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306Y1 -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306Y1
KR200434306Y1 KR2020060027005U KR20060027005U KR200434306Y1 KR 200434306 Y1 KR200434306 Y1 KR 200434306Y1 KR 2020060027005 U KR2020060027005 U KR 2020060027005U KR 20060027005 U KR20060027005 U KR 20060027005U KR 200434306 Y1 KR200434306 Y1 KR 200434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lighting
door
unit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희
Original Assignee
(주) 첨성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첨성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첨성시스템
Priority to KR2020060027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3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4Mechanical devices that can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출입구 바닥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승강기를 탑승하는 탑승객의 시선을 승강기 발판쪽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승강기 승하차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에 문구를 삽입하여 광고효과까지 줄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유도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상기 조명부는 상기 승강기의 도어 개폐에 따라 점등 및 점멸되어 탑승객의 시선을 유도 할 수 있도록 발광체와 상기 접전컨트롤부로부터 승강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발광체가 점등 및 점멸되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기, 유도등, 조명부

Description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A Lighting Device for an Entrance of an Elevator}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구조를 나타낸 측면투영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측면투영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승강기의 측면투영도,
도 6은 도5에 있어서의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측면투영도,
도 7은 상기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전력공급 흐름도이다.
본 고안은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의 출입구 바닥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승강기를 탑승하는 탑승객의 시선을 승강기 발판쪽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승강기 탑승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아울러 상기 조명장치에 문구를 삽입하여 광고효과까지 줄 수 있으며, 정전시에도 유도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을 이용하여 오르내리기 어려운 고층 건물, 또는 유동인구가 많은 건축물 등에서는 이용자의 편의를 돕기 위해 승강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승강기는 대형건물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승강 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목적층까지 운송시켜 주며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운행중에는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고, 다만, 정해진 착상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도어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1)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1)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로(1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케이지(11), 상기 케이지(11)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지(11)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지도어(15)와 건물 각 층마다 상기 케이지(11)에 탑승하기 위해 건물 내에 형성되어 있는 승장도어(17)로 이루어진 이중구조의 도어(15, 17)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5, 17)는 케이지도어(15)가 개폐되면서 승장도어(17)가 함께 연동되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케이지(13)는 케이지 이동 통로(11)를 원활히 이동하기 위하여 서로 일정거리 이격 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케이지도어(15)와 승장도어(17) 사이도 일정거리 격차를 가지고 있어 탑승객이 상기 케이지(13)에 탑승 시에 상기 이격된 사이로 발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였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지도어(15) 및 승장도어(17) 사이에 서로 상응하는 형태의 케이지문지방(151)과 승장문지방(171)을 설치하였으나, 상기 상기 케이지(13)가 케이지 이동 통로(1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지문지방(151)과 승장문지방(171)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지문지방(151)과 승장문지방(171)간의 격차는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문지방(151)과 승장문지방(171)가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승강기(1)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상기 문지방(151, 171) 사이에 발이 빠지거나, 화물 운반시 화물이 이격된 공간으로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지(13)가 각 층의 정해진 착상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승장도어(17)가 열리는게 바람직하지만, 시스템상의 문제로 인하여 상기 케이지(13)가 각 층의 정해진 착상위치에 정확히 도달하지 못하였을 경우, 또는 케이지(13)가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에 승장도어(17)가 열려 탑승객 통로(11) 사이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강기 출입구 바닥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승강기에 탑승할 때, 승강기 도어가 승장문지방과 케이지문지방의 착상 오차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도록 상기 조명 장치로 탑승객의 시선을 유도하여 승강기 탑승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명장치에 문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홍보문구에 의한 자동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등의 원인으로 건물 내부의 정상 전원이 차단된 경우, 자가발전 및 비상축전지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내부에 갇힌 승객을 외부로 구출할 때, 안전하게 구출될 수 있도록 유도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승강기의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접점컨트롤부, 상기 승강기 승하차시 탑승객의 시선을 승강기 탑승발판 쪽으로 유도하여 안전하게 승강기 출입을 하도록 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상기 전원부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장치와 비상축전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상기 조명부는 상기 승강기의 도어 개폐에 따라 점등 및 점멸되어 탑승객의 시선을 유도 할 수 있도록 발광체와 상기 접전컨트롤부로부터 승강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발광체가 점등 및 점멸되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한 보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상기 조명부에 표시되어지는 문구 내용을 편집 및 수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상기 조명부는 케이지도어의 인접한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상기 조명부는 승강도어에 인접한 내부 바닥면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승 강기의 측면투영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기통로(101), 상기 승강기통로(10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케이지(103), 상기 케이지(103)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승강기(10)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지도어(105a)와 상기 승강기(10)의 탑승을 위해 각 층마다 건물 내부에 상기 승강기 케이지(103)에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있는 승장도어(105b)로 구성되어지는 도어(105)를 포함하는 승강기(10)에 형성되어지는 것으로써,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 상기 승강기(10)의 도어(105) 개폐 여부에 따라 하기 조명부(7)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접점컨트롤부(5), 상기 승강기(10) 탑승시 탑승객의 시선을 승강기(10) 탑승발판 쪽으로 유도하여 안전하게 승강기(10) 출입을 하도록 하는 조명부(7)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3)는 상기 조명부(7)에 전력을 공급하여 조명이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공급장치(31)와 비상축전지(33)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31)는 도시되지 않은 기계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조명부(7)를 구동시키며, 상기 기계실은 외부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정전 등의 타원인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10)가 설치된 건물의 자가발전기를 통해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비상축전지(33)는 정전 등의 타원인으로 상기 승강기(10)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3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자가충전방 식으로 상기 조명부(7)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상기 승강기(10)가 정전 등의 타 원인으로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접전컨트롤부(5)의 신호와는 상관없이 자가발전기, 또는 비상축전지(33)를 통해 자동으로 상기 조명부(7)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상시 승강기(10) 내부에 갇힌 승객을 외부로 안전하게 구출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7)가 유도등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전컨트롤부(5)는 상기 승강기(10) 도어(105)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승강기(10)의 도어(105)가 열리면 상기 전원부(3)로부터 조명부(7)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고, 상기 승강기(10)의 도어(105)가 닫히면 상기 전원부(3)로부터 조명부(7)에 전원공급을 중단하도록 하여, 상기 승강기(10)의 도어(105) 개폐 여부에 따른 상기 조명부(7)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7)는 상기 케이지도어(105a)의 인접한 케이지(103) 내부 바닥면 및 상기 승장도어(105b)에 인접한 건물 내부 바닥면에 위치되고, 도어(105)의 개방에 따라 접전컨트롤부(5)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하여 탑승객이 상기 케이지(103)를 출입할 경우 시선을 상기 도어(105) 바닥면으로 유도하도록 하며, 조명박스(71)와 보호부(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7)는 의장 및 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케이지도어(105a)의 인접한 케이지(103) 내부 바닥면, 또는 승장도어(105b)에 인접한 건물 내부 바닥면 중 어느 한곳에만 설치될 수 있음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명박스(71)는 전체적으로 내부에 일정 공간을 규정하는 직방체 형상 으로, 상기 승장도어(105b)에 인접한 건물 바닥면 또는 상기 케이지도어(105a)에 인접한 케이지(103)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며, 탑승객이 케이지(103)에 탑승할 시에 진입경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바닥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조명박스(71)는 신호모듈(미도시)과 발광체(711)를 수납하여 포함한다.
상기 신호모듈은 상기 접전컨트롤부(5)로부터의 상기 도어(105) 개폐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3)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발광체(711)가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조명부는 케이지와 승강도어 내부 바닥면에 양쪽에 모두 또는 케이지측에만 설치될 수 있지만, 양쪽에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는 비상시 또는 정상작동시 승객이 양쪽에 설치된 조명부에 모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승객의 승하차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7)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7)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체(711)는 상기 신호모듈의 신호를 받아 빛을 발하여 상기 승강기(10)를 출입하는 탑승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승강기(10)를 출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발광체(711)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발광체(711)는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재로 하여 상기 승강기(10)를 이용하는 탑승객에게 메세지를 전달 하거나 자동광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광체(711)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LED 같은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체(711)의 문자 표시로써, 예컨데 "이용시 불편사항 안내전화 000-000"과 같은 광고문구를 일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73)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명박스 상측을 덮어 그 조명박스 내측의 발광체가 발광되었을 때 케이지 내부로 그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발광체(711)가 바닥면에 있음을 고려하여 파손 및 스크래치를 예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스틸커버(731)와 보호판(733)을 포함한다.
상기 스틸커버(731)는 중공의 직방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일정공간을 규정하는 틀(731a)이며 상기 조명박스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판(733)을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판(733)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박스(71)가 상기 승강기(10)의 바닥면 내부에 수용되어지므로, 탑승객의 하중에 의한 조명박스(7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틸커버(731)를 지지하여 상기 조명박스(7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투명의 재질의 부재로 하여 상기 발광체(713)에 의한 문구, 또는 빛을 탑승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고강도 투명아크릴 또는 투명 강화유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체(713)의 표시내용을 조작할 수 있는 제어부(9, 9')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 9')는 상기 승강기(10)의 케이지(103) 내부 또는 케이지(103) 천정판의 상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조명박 스(71)내의 신호모듈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표시내용을 사용자가 쉽게 수정,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승강기(10)의 측면투영도, 도 6은 도5에 있어서의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조명부(7')를 나타내는 측면투영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7')가 상기 승강기(10)의 케이지문지방(107a') 및 승장문지방(107b')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탑승객이 케이지(103)에 출입시에 진입경로가 방해되지 않도록 문지방(107a', 107b')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7')는 의장 및 비용을 고려하여 상기 승강기(10)의 케이지문지방(107a')의 바닥면, 또는 승장문지방(107b')의 바닥면 중 어느 한곳에만 설치될 수 있음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명부는 케이지문지방과 승강문지방 양쪽에 모두 또는 케이지문지방측에만 설치될 수 있지만, 양쪽에 모두 설치되는 경우에는 비상시 또는 정상작동시 승객이 양쪽에 설치된 조명부에 모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서 보다 안전하게 승객의 승하차를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상기 조명부(7, 7'), 제어부(9, 9')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 및 의장성을 고려하여 전기적 배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상기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승강기의 정상작동시에는, 승강기의 도어가 개폐되었을 때 상기 접점컨트롤 부는 상기 조명부에 정상전원을 공급하여 조명부의 발광체를 발광시켜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한다. 승강기가 승강장에 정확하게 도달하였을 때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승강장보다 낮거나 높은 위치에 또는 승강장이 아닌 위치에 승강기가 정차하여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조명부에 빛이 들어오면, 승객은 조명부에 시선을 집중하게 되어 다시 한번 자신이 내딪게 될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전 등의 원인으로 승강기가 임의의 위치에 정차한 후 구조대에 의해 승강기의 도어가 강제로 개방되면 비상전원(자가발전기 또는 비상축전지)에 의해 조명부에 전력이 공급되고 조명부가 발광한다. 그러면 구조대와 승객은 위 조명부의 빛에 주의하여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상적인 승강기의 작동하에서는 도어가 개폐될 때 마다 조명부가 발광되므로, 조명부에 각종 홍보문구를 프로그램밍해 놓게 되면, 승하차시 승객에 대한 광고선전의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살펴보았지만, 다양한 변경예와수정예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어떠한 실시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과 결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승강기 출입구 바닥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승강기를 이용하는 탑승객이 승강기에 탑승할 때, 승강기 도어가 승장문지방과 케이지문지방의 착상 오차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도록 상기 조명 장치로 탑승객의 시선을 유도하여 승강기 탑승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 조명장치에 문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홍보문구에 의한 자동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정전등의 원인으로 건물 내부의 정상 전원이 차단된 경우, 자가발전 및 비상축전지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승강기 내부에 갇힌 승객을 외부로 구출할 때, 안전하게 구출될 수 있도록 유도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건축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통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기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승강기의 도어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접점컨트롤부, 상기 승강기 승하차시 탑승객의 시선을 승강기 탑승발판 쪽으로 유도하여 안전하게 승강기 출입을 하도록 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장치와 비상축전지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승강기의 도어 개폐에 따라 점등 및 점멸되어 탑승객의 시선을 유도 할 수 있도록 발광체와 상기 접전컨트롤부로부터 승강기 도어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발광체가 점등 및 점멸되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 한 보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에 표시되어지는 문구 내용을 편집 및 수정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케이지도어의 인접한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승강도어에 인접한 내부 바닥면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케이지문지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승강문지방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KR2020060027005U 2006-09-29 2006-09-29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KR200434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5U KR200434306Y1 (ko) 2006-09-29 2006-09-29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005U KR200434306Y1 (ko) 2006-09-29 2006-09-29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306Y1 true KR200434306Y1 (ko) 2006-12-19

Family

ID=4178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005U KR200434306Y1 (ko) 2006-09-29 2006-09-29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3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069B1 (ko) * 2009-11-02 2012-05-17 (주) 첨성시스템 승강기 출입구 안전조명장치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KR102516244B1 (ko) 2022-12-29 2023-03-29 정문교 축광발광부를 형성시킨 승강기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069B1 (ko) * 2009-11-02 2012-05-17 (주) 첨성시스템 승강기 출입구 안전조명장치
KR101939229B1 (ko) * 2018-07-25 2019-04-11 전흥미 승강용 호이스트
KR102516244B1 (ko) 2022-12-29 2023-03-29 정문교 축광발광부를 형성시킨 승강기 바닥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8811B2 (en) Elevator display systems
US20060175143A1 (en) Car door apparatus of elevator
JP2016169096A (ja) エレベータ
KR200434306Y1 (ko) 승강기 출입구 조명장치
KR20110114190A (ko) 승강기의 추락방지 장치
RU160234U1 (ru) Лестничный лифт
KR101147069B1 (ko) 승강기 출입구 안전조명장치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JP2011235993A (ja) エレベータ
KR20110003011U (ko) 엘이디 램프가 매립된 엘리베이터용 실
JP679710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場ドア安全装置、エレベーターの乗り場ドア安全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5840289B2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KR20190002341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N100509603C (zh) 电梯座舱门装置
KR102271450B1 (ko) 휠체어용 리프트
JP2021101097A (ja) 機械式駐車装置
JP2012006757A (ja) 展望用エレベータ
JP200604488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装置
JP2021088437A (ja) エレベータの段差報知装置
KR102582252B1 (ko) 슬라이딩 비상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비상도어 개폐 감지 방법
KR200493162Y1 (ko) 엘리베이터용 진행표시장치
CN109292577B (zh) 一种垂直升降电梯出入口防护装置
KR102415037B1 (ko) 조명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자동 구출 장치
JP6875863B2 (ja) 機械式駐車場
KR200258255Y1 (ko) 승강기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