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570B1 -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570B1
KR100880570B1 KR1020070032169A KR20070032169A KR100880570B1 KR 100880570 B1 KR100880570 B1 KR 100880570B1 KR 1020070032169 A KR1020070032169 A KR 1020070032169A KR 20070032169 A KR20070032169 A KR 20070032169A KR 100880570 B1 KR100880570 B1 KR 10088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oor
door
elevator
pie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9693A (ko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현 filed Critical 윤종현
Priority to KR102007003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5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가 강한 외부 충격력을 받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연에 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하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기존의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이탈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은 향상되면서도 저렴한 보급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엘리베이터 안전사고 예방이 도모되게 하고 제품 신뢰성 증대와 경제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개선된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구조물(C)에 의해 승하강통로(11)와 통하는 탑승출입구(12)를 갖도록 형성되는 승강장(10)과; 상기 탑승출입구(12)를 형성하기 위해 내면 사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가 콘크리트구조물(C)에 매립되게 고정되는 각각의 상,하부쟘플레이트(20,20')와; 상기 승하강통로(11) 쪽에서 탑승출입구(12)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도록 왕복운동되게 설치되도록 하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쟘플레이트(20') 및 가이드지지브라케트(13)에 고정되게 설치된 슈우가이드부재(14)의 슈우가이드홈(15)에 안내되어 왕복운동되는 도어슈우(31)를 가진 한쌍의 승강장도어(30)와; 상기 탑승출입구(12)의 상측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길다란 롤러가이드돌기부(41)를 중간부에 구비하고 상,하단부는 상부쟘플레이트(20)와 콘크리트구조물(C)에 각각의 볼트수단(42)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과; 상기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 고정부(51a)가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기립되게 설치되는 행거플레이트(51) 상,하부에 롤러가이드돌기부(41)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행거롤러(52) 및 롤러가이드돌기부(41)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롤러(53)를 각각 구비하여 승강장도어(30)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행거롤러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쟘플레이트(20)의 고정편(21) 내측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 된 밀림차단편(111)과, 상기 밀림차단편(111)에서 승강장(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편(21)과 이동공간부(113)가 형성되게 하는 상승차단편(112)이 승강장도어(30) 상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게 되는 부동이탈방지부(110) 및 상기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서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21) 일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향절곡편(122)과 상기 하향절곡편(122)에서 승강장도어(30)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공간부(113)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림편(123)이 구비된 이동이탈방지부(120)를 갖는 이탈방지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도어,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

Description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The elevator ascent and descent market door system which has a disconnection preven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승강장도어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도 2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 개략 구성도,
도 5는 도 4의 "Y"부분 확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일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승강장 11 : 승하강통로
12 : 탑승출입구 20 : 상부쟘플레이트
30 : 승강장도어 31 : 도어슈우
40 : 롤러왕복가이드수단 41 : 롤러가이드돌기
50 : 행거롤러수단 51 : 행거플레이트
52 : 행거롤러 53 : 보조롤러
100 : 이탈방지수단 110 : 부동이탈방지부
111 : 밀림차단편 112 : 상승차단편
113 : 이동공간부 120 : 이동이탈방지부
121 : 고정편 122 : 하향절곡편
123 : 걸림편 124 : 밀림저지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도어가 엘리베이터카 승하강통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카(Elevtor Car)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통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Elevtor Door)는 엘리베이터카에서 열리고 닫히는 카도어(Car Door) 및 승강장에서 열리고 닫히는 승강장도어로 구분되고, 상기 카도어와 승강장도어는 탑승자가 탑승할 때마다 동시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도어와 승강장도어는 수시로 열리고 닫히는 것이므로 우선적으로 도어가 열리지 말아야 하는데도 열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오동작이 없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서 도어에 외부적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밀리지 말아야 한다.
가령, 오동작에 의한 도어 열림이 발생되면 탑승자가 엘리베이터카 승하강통로 쪽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도어가 정위치에서 밀려나게 되어도 엘리베이터카 승하강통로 쪽으로 탑승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오동작에 의한 안전사고는 엘리베이터 제어부(회로부)의 오류에 의한 것이므로 정기적인 안전 점검에 의해서 미연에 예방 된다.
그러나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서 도어 밀림에 따른 안전사고는 엘리베이터의 구조적인 것에서 기인 되는 것이며, 엘리베이터 도어에 있어서 도어 밀림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은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어슈우장치 부분이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는 상측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매달리는 상태에서 왕복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어슈우는 바닥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부에 약간 삽입된 상태이면서도 그 가이드홈부에서 허공에 떠 있는 상태로 왕복 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를 다소 강한 힘으로 밀게 되면 바닥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부에서 허공에 떠 있던 도어슈우가 그 가이드홈부로부터 여러가지 구조적 요인으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부가 승하강통로 쪽으로 밀려날 수 있고, 그로 인해 승하강통로 쪽으로 사람이 추락하는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 밀림이 없도록 하기 위해 출원인에 의해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376505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7-4666호 및 동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007-4667호와 같은 안전기능이 있는 도어슈우를 가진 엘리베이터 도어가 연구되고 개발 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출원인에 의해 개선된 것이지만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측부에서만 도어 밀림이 방지되는 것으로서, 가령 매우 강한 외력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강한 힘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도어 전체가 이탈될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그로 인해 탑승자가 승하강통로 쪽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커다란 구조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구조적인 결함은 카도어 보다는 승강장도어에 더욱 심각한 문제점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그것은 매우 강한 외력이 도어에 가해질 수 있는 환경이 엘리베이터카 내에서보다는 수많은 사람이 왕래하고 엘리베이터카에 탑승하는 장소인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되는 승강장도어장치에 더욱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엘리베이터카 내부는 비교적 좁고 한정된 공간이므로 의도적이지 않는 한 카도어에 매우 강한 외력이나 충격을 가하기가 어려운 환경이지만 엘리베이터 승강장은 건물의 복도에 있는 것이므로 환경적으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닫혀져 있는 승강장도어에 갑자기 매우 강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승강장도어에 강한 외력이 갑자기 가해지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서 승강장도어는 순간적으로 들썩 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승강장도어가 승하강통로 쪽으로 이탈되게 됨으로써 추락사고로 이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승강장도어에 갑자기 매우 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는 빈번히 발생되는 것은 아니지만 엘리베이터는 안전사고 예방이 최우선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는 갑자기 강한 외부 충격을 받았을 때 들썩되면서 승강장도어가 이탈될 수 있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락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승강장도어장치에 있어서 강한 충격을 받더라도 승강장도어가 이탈되지 않는 것은 아직 전무하므로 강한 충격을 받더라도 승강장도어가 이탈되지 않게 하여 미연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승강장도어장치를 연구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가 강한 외부 충격력을 받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연에 안전사고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기존의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이탈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은 향상되면서도 저렴한 보급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엘리베이터 안전사고 예방이 도모되게 하고 제품 신뢰성 증대와 경제성 향상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에 의해 승하강통로와 통하는 탑승출입구를 갖도록 형성되는 승강장과; 상기 탑승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내면 사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가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게 고정되는 각각 의 상,하부쟘플레이트와; 상기 승하강통로 쪽에서 탑승출입구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도록 왕복운동되게 설치되도록 하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쟘플레이트 및 가이드지지브라케트에 고정되게 설치된 슈우가이드부재의 슈우가이드홈에 안내되어 왕복운동되는 도어슈우를 가진 한쌍의 승강장도어와; 상기 탑승출입구의 상측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길다란 롤러가이드돌기부를 중간부에 구비하고 상,하단부는 상부쟘플레이트와 콘크리트구조물에 각각의 볼트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롤러왕복가이드수단과; 상기 승강장도어 상단부에 고정부가 볼트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립되게 설치되는 행거플레이트 상,하부에 롤러가이드돌기부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행거롤러 및 롤러가이드돌기부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롤러를 각각 구비하여 승강장도어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행거롤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쟘플레이트의 고정편 내측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 된 밀림차단편과, 상기 밀림차단편에서 승강장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편과 이동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는 상승차단편이 승강장도어 상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게 되는 부동이탈방지부 및 상기 승강장도어 상단부에서 볼트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 일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향절곡편과 상기 하향절곡편에서 승강장도어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공간부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림편이 구비된 이동이탈방지부를 갖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이탈방지부는 고정편 일단부가 승강장도어의 내면부 쪽으로 밀착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밀림저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의 정면 구성 개략도이고, 도 2는 종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나타낸 확대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승하강통로(11)와 통하는 탑승출입구(12)를 갖도록 형성되는 승강장(10)이 콘크리트구조물(C)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탑승출입구(1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내면 사변에 각각의 쟘플레이트(jam plate)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상,하부쟘플레이트(20,20')만 나타내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하부쟘플레이트(20,20')는 일부가 콘크리트구조물(C)에 매립되게 고정되는 것이며, 그 외측으로는 외장부재(60)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쟘플레이트(20,20')중에 상부쟘플레이트(20)의 고정편(21) 내측단부에는 부동이탈방지부(11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동이탈방지부(110)는 상부쟘플레이트(20)를 제작할 때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그 내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 된 밀림차단편(111)을 구비하고, 상기 밀림차단편(111)에서 승강장(10)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는 상승차단편(1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편(21)과 상승차단편(112) 사이에 이동공간부(11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쟘플레이트(20)를 탑승출입구(12) 상부에 설치하게 되면 부동이 탈방지부(110)가 승강장도어(30) 상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쟘플레이트(20) 후단부에 구성되는 부동이탈방지부(110)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쟘플레이트(20)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볼트수단(42)에 의해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이탈방지부(110)가 상부쟘플레이트(20) 후단부에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승강장도어(30)가 외부의 큰 충격을 받게 되면 그 충격력이 부동이탈방지부(110)에 전달되는 것이고, 이때 부동이탈방지부(110)는 상기한 충격력에 충분히 버틸 수 있어야 하는데 부동이탈방지부(110)가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된 것보다는 콘크리트구조물(C)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부쟘플레이트(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견고하게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승하강통로(11) 쪽에는 탑승출입구(12)를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한쌍의 승강장도어(30)가 열리고 닫히도록 왕복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한쌍의 승강장도어(30)는 상호 동일하게 구성하여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승강장도어(30)만을 가지고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승강장도어(30) 하단부에는 도어슈우(31)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도어슈우(31)는 하부쟘플레이트(20') 및 가이드지지브라케트(13)에 나사(16)로 고정되게 설치된 슈우가이드부재(14)의 슈우가이드홈(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되어 왕복운동된다.
상기 도어슈우(31)는 승강장도어(30)가 열리고 닫히는 왕복운동을 할 때 하 단부가 일직선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승강장도어(3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도어슈우(31)가 슈우가이드부재(14)에 걸림되어 승강장도어(30) 하단부가 밀리게 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승강장도어(30)가 왕복운동하는 것은 체인구동장치(70)와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해서 제어되어 열리고 닫히게 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인구동장치(70)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승강장(10)의 탑승출입구(12) 상측 내부에는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은 승강장도어(30)가 지지되면서 일직선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은 승강장도어(30)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길다란 롤러가이드돌기부(41)를 중간부에 구비하고 그 상,하단부는 상부쟘플레이트(20)와 콘크리트구조물(C)에 각각의 볼트수단(42)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볼트수단(42,54)들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볼트수단(42,54)이라고 명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볼트수단 대신에 나사로 고정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용접 등과 같은 수단으로도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은 일체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개로 등분되도록 각각 형성시켜 체결구(미도시됨)에 의해 서 하나의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이 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는 행거롤러수단(50)이 볼트수단(54)에 의해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행거롤러수단(50)은 하측에 있는 고정부(51a)가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기립되게 설치되는 행거플레이트(51)가 있고, 상기 행거플레이트(51) 상,하부에는 롤러가이드돌기부(41)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행거롤러(52) 및 롤러가이드돌기부(41)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롤러(53)를 각각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장도어(30)가 체인구동장치(7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왕복운동하게 될 때 행거롤러(52)가 롤러가이드돌기부(41)에 지지된 상태로서 회동 됨에 따라 승강장도어(30)가 열리고 닫히게 되는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승강장도어(30)는 왕복운동을 해야 하므로 그 어떠한 구속됨에 없어야 하기 때문에 행거롤러(52)가 롤러가이드돌기(41)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매달려 있는 상태이어야 만이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승강장(10) 쪽에서 갑자기 외부의 충격이 승강장도어(30)에 가해지게 되면 그 승강장도어(30)를 잡아 주는 구속수단이 없기 때문에 들썩거리는 상태로 순간적으로 들려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행거롤러(52)가 롤러가이드돌기(4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물론, 보조롤러(53)가 롤러가이드돌기(41)에 하단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지만 장기 사용으로 인한 보조롤러(53)의 마모나 또는 나사풀림 등에 의해 보조롤러(53) 가 롤러가이드돌기(41)로부터 빗겨져 나감으로써 행거롤러(52)의 이탈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언급된 부동이탈방지부(110)와 함께 이동이탈방지부(120)를 구성하여 승강장도어(30)의 이탈을 차단되게 하는 이탈방지수단(100)을 구비한다.
부동이탈방지부(110)는 상부쟘플레이트(20)의 고정편(21) 내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 된 밀림차단편(111)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밀림차단편(111)에서 승강장(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편(21)과 이동공간부(113)가 형성되게 하는 상승차단편(112)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고정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동이탈방지부(120)는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서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21) 선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향절곡편(122)과, 상기 하향절곡편(122)에서 승강장도어(30) 방향으로 다시 절곡되어 이동공간부(113)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림편(123)을 구비한다. 부호 125는 볼트관통공을 나타낸다.
상기 이동이탈방지부(120)는 고정편(121)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플레이트(51)의 고정부(51a)와 승강장도어(30)의 상단부 사이에 게재된 상태로서 볼트수단(54)에 의해 체결되게 함으로써 한번에 행거플레이트(51)와 이동이탈방지부(120)가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51a)와 고정편(121)의 고정되는 순서가 바꿔지게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승강장도어(3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부동이탈방지부(110)의 이동공간부(113)에 이동이탈방지부(120)의 걸림편(123)이 삽입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얇은 두께의 걸림편(123)이 공간이 넓은 이동공간부(113)에 있게 되므로 승강장도어(30)가 왕복운동 함으로써 같이 왕복운동하게 되는 걸림편(123)이 아무런 간섭이나 구속을 받지 않게 되므로 승강장도어(30)의 왕복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승강장도어(30)의 탑승출입구(12)를 개폐시키는 역할과 기능을 평상시에 원만히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도어(30)는 승하강통로(11)를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엘리베이터카(미도시됨)가 승강장(10)에 정지된 상태에서만 열린다음에 다시 닫혀지게 되는 것이고, 엘리베이터카가 그 승강장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하면 승강장도어(30)는 닫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장도어(3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갑자기 큰 외부 힘에 의해서 승강장도어(30)가 큰 충격을 받게 되면 승강장도어(30)는 순간적으로 들썩거리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장도어(30)가 위쪽으로 들려지게 되는데 이때 걸림편(123)이 상승차단편(112)에 걸리게 됨으로써 승강장도어(30)가 더 이상 상승되게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에 행거롤러(52)가 롤러가이드돌기(4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승강장도어(30)가 외부 충격으로 순간적으로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승하강통로(11) 쪽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때는 걸림편(123)이 밀림차단편(111)에 걸려서 밀려나가는 것이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작은 외력에 의해서 승강장도어(30)가 밀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큰 외력에 의해서 승강장도어(30)가 들썩거리게 되어도 승강장도어(30)는 정위치에서 절대로 이탈되지 않게 되면서도 원활한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이동이탈방지부(120)의 고정편(121) 일단부가 승강장도어(30)의 내면부(32) 쪽으로 밀착되게 절곡시켜 형성되는 밀림저지편(124)을 더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밀림저지편(124)은 큰 외력이 승강장도어(30)에 작용 됨으로써 그 승강장도어(30)가 밀려날 때 승강장도어(30) 상단부를 더 잡아주게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구성을 갖게 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의 열리고 닫히는 기능과 역할을 원만히 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큰 충격을 받더라도 승강장도어가 이탈되는 것이 확실하게 차단되므로 승하강통로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예방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기존의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으면서도 이탈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은 향상되면서도 저렴한 보급이 가능하게 하여 엘리베이터 안전사고 예방이 도모되게 하고 제품 신뢰성 증대와 경제성 향상이 도모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장도어가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이탈방지되게 하는 안전 기능을 부여되게 한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구조물(C)에 의해 승하강통로(11)와 통하는 탑승출입구(12)를 갖도록 형성되는 승강장(10)과;
    상기 탑승출입구(12)를 형성하기 위해 내면 사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가 콘크리트구조물(C)에 매립되게 고정되는 각각의 상,하부쟘플레이트(20,20')와;
    상기 승하강통로(11) 쪽에서 탑승출입구(12)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열리고 닫히도록 왕복운동되게 설치되도록 하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쟘플레이트(20') 및 가이드지지브라케트(13)에 고정되게 설치된 슈우가이드부재(14)의 슈우가이드홈(15)에 안내되어 왕복운동되는 도어슈우(31)를 가진 한쌍의 승강장도어(30)와;
    상기 탑승출입구(12)의 상측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길다란 롤러가이드돌기부(41)를 중간부에 구비하고 상,하단부는 상부쟘플레이트(20)와 콘크리트구조물(C)에 각각의 볼트수단(42)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는 롤러왕복가이드수단(40)과;
    상기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 고정부(51a)가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어 기립되게 설치되는 행거플레이트(51) 상,하부에 롤러가이드돌기부(41)에 지지되어 구름운동하는 행거롤러(52) 및 롤러가이드돌기부(41) 하측에 설치되는 보조롤러(53)를 각각 구비하여 승강장도어(30)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행거롤러수단(5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쟘플레이트(20)의 고정편(21) 내측단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곡 된 밀림차단편(111)과, 상기 밀림차단편(111)에서 승강장(1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편(21)과 이동공간부(113)가 형성되게 하는 상승차단편(112)이 승강장도어(30) 상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게 되는 부동이탈방지부(110) 및 상기 승강장도어(30) 상단부에서 볼트수단(5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121) 일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하향절곡편(122)과 상기 하향절곡편(122)에서 승강장도어(30)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동공간부(113)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되는 걸림편(123)이 구비된 이동이탈방지부(120)를 갖는 이탈방지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이탈방지부(120)는 고정편(121) 일단부가 승강장도어(30)의 내면부(32) 쪽으로 밀착되게 절곡되어 고정되는 밀림저지편(12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1020070032169A 2007-04-02 2007-04-02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10088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169A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7-04-02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169A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7-04-02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693A KR20080089693A (ko) 2008-10-08
KR100880570B1 true KR100880570B1 (ko) 2009-01-30

Family

ID=4015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169A KR100880570B1 (ko) 2007-04-02 2007-04-02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5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09Y1 (ko) 2016-10-30 2016-12-08 (주) 한울테크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 상부이탈방지장치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7-01-05 윤호원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230013369A (ko) 2021-07-19 2023-01-26 진범섭 층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919B1 (ko) * 2009-03-23 2009-06-29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도어의 상부이탈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86A (ja) * 1991-02-05 1992-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戸
JPH07144861A (ja) * 1993-11-26 1995-06-0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吊りドアの吊り手取替方法
JPH10316341A (ja) 1997-05-23 1998-12-02 Otis Elevator Co 乗場側ヘッダー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86A (ja) * 1991-02-05 1992-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戸
JPH07144861A (ja) * 1993-11-26 1995-06-06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吊りドアの吊り手取替方法
JPH10316341A (ja) 1997-05-23 1998-12-02 Otis Elevator Co 乗場側ヘッダーの取付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457B1 (ko) 2015-08-17 2017-01-05 윤호원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KR200482009Y1 (ko) 2016-10-30 2016-12-08 (주) 한울테크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 상부이탈방지장치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230013369A (ko) 2021-07-19 2023-01-26 진범섭 층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693A (ko)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502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88057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JP4792241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KR10111116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091550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JP6030209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4162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장치
JP6068602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210563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5697166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JP201300148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敷居溝閉塞装置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JP62716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617209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용 이탈방지장치
JP5981628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1109883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
KR1018537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탈락 방지 장치 및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