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751B1 -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751B1
KR101249751B1 KR1020100003997A KR20100003997A KR101249751B1 KR 101249751 B1 KR101249751 B1 KR 101249751B1 KR 1020100003997 A KR1020100003997 A KR 1020100003997A KR 20100003997 A KR20100003997 A KR 20100003997A KR 101249751 B1 KR101249751 B1 KR 10124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guide groove
separation
d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986A (ko
Inventor
장병원
Original Assignee
성원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원금속(주) filed Critical 성원금속(주)
Priority to KR102010000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7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Elevator door with reinforced derail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에서 승객의 실수나 장난 등에 의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단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써 각종 안전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의 각 층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화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든 승강 장치로서, 대부분의 엘리베이터는 균형추, 케이블과 고정 도르래 장치를 사용해서 전동기로 움직인다.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 케이지가 정지하는 위치에 승강장이 구비되고, 승강장에는 탑승 대기자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대기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승강 케이지가 해당 층에 정위치 되었을 때 승강 케이지에 설치된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개방되어 승객이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도어 레일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수용된 상태로 상부에 설치되는 도어 개폐 제어장치에 의해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슈우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외부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슈우가 직접 굉장히 큰 외력을 받게 되어 도어 레일에 수용되어 있는 슈우가 구부러지거나 슈우를 고정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가 헐거워져 망실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승강통로로 추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심각한 인명 피해 및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하단부에 가이드슈가 구비되어, 이러한 가이드슈 부분이 엘리베이터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옆으로 여닫히게 되는데, 승객의 부주의 또는 장난으로 인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대략 중간 부분이 안쪽 방향(즉, 엘리베이터 케이지 방향)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가이드슈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되므로, 승객이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와는 별도로 건물 각 층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승강장에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단 부분이 도어 레일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안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측 안쪽면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서 후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복수개의 원호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안쪽면(42)에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절곡된 제1비드(22)와, 상기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20)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의해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42)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의 바깥면과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바깥 벽부 사이의 이격 거리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의 안쪽면과 가이드홈의 안쪽 벽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을 도어 패널의 하측에 장착하여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을 이루는 안쪽 벽부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이탈방지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낮추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승강장 위치에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이 크게 변형되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측 부분이 빠지면서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안쪽 벽부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구조라서,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 안쪽 벽부에 이탈방지 브라켓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이 밀리면서 강하게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 부딪히는 높은 충격력이 작용될 여지를 없앤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의 바깥면에 보조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보조 지지부는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이 도어 레일의 가이드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강하게 끼이는 현상(이른바, 잼 현상)을 발생시켜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의 이탈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설치된 상태를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a와 도 15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트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질 때에 이탈방지 브라켓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0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승강장 도어 조립체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사진
도 11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가이드슈 및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1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가이드슈 및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2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2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진
도 13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행거 및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3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행거 및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업트러스트 롤러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a는 안전성 평가 이전의 상부 이탈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15b는 안전성 평가 이후의 상부 이탈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설치된 상태를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이러한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보다 안쪽 벽부(3c)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되도록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이다.
상기 도어 패널(20)은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직각 절곡된 제1비드(22)와, 이러한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 패널(20) 자체의 강도가 보다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된다. 보강패널(70)의 두께는 대략 도어 패널(20)의 2배 정도이다. 이때, 보강패널(70)은 도어 패널(20)의 안쪽면 하부에 직접 접촉되는 평면 보강부(72)와, 이 평면 보강부(72)의 상단부에서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수평 보강부(74)와, 이 수평 지지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상측 보강부(76)를 갖는 구조이다. 이처럼 도어 패널(20)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도어 패널(20)의 안쪽면 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어 패널(20)의 하부 전체의 강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보강패널(70)은 강력 접착제나 접합제 등을 매개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에 부착될 수 있는데, 보강패널(70)의 양단부가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2비드(24)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부착됨으로써, 제1비드(22)와 제2비드(24) 및 보강패널(70) 자체가 연계하여 도어 패널(20)의 강도를 더 보강하게 된다.
상기 도어 패널(20)의 안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더 구비된다. 보강바아(80)는 단면 디귿자형의 채널형 보강부(82)와, 이러한 채널형 보강부(82)의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어 패널(20)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측방 보강부(84)를 갖는 구조로서, 측방 보강부(84)가 강력 접착제 등을 매개로 도어 패널(20)의 안쪽면에 고정된다. 또한, 보강바아(80)의 하단부는 보강패널(70)의 상측 보강부(76) 안쪽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강바아(80) 역시 도어 패널(20)의 자체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보강바아(80)의 하단부측이 보강패널(70)에 접합됨으로 인하여 보강바아(80)와 보강패널(70)의 연계 작동에 의해 도어 패널(20) 자체의 강도를 더욱더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도어 패널(20)의 하부 안쪽면에 고정된다. 도어 패널(20)의 상부 안쪽면에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20)의 하부측 안쪽면 중앙부에는 보강패널(70)의 접합되어 있고, 이러한 보강패널(70)의 평면 보강부(72) 안쪽면에 스페이스 너트(50)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부측 바깥면(44)이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볼트(52)공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스페이스 너트(50)와 볼트(5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도어 패널(20)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서 후방으로 더 들어간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바깥면(44)과 안쪽면(42)을 갖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이다. 도 4 참조.
따라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이루는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 사이의 이격 거리(d)는 대략 0.5mm~1.1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면서도 최대한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근접시켜 설치하는 최적의 이격 거리라 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 브라켓(40)은 보강패널(7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는 도어 패널(20)의 두께에 비하여 대략 5배 내지 7배 정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외부의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충분한 강도로 버틸 수 있는 두께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40)을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장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도어 패널(20) 방향, 즉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충격력이 가해져서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도어 패널(20)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딸려 올라가는데, 상기와 같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이루는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이탈방지 브라켓(4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종래에 비하여 훨씬 낮추어 줄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승강장 위치에서 충격력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 브라켓(40)이 크게 변형되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이탈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측 부분이 빠지면서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은 바닥부(3a)의 앞뒤에 바깥 벽부(3b)와 안쪽 벽부(3c)가 있는 형상인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홈(3)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위치된 상태(다시 말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서 많이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특히 안쪽 벽부(3c)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더 많이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될 여지가 더 많은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있는 구조라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강하게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부딪히는 높은 충격력이 작용될 여지를 없앤 것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를테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근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근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에서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부딪히면 충격력이 그만큼 높아지지만, 어떤 물체와 다른 물체 사이에 떨어진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면 충격력이 그만큼 감쇠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도 어느 정도 휘어지면서 위로 딸려 올라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와 같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밀착되어 있어서 이탈방지 슈유 자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 부분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걸리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 부분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걸리는 이른바 이중 지점에서 걸리는 작용을 하므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이탈되지 않고 버티는 힘이 충분히 클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역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여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거의 꽉차도록 설계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작동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은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서 적절하게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홈(3)의 가운데에 배치되거나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에 위치된 상태라면, 도 5a의 비교예에서와 같이,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도어 패널(20)이 휘어짐과 동시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특히 안쪽 벽부(3c)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되고, 이처럼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힘으로 인하여 충격력이 배가되거나 그 이상이 됨으로써,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더 많이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쉽게 빠질 수 있어 안전성에서 문제가 많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 배치되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 안쪽 벽부(3c)에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밀리면서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에 비하여 가해지는 충격력이 상당히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처럼 충격력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에서 쉽게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안전성 평가 결과를 보여주는데,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안전성 확보 등의 여러 측면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안전성 평가 결과 : Safety Assessment Result>
1. 개요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대하여 KS B EN 81-1 부속서 J의 소프트 팬들럼 시험방법에 따라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하였을 때, 승강장 도어가 이탈없이 견딜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
2. 평가대상
품명 : 승강장 도어 상하부 이탈방지 브라켓이 포함된 승강장 도어 조립체
모델 : SL-33 Type [2매 중앙 개폐식, 유효폭 800mm~1100mm, 유효높이 2000mm~2100mm,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1.5mm, 방범창 없음]
3. 평가기준
승강기검사기준 [기술표준원 고시 제2008-733호(2008.11.7)] 3.1.2(6)④, 3.1.2(6)⑤ 및 3.9항
검사항목 검사기준



3.1.2(6)④
승강장 도어의 조립체는 KS B EN 81-1 부속서 J의 소프트 팬들럼 시험 방법에 따라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하였을 때 도어의 이탈없이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다만, 전망을 목적으로 유효 출입구 면적의 50 % 이상을 접합 유리로 설치하는 경우 운동 에너지를 308J로 적용할 수 있다.
3.1.2(6)⑤ 승강장 도어 가이드슈는 문턱(도어 레일)에 양호하게 맞물려야 한다. 이 확인을 위해 제조사는 3.1.2(6)④에 의한 충격시험시 확인된 승강장 도어 가이드슈와 문턱(도어 레일)의 맞물림 깊이에 대해 검사기관에 제출하여야 한다.
4. 평가결과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 기능의 문틀이 포함된 승강장 도어 조립체에 450J의 운동에너지로 충격을 가했을 때 이탈 없이 견딤.
5. 평가내역
5.1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800mm, 유효높이 2000mm)
5.1.1 평가환경 : 온도 - 20.2℃
습도 - 61.7%
5.1.2 내충격강도 설비
설비명 승강장 도어 규격 충격에너지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 최대 W 5,000×H 3,000 최대 450J
5.1.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
구분 형식
도어개폐장치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승강장 도어

재질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
구조 일반구조(방범창 없음)
규격 유효 폭 800mm, 유효 높이 2000mm
이탈방지 브라켓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가이드슈 최소 묻힘 깊이 : 16mm
시일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7mm 이하
5.1.4 평가 결과
구분 확인항목 결과 사진

충격에 대한 결과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행거레일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시일(문턱)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도 15a~15b




참고결과

가이드슈 묻힘 깊이

닫힘측

17.1mm

17.5mm

-

-
도어레일측 16.5mm 16.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닫힘측

5.6mm

5.4mm

-

-
도어레일측 5.7mm 5.9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닫힘측

0.5mm 이상

-

-

-
도어레일측 0.5mm 이상 - - -
5.2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800mm, 유효높이 2100mm)
5.2.1 평가환경 : 온도 - 23.5℃
습도 - 46.7%
5.2.2 내충격강도 설비
설비명 승강장 도어 규격 충격에너지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 최대 W 5,000×H 3,000 최대 450J
5.2.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
구분 형식
도어개폐장치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승강장 도어

재질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
구조 일반구조(방범창 없음)
규격 유효 폭 800mm, 유효 높이 2100mm
이탈방지 브라켓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가이드슈 최소 묻힘 깊이 : 17mm
시일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5mm 이하
평가 결과
구분 확인항목 결과 사진

충격에 대한 결과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행거레일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시일(문턱)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도 15a~도 15b




참고결과

가이드슈 묻힘 깊이

닫힘측

17.5mm

17.0mm

-

-
도어레일측 18.5mm 18.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닫힘측

5.5mm

5.9mm

-

-
도어레일측 5.2mm 5.5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닫힘측

0.5mm 이상

-

-

-
도어레일측 0.5mm 이상 - - -
5.3 2매 중앙 개폐방식(유효 폭 1100mm, 유효높이 2100mm)
5.3.1 평가환경 : 온도 - 23.6℃
습도 - 48.9%
5.3.2 내충격강도 설비
설비명 승강장 도어 규격 충격에너지
승강장 도어 안전성 평가 설비 최대 W 5,000×H 3,000 최대 450J
5.3.3 승강장 도어 및 승강장 도어 조립체
구분 형식
도어개폐장치 2매 중앙개폐방식 : SL-33 Type
승강장 도어

재질 냉간압연스테인레스강판(STS) : 1.5mm
구조 일반구조(방범창 없음)
규격 유효 폭 1100mm, 유효 높이 2100mm
이탈방지 브라켓 상부 : 도어와 문틀(도어 레일)이 맞물리는 구조
하부 : 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보강대
가이드슈 최소 묻힘 깊이 : 18mm
시일 도어와 도어 레일 틈새 5.7mm 이하
평가 결과
구분 확인항목 결과 사진

충격에 대한 결과


행거롤러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행거레일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3a~
도 14b
가이드슈 이탈 또는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시일(문턱)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이탈방지 브라켓 파손 없음 없음 적합 도 11a~
도 12b, 도 15a~
도 15b




참고결과

가이드슈 묻힘 깊이

닫힘측

18.2mm

18.0mm

-

-
도어레일측 18.5mm 17.5mm - -
도어와 도어레일 틈새

닫힘측

5.5mm

5.7mm

-

-
도어레일측 5.7mm 6.6mm - -
업트러스트 롤러 또는 엑센트릭 롤러

닫힘측

0.5mm 이상

-

-

-
도어레일측 0.5mm 이상 - - -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1)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된다. 이 보조 지지부(60)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두께살을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 바깥면(44)에 블록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볼트(52)를 일정 간격으로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보조 지지부(60)를 일정 간격으로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유는 이물질의 끼임 현상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드 작동 방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최대한 근접되도록 돌출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휘어지는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서 이탈되지 않고 강하게 끼이는 현상(이른바, 잼 현상)을 발생시켜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부의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이탈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므로, 궁극적으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하측부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주요부가 도어 레일(1)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지지부(60)는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이러한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복수개의 원호부(160a,160b,160c)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탈방지 브라켓(40) 자체가 변형되면서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와 바깥 벽부(3b) 두 군데에서 걸리는 경우, 곡률 반경이 다른 원호부(160a,160b 및 160c)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꽉 끼이는 잼 현상의 발생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므로, 이러한 현상 역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더욱더 기여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안쪽면(42)에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이탈방지면(140)은 널링 처리되거나 울퉁 불퉁한 돌기로 처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이탈 방지면은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과의 사이에 마찰을 증가시켜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빠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 역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가 도어 레일(1)에서 이탈되어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 이탈방지면(140)에 의해 이탈방지 브라켓(40)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처리해 주면,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울퉁 불퉁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도어 레일(1)의 안쪽 벽부(3c)(또는 바깥 벽부(3b)) 걸리면서 쉽게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잼현상을 더욱더 원활하게 유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성을 더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는 승강구에 설치된 상하부 도어 레일에 행거와 업트러스트 롤러(또는 엑센트릭 롤러) 등의 지지구조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승강구에 옆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도 10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승강장 도어에 대한 안전성 평가 이전과 평가 이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러한 사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경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이 도어 레일(1)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근절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이탈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임의로 개방됨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근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20. 도어 패널 30. 가이드 슈우
40. 이탈방지 브라켓 50. 스페이스 너트
60. 보조 지지부

Claims (6)

  1.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상기 승강 케이지 방향을 향하는 안쪽면(42)과 상기 승강장 방향을 향하는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상기 승강 케이지와 마주하는 위치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상기 승강장과 마주하는 위치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패널(20) 하부에 구비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바깥면(44)에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에 수용되는 보조 지지부(6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조 지지부(60)는 상기 도어 레일(1)의 상기 가이드홈(3)을 구성하는 상기 바깥 벽부(3b)와 마주하는 면에 곡면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곡면부(16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원호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0)의 양면 중에서 상기 승강 케이지를 향하는 안쪽면 하부측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바깥면(44)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바깥면(44)과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의 상기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상기 안쪽면(42)과 가이드홈(3)의 상기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이탈방지 브라켓(40)이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은 상기 안쪽면(42)에 널링 처리되거나 울퉁 불퉁한 돌기로 처리된 보조 이탈방지면(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20)의 양단부에는 승강 케이지 방향으로 절곡된 제1비드(22)와, 상기 제1비드(22)의 끝단에서 상기 도어 패널(20)과 나란한 방향으로 2차 절곡된 제2비드(24)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패널(20)의 상기 승강 케이지 방향을 향하는 안쪽면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더 두꺼운 보강패널(70)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패널(70)의 상기 승강 케이지 방향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스페이스 너트(50)가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을 관통하는 볼트(52)가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체결되어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스페이스 너트(50)에 의해 상기 보강패널(70)의 안쪽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도어 패널(20)의 상기 승강 케이지 방향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바아(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20100003997A 2010-01-15 2010-01-15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24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ko) 2010-01-15 2010-01-15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ko) 2010-01-15 2010-01-15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86A KR20110083986A (ko) 2011-07-21
KR101249751B1 true KR101249751B1 (ko) 2013-04-10

Family

ID=4492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997A KR101249751B1 (ko) 2010-01-15 2010-01-15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7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96A (ko) 2015-07-07 2017-01-17 박정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충격 보강재
KR20200000958A (ko) 2018-06-26 2020-01-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62B1 (ko) * 2012-07-02 2013-06-28 김정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용 도어 슈 연결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450B1 (ko) * 2007-10-29 2008-04-04 (주)대원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43973Y1 (ko) 2007-07-26 2009-03-31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90110441A (ko) * 2008-04-18 2009-10-22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36946B1 (ko) 2007-11-13 2010-01-15 최경돈 밀림방지장치 및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973Y1 (ko) 2007-07-26 2009-03-31 대성아이디에스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819450B1 (ko) * 2007-10-29 2008-04-04 (주)대원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936946B1 (ko) 2007-11-13 2010-01-15 최경돈 밀림방지장치 및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
KR20090110441A (ko) * 2008-04-18 2009-10-22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196A (ko) 2015-07-07 2017-01-17 박정호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충격 보강재
KR20200000958A (ko) 2018-06-26 2020-01-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86A (ko)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955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CN210824982U (zh) 一种电梯用防坠落装置
KR101747682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101249751B1 (ko)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US8469155B2 (en) Elevator life safety gate
CN210594783U (zh) 一种电梯轿厢防脱装置
US9481551B2 (e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with a transparent balustrade
KR20080086071A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WO2003089357A1 (fr) Dispositif elevateur
JP2006264809A (ja) エレベータのエプロン装置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101693457B1 (ko) 도어가이드슈우 이탈이 방지되는 엘리베이터용 승강장도어
CN212531879U (zh) 一种电梯定位及保护装置
KR102106438B1 (ko)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1826881B1 (ko) 내진성능을 갖춘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선 방지 구조
US8006805B2 (en) Astragal construction
KR10205086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개폐식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352597B1 (ko)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KR10088866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방화도어의 설치구조
CN212559048U (zh) 一种具有挡门装置的货运电梯
US20150060211A1 (en) Fall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20080084104A (ko) 도어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도어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