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333B1 -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333B1
KR101028333B1 KR1020080081894A KR20080081894A KR101028333B1 KR 101028333 B1 KR101028333 B1 KR 101028333B1 KR 1020080081894 A KR1020080081894 A KR 1020080081894A KR 20080081894 A KR20080081894 A KR 20080081894A KR 101028333 B1 KR101028333 B1 KR 10102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andle
elevator
opening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234A (ko
Inventor
김만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8008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333B1/ko
Priority to PCT/KR2009/004605 priority patent/WO2010021484A2/en
Publication of KR2010002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외부도어가 설치되는 벽체의 개구부 양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안전 손잡이가 제공되어, 추락 상황발생시 사용자가 긴급하게 파지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람 또는 짐을 싣고 상하로 이동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와 대응하는 벽체에 개구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비상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승강기, 손잡이, 추락, 안전

Description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Elevator with fall preventing handle}
본 발명은 추락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아래위로 나르는 장치로서, 통상 엘리베이터, 승강장치 등으로 불린다.
승강기는 통상 균형추, 케이블과 고정 도르래 장치 등을 사용해서 전동기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거나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기는 케이지에 사람 또는 화물이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케이지로의 출입시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지에 제공되는 외부도어와, 상기 케이지에 형성되는 내부도어를 개방한 후 출입하게 된다.
상기 외부도어와 내부도어는 제어장치에 의해 동시에 동작하게 되며, 상기 케이지가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해당하는 외부도어와 동시에 내부도어가 개방되어 사람 또는 화물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가 해당하는 위치 즉, 사용자가 위치한 건물의 층수에 위치하 지 않은 경우 상기 외부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케이지가 이동하는 통로가 그대로 노출된다. 특히 실내측에서 상기 외부도어를 통로측으로 밀게 될 경우 외부도어가 쉽게 개방되고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추락하는 사고가 흔히 발생되고 있다.
이는 상기 외부도어가 상기 벽체에 결함됨에 있어 구조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에 따른 것으로, 안전을 위한 구조가 제공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나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는 경우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른 안전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승강기 자체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구성을 외부도어에 설치해야 하는 등 기술적 비용적 문제에 의해 이미 설치된 승강기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안전장치들은 외부도어의 개방 자체를 방지하는데 있을 뿐 외부도어가 일단 개방된 후에는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안전 장치도 적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의 외부도어가 설치되는 벽체의 개구부 양측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안전 손잡이가 제공되어, 추락 상황발생시 사용자가 긴급하게 파지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외부도어가 설치되는 벽체에 개구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보조부재를 장착하고, 보조부재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안전손잡이가 제공되어, 추락 상황발생시 사용자가 긴급하게 파지하여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는, 사람 또는 짐을 싣고 상하로 이동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와 대응하는 벽체에 개구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비상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는,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벽체;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외부도어; 상기 외부도어의 후방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에 제공되며, 상기 외부도어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도어와 함께 개폐되는 내부도어;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개구부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보조부재; 및 상기 보조부재의 일측에 제공되며, 유사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 길게 배치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는,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 손잡이는 외부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외부도어가 개방되어 추락하게 될 때 손을 뻗어 가장 가까운 위치의 안전 손잡이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 인해 추락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본능적으로 손을 뻗어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공되므로 추락사고율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안전 손잡이를 파지하게 될 때 상기 안전 손잡이가 탄성변형 되면서 늘어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체중이 순간적으로 가해지게 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 또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벽체에 간단하게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거나, 수용홈을 형성한 후 안전 손잡이를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어떠한 구 조의 승강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손잡이가 벽체의 보조부재에 장착될 경우 기존에 제공되는 벽체에 장착되는 보조부재를 대신하여 안전 손잡이가 장착된 보조부재를 대체하여 장착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에 수용홈을 가공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도 상기 벽체에 수용홈이 형성된 보조부재를 장착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안전 손잡이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기(1)는 상하로 형성된 통로에서 상하 이동하는 케이지(100)와, 건물의 실내측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지(100)가 각각의 층에 멈추게 되었을 때 사용자가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300)가 형성된 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지(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사람 또는 화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권양기에 의해 권취되는 로프와 균 형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지(100)는 가이드레일의 안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며, 제어장치에 의해 선택된 층의 벽체(200)에 형성된 개구부(300)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100)의 전면 즉, 실내측을 향하는 상기 케이지(100)의 일면에는 내부도어(120)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도어(120)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지(100)의 내부로 들어오거나 상기 케이지(100)로부터 나가기 위해 개폐되는 것으로, 좌우 한쌍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외부도어(220)와 연동하여 함께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내부도어(120)는 좌우에 한쌍이 구비되어 서로 접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 또는 겹쳐지는 한쌍의 도어가 미닫이문 형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벽체(200)는 건물의 각 층마다 형성되며, 콘크리트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지(100)가 이동하는 통로와 실내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200)에는 상기 케이지(100)의 전면과 대응하는 개구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00)의 배면 즉 상기 케이지(100)와 벽체(200)의 사이에는 외부도어(220)가 제공된다. 상기 외부도어(220)는 상기 케이지(100)와 개구부(300)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내부도어(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도어(120)의 개폐시 함께 동작하여 하나의 도어가 개폐되는 것과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내부도어(120)가 좌우 양쪽에서 닫히게 되는 경우 상기 외부도어(220)도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고, 상기 내부도어(120)가 미닫이문과 같은 구조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도어(220) 또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부도어(220)는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300)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20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고, 닫히게 되었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300)를 완전히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케이지(100)의 전면 즉, 상기 케이지(100)의 내부도어(120)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도어(220)가 열리게 되어 개구부(300)가 완전하게 개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지(100)의 전면이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케이지(100)의 내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00)는 상기 벽체(200)의 두께에 의해 소정의 폭을 가지는 내측면을 가지게 되어 상기 외부도어(220)가 벽체(200)보다 후방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00)의 내측면은 상기 외부도어(220)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실내측에서 케이지(100) 측으로 갈수록 좌우 간격이 좁아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00)의 내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외관상으로 보다 돋보일 뿐 아니라 상기 케이지(100)의 내측으로 탑승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300)의 좌우 양측면에는 수용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20)의 내측에 안전 손잡이(400)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300)의 좌우 양측면에 해당하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0)은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완전하게 수용되어 안전 손잡이(400)가 상기 개구부(300)의 측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0)은 개구부의 선단부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외부도어(220)의 전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0)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직삼각형 형상으로 좌측면(도 3에서 볼 때)은 상기 외부도어(220)와 수직하게 형성되고, 후측면은 상기 외부도어(220)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도어(220)와 수직한 면과 수평한 면이 서로 교차되어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20)은 상기 개구부(3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안전 손잡이(400)의 상하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00)의 선단에서 상기 후단까지 상기 개구부(300)의 폭 전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용홈(320)의 내측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상기 수용홈(320)의 좌측면 또는 후측면 어느 위치에도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수용홈(320)의 상면과 하면에 양단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 상기 수용홈(320)의 좌측면과 후측면에서부터 이격되도록 고정 장착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3의 I-I'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20)와 상기 파지부(42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440) 그리고, 상기 연장부(440)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장착부(460)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42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42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횡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20)의 외주에는 사용자의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와 같은 마찰계수가 큰 소재가 테이핑 또는 도포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을 홈이 형성되거나 돌기 등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부(420)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파지부(420)가 상기 수용홈(320)의 내측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출입될 수 있을 만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파지부(42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상기 파지부(420)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파지부(42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42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탄성부재(480)가 수용된다.
상기 탄성부재(480)는 사용자가 상기 안전 손잡이(4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겼을 때 늘어나면서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탄성변형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파지부(42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연장부(440)의 내측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가 접하는 부분에는 서로 경사지게 돌출 함몰되거나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전 손잡이(4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80)가 정상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가 서로 붙어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안전 손잡이(40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80)가 인장되면서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가 서로 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안전 손잡이(4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480)는 정상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가 다시 접하게 된다.
상기 장착부(460)는 상기 연장부(440)의 단부에서 플렌지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며,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상기 수용홈(32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상기 수용홈(320)의 내측 상단과 하단에 결 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파지부(420)와 장착부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파지부(420)의 내측에 탄성부재(480)가 제공되어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전체 또는 일부가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게 될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200)의 상부 및 또는 상기 개구부(300)의 측방에는 상기 승강기(1)의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240)이 제공되며, 상기 승강기(1)의 운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26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기(1)의 이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우선 벽체(200)의 조작버튼(240)을 조작하여 케이지(100)가 해당 층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지(100)가 사용자가 위치한 층에 도달하게 되면, 외부도어(220)와 내부도어(120)가 함께 열리게 되어 상기 케이지(100)의 내부로 탑승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케이지(100)의 내부로 탑승한 후에는 원하는 목적지의 위치를 입력하고, 해당 층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내부도어(120)와 외부도어(220)가 개방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100)가 사용자가 위치한 층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케이지(100)가 이동하는 통로가 비어 있게 되어 상기 외부도어(220)의 후방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사고에 의해 상기 외부도어(22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될 경우 상기 외부도어(220)가 파손되어 개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외부도어(220)의 파손에 의해 상기 외부도어(220)에 접하고 있던 사용자는 상기 케이지(100)가 이동하는 통로로 추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로로 추락 직전에 사용자가 손을 뻗을 수 있다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안전 손잡이(4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추락 순간 본능적으로 주위의 물건을 잡게 되는데, 사용자의 손과 인접한 파지부(420)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420)를 파지하는 순간, 상기 파지부(420)에는 순간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파지부(420)와 연장부(440)를 연결하는 탄성부재(480)가 인장되면서 상기 파지부(420)가 상기 연장부(440)로부터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팔에 전달되는 충격 또는 하중은 상당부분 완화되며, 사용자가 충격에 의해 손을 놓게 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파지부(420)를 파지하여 사용자는 추락을 모면할 수 있게 되며, 상황이 종료된 후 상기 파지부(420)를 놓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48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80)와 연장부(440)는 다시 서로 접하게 되어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유사하며,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벽체(200)에는 개구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300)의 좌우 양측면에는 수용홈(3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34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유사시 파지할 수 있는 안전 손잡이(400)가 장착된다.
상기 개구부(300)의 양측면은 후방으로 갈수로 좌우 양측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개구부(300)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수용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40)은 상기 개구부(300)의 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40)의 선단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과 상기 수용홈(320)의 후단에서 내측을 향하는 면이 서로 둔각을 이루면서 교차되어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홈(340)은 그 횡단면이 둔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벽체(200)의 개구부(300) 좌우 측면에는 수용홈(36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60)이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300)의 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360)은 상기 개구부(300)의 경사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360)의 횡단면은 예각 삼각형 형상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360)은 상기 개구부(300)의 양측면 중 전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후반부는 자연스럽게 단턱(36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32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300)상의 단턱(362)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된다.
사용자의 추락시 사용자는 상기 개구부(300) 상의 단턱(362)에 손을 넣어 파지하게 되며, 상기 단턱(362)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 또는 마찰력이 큰 소재의 패드를 부착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기의 수용홈 및 안전 손잡이의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가 다능할 것이며, 상기 수용홈 및 안전 손잡이 외에도 다른 구성에 있어서의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지(100)가 이동하는 통로와 실내의 사이에는 벽체(200)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200)에는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300)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00)에는 상기 케이지(100)의 내부도어(120)와 대응하는 외부도어(220)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300)의 양측에는 상기 개구부(3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보조부재(500)가 장착된다. 상기 보조부재(500)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벽체(200)의 형상에 맞추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부재(500)는 상기 개구부(300)의 양측면은 물론 상기 벽체(200)의 전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부재(500)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20)은 상기 개구부(300)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벽체(20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500)에는 수용홈(54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540)은 안전 손잡이(400)가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단면형상이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540)은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안전 손잡이(4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540)의 내측면에서 다소 이격된 상태로 고정장착될 수 있으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안전 손잡이(400)가 장착된 상기 보조부재(500)는 이미 설치되어 가동중인 승강기(1)의 벽체(200)에 설치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200)의 형상에 따라서 설치가능한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를 외관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손잡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손잡이의 장착구조를 보인 부분 분해사시도.

Claims (14)

  1. 사람 또는 짐을 싣고 상하로 이동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전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내부도어;
    상기 내부도어와 대응하는 벽체에 개구되어 사용자가 출입하는 개구부에 제공되며, 상기 내부도어와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외부도어; 및
    상기 개구부의 내측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비상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가 상기 벽체에 이격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와,
    상기 핸들부와 장착부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장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내부도어측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내측으로 함몰형성되어 상기 안전 손잡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외부도어의 전면과 수직 및 수평한 면이 수직하게 교차 하도록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두면이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개구부의 좌우 측을 형성하는 벽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잡았을 때 늘어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손잡이는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손잡이는 상기 개구부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보조부재에 구비되는 추락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금속소재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안전 손잡이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수용홈이 더 형성되는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에는 상기 개구부의 좌우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추락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양측의 보조부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추락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14. 삭제
KR1020080081894A 2008-08-21 2008-08-21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KR10102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94A KR101028333B1 (ko) 2008-08-21 2008-08-21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PCT/KR2009/004605 WO2010021484A2 (en) 2008-08-21 2009-08-18 Elevator including fall prevention safety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894A KR101028333B1 (ko) 2008-08-21 2008-08-21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234A KR20100023234A (ko) 2010-03-04
KR101028333B1 true KR101028333B1 (ko) 2011-04-13

Family

ID=41707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894A KR101028333B1 (ko) 2008-08-21 2008-08-21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8333B1 (ko)
WO (1) WO20100214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675B1 (ko) * 2010-10-29 2014-09-01 한국산업은행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545A (ja) * 1994-04-26 1995-11-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
JP2007055767A (ja) * 2005-08-25 2007-03-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2358U (ko) * 1974-06-03 1975-12-18
JPH0873160A (ja) * 1994-09-06 1996-03-19 Toshiba Corp エレベ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545A (ja) * 1994-04-26 1995-11-0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
JP2007055767A (ja) * 2005-08-25 2007-03-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484A3 (en) 2010-06-24
KR20100023234A (ko) 2010-03-04
WO2010021484A2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333B1 (ko) 추락 방지 안전 손잡이가 구비된 승강기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WO2018229905A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装置
JP2011093699A (ja) エレベータの落下防止構造
JP7372947B2 (ja) エレベーターの作業安全装置
KR20080082879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가이드장치
JP622994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10184332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개폐장치
JPH10245170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用梯子
WO2017098560A1 (ja) エレベータ用避難装置
JPH034473B2 (ko)
JP7498441B1 (ja) エレベータ内の電気器具の操作具及び操作方法
JP7494523B2 (ja) エレベーターの仮囲い装置
JP624928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JP7215529B1 (ja) エレベータ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JP2019119592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JP201912361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2994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開閉装置
KR102021842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인명 추락 방지 장치
JP6759381B2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取手装置
KR101811535B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98000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101548487B1 (ko) 승강기의 추락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