 브레싱 빔(100)의 외부로 끼워지도록 안전통로를 하강시킨 후 체결공(420)에 체결바(510)를 삽입시켜 나비볼트(520)로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체결바(510)를 체결공(420)에 체결시키는 것은 작업자가 안전통로위에서 두 팔을 밑으로 내려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의 안전이 도모된다.
한편, 타워크레인이 다수의 브레싱 빔(100)에 의하여 연결·지지되고 크로스 빔(110)이 브레싱 빔(100)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때, 크로스 빔(110)은 통상적으로 브레싱 빔(10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볼트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레싱 빔(100)에 안전통로를 설치할 때에는 브레싱 빔(100) 임의의 지점 상부에 위치한 크로스 빔(110)을 고려하여 크로스 빔(110)의 폭만큼 안전통로를 이격되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게된다.
이와 같이 브레싱 빔(100) 상에서 안전통로를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서, 다수의 안전통로를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면서도 펜스프레임(310)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한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보자면, 먼저 브레싱 빔(100)에서 크로스 빔(110)이 차지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길이에 각기 대응되는 다수의 안전통로를 준비한다.
그리고 준비된 안전통로를 상기의 설치방법에 따라 순서대로 브레싱 빔(100)에 각기 설치하고, 설치된 안전통로의 펜스프레임(310) 간에 안전바(600)를 연결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안전바(600)의 연결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자면, 각 펜스프레임(310)의 공통된 임의의 높이지점에서 길이방향 단부, 바람직하게는 격자형의 펜스프레임에서 가로로 위치한 펜스프레임의 양 단부에는 다른 펜스프레임을 향하도록 열려있는 내삽홀(330)이 당해 펜스프레임 내부로 구비된다.
이러한 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한 후에 각 내삽홀(330)마다 크로스 빔(110)의 폭보다는 길이가 긴 안전바(600)를 임의로 삽입시키고(도 5), 크로스 빔(110)을 사이에 두고 다른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한다(도 6).
이와 같이 안전통로가 설치되면 각 안전통로의 내삽홀(330)은 서로 대향되기 때문에 일 안전통로의 내삽홀(330)에 삽입된 안전바(600)를 돌출시켜 다른 안전통로의 내삽홀(330)에 임의로 삽입시켜 양 단부가 양 안전통로의 내삽홀(330)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바(600)를 임의의 일 안전통로의 펜스프레임(310) 또는 양 안전통로의 펜스프레임에 볼트 등의 수단으로 고정하면 안전통로의 설치가 완료된다(도 7).
따라서 브레싱 빔(100) 상에서는 두개 또는 다수개의 안전통로가 크로스 빔(11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채 설치되나 펜스프레임(310)은 연결이 단절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구비되면서 통행자의 안전을 고려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연결된 펜스프레임(310)에 전기한 일체의 안전망(320)을 부가하면 통행자의 안전을 더욱 고려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나의 안전통로로도 브레싱 빔(100) 상에서 크로스 빔(110)의 위치한 부분을 고려하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도 8에서 도시된 것 처럼 단순히 브레싱 빔(100)의 상부에 놓일 발판재(200)에서 크로스 빔(110)이 위치하게 될 부분을 절개한 후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에 설치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안전통로를 인양하기 전에 크로스 빔이 위치할 부분을 예측하여 발판재 (200)일부를 절개한 후 비로소 인양하여 고정프레임(400)이 브레싱 빔(100)에 끼워지는 동시에 절개된 부분이 크로스 빔(110)에 끼워지도록 하강시킴으로써 설치할 수도 있고, 안전통로를 인양하여 브레싱 빔(100) 상부에 위치시킨 후 크로스 빔(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발판재(200)를 절개시킨 후 동일하게 브레싱 빔(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100) 상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하면 각 타워크레인마다 브레싱 빔(100)의 여건에 맞추어 안전통로를 별도의 길이로 다수개 준비할 필요 없이 일정한 길이를 가진 하나의 안전통로로도 단순히 발판재(200)를 절개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해지고, 이격된 부분에서 펜스프레임(310)의 연결이 더욱 자연스러우면서 안전도가 강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에 의하면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하는 브레싱 빔 상에 설치하여 타워크레인 작업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타워크레인에 오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통로는 브레싱 빔 상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브레싱 빔에 크로스 빔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타워 크레인의 전체적인 외관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타워 크레인이 브레싱 빔에 의하여 시공벽체에 지지된 일 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타워 크레인이 브레싱 빔에 의하여 시공벽체에 지지된 다른 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브레싱 빔에 설치되는 안전통로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이격하여 설치하는 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이격하여 설치하는 다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가 브레싱 빔에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또다른 본 발명에 따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이격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트 20: 운전실
30: 메인 지브 40: 카운터 지브
50: 후크 60: 트롤리
70: 텔레스코핑 케이지 80: 기초
90: 시공벽체 100: 브레싱 빔
110: 크로스 빔 200: 발판재
210: 발판프레임 220: 메탈망
300: 펜스부재 310: 펜스프레임
320: 안전망 330: 내삽홀
400: 고정프레임 410: 지지프레임
420: 체결공 500: 고정수단
510: 체결바 520: 나비볼트
600: 안전바

Claims (8)

  1.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한 브레싱 빔에 설치되는 안전통로에 있어서,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프레임 상에서 브레싱 빔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바로 밑부분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채 고정되는 체결바인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재에는 안전망이 부가로 설치된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재와 고정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프레임의 손괴를 방지하고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부가로 설치된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5.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하는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타워트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의 상부에서부터 하강시켜 고정프레임을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넣고, 고정프레임간에 고정수단을 연결고정함으로써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설치방법.
  6.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하는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타워트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 상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의 상부에서부터 하강시켜 고정프레임을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넣고, 고정프레임간에 고정수단을 연결고정함으로써 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일 안전통로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른 안전통로를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과정과;
    상기 일 안전통로의 펜스부재와 다른 안전통로의 마주보는 펜스부재 간에 안전바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이격설치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펜스부재의 공통된 임의 높이에서 다른 안전통로를 향하는 단부에 내삽홀이 구비되었을 때 상기 안전바를 연결하는 과정은,
    일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한 후 일 안전통로의 내삽홀에 안전통로간에 이격될 거리보다 길이가 긴 안전바를 삽입시키는 과정과;
    다른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한 후 일 안전통로의 내삽홀에 삽입된 안전바를 돌출시켜 다른 안전통로의 내삽홀에 삽입하여 안전바가 일 안전통로의 내삽홀과 다른 안전통로의 내삽홀에 모두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안전바를 일 안전통로의 펜스부재 및/또는 다른 안전통로의 펜스부재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이격설치방법.
  8. 타워크레인과 시공벽체를 연결하는 브레싱 빔의 상단에 놓이는 발판재와, 상기 발판재의 브레싱 빔을 따르는 양 측면에서 상부로 설치된 펜스부재와, 상기 발판재의 하부로 브레싱 빔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한쌍이 돌출되어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지고 브레싱 빔을 따라 소정 거리마다 구비되는 고정프레임과, 브레싱 빔의 하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간에 연결고정되면서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타워트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에서 발판재의 일부를 절개하는 과정과;
    상기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의 상부에서부터 하강시켜 고정프레임을 브레싱 빔의 외부에 끼워넣고, 고정프레임간에 고정수단을 연결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으로써 발판재가 브레싱 빔 상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안전통로를 브레싱 빔에 설치하는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 이격설치방법.
KR1020050012783A 2005-02-16 2005-02-16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KR10050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83A KR100508125B1 (ko) 2005-02-16 2005-02-16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783A KR100508125B1 (ko) 2005-02-16 2005-02-16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8125B1 true KR100508125B1 (ko) 2005-08-10

Family

ID=3730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783A KR100508125B1 (ko) 2005-02-16 2005-02-16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88B1 (ko) 2017-10-26 2019-04-23 이준용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688B1 (ko) 2017-10-26 2019-04-23 이준용 타워 크레인 연결용 이동 통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CN104074349B (zh) 一种新式防护型附着式升降脚手架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CN106088565A (zh) 附着式升降脚手架的斜爬方法和附着式升降脚手架
CN110541556B (zh) 附着式升降脚手架及爬升方法
CN109826411A (zh) 一种建筑用的爬架及其运行方法
JP4163177B2 (ja) 足場システム
AU2009222526A1 (en) Lifting apparatus for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KR20110014341A (ko) 안전펜스가 설치된 타워크레인 지지장치
EP0680540B1 (en) Scaffolding system
CN203924662U (zh) 一种附着式整体升降脚手架
CN109267500A (zh) 桥梁维修升降式桁架工作平台
KR100508125B1 (ko) 타워크레인용 안전통로와 그 설치방법 및 이격설치방법
CN106400688A (zh) 主塔及其施工方法
CN110040632A (zh) 一种大跨度型钢梁的分段吊装施工方法
CN107288361B (zh) 高楼防坠落后锚固自挂双层水平安全网装置及其构建方法
AU20192012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rtically adjustable tower crane
JP2017031657A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CN213571554U (zh) 一种悬吊式锚碇门架
CN212954042U (zh) 一种格构式散索鞍吊装门架
CN220036560U (zh) 一种悬挂式笼梯
CN218231633U (zh) 一种用于塔吊的安全通道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JP2019027145A (ja) 朝顔装置の設置方法
CN116335398B (zh) 一种多层快速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