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57B1 -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 Google Patents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57B1
KR101693457B1 KR1020150115288A KR20150115288A KR101693457B1 KR 101693457 B1 KR101693457 B1 KR 101693457B1 KR 1020150115288 A KR1020150115288 A KR 1020150115288A KR 20150115288 A KR20150115288 A KR 20150115288A KR 101693457 B1 KR101693457 B1 KR 10169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rface plate
plate
piece
guid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원
Original Assignee
윤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원 filed Critical 윤호원
Priority to KR102015011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이나 화물이 승강장도어에 부딪혀서 무리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승강장도어 하측 부분이 이탈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승강장도어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을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 및 리어표면판(11,11') 하부에 하나 이상의 도어가이드슈우(12)를 구비하는 승강장도어(10,10')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도어(10,10') 하부 쪽의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 사이에 게재되게 고정되는 외력저항부재(21)와, 상기 외력저항부재(21)의 중간에 체결구(27a)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부(27)가 있고, 상기 고정판부(27) 상단부에서 프런트표면판(11) 방향으로 절곡 된 2차버팀편(28)이 있고, 상기 고정판부(27) 하단부에 슈우장착편(29)을 구비하여 도어가이드슈우(12)가 끼워지도록 장착되는 2차저항부재(26)를 갖는 꺽임방지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상기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의 양측부(11a) 내부에 양측면부(13,13')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꺽임방지수단(30,30')이 내장되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Platform for an elevator door that prevents the guide shoe leaving the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장도어 하단부에 있는 도어가이드슈우가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엘이베이터용 승강장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는 도어 상부에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장도어 하부는 도어가이드슈우를 구비하여 승강장에 고정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장도어는 상부에 있는 구동장치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도어 하단부는 도어가이드슈우가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으로부터 도어 하단부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령 승강장에서 승객이 승강장도어를 미는 힘 정도의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충분히 버틸 수 있도록 승강장도어가 제작되는 것이므로 평상시 승객이 탑승하는 경우에는 취약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근자에 와서는 이사나 택배 운반시에 화물을 승객탑승용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중량물이나 화물 충격에 대응할 수 있는 승강용도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20-0390339 Y1 2005.07.20 KR 10-0880570 B1 2009.01.30 KR 10-2004-0004791 A 2004.01.16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들은 승강장도어 하부에 구비하는 도어가이드슈우가 가이드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단순한 것들이거나 승강장도어의 상단부가 이탈방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이사나 택배 운반시에 중량물이나 화물이 승강장도어에 부딪혀서 무리한 충격이 발생 되면 승강장도어가 찌그러지거나 꺽여져서 가이드레일홈으로부터 도어가이드슈우가 빠져 나와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승강장도어 상단부는 구동장치에 매달린 상태가 되지만 도어 하단부는 가이드레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엘리베이터카가 이동하는 카통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되는 상태로 이탈하게 되기 때문에 카통로 쪽으로 화물이나 중량물이 떨어져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카와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야기될 뿐만 아니라 승객도 카통로 쪽으로 추락하게 되어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량물이나 화물이 승강장도어에 부딪혀서 무리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승강장도어 하측 부분이 이탈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프런트표면판과 리어표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 및 리어표면판 하부에 하나 이상의 도어가이드슈우를 구비하는 승강장도어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도어 하부 쪽의 프런트표면판과 리어표면판 사이에 게재되게 고정되는 외력저항부재와, 상기 외력저항부재의 중간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부가 있고, 상기 고정판부 상단부에서 프런트표면판 방향으로 절곡 된 2차버팀편이 있고, 상기 고정판부 하단부에 슈우장착편을 구비하여 도어가이드슈우가 끼워지도록 장착되는 2차저항부재를 갖는 꺽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력저항부재는, 리어표면판 내면에 고정되는 상부기립판부와, 상기 상부기립판부에서 프런트표면판 방향으로 절곡 되어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버팀기립판부와, 상기 버팀기립판부에서 리어표면판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돌륜부와, 상기 장착돌륜부 하단부에서 절곡 되어 프런트표면판 내면에 밀착되는 하단수평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런트표면판과 리어표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판 하부에 하나 이상의 도어가이드슈우를 구비하는 승강장도어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표면판과 리어표면판의 양측부 내부에 양측면부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꺽임방지수단이 내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꺽임방지수단은 양측면부 내면에 양면테이프나 스폿트 용접되어 고정되는 버팀부와, 상기 버팀부 양측에 구비되고 프런트표면판과 리어표면판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쌍의 저항편을 각각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저항편 중에 어느 일측의 저항편 끝단부에는 그 저항편과 대향 되는 다른 하나의 저항편의 끝단부까지 근접되게 연장되는 밀림방지편을 더 구비하거나, 한쌍의 저항편 중에 어느 일측의 저항편 끝단부에 대향 되는 다른 하나의 저항편 내측으로 지지 되는 곡선형의 탄력지지편이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물이나 화물이 승강장도어에 부딪혀서 무리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승강장도어가 꺽이지 않게 되므로 승강장도어의 하측 부분이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의 하측이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화물이나 승객이 카통로 쪽으로 추락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확실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승강장도어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승강장도어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꺽임방지수단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W-W'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차정항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X"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꺽임방지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는 승강장도어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꺽임방지수단을 보인 도 1의 Y-Y'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Z"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꺽임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승강장도어(10,10')는 주로 한쌍을 구비하여 도어왕복구동부(15)의 구동에 의해서 양쪽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왕복구동부(15)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승강도어(10,10') 하측부에 꺽임방지수단(20)을 구비하게 되고, 각각의 승강장도어(10,10') 양측에도 꺽임방지수단(30,30')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5는 일실시예의 꺽임방지수단(2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꺽임방지수단(20)은,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도어(10,10') 하부 쪽의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 사이에 외력저항부재(21)가 게재되게 고정된다.
상기 외력저항부재(21)는, 리어표면판(11') 내면에 고정되는 상부기립판부(22)와, 상기 상부기립판부(22)에서 프런트표면판(11) 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면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버팀기립판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버팀기립판부(23)에서 리어표면판(11')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장착돌륜부(24)와, 상기 장착돌륜부(24) 하단부에서 절곡 되어 프런트표면판(11) 내면에 밀착되는 하단수평부(25)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체결구(미도시됨)나 스폿트 용접에 의해서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외력저항부재(21)의 장착돌륜부(24) 중간에 체결구(27a)에 의해 2차저항부재(26)가 고정된다.
상기 2차저항부재(26)는 장착돌륜부(24)에 고정되고 도 4와 같이 기다란 고정판부(27)를 구비한다. 부호 27b는 체결구(27a)가 관통하는 체결공을 나타낸다.
또한, 2차저항부재(26)는 고정판부(27) 상단부에서 프런트표면판(11) 방향으로 절곡 된 2차버팀편(28)이 있고, 상기 고정판부(27) 하단부에 슈우장착편(29)을 구비하여 도어가이드슈우(12)가 끼워지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가이드슈우(1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의 레일홈(16a)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승강장도어(10,10')는 프런트표면판(11)이 승강장(부호없음) 쪽으로 위치되고 리어표면판(11')이 카통로(부호없음) 쪽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주의에 의해서 가령 승강장에 있던 화물이나 중량물이 승강장도어(10,10')에 부딪치게 되는 외부충격력(F)을 줄 때에는 프런트표면판(11)에 외부충격력(F)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표면판(11)에 외부충격력(F)이 가해지게 되면 프런트(11)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버팀기립판부(23)으로 외부충격력(F)이 전달되어 분산되는 작용하게 됨으로써 승강장도어(10,10')가 받게 되는 외부충격력(F)을 약화 되게 한다.
그럼에도 버팀기립판부(23)가 밀리게 되면 이와 근접되어 있는 2차버팀편(28)이 버팀기립판부(23)가 밀리지 않도록 버티게 되면서 외부충격력(F)이 전달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어가이드슈우(12)가 도 5에서 오른쪽 방향인 카통로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도 5에서 도어가이드슈우(12)의 오른쪽 면이 레일홈(16a)의 오른쪽 면에 밀착되어 밀리지 않게 됨에 따라 체결구(27b)가 힌지점이 되어 2차버팀편(28)이 버팀기립판부(23)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과 동시적으로 2차버팀편(28)이 저항력이 크게 발생 됨으로써 버팀기립판부(23)가 찌그러지는 상태로 변형되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물론, 2차버팀편(28)이 버팀기립판부(23)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도는 공차 범위 정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식별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 6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도어(10,10')가 꺽이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레일홈(16a)으로부터 도어가이드슈우(12)가 이탈되지 않게 됨으로써 승강장도어(10,10')의 하단부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에는 승강장도어(10,10')가 강한 외부충격력(F)이 작용되면 도 6의 가상선도시와 같이 종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변형이 발생됨에 따라 레일홈(16a)으로부터 도어가이드슈우(12)가 이탈 됨으로써 승강장도어(10,10')의 하단부가 이탈되었지만,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10,10')가 꺽이지 않게 되어 승강장도어(10,10')의 하단부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 및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의 양측부(11a) 내부에 양측면부(13,13')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꺽임방지수단(30,30')이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30')은 양측면부(13,13')에 양면테이프(33)나 스폿트 용접되어 고정되는 버팀부(31)가 있고, 상기 버팀부(31) 양측에 구비되고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쌍의 저항편(32,32')을 각각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꺽임방지수단(30,30')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장도어(30,30')의 양측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강한 외부충격력(F)이 가령 프런트표면판(11) 중간부에 가해지게 되면 그 외부충격력(F)을 받은 부분의 프런트표면판(11)이 찌그러지면서 사방으로 외부충격력(F)이 퍼져나가서 꺽임방지수단(30,30')의 저항편(32)으로 전달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저항편(32)은 프런트표면판(11)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달받게 되는 외부충격력(F)을 받아서 감소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과 아울러서 프런트표면판(11)의 양측면이 일그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편(32)을 통해 외부충격력(F)을 전달받게 되는 버팀부(31)에는 최초에 프런트표면판(1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력(F) 보다는 감소 된 충격력이 전달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버팀부(31)가 꺽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버팀부(32)로 전달된 감소 된 외부충격력(F)이 리어표면판(11') 내면에 있는 저항편(32')으로 전달되어 다시 한번 더 분산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승강장도어(10,10') 양측면부(13,13')에는 매우 감소된 외부충격력(F)이 작용됨에 따라 최초 외부충격력(F)을 받게 되는 프런트표면판(11)의 중앙부분은 찌그러지게 되지만 승강장도어(10,10') 양측면부(13,13')는 찌그러지거나 도 10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횡방향으로 꺽이지 않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도어가이드슈우(12)가 레일홈(16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에는 승강장도어(10,10')가 강한 외부충격력(F)을 받게 되면 도 6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횡방향으로 꺽이게 되는 변형이 발생되면 승강장도어(10,10')의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도어가이드슈우(12)가 상부방향으로 들리게 됨에 따라 레일홈(16a)에서 도어가이드슈우(12)가 이탈되고, 그로 인해 승강장도어(10,10') 하단부가 이탈되어서 카통로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기울게 되어 화물이나 승객이 카통로 쪽으로 추락하게 될 우려성이 매우 높았으나,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10,10') 양측면부(13,13')가 꺽이지 않게 됨으로써 레일홈(16a)에서 도어가이드슈우(12)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승강장도어(10,10') 하단부가 이탈 방지됨에 따라 화물이나 승객이 카통로 쪽으로 추락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꺽임방지수단(30,30')의 한쌍의 저항편(32,32') 중에 어느 일측의 저항편(32') 끝단부에는 그 저항편(32')과 대향 되는 다른 하나의 저항편(32)의 끝단부까지 근접되게 연장되는 밀림방지편(34)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프런트표면판(11)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충격력(F)을 1차적으로 받게 되는 저항편(32)을 밀림방지편(34)이 받치게 됨에 따라 저항편(32)이 밀려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적으로 저항편(32)으로 전달되는 외부충격력(F)이 밀림방지편(34)을 통해 다른 쪽에 있는 저항편(32')으로 전달시켜 외부충격력(F)이 더욱 감소 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버팀부(31)로 전달되는 외부충격력(F)이 더욱 약화 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승강장도어(10,10') 양측면부(13,13')가 더욱 꺽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b)는 꺽임방지수단(30,30')의 한쌍의 저항편(32,32') 중에 어느 일측의 저항편(32) 끝단부에 대향 되는 다른 하나의 저항편(32') 내측으로 지지 되는 곡선형의 탄력지지편(35)이 더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는, 저항편(32)에 외부충격력(F)이 전달되어 그 저항편(32)이 밀리게 되는 상태가 되면 탄력지지편(35)이 밀리지 않게 받치게 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약간 저항편(32)이 밀리게 되더라도 탄력지지편(35)의 반발력에 의해서 저항편(32)이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 가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한편 탄력지지편(35)에 있어서도 다른 쪽에 있는 저항편(32')으로 외부충격력(F)을 전달시켜 분산되게 하므로 외부충격력(F)이 더욱 감소 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 버팀부(31)로 전달되는 외부충격력(F)이 더욱 약화 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승강장도어(10,10') 양측면부(13,13')가 더욱 꺽임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10,10')에 실시되는 꺽임방지수단(20)(30,30)중에 어느 하나의 꺽임방지수단만 실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전부 다 같이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10':승강장도어 11:프런트표면판
11':리어표면판 12:도어가이드슈우
13,13';양측면부 15:도어왕복구동부
16:가이드레일 20:꺽임방지수단
21:외력저항부재 22:상부기립판부
23:버팀기립판부 24:장착돌륜부
25:하단수평부 26:2차저항부재
27:고정판부 28:2차버팀편
29:슈우장착편 30,30':꺽임방지수단
31:버팀부 32,32':저항편
33:양면테이프 34:밀림방지편
35:탄력지지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판(11,11') 하부에 하나 이상의 도어가이드슈우(12)를 구비하고,
    상기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의 양측부(11a) 내부에 양측면부(13,13') 내면에 각각 고정되는 꺽임방지수단(30,30')이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꺽임방지수단(30,30')이 양측면부(13,13')에 양면테이프(33)나 스폿트 용접되어 고정되는 버팀부(31)와, 상기 버팀부(31) 양측에 구비되고 프런트표면판(11)과 리어표면판(11') 내면에 각각 밀착되는 한쌍의 저항편(32,32')을 각각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승강장도어(10,10')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저항편(32,32') 중에 어느 일측의 저항편(32) 끝단부에 대향 되는 다른 하나의 저항편(32') 내측으로 지지 되는 곡선형의 탄력지지편(35)이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20150115288A 2015-08-17 2015-08-17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169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288A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288A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57B1 true KR101693457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288A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5-08-17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414402B1 (ko)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791A (ko) 2002-07-05 200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보조롤러를 갖는 승강장도어 조립체
JP2005075624A (ja) *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390339Y1 (ko) 2005-04-26 2005-07-20 수림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9-01-30 윤종현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JP2012502865A (ja) * 2008-09-17 2012-02-02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及び異物挿入防止構造
JP2013507304A (ja) * 2009-10-09 2013-03-04 ウイッツァー エス.ピー.エー. リフト又はエレベータのドアの可動板の脱線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791A (ko) 2002-07-05 2004-01-16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장 도어 이탈 방지를 위한 보조롤러를 갖는 승강장도어 조립체
JP2005075624A (ja) *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0390339Y1 (ko) 2005-04-26 2005-07-20 수림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9-01-30 윤종현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JP2012502865A (ja) * 2008-09-17 2012-02-02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及び異物挿入防止構造
JP2013507304A (ja) * 2009-10-09 2013-03-04 ウイッツァー エス.ピー.エー. リフト又はエレベータのドアの可動板の脱線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414402B1 (ko)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26685A1 (en) Collapsible hood hinge
KR101693457B1 (ko)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ES2388652T3 (es) Articulación de acoplamiento entre un primer coche y un segundo coche de un vehículo, en especial ferroviario
CN107074193B (zh) 座椅安全带锚固螺栓附近的冲击吸收构造
JP4612492B2 (ja) ホームの衝撃吸収構造
KR100832789B1 (ko) 차량충격이 다중분산되는 도로용 충격흡수대
JP5882163B2 (ja) ラジエータグリル
EP3335596A1 (en) Rack impact protector
US20050046207A1 (en) Vehicle impact attenuation device
US10780921B2 (en) Vehicle frame structure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EP2915725A1 (en) Cab reinforcing structure
KR101249751B1 (ko)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575883B1 (ko) 정보출력부를 갖는 충격흡수성 및 승월방지성이 향상된 차량방호울타리
CN210127004U (zh) 一种电梯防溜车保护装置
CN105966213B (zh) 一种提升车辆侧碰性能的侧门防撞结构
CN207061563U (zh) 防坠电梯
CN205132877U (zh) 防电梯门板脱离地坎装置
KR20070030418A (ko) 차량 방호 구조물
CN213265305U (zh) 一种防撞击电梯层门及其安装结构
US20230211652A1 (en) Passenger Motor Vehicle Having Improved Side Impact Protection
JP6179694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4890739B (zh) 车辆的门槛装置以及具有其的车辆
KR102634757B1 (ko) 차량 방호 안전 펜스
CN220904901U (zh) 保险杠骨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