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341U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341U
KR20190002341U KR2020190000914U KR20190000914U KR20190002341U KR 20190002341 U KR20190002341 U KR 20190002341U KR 2020190000914 U KR2020190000914 U KR 2020190000914U KR 20190000914 U KR20190000914 U KR 20190000914U KR 20190002341 U KR20190002341 U KR 201900023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shoe
rail
groove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995Y1 (ko
Inventor
이진권
Original Assignee
이진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권 filed Critical 이진권
Publication of KR20190002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하측에 가이드슈가 형성되는 도어;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가이드슈가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홈의 상부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단부가 형성된 비상가이드슈;를 포함하고,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도어가 상승하면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elevator platform}
개시되는 내용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도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승강장 도어가 후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사회는 밀집된 도시화로 인하여 생활양식이 고층화되고 다양화되어 사물의 이동이 빈번하고 원활한 이송을 하여야 하는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운송수단으로 엘리베이터가 발명되고 발전하게 되었다.
엘리베이터는 전동기를 사용하여 와이어 로프와 케이블, 균형추 및 고정 도르래를 장착한 케이지가 건물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운행되는 기계장치이다.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차하는 승강장이 있어 이중도어(홀도어, 카도어)로 여닫히며 승객 및 화물을 운반하게 된다.
승강장에는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이나 화물 또는 탑승중인 카 안에도 승객이나 화물이 실수나 장난, 사고 등으로 여닫히는 도어에 충격을 가하여 추락하는 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을 확보한 승강장 도어가 설치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수직공간에 형성되는 승강로, 상기 승강로의 층간에 설치되는 승강장 및 승강장도어, 상기 승강로를 따라 수직 이동하며 승객을 운송하는 승강카 및 승강카 도어, 상기 승강로에서 상기 승강카를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권상기를 포함한다.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는 좌우 한 쌍을 갖는 쌍미닫이 방식으로 각각 승강카의 하부와 승강장의 바닥면에 매설된 레일의 안내홈 상에 상기 각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슈가 상기 안내홈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슈는 고정된 레일의 안내홈에 삽입되어 도어 이동시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구조 즉, 도어의 하단에 제공되는 가이드슈가 레일홈에 지지되고, 또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승객의 부주의 또는 장난으로 도어에 잦은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가이드슈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또는 가이드슈를 고정하는 체결구가 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자칫 도어가 승강로 측으로 밀리면서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이렇게 외력에 의해 도어가 불시에 개방됨으로써 승객이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국내 설치 운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의 상당수는 이런 이탈방지장치가 미진하게 설치 운용되고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되므로 급기야 관련법령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457792호
개시되는 내용은 승강장 및 움직이는 승강 카 내에서 실수나 장난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가이드레일을 벗어나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승강기의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에 가이드슈가 형성되는 도어;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가이드슈가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홈의 상부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단부가 형성된 비상가이드슈;를 포함하고,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도어가 상승하면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재는 레일홈에 통하도록 일측면을 절개하여 레일부재에 형성된 결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며, 레일부재의 중공의 내측 상면에 지지되는 바디와, 바디에 결합되어 레일부재의 내측에 지지되는 키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는 전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지지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의 키이홈이 형성되며, 키이홈에 키이가 결합되고, 키이는 바디의 양측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일부재의 결착공의 양측에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가이드슈는 도어의 하부 측면에 부착되며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하단에 일측로 형성되며 레일홈의 폭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된 단부가 형성되며, 단부의 상면이 걸림턱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가이드레일 교체시 요구되는 많은 어려운 작업 내용과 비용 증가를 대체할 수 있고, 승강기 카의 가이드레일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도어와 레일부재를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레일부재'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레일부재'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도어와 레일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때 도어의 변형과 가이드슈의 고정상태유지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외력이 가해졌을때 도어의 변형과 가이드슈의 고정상태유지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도어와 레일부재를 후방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서 '레일부재'를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에서 '레일부재'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도어와 레일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때 도어의 변형과 가이드슈의 고정상태유지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서 외력이 가해졌을때 도어의 변형과 가이드슈의 고정상태유지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하측에 가이드슈(120)가 형성되는 도어(100);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가이드슈(120)가 결합되는 레일홈(220)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레일부재(20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홈(220)의 상부측으로 걸림턱(42)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4);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220)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재(4)의 걸림턱(42)에 대응되는 단부(61)가 형성된 비상가이드슈(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재(4)는 레일부재(200)의 상면과 레일홈(220)의 측벽 상부를 절개하여 결착공(24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며, 레일부재(200)의 중공의 내측 상면에 지지되는 바디(40)와, 바디(40)에 결합되어 레일부재(200)의 내측에 지지되는 키이(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레일부재(200)의 레일홈(220) 측벽과 레일부재(200)의 상면까지 절개하여 결착공(240)을 형성한다. 결착공(240)의 크기는 걸림부재(4)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디(40)는 전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42)이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수직하게 돌출되어 지지부(48)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길이방향의 키이홈(44)이 형성되며, 상기 키이홈(44)에 키이(46)가 결합되고, 상기 키이(46)는 바디(40)의 양측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일부재(200)의 결착공(240)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결합된다.
키이(46)는 봉 형상이며 결착공(240)의 양측에 각기 결합된다. 결착공(240)에 결합된 걸림부재(4)의 키이홈(44)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양측의 키이(46)가 육안으로 보이므로 이를 공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외측으로 밀어서 걸림부재(4)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하여 레일부재(200)의 중공(202)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비상가이드슈(6)는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ㅣ' 또는 'ㄴ'자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60)와, 플레이트(60)의 하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레일홈(220)의 폭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된 단부(61)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부(61)의 상면이 걸림턱(42)의 하부에 대응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도어(100)가 상승되려는 힘이 가해질때 단부(61)가 걸림턱(42)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레일부재(200)의 일부위를 절개하여 결착공(240)을 형성한 후 걸림부재(4)를 결착공(240)에 삽입한다.
걸림부재(4)의 키이홈(44) 양측에 각기 키이(46)를 미리 결합해둔 상태에서 걸림부재(4)를 결착공(240)에 끼워 결합시킨다.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키이(46)를 외측으로 밀어 걸림부재(4)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레일부재(200)의 중공(202)의 내측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의 하부 측면에 비상가이드슈(6)의 플레이트(60)가 나사(63)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플레이트(6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부는 레일부재(200)의 레일홈(220)에 삽입되어 도어(100)가 레일부재(2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단부(61)는 걸림부재(4)가 없는 부위의 레일홈(220)으로부터 삽입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걸림부재(4)의 걸림턱(42)으로 인해 비상가이드슈(6)의 단부(61)가 걸림턱(42)에 걸려 삽입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도어(100)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결합된 비상가이드슈(6)도 상승하면서 하부의 단부(61)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단부(61)가 걸림턱(42)에 걸려진 상태이므로 단부(6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힘 상태에서 비상가이드슈(6)의 단부(61)가 걸림턱(42)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도어(100)가 상승하면 비상가이드슈(6)의 단부(61)가 걸림턱(42)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A2)는,
하측에 가이드슈(120)가 형성되는 도어(100);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가이드슈(120)가 결합되는 레일홈(220)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레일부재(20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홈(220)의 상부측으로 걸림턱(42)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4a);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220)에 삽입되며 걸림부재(4)의 걸림턱(42)에 대응되는 단부(61)가 형성된 비상가이드슈(6a);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재(4a)는 레일홈(220)으로 삽입되어 측면홈(225)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레일부재(200)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디(40a)와, 바디(40a)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레일홈(220)의 측단부에 밀착되는 수직벽(41a) 및 수직벽(41a)의 단부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42a)을 포함한다.
걸림턱(42a)은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비상가이드슈(6a)의 단부(61)가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질때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걸림턱(42a)을 통과하여 원만하게 레일홈(2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걸림부재(4a)의 바디(40a)와 수직벽(41a)이 이어지는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단턱(43a)이 형성된다.
고정단턱(43a)은 레일홈(220)의 측면홈(225)으로 삽입되는 바디(40a)의 하부가 걸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가이드슈(6a)는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평평한 플레이트(60)와, 이 플레이트(60)의 하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단부(61)로 구성된다.
플레이트(60)에는 다수의 체결공(602)이 형성되고, 이들 체결공(602)으로 볼트(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도어(100)에 설치된다.
단부(61)는 걸림부재(4a)의 걸림턱(42)의 하부에 접촉되어 걸림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도어(100)가 상승되려는 힘(외력에 의해 도어가 일측으로 밀려나가면서 비상가이드슈가 상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게 됨)이 가해질때 단부(61)가 걸림턱(42)에 걸려짐으로써 비상가이드슈(6a)가 레일홈(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므로 도어(1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비상가이드슈(6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60)는 단면이 'ㅣ'자 형상, 'ㄴ'자 형상,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끝단에 단부(61)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레일홈(220)의 측벽을 절개하여 측면홈(225)을 형성한다.
레일홈(220)에 걸림부재(4a)의 바디(40a)부터 삽입한 후 바디(40a)를 측면홈(225)을 통해 끼워서 레일부재(20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걸림부재(4a)가 결합되면 수직벽(41a) 및 걸림턱(42a)이 레일홈(220)을 향하게 된다.
이후 도어(100)의 하단에 비상가이드슈(6a)를 부착한 후 비상가이드슈(6a)의 단부(61)를 레일홈(220)에 끼워넣으면서 도어(100)를 수직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비상가이드슈(6a)의 단부가 걸림턱(42a)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력이 가해졌을때 도어(100)가 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면, 비상가이드슈(6a)의 단부(61)가 걸림부재(4)의 걸림턱(42a)에 걸려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4 : 걸림부재 6 : 가이드슈
40 : 바디 42 : 걸림턱
44 : 키이홈 46 : 키이
61 : 단부 100 : 도어
200 : 레일부재 220 : 레일홈

Claims (6)

  1. 하측에 가이드슈가 형성되는 도어와, 승강장 바닥에 매설되며 상기 가이드슈가 결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홈의 상부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걸림부재;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단부가 형성된 비상가이드슈;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힘 상태에서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도어가 상승하면 비상가이드슈의 단부가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레일홈에 통하도록 일측면을 절개하여 레일부재에 형성된 결착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며,
    레일부재의 중공의 내측 상면에 지지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레일부재의 내측에 지지되는 키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전면 상부에 수평하게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하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된 지지부;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키이홈;을 포함하고,
    상기 키이홈에 키이가 결합되고, 상기 키이는 바디의 양측 외측으로 돌출되어 레일부재의 결착공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가이드슈는
    상기 도어의 하부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하단이 일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레일홈의 폭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된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의 상면이 걸림턱의 하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레일홈으로 삽입되어 측면홈으로 끼워지며, 상기 레일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레일홈의 측단부에 밀착되는 수직벽 및 상기 수직벽의 단부에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수직벽이 이어지는 하부에는 돌출된 고정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턱은 레일홈의 측면홈으로 끼워지는 바디의 하부가 걸려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20190000914U 2018-03-12 2019-03-0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939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052 2018-03-12
KR20180001052 201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41U true KR20190002341U (ko) 2019-09-20
KR200493995Y1 KR200493995Y1 (ko) 2021-07-14

Family

ID=6806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14U KR200493995Y1 (ko) 2018-03-12 2019-03-05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62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세원콘크리트 백운석을 이용한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보도블록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78B1 (ko) * 2008-04-21 2010-03-10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95018B1 (ko) * 2008-04-18 2010-11-18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200457792Y1 (ko) 2008-12-19 2012-01-13 (주)대동에레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18B1 (ko) * 2008-04-18 2010-11-18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0946678B1 (ko) * 2008-04-21 2010-03-10 최경돈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57792Y1 (ko) 2008-12-19 2012-01-13 (주)대동에레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262A (ko) * 2001-10-09 2003-04-18 주식회사세원콘크리트 백운석을 이용한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보도블록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95Y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6460B (zh) 用于安全维护工作的电梯装置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20190002341U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564880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KR10167405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JPWO2018229905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US11292696B2 (en) Elevator car
KR10178470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장치
KR20110003011U (ko) 엘이디 램프가 매립된 엘리베이터용 실
JP656771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解錠装置
CN114803756B (zh) 电梯的作业安全装置
JP6270940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05086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54836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90083544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JP6275812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77750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이탈방지 구조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39065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028333B1 (ko)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