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000B1 -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000B1
KR102188000B1 KR1020200012211A KR20200012211A KR102188000B1 KR 102188000 B1 KR102188000 B1 KR 102188000B1 KR 1020200012211 A KR1020200012211 A KR 1020200012211A KR 20200012211 A KR20200012211 A KR 20200012211A KR 102188000 B1 KR102188000 B1 KR 10218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form
separation prevention
platform door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호엘리베이터, 이재복 filed Critical (주)금호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0001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인 상단과 하단 및 각 측면을 지지 고정함에 따라 외력에 의한, 특히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높은 충격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이탈방지부; 측면 이탈방지부; 및 하부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한 높은 충격에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Elevator platform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시설물 중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인 상단과 하단 및 각 측면을 지지 고정함에 따라 외력에 의한, 특히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높은 충격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운행되는 기계장치로서,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가 정차하는 승강장이 있어, 이중 도어(홀 도어, 카 도어)로 여닫히며 승객 및 화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장에는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이나 화물이 실수나 장난, 사고 등으로 충격을 가하여 추락하는 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수직공간에 형성되는 승강로, 상기 승강로의 층간에 설치되는 승강장 및 승강장 도어, 상기 승강로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승객을 운송하는 승강카 및 승강카 도어, 상기 승강로에서 승강카를 수직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권상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는 좌우 한 쌍을 갖는 쌍 미닫이 방식으로 각 승강카의 하부와 승강장 바닥면에 매설된 레일의 안내홈 상에서 상기 각 도어의 하부에 구비된 도어 슈가 안내홈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또한, 승강카 도어와 승강장 도어의 상부에는 개폐를 위한 각 도어 왕복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엘리베이터는 각 도어가, 특히 승강장 도어는 하부 레일의 안내홈 상에 삽입되어 있는 도어 슈에 의해서만 지지 된 상태이므로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승강로 측으로 밀리면서 개방되는 문제점으로 인한 추락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승강장 도어의 하단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25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3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97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341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 1'이라 한다).
또한, 승강장 도어의 하단은 물론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위한 상단에 구비되는 도어 왕복구동수단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05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2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45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777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들 2'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25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539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97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3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05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72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45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1777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들 1은 승강장 도어의 하단에 이탈방지를 위한 기술로, 승강장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 왕복구동수단은 물론 각 도어의 측면에 어떠한 지지수단도 구비되지 않아 큰 충격에 대하여 쉽게 승강로 측으로 밀리면서 추락사고를 예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들 2는 승강장 도어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어 왕복구동수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선행기술문헌 1들에 비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지나, 도어 왕복구동수단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수단이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은 물론 특히 각 승강장 도어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는 이 또한 미약한 단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근래에 들어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탑승하여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의 경우,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고자 작동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전동 스쿠터의 전방이 승강장 도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특히 운전 미숙한 경우, 전동 스쿠터의 큰 충격으로 인하여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 통상적인 승강장 도어의 안전기준의 최대 충격량은 450J(jule)로 정해져 있다.
이러한 승강장 도어의 이탈 방지장치의 시험은 30㎏의 진자를 속도 5.48㎧로 승강장 도어에 450J로 충격을 가하여 시험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의료용 등과 같은 전동 스쿠터의 차체 중량은 135㎏, 운전자가 약 75㎏으로 합계 210㎏의 중량으로 속도 15km/h로 충격을 가하여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지 않아야 안전한 조건을 가지는 것입니다. 이때 충격 에너지는 대략 1820J입니다.
그에 따라 전동 스쿠터의 운전자가 미숙으로 인해 상기한 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승강로로 추락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입니다.
상기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준의 4.5배인 2000J 이상에서 견딜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것이 현 시점입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인 상단과 하단 및 각 측면을 지지 고정함에 따라 외력에 의한, 특히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높은 충격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을 더욱 높은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맞닿는 부분 또한 충격에 대하여 벌어짐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건물의 각층에 마련되는 승강장에서 상단에 도어 왕복구동수단이 구비되며, 하단은 승강장 바닥에 매설된 레일의 안내홈 상에 도어 슈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장 도어의 상단에 롤러가 장착되는 각 행거 브래킷의 하단에 승강장 측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제1 걸림편과, 상기 각 제1 걸림편의 대응되는 위치의 행거 케이스의 하단 양측에 승강로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편이 걸려지지 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편을 포함하는 상부 이탈방지부; 상기 승강로 측의 양측 벽체에 고정된 각 측 프레임에 상기 승강로 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 브래킷과, 상기 각 걸림 브래킷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각 승강장 도어의 측면에 상기 각 걸림 브래킷에 걸려지지 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측면 이탈방지부;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에 각 도어 슈가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 장착공이 형성되어 각 승강장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각각의 장착 브래킷과, 상기 각 장착 브래킷의 밑단에는 상기 각 도어 슈의 밑면 보다 더 하향으로 연장 절곡 형성되는 각각 제2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상기 제2 걸림편이 걸려지지 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는 하부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이탈방지부의 각 걸림 브래킷과 지지 플레이트는 각 승강장 도어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각 장착 브래킷은 각 승강장 도어의 내면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하부로 적어도 2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도어 슈가 결합되는 결합 장착공이 형성되는 수평면 및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밑단에 절곡 형성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맞닿는 각 도어 프레임에 서로 맞물려 충격에 대하여 승강로 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각각의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 보강 프레임은 각 도어 프레임에 감싸져 고정되는 각각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리는 각각의 맞물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인 상단과 하단 및 각 측면을 지지 고정함에 따라 외력에 의한, 특히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높은 충격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한 높은 충격에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을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을 더욱 높은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맞닿는 부분 또한 충격에 대하여 벌어짐을 극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충격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일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일부 확대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측면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이탈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일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일부 확대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층에 마련되는 승강장에는 탑승을 대기하는 승객이나 화물이 실수나 장난, 사고 등으로 충격을 가하여 추락하는 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승강장 도어(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승강장 도어(100)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단에 개폐를 위한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도어 왕복구동수단(110)이 구비되며, 하단은 승강장 바닥에 매설된 레일(120)의 안내홈(122) 상에 도어 슈(12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통상적인 승강장 도어에 있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바와 같이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에 의한 충격에는 아무런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승강장 도어의 적어도 3지점인 상단과 하단 및 각 측면을 지지 고정함에 따라 외력에 의한, 특히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높은 충격에 대해서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상부 이탈방지부(10), 측면 이탈방지부(20) 및 하부 이탈방지부(3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부 이탈방지부(10)는 승강장 도어(100)의 상단에 이송을 위한 롤러(112A)가 장착되는 통상적인 각 행거 브래킷(112)의 하단에 승강장 측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제1 걸림편(12)과, 상기 각 제1 걸림편(12)의 대응되는 위치의 행거 케이스(114)의 하단 양측에 승강로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편(12)이 걸려지지 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편(14)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각 행거 브래킷(112)에 형성되는 각 제1 걸림편(12)은 그 행거 브래킷(112)과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행거 케이스(114)에 형성되는 제1 지지편(14)은 한 쌍의 승강장 도어(100)가 서로 맞닿아 폐쇄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지지편이 걸려져 지지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편은 각 제1 걸림편과 대응되는 길이로 분할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행거 브래킷이나 행거 케이스는 도어 왕복구동수단에 포함되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으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의 선행기술문헌들 1 및 선행기술문헌들 2에 게시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그 승강장 도어의 상단은 상부 이탈방지부인 제1 걸림편이 제1 지지편에 맞물려 지지됨에 따라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 이탈방지부(20)는 상기 승강로 측의 양측 벽체에 고정된 각 측 프레임(130)에 상기 승강로 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 브래킷(22)과, 상기 각 걸림 브래킷(22)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각 승강장 도어(100)의 측면에 상기 각 걸림 브래킷(22)에 걸려지지 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24)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걸림 브래킷(22)은 측 프레임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제작되어 측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승강장 도어의 상하 높이와 대응되는 되는 높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100)의 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4) 또한 승강장 도어(100)의 상하 높이 대응되는 높이를 가진다.
그로 인해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각 승강장 도어의 측면 또한 측면 이탈방지부인 걸림 브래킷에 지지 플레이트가 걸려져 지지됨에 따라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이탈방지부(30)는 상기 승강장 도어(100)의 하단에 각 도어 슈(124)가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 장착공(31)이 형성되어 각 승강장 도어(100)의 내면에 장착되는 각각의 장착 브래킷(32)과, 상기 각 장착 브래킷(32)의 밑단에는 상기 각 도어 슈(124)의 밑면 보다 더 하향으로 연장 절곡 형성되는 각각 제2 걸림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22)의 상단에 상기 제2 걸림편(34)이 걸려지지 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편(122A)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각 장착 브래킷(32)은 각 승강장 도어(100)의 내면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장착면(32A)과, 상기 장착면(32)으로부터 하부로 적어도 2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도어 슈(124)가 결합되는 결합 장착공(31)이 형성되는 수평면(32B) 및 수직면(32C)과, 상기 수직면(32C)의 밑단에 절곡 형성되는 제2 걸림편(34)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하부 이탈방지부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중 선행기술문헌들 1에 다양한 형태가 제시되었으나, 이 출원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각 장착 브래킷이 각 승강장 도어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안내홈 상에 형성된 제2 지지편에 고르게 지지됨에 따른 높은 지지력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도어 슈 또한 장착 브래킷에 별도의 장착수단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장착 브래킷에 형성되는 결합 장착공 상에 삽입하여 고정함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충격에 대하여 가장 큰 충격력이 전달되는 승강장 도어의 하단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한 쌍의 승강장 도어의 각 승강장 도어의 상단과 측면 및 하단을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몸이 불편하거나 연로한 노인분들이 운행하는 전동 스쿠터 등에 의한 높은 충격력, 즉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예시한 바와 같은 큰 충격에도 이탈됨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전동 스쿠터의 차체 중량은 135㎏, 운전자가 약 75㎏으로 합계 210㎏의 중량으로 속도 15km/h로 충격을 가할 때, 대략 1820J에도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지 않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승강장 도어의 각 승강장 도어의 3지점을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전동 스쿠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충격에도 추락사고를 예방하여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 단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한 쌍의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각 승강장 도어가 맞닿아 있는 부분 또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한 쌍의 승강장 도어(100)가 맞닿는 각 도어 프레임(102)에 서로 맞물려 충격에 대하여 승강로 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각각의 보강 프레임(40)을 더 포함한다.
상기에서, 각 보강 프레임(40)은 각 도어 프레임(102)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절곡되어 감싸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는 각각 고정 프레임(42)과, 상기 고정 프레임(42)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리는 각각의 맞물림턱(44)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보강 프레임은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맞물리는 부분에 형성됨에 따라 충격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특히 고정 프레임에 형성되는 각 맞물림턱이 맞물림에 따라 충격에 대하여 그 맞물리는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극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각 승강장 도어의 3지점과 서로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에 의해 벌어지는 것 또한 극소화함으로써,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 : 상부 이탈방지부
12 : 제1 걸림편 14 : 제1 지지편
20 : 측면 이탈방지부
22 : 걸림 브래킷 24 : 지지 플레이트
30 : 하부 이탈방지부
31 : 결합 장착공 32 : 장착 브래킷
32A : 장착면 32B : 수평면
32C : 수직면 34 : 제2 걸림편
40 : 보강 프레임
42 : 고정 프레임 44 : 맞물림턱
100 : 승강장 도어
102 : 도어 프레임 110 : 도어 왕복구동수단
112 : 행거 브래킷 112A : 롤러
114 : 행거 케이스 120 : 레일
122 : 안내홈 122A : 제2 지지편
124 : 도어 슈 130 : 측 프레임

Claims (5)

  1. 건물의 각층에 마련되는 승강장에서 상단에 도어 왕복구동수단이 구비되며, 하단은 승강장 바닥에 매설된 레일의 안내홈 상에 도어 슈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개폐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승강장 도어의 상단에 롤러가 장착되는 각 행거 브래킷의 하단에 승강장 측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제1 걸림편과, 상기 각 제1 걸림편의 대응되는 위치의 행거 케이스의 하단 양측에 승강로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편이 걸려지지 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지지편을 포함하는 상부 이탈방지부;
    상기 승강로 측의 양측 벽체에 고정된 각 측 프레임에 상기 승강로 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는 각각의 걸림 브래킷과, 상기 각 걸림 브래킷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각 승강장 도어의 측면에 상기 각 걸림 브래킷에 걸려지지 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측면 이탈방지부; 및
    상기 승강장 도어의 하단에 각 도어 슈가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 장착공이 형성되어 각 승강장 도어의 내면에 장착되는 각각의 장착 브래킷과, 상기 각 장착 브래킷의 밑단에는 상기 각 도어 슈의 밑면 보다 더 하향으로 연장 절곡 형성되는 각각 제2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의 상단에 상기 제2 걸림편이 걸려지지 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는 하부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장착 브래킷은 각 승강장 도어의 내면에 장착 고정되는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하부로 적어도 2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도어 슈가 결합되는 결합 장착공이 형성되는 수평면 및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밑단에 절곡 형성되는 제2 걸림편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이탈방지부의 각 걸림 브래킷과 지지 플레이트는 각 승강장 도어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승강장 도어가 맞닿는 각 도어 프레임에 서로 맞물려 충격에 대하여 승강로 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각각의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강 프레임은 각 도어 프레임에 감싸져 고정되는 각각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서로 맞닿는 면에 서로 맞물리는 각각의 맞물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0200012211A 2020-01-31 2020-01-3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18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11A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01-3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211A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01-3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000B1 true KR102188000B1 (ko) 2020-12-07

Family

ID=7379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211A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01-31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0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02B1 (ko)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102507740B1 (ko) * 2022-06-30 2023-03-09 지승현 슈 탈거 방지용 비상가이드 및 씰을 구비한 승강장 문 어셈블리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190A (ja) * 1990-10-01 1992-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ドア装置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9-01-30 윤종현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100942530B1 (ko) 2007-12-21 2010-02-16 최경돈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20100032027A (ko) * 2008-09-17 2010-03-25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10005391A (ko) 2009-07-10 2011-01-18 (주)주성산전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298975B1 (ko) 2011-12-12 2013-08-23 김정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KR101617209B1 (ko) 2015-08-12 2016-05-02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200481777Y1 (ko) 2015-05-14 2016-11-09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7-01-05 윤호원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1964133B1 (ko) * 2017-11-21 2019-04-02 박상필 비상가이드 기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90002341U (ko) 2018-03-12 2019-09-20 이진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190A (ja) * 1990-10-01 1992-05-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乗場ドア装置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9-01-30 윤종현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100942530B1 (ko) 2007-12-21 2010-02-16 최경돈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20100032027A (ko) * 2008-09-17 2010-03-25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10005391A (ko) 2009-07-10 2011-01-18 (주)주성산전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298975B1 (ko) 2011-12-12 2013-08-23 김정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결합구조
KR200481777Y1 (ko) 2015-05-14 2016-11-09 주식회사 스타리프트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무빙잠금장치
KR101617209B1 (ko) 2015-08-12 2016-05-02 (주)서울승강기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7-01-05 윤호원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1964133B1 (ko) * 2017-11-21 2019-04-02 박상필 비상가이드 기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90002341U (ko) 2018-03-12 2019-09-20 이진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02B1 (ko)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102507740B1 (ko) * 2022-06-30 2023-03-09 지승현 슈 탈거 방지용 비상가이드 및 씰을 구비한 승강장 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00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50283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HK1069160A1 (en) Manual unlocking device
KR101681603B1 (ko) 광고판 겸용 비상도어를 형성한 승강장 스크린 도어
JP6013559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889899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KR10094345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EP1215159A2 (en) Below the car retractable apron
JPH10245170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用梯子
JP4103387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JPH0569048U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
JP2004244188A (ja) エレベータかご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JP2019156519A (ja) 乗客コンベアの仕切り部材及び乗客コンベアシステム
JP2542972Y2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シュー伸設機構
JP2581175B2 (ja) 車椅子乗用踏段付きエスカレータ
CN113233293B (zh) 一种客梯轿厢结构
KR20120058707A (ko)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KR201000182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장치
JP6098965B1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H09177428A (ja) 車両乗降口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