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603Y1 -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03Y1
KR200490603Y1 KR2020180005876U KR20180005876U KR200490603Y1 KR 200490603 Y1 KR200490603 Y1 KR 200490603Y1 KR 2020180005876 U KR2020180005876 U KR 2020180005876U KR 20180005876 U KR20180005876 U KR 20180005876U KR 200490603 Y1 KR200490603 Y1 KR 200490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rame
closing plate
access doo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장웅
김건회
박준석
송복섭
Original Assignee
(주)동양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공조 filed Critical (주)동양공조
Priority to KR2020180005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1Acce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에 진입하기 위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둘레측에 제1 프레임(11)이 부착되며 제1 프레임(11)의 내측에는 롤러가이드부(12)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 둘레측에 제2 프레임(21)이 부착되며 롤러가이드부(12)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개폐 플레이트(20),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11)에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20)의 양측의 제2 프레임(2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롤러(30),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 플레이트(2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 롤러(40)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주 롤러(40)와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20)와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SLIDING ACCESS DOOR}
본 고안은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기기 내부 점검 등의 산업상의 공정을 위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도어는 각종 설비용 샤프트나 천장, 바닥, 공기 조화기 등의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개구문이다. 액세스 도어는 통상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산업상의 공정을 위한 작업자 통로의 일부로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지면으로부터 사다리 등을 통하여 액세스 도어로 올라가, 여닫이 구조의 액세스 도어를 상하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작업자 통로로 들어가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액세스 도어는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가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액세스 도어를 여닫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를 열고 작업자 통로로 들어간 후에는 높은 위치의 작업자 통로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액세스 도어는 상하로 개폐되는 여닫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 상방으로 열려진 액세스 도어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다시 낙하하여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의 머리에 충돌하게 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작업자 통로로 들어가려는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를 상방으로 열 때 이미 작업자 통로 위에 있는 다른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에 충돌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상태에서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방으로 들어 올려야 하므로 작업자가 중심을 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20-2014-0000906호에서는 출입문이 진입사다리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미닫이 구조로 된 타워크레인용 출입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서의 출입문(1)의 미닫이 구조는 문틀(2)의 양측에 슬라이딩레일(2a)이 마련되고, 문틀(2)의 슬라이딩레일(2a)에 출입문(1)의 양측단부가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슬라이딩 레일(2a)이 작업자 통로 위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슬라이딩 레일(2a)에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문(1)이 작업자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등 변형되면, 변형된 출입문(1)은 슬라이딩레일(2a)을 통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출입문(1)의 변형을 막기 위해서는 출입문(1)의 재질을 두꺼운 강성 재질로 하는 등으로 구성하여야 하지만, 이 경우, 작업자는 사다리 등의 진입수단 또는 좁은 작업자 통로 내에서 출입문(1)을 여닫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들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등록특허 10-1801519호에서는 개폐 가능한 방호문이 구비된 타워크레인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특허문헌 2에서는 개폐도어(3)의 슬라이딩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가이드롤러(4) 및 제2 가이드롤러(5)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개폐도어(3)와 출입구(6) 사이에 완충 작용을 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개폐도어(3)가 작업자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쉽게 휘어지는 등 변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입구(6)에 해당하는 플레이트와 개폐도어(3)에 해당하는 플레이트가 서로 부딪히게 되어 개폐도어(3)의 개폐가 원활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와 부딪히거나 액세스 도어를 힘을 주어 상하로 여닫지 않고도,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액세스 도어를 슬라이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작업자의 무게 등에 의한 액세스 도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액세스 도어가 대응하는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 통로에서부터 액세스 도어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에 진입하기 위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둘레측에 제1 프레임이 부착되며 제1 프레임의 내측에는 롤러가이드부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둘레측에 제2 프레임이 부착되며 롤러가이드부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개폐 플레이트, 개폐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에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의 양측의 제2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롤러, 개폐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 플레이트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 롤러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는 주 롤러와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좌우의 제2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프레임에 접하는 복수의 수평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잠금수단은 개폐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설치되며 잠금돌출부가 부착된 개폐수단, 및 개폐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잠금돌출부를 밀어 개폐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잠금돌출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진 구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개폐 플레이트는 제2 프레임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가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액세스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를 열고 작업자 통로로 들어간 후에 높은 위치의 작업자 통로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다양한 롤러들을 적용하여 액세스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롤러에 의한 완충력 및 두 개의 플레이트가 일정부분 이중으로 겹쳐질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개폐플레이트가 변형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레이딩레일을 통한 미닫이 구조로 된 타워크레인용 출입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개폐 가능한 방호문이 구비된 타워크레인의 개폐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구조체에서의 작업자 통로 및 액세스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구조체에서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개폐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가 열려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하기 위한 조립구조체(Built-up unit)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립구조체에는 일정 높이의 공기조화기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위하여 그 높이에 대응하는 작업자 통로(8) 및 바닥에서부터 작업자가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8)에 진입하기 위한 액세스 도어(9)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액세스 도어를 슬라이딩하여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 관한 것이다. 다만,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의 적용범위는 공기조화기 분야에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액세스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베이스 플레이트(10), 개폐 플레이트(20), 복수의 수직 롤러(30), 적어도 하나의 주 롤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둘레측에 제1 프레임(11)이 부착되며 제1 프레임(11)의 내측에는 롤러가이드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진입사다리 등의 승강수단을 타고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8)로 올라가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여는 방식으로 작업자 통로(8)에 진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수평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며, 제1 프레임(11) 및 롤러가이드부(12)는 개폐 플레이트(20)가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수평길이는 적어도 작업자 통로의 간격보다 작게 구성되며, 작업자 통로 중간에 배치된다. 즉,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작업자 통로의 어느 곳이든 설치가 가능하고,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공기조화기 필터 교체 등 작업이 필요한 곳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대략 절반 정도는 개폐 플레이트(20)를 수용하기 위한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1)을 포함한 개폐 플레이트(20)의 전체 넓이는 대략 개폐 플레이트(20)의 2배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가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서 작업하고 있는지 여부를 미리 살펴볼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있는 상태에서 액세스 도어를 여는 것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둘레에 형성된 제1 프레임(11)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께보다 더 큰 일정 높이를 가지며, 개폐 플레이트(20)를 수용하기 위한 롤러가이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는 대략 'ㄷ'자 모양으로 개구된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ㄷ'자 모양의 안쪽 부분이 롤러 가이드부(12)로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가 개폐 플레이트(20)를 수용하기 위한 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부분에는 제1 프레임(11)은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직접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부착된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의 한쪽 측면 부분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개폐 플레이트(20)를 베이스 플레이트(10) 내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플레이트(20)는 둘레에 제2 프레임(21)이 부착되며 롤러가이드부(12)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서 수평이동하며 개폐됨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작업자 통로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개폐 플레이트(2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프레임(21)은 대략 'ㄷ'자 모양으로 개구된 부분이 개폐 플레이트(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프레임(21)은 개폐 플레이트(20)의 두께보다 더 큰 일정 높이를 가지며, 개폐 플레이트(20)를 수용하기 위한 롤러가이드부(12)의 높이보다 작아야 한다. 이에 따라 개폐 플레이트(20)의 제2 프레임(21)이 제1 프레임(11)의 내측에 구비된 롤러가이드부(12)로 들어가는 방식으로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 안쪽으로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가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서 작업하고 있는지 여부를 미리 살펴볼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있는 상태에서 액세스 도어를 여는 것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21)은 후술하는 수직롤러(3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개폐 플레이트(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안쪽으로 수납되어 수평방향으로 롤러가이드부(12)를 따라 수평이동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자 통로에 진입할 수 있으며, 개폐 플레이트(20)를 완전히 베이스 플레이트(1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개폐 정도를 작업자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제1 프레임(11)의 개폐 플레이트(20)와 반대방향의 일측에는, 개폐 플레이트(20)의 제2 프레임(21)과 제1 프레임(11)의 충돌을 막는 충돌방지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액세스 도어는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가 몸의 중심을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액세스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를 열고 작업자 통로로 들어간 후에 높은 위치의 작업자 통로에서 떨어지는 등의 안전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로 개폐되는 여닫이 구조와 달리 슬라이딩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이미 상방으로 열려진 액세스 도어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다시 낙하하여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작업자의 머리에 충돌하게 되거나, 작업자 통로로 들어가려는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를 상방으로 열 때 이미 작업자 통로 위에 있는 다른 작업자가 액세스 도어에 충돌하게 되는 문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간 상태에서 작업자가 무거운 액세스 도어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방으로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롤러(30)는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프레임(11)에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20)의 양측의 제2 프레임(2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직 롤러(30)는 예를 들어, 개폐 플레이트(20)의 제1 프레임(11)을 향하는 양측에 각각 두개씩 배치될 수 있으며,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제2 프레임(21)의 양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수직 롤러(30)가 설치되는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프레임(11)을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각각의 수직 롤러(30)의 직경은 대략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제1 프레임(11) 사이의 거리와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 롤러(30)는 제1 프레임(11)의 상하부분이 제2 프레임(21)의 상하부분과 서로 부딪히지 않으면서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수직 롤러(30)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마찰로 인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슬라이딩 레일 등을 작업자 통로 위로 돌출시키지 않고도 제1 프레임(11)의 롤러가이드부(12) 내로 제2 프레임(21)이 수직 롤러(30)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액세스 도어가 개폐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슬라이딩 레일(2a)에 걸려 넘어질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주 롤러(40)는 개폐 플레이트(20)와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 플레이트(20)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주 롤러(40)는 대략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인접한 부분에 개폐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주 롤러(40)가 설치되는 수 및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 플레이트(20)의 필요한 부분에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20)를 관통하지 않고 개폐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주 롤러(40)는 수직 롤러(30)와 함께 개폐 플레이트(20)를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주 롤러(40)와 접하며 개폐 플레이트(20)와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의 이격된 거리는 주 롤러(40)가 개폐 플레이트(20)를 관통하거나 또는 개폐 플레이트(20)에 부착되어 개폐 플레이트(20)로부터 이격된 거리이다. 주 롤러(40)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 롤러(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개폐 플레이트(20)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개폐 플레이트(20) 사이에 완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플레이트(20)가 작업자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만약 변형되는 경우 개폐 플레이트(20)의 휘어진 부분이 제1 프레임(11)과 부딪히게 되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20)의 재질을 강성 재질로 두껍게 구성하지 않더라도, 주 롤러(40)의 완충력과 함께 개폐 플레이트(20)와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일정부분 이중으로 겹쳐질 수 있으며, 얇은 두께의 일반적인 액세스 도어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사다리 등의 진입수단 또는 좁은 작업자 통로 내에서 출입문(1)을 여닫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21)이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의 좌우의 제2 프레임(2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 프레임(11)에 접하는 복수의 수평 롤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롤러(50)는 예를 들어, 개폐 플레이트(20)의 제2 프레임(21)을 관통하며 제1 프레임(11)을 향하는 양쪽에 각각 두개씩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프레임을 관통하지 않고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1)의 수평부분이 제2 프레임(12)의 수평부분과 서로 부딪히지 않으면서 개폐 플레이트(2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수평 롤러(50)는 탄성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마찰로 인한 변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롤러(3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직 롤러(30), 주 롤러(40), 수평 롤러(5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폐 플레이트(20)가 롤러가이드부(12) 내에서 안정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며, 개폐 플레이트(20) 및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이중 구조 및 롤러들에 의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직 롤러(30)와 수평 롤러(50) 모두 제1 프레임(11)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접함으로써 개폐 플레이트(2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개폐 플레이트(2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으로 인하여 롤러 가이드부(12) 내에서 부딪히며 슬라이딩 이동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위치에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의 특성상 개폐플레이트(20)의 변형이 초래할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 및 개폐플레이트(20)의 변형에 따른 액세스 도어의 교체가 번거롭다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잠금수단은 개폐수단(60) 및 구멍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단(60)은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설치되며 잠금돌출부(61)가 부착될 수 있다. 잠금돌출부(61)는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향하는 돌출부분을 가지며, 작업자는 돌출부를 미는 방식으로 개폐수단(60)을 통하여 잠금수단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개폐수단(60)은 개폐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되어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가 닫힐 때에 자동으로 잠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잠금수단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부(70)는 개폐 플레이트(20)를 통과하여 잠금돌출부(61)를 밀어 개폐수단(6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잠금돌출부(61)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멍부(70)는 일정 길이방향의 면적을 갖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작업자는 구멍부(70)를 통하여 손가락 등으로 돌출부(61)를 밀어 개폐수단(60)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구멍부(70)의 길이는 충분히 돌출부(61)를 밀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플레이트(20)는 제2 프레임(21)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80)는 작업자가 개폐수단(60)을 작동시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연 다음, 손잡이부(80)를 당겨 개폐 플레이트(20)를 베이스 플레이트(10) 방향으로 밀어 작업자가 작업자 통로에 진입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손잡이부(80)는 통상적인 사람의 손으로 움켜쥐어 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경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플레이트 11: 제1 프레임
12: 롤러가이드부 20: 개폐 플레이트
21: 제2 프레임 30: 수직 롤러
40: 주 롤러 50: 수평 롤러
60: 개폐수단 61: 잠금돌출부
70: 구멍부 80: 손잡이부

Claims (4)

  1.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자 통로에 진입하기 위한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에 있어서,
    둘레측에 제1 프레임(11)이 부착되며 제1 프레임(11)의 내측에는 롤러가이드부(12)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
    둘레측에 제2 프레임(21)이 부착되며 상기 롤러가이드부(12)를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개폐 플레이트(20);
    상기 개폐 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의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프레임(11)에 접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20)의 양측의 제2 프레임(2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수직 롤러(30);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2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개폐 플레이트(20) 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주 롤러(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주 롤러(40)와 접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20)와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21)이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의 좌우의 상기 제2 프레임(2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11)에 접하는 복수의 수평 롤러(50)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설치되며 잠금돌출부(61)가 부착된 개폐수단(60), 및 개폐 플레이트(20)를 통과하여 상기 잠금돌출부(61)를 밀어 상기 개폐수단(6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잠금돌출부(61)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진 구멍부(70)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20)는 상기 제2 프레임(21)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80)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KR2020180005876U 2018-12-17 2018-12-17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KR200490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76U KR200490603Y1 (ko) 2018-12-17 2018-12-17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76U KR200490603Y1 (ko) 2018-12-17 2018-12-17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603Y1 true KR200490603Y1 (ko) 2019-12-06

Family

ID=68834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76U KR200490603Y1 (ko) 2018-12-17 2018-12-17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0322A (zh) * 2022-03-30 2022-06-28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养护装置及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KR200476486Y1 (ko) * 2014-07-24 2015-03-05 유은상 건축공사용 미닫이 개폐식 안전발판
KR20160046197A (ko) * 2014-10-20 2016-04-28 한국전력공사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72B1 (ko) * 2011-07-29 2012-03-21 유은상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
KR200476486Y1 (ko) * 2014-07-24 2015-03-05 유은상 건축공사용 미닫이 개폐식 안전발판
KR20160046197A (ko) * 2014-10-20 2016-04-28 한국전력공사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0322A (zh) * 2022-03-30 2022-06-28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养护装置及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
CN114670322B (zh) * 2022-03-30 2024-02-13 湖南三一快而居住宅工业有限公司 一种养护装置及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26777U (zh) 电梯的带轿厢门锁定机构的卡合装置
US20010027847A1 (en) Release mechanism for industrial doors
KR200490603Y1 (ko)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AU2016314035B2 (en) Shuttle device
KR101346387B1 (ko) 갱폼의 작업발판용 안전도어
EP3495306A1 (en) Lower guiding system of an elevator panel and elevator system
KR101169607B1 (ko) 안전문
JP6510602B2 (ja) 昇塔防止装置
KR101354448B1 (ko) 산업용 롤러도어의 슬랫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충돌시 도어 손상 방지 방법
KR20120038327A (ko) 완강기 설치대
JP2016014239A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JP4826224B2 (ja) エレベータドア係合装置の据付点検治具
JP6469253B2 (ja) エレベータ用避難装置
WO2018011976A1 (ja) エレベータ装置
DE202017105385U1 (de) Gehäuse für eine Bearbeitungsmaschine
FI118047B (fi) Hissikori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20160090538A (ko)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JP2016215828A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160046197A (ko) 그레이팅 안전 출입장치
KR101642955B1 (ko) 비계용 접이식 해치
JP2008208682A (ja) 潜り戸付き開閉装置
KR102569652B1 (ko)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CN210505165U (zh) 一种高层电梯的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