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84B1 - 난간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84B1
KR101123884B1 KR1020110058879A KR20110058879A KR101123884B1 KR 101123884 B1 KR101123884 B1 KR 101123884B1 KR 1020110058879 A KR1020110058879 A KR 1020110058879A KR 20110058879 A KR20110058879 A KR 20110058879A KR 101123884 B1 KR101123884 B1 KR 101123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unit
horizontal
vertical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슬기
Original Assignee
박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슬기 filed Critical 박슬기
Priority to KR102011005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는, 난간 안쪽 바닥에 구비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어 수직 운동을 수행하는 수직 운동부와; 안전 받침대와 연결되고 수평 운동을 수행하는 수평 운동부와; 상기 수직 운동부 및 상기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을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을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외력에 대응되는 원상 복원력를 발생하는 원상 복원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 복원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는 복원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 위에 소정 하중 이상의 물체가 놓이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부는 해당 하중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수평 운동부는 상기 수직 운동부의 아래 방향 움직임과 연계된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에 동작에 의한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난간 외벽 바깥쪽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밀어 돌출시키며 상기 원상 복원부는 원상태보다 증가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 또는 신장되고, 상기 발판 위의 물체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원상 복원력에서 상기 복원 지연부에 의해 상쇄된 크기의 힘에 의해 상기 수평 운동부는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상기 난간 외벽 안쪽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수직 운동부는 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발판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간 안전장치{APPARATUS FOR BALUSTRADE SAFETY}
본 발명은 난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란다 등에서 난간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란다, 발코니 등에는 아래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처럼 난간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난간 너머로 추락하는 사건이 가끔씩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술에 취한 사람들이 중심을 읽어 추락하거나 또는 위험을 잘 모르는 어린 아이들이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난간 너머로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난간의 구조를 변형하는 다양한 형태의 난간 안전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난간 바깥쪽 외벽에 추락에 대비한 구조물을 추가로 고정 설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난간 바깥쪽 외벽에 추락에 대비한 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것은 아래층의 일조권을 침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래층의 일조권을 일상적으로 침해하지는 않으면서 난간에 위치한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는, 난간 안쪽 바닥에 구비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어 수직 운동을 수행하는 수직 운동부와; 안전 받침대와 연결되고 수평 운동을 수행하는 수평 운동부와; 상기 수직 운동부 및 상기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을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을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외력에 대응되는 원상 복원력를 발생하는 원상 복원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 복원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는 복원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 위에 소정 하중 이상의 물체가 놓이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부는 해당 하중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수평 운동부는 상기 수직 운동부의 아래 방향 움직임과 연계된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에 동작에 의한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난간 외벽 바깥쪽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밀어 돌출시키며 상기 원상 복원부는 원상태보다 증가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 또는 신장되고, 상기 발판 위의 물체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원상 복원력에서 상기 복원 지연부에 의해 상쇄된 크기의 힘에 의해 상기 수평 운동부는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상기 난간 외벽 안쪽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수직 운동부는 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발판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란다, 발코니 등에서 난간에 기대 서 있던 사람이 난간 너머로 추락하는 경우 안전 받침대로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안전 받침대는 평상시에는 건물 외벽 안쪽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사람이 난간 근처에 서 있는 경우에만 건물 외벽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되므로 아래층의 일조권 침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받침대는 사람의 하중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다른 외부 전원의 공급이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가 설치된 베란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가 설치되는 베란다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에는 추락 방지용 난간(1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난간 안쪽 즉, 베란다 바닥(121)에는 소정 높이의 단턱으로 이루어진 발판(1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난간 외벽(즉, 난간이 설치된 베란다의 바깥쪽 벽면)(122)에는 안전 받침대(32)가 돌출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난간 안전장치는 이처럼 베란다 등 난간(111)이 설치된 곳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판(11)과 안전 받침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는 사람이 베란다의 발판(11)에 올라서는 경우에 베란다의 발판(11)이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도록 함과 동시에 난간 외벽(122)에는 안전 받침대(32)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결국, 난간(111) 근처에 사람이 서 있는 경우에는 그 사람의 몸무게에 의해 베란다 바닥(121) 아래에 숨겨 있던 안전 받침대(32)가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람이 난간(111) 밖으로 떨어지는 경우 안전 받침대(32)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간 안전장치는 발판, 수직 운동부, 수평 운동부, 운동 방향 전환부, 원상 복원부, 복원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발판(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난간 안쪽 바닥(121)에 구비되어 사람이 올라설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수직 운동부는 발판(11)과 연결되어 수직 운동을 수행하며, 수평 운동부는 안전 받침대(32)와 연결되고 수평 운동을 수행하고, 운동 방향 전환부는 수직 운동부 및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어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을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을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상 복원부는 발판(11), 안전 받침대(32), 수직 운동부, 수평 운동부와,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외력에 대응되는 원상 복원력를 발생하는 것이고, 복원 지연부는 발판(11), 안전 받침대(32), 수직 운동부, 수평 운동부와,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원상 복원부의 원상 복원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발판(11) 위에 소정 하중 이상의 물체가 놓이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부는 해당 하중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고 수평 운동부는 수직 운동부의 아래 방향 움직임과 연계된 운동 방향 전환부에 동작에 의한 수평 방향 운동으로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안전 받침대(32)를 밀어 돌출시키며 원상 복원부는 원상태보다 증가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 또는 신장된다.
반대로 발판(11) 위의 물체가 제거되는 경우 원상 복원부의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원상 복원력에서 복원 지연부에 의해 상쇄된 크기의 힘에 의해 수평 운동부는 수평 방향 운동으로 안전 받침대(32)를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삽입시키고 수직 운동부는 위 방향으로 움직여 발판(11)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안전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베란다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각각의 구성 요소간 연결에는 접착제 또는 볼트 및 너트, 못과 같은 다양한 체결구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그 연결 부재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상 복원부와 복원 지연부는 서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복원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스프링은 예를 들어 강철 또는 다양한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복원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예를 들어 원상 복원부의 스프링(제1 스프링(51))이 원상태(늘어나거나 압축되지 않아 탄성력을 갖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되어 원상태보다 더 큰 탄성력을 보유하는 경우에 복원 지연부의 스프링(제2 스프링(61))은 원상태로 복구되어 오히려 더 작은 탄성력을 보유하게 됨을 의미한다.
단적인 예로 원상 복원부의 제1 스프링(51)이 원상태일 때 복원 지연부의 제2 스프링(61)은 늘어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원상 복원부의 제1 스프링(51)이 압축된 상태일때 복원 지연부의 제2 스프링(61)은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상 복원부의 제1 스프링(51)의 탄성력은 복원 지연부의 제2 탄성력보다 더 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수직 운동부는 지지대(22), 수평 상판(23)과, 수평 하판(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지지대(22)는 발판(11) 및 수평 상판(23)을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수평 상판(23)은 지지대(22)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지지대(22)와 함께 상하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수평 하판(24)은 난간(111) 안전장치가 설치된 곳의 바닥 아랫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22)와 발판(11)은 소정의 보조 연결 부재(21)에 의해 강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수평 상판(23) 및 수평 하판(24) 사이에는 상술한 원상 복원부의 제1 스프링(51)과 복원 지연부의 제2 스프링(61)이 연결되어 있다. 즉, 수평 하판(24)은 원상 복원부 및 상기 복원 지연부의 강철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수평 상판(23)과 연결되어 있다.
운동 방향 전환부는 일단이 상판 및 하판과 연결되고 타단이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는 주름 형태의 연결 부재(일명 자바라(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X'자 형태를 이루는 자바라(41)의 한쪽 철판은 상판에 체결구(볼트 및 너트 등)로 결합되고, 자바라(41)의 다른쪽 철판은 하판에 체결구(볼트 및 너트 등)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체결구를 축으로 하여 자바라(41)의 각 철판은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바라(41)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수평 운동부는 일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자바라(41)와 연결되고 타단이 안전 받침대(34)와 연결되는 수직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수직판(33)은 수평 방향으로 안전 받침대(34)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직판(33)의 수평 방향 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자바라(41)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발판(11) 위에 사람이 올라서는 경우와 같이 발판(11) 위에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안전 받침대(34)가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발판(11)에 사람이 올라서게 되면, 사람의 하중에 의해 발판(11)은 아래 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발판(11) 아래쪽에 구비된 지지대(22)와 그 지지대(22)와 연결된 수평 상판(23) 역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판(11)에 사람이 올라서기 전에는 제1 스프링(51)과 제2 스프링(61)은 발판(11)의 무게 등과 더불어 서로 평형을 이루고 있다. 즉, 사람이 발판(11)에 올라서기 전에는 발판(11)의 무게(물론 발판(11)에 연결된 다른 부재의 무게 등도 포함)와 제2 스프링(61)이 복원 하려는 힘의 합이 제1 스프링(51)을 압축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아 서로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평형 상태에서 발판(11) 위에 사람이 올라서게 되면 사람의 몸무게에 의해 평형이 깨지게 되고, 결국 제1 스프링(51)이 압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스프링(61)은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이처럼 제1 스프링(51)이 압축되면서 수평 상판(23)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수평 상판(23) 및 수평 하판(24)과 연결된 자바라(41)는 우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 상판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안전 받침대(34)를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사람이 발판(11)위에 올라 선 상태에서는 사람의 하중, 발판(11)의 무게와 압축된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이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된다.(제2 스프링(61)이 원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2 스프링(61)에 의해 발생하는 힘은 없다.)
이처럼 발판(11)이 사람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한 상태(즉, 안전 받침대(34)가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람이 발판(11)을 벗어나면 압축되어 있던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11)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자바라(41)가 접힘을 의미하고 결국 수직판(33)에 연결된 안전 받침대(34)는 원래대로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11)이 위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제2 스프링(61)이 원상태에서 점점 늘어나면서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과 반대 방향의 힘을 발생시키고, 이는 결국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을 일부 상쇄시켜 안전 받침대(34)가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되돌아가는 속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즉, 안전 받침대(34)는 제1 스프링(51)과 제2 스프링(61)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돌출될 때는 신속하게 돌출되지만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되돌아갈 때는 천천히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이 난간(111) 바깥으로 떨어질 때 발판(11)에서 발이 떨어지더라도 안전 받침대(34)는 천천히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이동하므로 추락하는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안전 받침대(34)에는 그 안전 받침대(34)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소정 개수의 지지홈(3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홈(35)은 난간 외벽(122)에 구비된 스토퍼(123)가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안전 받침대(34)에 사람이 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스프링(51)의 복원력에 의해 안전 받침대(34)가 도 2와 같이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들어가게 되나, 안전 받침대(34)에 사람이 떨어진 경우에는 안전 난간(111)에 구비된 지지홈(35)에 스토퍼(123)가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안전 받침대(34)가 난간 외벽(122) 안쪽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람이 안전 받침대(34)에 떨어진 경우에는 그 떨어진 사람의 하중에 의해 안전 받침대(34)의 이동이 멈추게 되어 안전 받침대(34)의 이동에 따른 2차 추락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111) 안전장치의 세부 구성의 다른 예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원상 복원부는 아래 방향의 외력에 대응하여 보다 큰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스프링(51')은 강철, 합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운동부는 수평판(23')과 수직 기어(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수평판(23')은 원상 복원부의 스프링(51')의 상단에 부착되고, 수직 기어(22')는 한쪽이 발판(11')과 연결되고 다른쪽이 수평판(23')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부분에는 기어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 기어(22')와 발판(11')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 부재(21')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운동 방향 전환부는 제1 원형 기어(41')와 제1 원형 기어(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원형 기어(41')와 제1 원형 기어(42')는 서로 붙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원형 기어(41')와 제1 원형 기어(42')는 동일한 회전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제1 원형 기어(41')는 수직 기어(22')와 치합하여 수직 기억의 직선 운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1 원형 기어(42')는 후술하는 수평 기어(31')와 치합하여 회전운동을 수평 기어(31')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원형 기어(42')의 반경이 제1 원형 기어(41')의 반경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수평 운동부는 수평 기어(31')와 수직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수평 기어(31')는 후술하는 복원 지연부의 일부분 즉, 유압 피스톤(62')과 연결되고 제1 원형 기어(42')와 치합하여 그 제1 원형 기어(42')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수직판(33')은 피스톤 연결대(63') 및 안전 받침대(34')와 연결되어 유압 피스톤(62')의 운동에 따라 안전 받침대(34')가 난간 외벽(122) 바깥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직판(33')과 피스톤 연결대(63') 사이에는 일종의 보호대(32')가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복원 지연부는 유압 탱크(65'), 실린더(60'), 피스톤(62'), 피스톤 연결대(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실린더(60')에는 유압 탱크(65')에 저장된 유체의 유입구(66') 및 유출구(67')가 구비되고, 피스톤(62')은 일단이 수평 운동부의 수평 기어(31')와 연결되고 실린더(60')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성되며, 피스톤 연결대(63')는 피스톤(62')과 수직판(33')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여기서 전단 부재(61')와 후단 부재(64')는 각각 피스톤(62')의 처음 위치와 마지막 위치를 정해주기 위해 포함된 것인데, 이러한 전단 부재(61')와 후단 부재(64')가 실린더(60') 내부 반경 크기와 동일한 원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전단 부재 및 후단 부재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62')의 우측 방향의 운동시 유입구(66')를 통해 실린더(60') 내부로 유압 탱크(65')의 유체가 유입되고, 피스톤(62')의 좌측 방향의 운동시 실린더(6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유출구(67')를 통해 상기 유압 탱크(65')로 유출된다. 여기서 유출구(67')의 반경은 유입구(66')의 반경보다 더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복원 지연부의 동작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는 피스톤(62')이 우측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피스톤(62')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유압 탱크(65')에 포함된 기름이 실린더(6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도 7(b)는 피스톤(62')이 좌측 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피스톤(62')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피스톤(62')에 의해 압축되는 실린더(60') 내 유체들이 유출구(67')를 통해 다시 유압 탱크(65')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유압 탱크(65')로 유출되는 유체에 의해 원상 복원부의 스프링(51')의 원상 복원력의 일부는 상쇄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유출구(67')와 유입구(66')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러한 유출구(67') 및 유입구(66')는 하나의 관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안전 받침대(34')에 사람이 떨어지거나 하여 소정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스토퍼(123)에 의해 지지홈(35)이 걸려 더 이상 외벽(122) 안쪽으로 안전 받침대(34')가 들어가지 않는 상태가 도시되었고, 이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11' : 발판 22 : 지지대
23 : 수평 상판 24 : 수평 하판
33,33' : 수직판 34 : 안전 받침대
35,35' : 지지홈 123,123' : 스토퍼
41 : 자바라 51 : 제1 스프링
61 : 제2 스프링 111 : 난간
122 : 난간 외벽 22' : 수직 기어
23' : 수평판 34' : 안전 받침대
31' : 수평 기어 41' : 안쪽 회전 기어
42' : 바깥 회전 기어 51' : 스프링
60' : 실린더 62' : 피스톤
63' : 피스톤 연결대 65' : 유압 탱크
66' : 유입구 67' : 유출구

Claims (4)

  1. 난간 안쪽 바닥에 구비되는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어 수직 운동을 수행하는 수직 운동부와;
    안전 받침대와 연결되고 수평 운동을 수행하는 수평 운동부와;
    상기 수직 운동부 및 상기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을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운동을 상기 수직 운동부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방향 전환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외력에 대응되는 원상 복원력를 발생하는 원상 복원부와;
    상기 발판, 상기 안전 받침대, 상기 수직 운동부, 상기 수평 운동부와,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 복원력의 적어도 일부를 상쇄하는 복원 지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 위에 소정 하중 이상의 물체가 놓이는 경우 상기 수직 운동부는 해당 하중에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수평 운동부는 상기 수직 운동부의 아래 방향 움직임과 연계된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에 동작에 의한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난간 외벽 바깥쪽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밀어 돌출시키며 상기 원상 복원부는 원상태보다 증가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압축 또는 신장되고,
    상기 발판 위의 물체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원상 복원력에서 상기 복원 지연부에 의해 상쇄된 크기의 힘에 의해 상기 수평 운동부는 수평 방향 운동으로 상기 안전 받침대를 상기 난간 외벽 안쪽으로 삽입시키고 상기 수직 운동부는 위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발판을 위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 복원부는 아래 방향의 외력에 대응하여 보다 큰 탄성력을 가지는 강철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운동부는 상기 원상 복원부의 강철 스프링의 상단에 부착되는 수평판과; 일단이 상기 발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판에 연결되는 수직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상기 수직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수직 기억의 직선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원형 기어와; 상기 제1 원형 기어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고 상기 제1 원형 기어와 동일한 회전각을 가지는 제2 원형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평 운동부는 상기 복원 지연부의 일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의 제2 원형 기어와 치합하여 상기 제2 원형 기어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 운동을 하는 수평 기어와; 일단이 상기 복원 지연부의 다른 일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 받침대와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원 지연부는 유압 탱크에 저장된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한 실린더; 일단이 상기 수평 운동부의 수평 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판과 연결되는 피스톤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어느 한쪽 방향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피스톤의 반해 방향의 운동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유압 탱크로 유출되며 상기 원상 복원부 강철 스프링의 원상 복원력의 일부를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상 복원부와 상기 복원 지연부는 서로 상하 반대 방향으로 복원 탄성력을 가지는 강철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운동부는 상기 발판과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상하 운동을 하는 수평 상판과; 상기 원상 복원부 및 상기 복원 지연부의 강철 스프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수평 상판과 연결되는 수평 하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동 방향 전환부는 일단이 상기 상판 및 하판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 운동부와 연결되는 주름 형태의 연결 부재(자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 운동부는 일단이 상기 자바라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안전 받침대와 연결되는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안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외벽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기 안전 받침대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하중이 실리는 경우 상기 원상 복원부의 원상 복원력에 따른 상기 안전 받침대의 상기 난간 외벽 안쪽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상기 안전 받침대의 하단 면에는 상기 난간 외벽에 구비된 스토퍼가 안착되도록 하는 소정 개수의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안전장치.
KR1020110058879A 2011-06-17 2011-06-17 난간 안전장치 KR10112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79A KR101123884B1 (ko) 2011-06-17 2011-06-17 난간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879A KR101123884B1 (ko) 2011-06-17 2011-06-17 난간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884B1 true KR101123884B1 (ko) 2012-03-23

Family

ID=4614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879A KR101123884B1 (ko) 2011-06-17 2011-06-17 난간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267A (zh) * 2020-11-04 2021-02-02 王梅 一种具有防护措施的阳台护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73Y1 (ko) 2002-09-27 2002-12-13 이덕재 베란다용 안전난간
KR20050005197A (ko) * 2003-07-07 2005-01-13 주봉화 롤러 조립체를 이용한 추락 방지 장치
KR100557497B1 (ko)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080075624A (ko) * 2007-02-13 2008-08-19 김천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73Y1 (ko) 2002-09-27 2002-12-13 이덕재 베란다용 안전난간
KR20050005197A (ko) * 2003-07-07 2005-01-13 주봉화 롤러 조립체를 이용한 추락 방지 장치
KR100557497B1 (ko) 2005-11-16 2006-03-1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추락방지난간
KR20080075624A (ko) * 2007-02-13 2008-08-19 김천호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2267A (zh) * 2020-11-04 2021-02-02 王梅 一种具有防护措施的阳台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US20100155176A1 (en) Ladder safety seat
JP2007535455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安全装置
US7766124B2 (en) High rise evacuation system
CN105401715A (zh) 一种防倾覆防坠落的附着式升降脚手架
KR101123884B1 (ko) 난간 안전장치
CN103556933A (zh) 一种多功能阳台防护栏
KR100738377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GB2394248A (en) A telscoping frame for supporting a platform to cover an opening in a floor
JP2009235816A (ja) 階段
CN104695579B (zh) 一种建筑物防震保护装置
KR100585816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높이 조절 난간
CN204823596U (zh) 一种电梯轿厢伸缩护脚板装置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JP6532012B2 (ja) 地震待避構造
JP2006193260A (ja) 階段段差解消装置
CN215084382U (zh) 一种自动升降式缓降紧急逃生装置
CN205591530U (zh) 防坠导向支座
CN208856733U (zh) 高层楼宇消防逃生梯
KR200404760Y1 (ko) 베란다 난간겸용 비상사다리
CN106962322A (zh) 一种电气设备用侧边防护挡板
CN216472102U (zh) 一种双重缓降的紧急逃生装置
KR101047147B1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1655120B1 (ko) 자동 전도식 난간
CN216517022U (zh) 一种建筑安全用防砸防护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