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538A -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538A
KR20160090538A KR1020150010447A KR20150010447A KR20160090538A KR 20160090538 A KR20160090538 A KR 20160090538A KR 1020150010447 A KR1020150010447 A KR 1020150010447A KR 20150010447 A KR20150010447 A KR 20150010447A KR 20160090538 A KR20160090538 A KR 2016009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safety
base
spa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15001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0538A/ko
Publication of KR2016009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위치되고 승강식 피난기의 가이드바를 따라 하강되는 승강판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승강판이 착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베이스; 완충베이스의 양측면에 돌출 구성되어 완충베이스의 양측면 부위가 폐쇄되도록 하고 완충베이스에 승강판 착륙시 대피자가 출구 부위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안전바; 한 쌍의 안전바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각 안전바에 연결 구성되는 가드; 안전바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드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는 와이어; 및 안전바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 구성되어 승강판의 승강시 승강판에 접촉된 상태로 가드가 안전바의 출구 부위에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Sliding guard apparatus working together rising and falling typed escape apparatus}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등에 따라 출시된 승강식 피난기가 설치 구성되는 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구성되어 천정부로부터 하강되는 승강식 피난기의 승강판의 하강시 착륙 공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할 수 있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5조),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NFSC 301(제3조제8항, 제4조제3항제10호) 및 건축법 시행령(제46조제4항)에 의거하여, 의료시설, 교육시설, 숙박시설,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 등에는, 승강식 피난기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승강식 피난기는, 등록특허 10-0977858, 10-1032877 및 10-120037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해당 건물 등의 해당층 화재대피공간의 대피공에 설치되는 탈출구캡의 하측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탈출구캡의 하측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부에 거치되며 대피자의 탑승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하는 하강부, 상기 하강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일정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완강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된 하강부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부 등을 포함하며, 해당 건물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상기 하강부가 가이드부를 따라 완강부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한 후 다시 복귀부에 의해 신속하게 원위치로 상승되도록 하여, 대피자들이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탈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화재대피공간의 탈출구캡 하측 바닥부에는 천정부 즉, 윗층의 대피공으로부터 해당 층의 바닥부를 향해 가이드부를 따라 하강되는 하강부가 안전하게 착륙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베이스와 안전바 등을 가지는 가드장치가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드장치는, 승강식 피난기의 하강부 즉, 승강판의 하강시 단순히 완충베이스에 의해 승강판의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고 이때, 상기 안전바의 경우 착륙된 승강판에 위치된 대피자가 안전바를 따라 가드장치 일측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출구 부위가 개방된 상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상기 완충베이스를 향해 승강판이 하강하는 도중에 상기 완충베이스가 위치된 착륙공간에 이미 윗층으로부터 대피한 대피자나 아래층으로 대피를 하고자 하는 대피자가 혼란 속에서 상기 출구 부위를 통해 착륙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 승강판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바의 출구 부위가 가드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 상태에서 승강판의 하강 접촉시 가드가 안전바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출구 부위가 개방되도록 하고 승강판의 상승시 안전바를 따라 원위치로 이동되어 출구 부위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위치되고 승강식 피난기의 가이드바를 따라 하강되는 승강판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승강판이 착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베이스; 완충베이스의 양측면에 돌출 구성되어 완충베이스의 양측면 부위가 폐쇄되도록 하고 완충베이스에 승강판 착륙시 대피자가 출구 부위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안전바; 한 쌍의 안전바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각 안전바에 연결 구성되는 가드; 안전바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드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는 와이어; 및 안전바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 구성되어 승강판의 승강시 승강판에 접촉된 상태로 가드가 안전바의 출구 부위에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한 쌍의 안전바는, 'ㄷ'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완충베이스에 고정되는 가이드봉과; 완충베이스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측의 가이드봉에 소정 높이로 절개 형성되어 웨이트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의 타단에 가드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 부위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드는, 가드프레임; 가드프레임의 양단부에 해당되며 가드바안전바의 절개부에 삽입되는 삽입편; 및 삽입편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바 내부에 웨이트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의 타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바의 출구 부위가 가드에 의해 폐쇄되도록 한 상태에서 승강판의 하강 접촉시 가드가 안전바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출구 부위가 개방되도록 하고 승강판의 상승시 안전바를 따라 원위치로 이동되어 출구 부위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식 피난기가 설치 구성되는 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구성되어 천정부로부터 하강되는 승강식 피난기의 승강판의 하강시 착륙 공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를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있어서 안전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있어서 가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를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있어서 안전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슬라이딩 가드장치에 있어서 가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는,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위치되고 승강식 피난기의 가이드바(10)를 따라 하강되는 승강판(20)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승강판(20)이 착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베이스(110),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에 'ㄷ'자 형상을 가지면서 돌출 구성되어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 부위가 폐쇄되도록 하고 완충베이스(110)에 승강판(20) 착륙시 대피자가 출구 부위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안전바(120), 한 쌍의 안전바(120)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각 안전바(120)에 연결 구성되는 가드(130), 안전바(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드(130)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는 와이어(140) 및 안전바(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어(140)의 타단에 연결 구성되어 승강판(20)의 승강시 승강판(20)에 접촉된 상태로 가드(130)가 안전바(120)의 출구 부위에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웨이트(15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식 피난기는, 등록특허 10-0977858, 10-1032877 및 10-1200375 등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베이스(110)는,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승강판(20)의 하강시 바닥부와 충격을 완화시키며 승강판(20)이 착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넬 형상의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중앙부에 구성되는 쿠션캡(11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판(111)은 소정의 탄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냉연압연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쿠션캡(112)은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스펀지나 탄성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판(111)에는 승강식 피난기의 가이드바(10)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레일칼라(113)가 더 구성되어 승강식 피난기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베이스판(111)의 양측면에는 안전바(120)의 양단이 베이스판(11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안전바봉커버(114)가 더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 쌍의 안전바(120)는,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에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돌출 구성되어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 부위가 폐쇄되도록 하고 완충베이스(110)에 승강판(20) 착륙시 대피자가 출구 부위로 안내되도록 하는 난간으로, 'ㄷ'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안전바봉커버(114)에 고정되는 가이드봉(121)과, 레일칼라(113)의 대향 부위에 해당되는 베이스판(111)의 출구 부위 즉, 한 쌍의 가이드봉(121)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에 위치된 가이드봉(121)에 소정 높이로 절개 형성되어 웨이트(15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0)의 타단에 가드(130)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 부위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절개부(122)를 포함한다.
가드(130)는, 한 쌍의 안전바(120)의 절개부(122)에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구성되고 절개부(122)에 슬라이딩 되는 것을 통해 출구 부위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여 승강판(20)의 착륙시 대피자가 베이스판(111)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가드프레임(131), 가드프레임(131)의 양단부에 해당되며 가드바안전바(120)의 절개부(122)에 삽입되는 삽입편(132) 및 삽입편(132)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바(120) 내부에 웨이트(15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0)의 타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홈(133)을 포함한다.
웨이트(150)는, 베이스판(111)의 출구 부위에 대향되는 레일칼라(113) 부위에 위치된 가이드봉(12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어(140)를 통해 가이드봉(121)의 출구 부위에 소정 높이로 위치된 가드(130)에 연결되는 무게추로, 가드(130)가 하강 중인 승강판(20)에 접촉시 그 하중에 의해 절개 부위를 따라 하강하고 승강판(20)의 상승시 웨이트(150)의 무게에 의해 절개 부위를 따라 상승하여 출구 부위가 승강판(20)이 하강하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가드(13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여 승강판(20)의 하강 중 대피자가 베이스판(111)으로 진입하여 승강판(20)에 부딪혀 다치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드(130)가 안전바(120)의 출구 부위에 해당되는 가이드봉(121)에 형성된 절개부(122)의 상측 임계부위에 위치되고, 웨이트(150)가 베이스판(111)의 출구 부위에 대향되는 레일칼라(113) 부위에 위치된 가이드봉(121)의 내부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가드(130)와 웨이트(150)는 와이어(140)에 의해 상호간 연결된 상태를 가지고, 웨이트(150)의 무게에 의해 가드(130)가 출구 부위에 해당되는 가이드봉(121)의 절개부(122) 상측 임계부위에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대피자가 베이스판(111)에 집입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긴급 대피 상황 발생 등에 따라 화재대피공간의 천정부에 위치된 승강판(20)이 가이드바(10)를 따라 하강하게 되면, 출구 부위에 해당되는 방향에 위치된 승강판(20)의 단부가 안전바(120)의 출구 부위에 위치된 가드(130)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승강판(20)의 하중에 의해 가드(130)가 가이드봉(121)에 형성된 절개부(122)의 하측 임계부위까지 슬라이딩하면서 출구 부위가 개방되고 베이스판(111)에 착륙된 승강판(20)의 대피자들이 신속하게 베이스판(111) 일측으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이트(150)의 경우 승강판(20)의 하중 보다 무게가 가벼운 상태를 가짐에 따라 가드(130)의 슬라이딩시 가이드봉(121)의 내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승된 위치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대피자들이 승강판(20)으로부터 모두 이탈한 후 승강판(20)이 복원부에 의해 가이드바(10)를 따라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가드(130)에 가해진 승강판(20)의 하중이 해제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150)가 가이드봉(121)의 내부에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되어 가드(130)도 가이드봉(121)에 형성된 절개부(122)의 상측 임계부위까지 슬라이딩하면서 출구 부위가 다시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난기구의 화재안전기준 등에 따라 출시된 승강식 피난기가 설치 구성되는 건물의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구성되어 천정부로부터 하강되는 승강식 피난기의 승강판의 하강시 착륙 공간이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화재대피공간의 바닥부에 위치되고 승강식 피난기의 가이드바(10)를 따라 하강되는 승강판(20)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승강판(20)이 착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완충베이스(110);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에 돌출 구성되어 완충베이스(110)의 양측면 부위가 폐쇄되도록 하고 완충베이스(110)에 승강판(20) 착륙시 대피자가 출구 부위로 안내되도록 하는 한 쌍의 안전바(120);
    한 쌍의 안전바(120)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를 폐쇄하면서 각 안전바(120)에 연결 구성되는 가드(130);
    안전바(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드(130)에 일단이 연결 구성되는 와이어(140); 및
    안전바(12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와이어(140)의 타단에 연결 구성되어 승강판(20)의 승강시 승강판(20)에 접촉된 상태로 가드(130)가 안전바(120)의 출구 부위에 상하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웨이트(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베이스(110)는,
    판넬 형상의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중앙부에 구성되는 쿠션캡(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안전바(120)는,
    'ㄷ'자 형상을 가지면서 양단부가 완충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가이드봉(121)과;
    완충베이스(1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121) 사이의 간격에 따른 공간에 해당되는 출구 부위측의 가이드봉(121)에 소정 높이로 절개 형성되어 웨이트(15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0)의 타단에 가드(130)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절개 부위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절개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드(130)는,
    가드프레임(131);
    가드프레임(131)의 양단부에 해당되며 가드바안전바(120)의 절개부(122)에 삽입되는 삽입편(132); 및
    삽입편(132)에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안전바(120) 내부에 웨이트(15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0)의 타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결속홈(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KR1020150010447A 2015-01-22 2015-01-22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KR20160090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47A KR20160090538A (ko) 2015-01-22 2015-01-22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47A KR20160090538A (ko) 2015-01-22 2015-01-22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38A true KR20160090538A (ko) 2016-08-01

Family

ID=5670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447A KR20160090538A (ko) 2015-01-22 2015-01-22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05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06B1 (ko) 2019-04-04 2019-10-01 김형식 화재 피난기
KR102344465B1 (ko) 2020-12-14 2021-12-27 김형식 화재 비상탈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06B1 (ko) 2019-04-04 2019-10-01 김형식 화재 피난기
KR102344465B1 (ko) 2020-12-14 2021-12-27 김형식 화재 비상탈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EP1753688A1 (en) Elevator top of car safety
KR20160090538A (ko) 승강식 피난기에 연동되는 슬라이딩 가드장치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EP1730068B1 (en) Elevator toe guard
JP201505181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9227045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点検用の梯子装置
JP6551345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スイッチ装置
KR20150145702A (ko) 엘리베이터의 구출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01864B2 (ja) エレベータかごへの緊急駆動スイッチ及び通信手段の取付け構造
JP4391249B2 (ja) エレベータ乗場の防火防煙装置
KR200434306Y1 (ko)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JP503299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610666B1 (ko) 무동력 등속하강 피난기구
JP2019119592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548487B1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JP201421399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40016465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이탈방지장치
KR101811535B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9980059741U (ko) 엘리베이터의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JPH0948567A (ja) エレベータのカゴに付随する非常はしご装置
JP2020111420A (ja) エレベーターのハッチドア係合装置、及び、ハッチドアの係合方法
JP2015157674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