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895Y1 -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 Google Patents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895Y1
KR200189895Y1 KR2020000004512U KR20000004512U KR200189895Y1 KR 200189895 Y1 KR200189895 Y1 KR 200189895Y1 KR 2020000004512 U KR2020000004512 U KR 2020000004512U KR 20000004512 U KR20000004512 U KR 20000004512U KR 200189895 Y1 KR200189895 Y1 KR 2001898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ding rod
holding
support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
Priority to KR2020000004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8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8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Abstract

본 고안은 과도한 하중이 상부로부터 전달되더라도, 지주봉(2)에 설치된 받침봉(22)이 본래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그 구조는 지지면과 수직되게 위치하면서 밀착되는 지주봉(2)과, 상기 지주봉(2)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역할을 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 외주에 수직되게 설치되면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핸들(12)과, 상기 바디(1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지주봉(2) 외주연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슬리브(18)와, 상기 바디(10)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거푸집(21)을 바쳐주거나 천정에 밀착하며 고정역할을 하는 받침봉(22)으로 구성된 조립구조물용 로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APPARTUS FOR ROCKING A STRUCTURE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이나 간이형 도어, 작업기초대 등에 설치되는 받침봉이 지주봉상에서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게 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 구조물에 사용되는 로커장치는,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받침봉을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중량물을 지지하거나 작업기초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기술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위치하는 지주봉(102)이 구성되는데, 이 지주봉(102) 상부에는 조임역할을 하는 콜릿(10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콜릿(104)의 외주에는 나사부(106)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06)에는 조임기능을 갖는 로커(108)가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주봉(102) 상부에는, 거푸집이나 건물의 천정등에 접하면서 지지역할을 하거나 난간대 등에 설치되는 받침봉(110)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상에 위치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로커(108)를 결합한 지주봉(102)을 지면상에 수직되게 설치하고, 이 지주봉(102) 상단부 내부에 받침봉(110)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후에는 설치된 거푸집이 시멘트의 하중에 의하여 쳐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받침봉(110)을 작업자가 손으로 당겨 상승시키고, 로커(108)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로커(108)는 나사부(106)를 따라 상승하면서 콜릿(104)을 내측 방향으로 모아지게 하여 받침봉(11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받침봉(110)은 지주봉(102)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지주봉(102)을 작업위치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로커(108)를 전술한 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콜릿(104)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받침봉(110)의 외주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받침봉(110)을 지주봉(102)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로커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서 받침봉이 지주봉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결정됨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거푸집상에 과도한 하중이 올려지게 되면 받침봉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됨으로 안전사고의 요인이 된다.
본 고안은 과도한 하중이 상부로 부터 전달되더라도, 지주봉에 설치된 받침봉이 조정된 최초의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면과 수직되게 위치하면서, 지지면과 대응하는 타측면 으로부터 전달되는하중을 받쳐주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역할을 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 외주에 수직되게 설치되면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핸들과, 상기 바디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지주봉 외주연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슬리브와, 상기 바디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거푸집을 바쳐주거나 천정에 밀착하며 고정역할을 하는 받침봉으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거푸집에 설치된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간이용 도어에 설치된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가 작업기초대의 설치에 사용된 상태도.
도 6 는 종래의 로커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지주봉 4:숫 나사부 6:로커
8:암 나사부 10:바디 12:핸들
14:홈 16:커버 18:슬리브
20:플랜지 22:받침봉 24:도어
26:난간대 28:패널 32:버팀로프
본 고안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상에 수직되게 위치하면서 지지면과 대응하는 타측면 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받쳐주는 지주봉(2)이 구성되는데, 이 지주봉(2) 상부에는 숫 나사부(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숫 나사부(4)에는 조정역할을 하는 로커(6)가 결합되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로커(6)는 내부에 암나사부(8)를 형성한 바디(10)가 구성되고, 이 바디(10)의 외주에는 작업자가 작용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핸들(12)이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바디(10)의 상단부에는 홈(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14) 상부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16)가 용접된다.
또한 상기 바디(10) 하부에는, 숫 나사부(4)를 따라 왕복으로 이동할 때 지주봉(20) 외주면에서 안정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고 지주봉의 숫 나사부(4)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슬리브(18)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14)에는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그 작용에 의해 지주봉과 받침봉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조물 및 내 벽면에 밀착될 때 전달되는 외압으로 지주봉(2)에 전달하는 플랜지(20)가 위치하고, 이 플랜지(20)에는 구조물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받침봉(22)이 수직되게 위치하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을 시공한 후 내장공사를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갖업기초대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조물 및 벽면에 지주봉(2)을 수직하게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지주봉(2) 상부에 위치한 받침봉(22)은 높이가 조절되기 전의 상태인 관계로, 상기 받침봉(22)의 상단부가 거푸집(21)으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핸들(12)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디(10)는 지주봉(2)에 형성된 숫 나사부(4)를 따라 받침봉(22)과 함께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바디(10)의 하부에 위치한 슬리브(18)가 지주봉(2)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균형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18)는 숫 나사부(4)가 손상되지 않토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상기 받침봉(22)의 일측선단은 구조물 및 벽면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핸들(12)을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받침봉(22)의 상승은 중지되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받침봉(22)의 하부에 위치한 플랜지(20)는 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된 홈(14) 바닥면에 더욱 밀착하게 된다.
이때 핸들을 작업자가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플랜지(20)를 가압하여 받침봉(2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려 하는데, 이로 인하여 받침봉(22)의 선단은 구조물 및 벽면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봉(2)과 받침봉(22)은 구조물 및 벽면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되는 상태가 되면 핸들(12)의 회전을 중지시킨다.
상기와는 반대로 지주봉(2)을 분리시키고자 핸들(12)을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회전시키면, 슬리브(18)가 지주봉(2)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바디(10)와 받침봉(22) 등이 함께 하향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종료 후 받침봉(22)과 지주봉(2)의 각각?? 선단이 구조물 및 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대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로커장치는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한편 간이형 도어(24)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봉(2)의 외주에 도어(24)가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도어(24)를 구비한 지주봉(2)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거나 하나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도어(24)가 개, 폐되는 과정에서 회전력에 의하여 지주봉(2)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들(12)을 회전시키면 바디(10)와 함께 받침봉(22)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받침봉(22)의 상단부는 천정의 저면에 밀착하면서 지주봉(2)이 설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또 다른 수단으로는 골조 작업이 완성된 건물의 내장공사를 위하여 설치되는 작업기초대를 설치하는 데도 사용된다.
이는 벽면과 벽면 또는 구조물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그 내측면에 지주봉(2)과 받침봉(22)의 선단이 구조물의 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로커장치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수개를 수평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 후 그 상부에 패널(28)을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로커 장치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1)을 지지하고 이를 제거하는 데도 용이하게 사용된다.
본 고안은 과도한 하중이 상부로 부터 전달되면 로커가 받침봉을 서포트 하는 동시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최초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한 구조를 함으로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면과 수직되게 위치하면서 지지면과 대응하는 수직면으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바쳐주는 지주봉(2)과,
    상기 지주봉(2)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역할을 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 외주에 수직되게 설치되면서 작용력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한 핸들(12)과,
    상기 바디(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지주봉(2) 외주연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슬리브(18)와,
    상기 바디(10) 상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면서 거푸집(21)을 바쳐주거나 천정에 밀착하며 고정역할을 하는 받침봉(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조립구조물용 로커장치.
KR2020000004512U 2000-02-18 2000-02-18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KR200189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12U KR200189895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12U KR200189895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895Y1 true KR200189895Y1 (ko) 2000-07-15

Family

ID=1964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12U KR200189895Y1 (ko) 2000-02-18 2000-02-18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8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210000059U (ko) * 2019-07-01 2021-01-11 박시환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65B1 (ko) 2007-06-29 2008-02-12 서보산업 주식회사 자키 베이스
KR20210000059U (ko) * 2019-07-01 2021-01-11 박시환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KR200493522Y1 (ko) * 2019-07-01 2021-04-14 박시환 단열재 간격유지용 스페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9895Y1 (ko)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CN112110372B (zh) 一种窗扇辅助安装装置
CN213062369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间的竖向连接结构
KR01220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틀비계
KR100455910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JPH0453392Y2 (ko)
KR200257249Y1 (ko)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는 강철 지지대
US6662522B2 (en) Gypsum board hanging tool
KR200167392Y1 (ko) 건축용 받침 지지대
KR200232996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리프트
CN213710062U (zh) 一种吊顶伸缩机构及吊顶
KR200294741Y1 (ko) 이동식 비계
CN214833382U (zh) 装配式建筑模块结构
CN214728872U (zh) 一种建筑施工用可调角度回扩器安装运输装置
KR930002708Y1 (ko) 텐트용 지주의 길이조절장치
CN214643473U (zh) 一种房屋建筑工程护栏切割用固定装置
JP2001152586A (ja) 壁パネル固定具
CN214466604U (zh) 一种架空管道托举装置
JPH08228869A (ja) 押圧固定具
CN2661666Y (zh) 手电两用楼房小型折叠式提升器
KR810001665Y1 (ko)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KR200191203Y1 (ko) 천정 구조물 지지체용 행거
GB2547659A (en) Space saving storage device
JPH09194160A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足場装置
JPH04424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