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665Y1 -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 Google Patents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665Y1
KR810001665Y1 KR2019800003769U KR800003769U KR810001665Y1 KR 810001665 Y1 KR810001665 Y1 KR 810001665Y1 KR 2019800003769 U KR2019800003769 U KR 2019800003769U KR 800003769 U KR800003769 U KR 800003769U KR 810001665 Y1 KR810001665 Y1 KR 810001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d
stages
exterior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3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박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만 filed Critical 박종만
Priority to KR2019800003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정면단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면단면도.
제3a도는 괘지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3b도는 해지상태를 표시한 설명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본 고안은 슬라브 콘크리트 축조시에 그 파넬을 지지시켜 주거나 기타 토목공사에 사용될 수 있는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 지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무지주를 사용하였을 시에 따른 결점에 착안하여 금속제지주 즉 외관에 승강관이 되도록 하여 그 표면에 간격 조절 통공을 천공하여 핀으로서 고정되게 한 신축조절지주와 또 지주 몸체 내로 나사봉을 나삽하여 그 중간에 부착된 압상환을 돌려서 승, 하강 작동되도록 한 지주는 기히 개발되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핀이 간격조절 통공 내로 삽지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 압력에 따른 지주로서의 내구력이 미비되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나사봉을 승, 하강 작동을 시킴에 있어서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압상환을 돌려서 신축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또 나사부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하여 쉽게 마모되어 그 기능을 쉽게 잃었던 결점이 있어서 실용화 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키 위하여 외관의 4방주면에 형성된 괘지홈 내로 승강관과 일체로 형성된 괘지편이 간단한 방법으로 삽탈되도록 하여 신축조절이 용이하며, 또 4방향에서 2단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큰 하중에도 매우 견고하게 견딜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관(1)의 주면에 괘지홈(2)(2')와 (3)(3')를 상, 하에 서로 직각 방향의 위치로 천공하고, 그 하부에는 나사홈(4)을 형성시켜서 기판(5)의 나사(5a)와 나착시켰으며 그 저면을 고정보울트(6)로 고정시켰다.
한편 승강봉(7)의 상단에는 받침판(7')을 부착시켰으며, 외관(1)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 하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봉(7)의 하부에는 지지봉(8)을 그 중앙에 현수되게 나착시킨 지지(9)를 내벽과 용접하였으며 지지를(9)의 하부에는 요함부(9a)를 형성시켰다.
한편 지지봉(8)의 상부에는 양측에 협지돌기(10a)(10'a)를 돌설시킨 지지원판(10)를 삽착하여 지지봉(8)에 용접시키고 협지돌기(10a)(10'a) 사이에 걸림턱(11c)(11'c)이 형성된 괘지편(11)(11')을 축착하였고 괘지편(11)(11')의 내측에는 八자형 스프링(12)으로 탄설시켜서 괘지편(11)(11')이 외향 압력을 받도록 하였다.
또한 괘지편(11)(11')은 경사면(11a)의 상부에 직각의 절결부(11b)를 형성하였다.
아울러 지지봉(8)의 하부에는 협지돌기(10a)(10'a)와 직각 위치에 역시 협지돌기(13)(13'a)를 돌설시킨 지지원판(13)을 삽착하여 지지봉(8)에 용접시키고 협지돌기(13a)(13'a) 사이에 걸림턱(14a)(14'a)이 형성된 괘지편(14)(14')을 축착하여 八자형 스프링(12')로서 탄발되게 하였다.
괘지편(11)(11')와 (14)(14')의 하단에는 각기 견인끈(15)을 연결하여 외관(1)의 통공(16)로 인출하였다.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봉(7)을 외관(1)에서 발출시키면 괘지편(11)(11') 및 (14)(14')은 괘지홈(2)(2')와 (3)(3')에서 이탈하여 상승되다가 스프링(12)(12')의 탄발력에 의하여 다음 위치의 괘지홈(2)(2')와 (3)(3')에 괘지편(11)(11') 및 (14)(14')의 걸림턱(11c)(11'c)(14a)(14'a)이 걸리게 되므로 승강봉(7)을 발출시키면서 소당의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본 고안지주를 사용치 않을 때는 제3a도와 같이 승강봉(7)을 약간 상승시켜서 괘지편(11)(11') 및 (14)(14')을 이탈시킨 다음 견인끈(15)을 견인하면 괘지편(11)(11') 및 (14)(14')은 수축되기 때문에 승강봉(7)을 계속 외관(1)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괘지편(11)(11') (14)(14')가 상, 하 2단으로 외관(1)에 괘지될 뿐 아니라 특히 괘지편(11)(11')은 괘지홈(2)(2') 부분과 요홈(11b)의 두 곳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받침판(5)에 큰 하중이 걸리드라도 이를 무난히 견딜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내하중(耐荷重)을 크게 하기 위하여 괘지수단 (괘지편(11)(11')와 (14)(14'))을 상, 하 2단으로 하되 서로 직각 위치에서 괘지되도록 하였으나 하중이 그다지 크지 않은 지주로 사용할 때에는 괘지수단을 1단으로 하여 하부 괘지수단 괘지편(14)(14')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드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

  1. 외관(1)에 괘지홈(2)(2')와 (3)(3')를 상, 하 2단으로 서로 직각 위치에 천공하고 그 하부는 기판(5)와 나착시키며 받침판(7')을 상단에 부착시킨 승강봉(7)을 삽탈토록 하되 '승강봉(7)의 저면에는 지지봉(8)을 나착시킨 지지틀(9)을 용접한 다음 지지봉 (8)에는 지지원판(10)(13)을 2단으로 착설하여 상부에 직각의 절결부(11b)와 하부에는 걸림턱(11c)(11'c)이 형성된 괘지편(11)(11')와 역시 하부에 걸림턱(14a)(14'a)이 형성된 괘지편(14)(14')를 서로 직각 위치에 유착하고 스프링(12)(12')로서 탄발되게하며, 괘지편(11)(11')와 (14)(14')의 하단은 견인끈(15)으로 견인되도록 한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
KR2019800003769U 1980-06-13 1980-06-13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KR810001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69U KR810001665Y1 (ko) 1980-06-13 1980-06-13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3769U KR810001665Y1 (ko) 1980-06-13 1980-06-13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665Y1 true KR810001665Y1 (ko) 1981-10-27

Family

ID=1921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3769U KR810001665Y1 (ko) 1980-06-13 1980-06-13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6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5161A (en) Post shore
US3084893A (en) Quick-release temporary articulated i-beam hanger
US5076536A (en) Concrete form supporting bracket
RU2126481C1 (ru) Окно, в особенности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наклонной крыши
US4998484A (en) Versatile wall mount folding table
US5186430A (en) Adjustable column cap or base
US5173002A (en) Lift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cabinets and construction panels
US3883106A (en) Telescoping post
US5186568A (en) Scaffolding double latch locking device
KR810001665Y1 (ko) 토목, 건축용 신축조절지주(支柱)
EP0100333A1 (en) Adjustable brace or prop
US2535141A (en) Adjustable shore
US3490189A (en) Scaffold element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scaffolding structures
GB2272421A (en) Work platform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BR9405361A (pt) Dispositivo para desmontagem de um elemento de içamento de carga pesada
JPH0329468Y2 (ko)
US4332118A (en) Method and support for angularly adjusting a building element
KR200189895Y1 (ko) 조립 구조물용 로커장치
JP2807774B2 (ja) 仮設用安全手摺り
US3122347A (en) Support structure
JPS6386249U (ko)
CN220868587U (zh) 一种建筑结构设计的承重件
CN217871708U (zh) 高层建筑悬挑结构层的施工平台
CN220768401U (zh) 一种快装式钢梁连接结构
WO2021104377A1 (zh) 利于安装的吊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