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958A - 승강장문 조립체 - Google Patents

승강장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958A
KR20200000958A KR1020180073305A KR20180073305A KR20200000958A KR 20200000958 A KR20200000958 A KR 20200000958A KR 1020180073305 A KR1020180073305 A KR 1020180073305A KR 20180073305 A KR20180073305 A KR 20180073305A KR 20200000958 A KR20200000958 A KR 2020000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oor
damper
door
landing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510B1 (ko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승강장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걸림 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장문 및 상기 승강장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문의 이동을 특정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고, 상기 특정 경로에서 이탈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문이 닫힘 근접 거리에 진입할 때 상기 걸림 브라켓과의 걸림을 통해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승강장문 헤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설치된 하나 이상의 댐퍼를 통해 승강장 문의 닫힘 시 속도를 감소시켜 일정한 기준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킬수 있다.

Description

승강장문 조립체 {APPARATUS FOR ELEVATOR PLATFORM DOOR}
본 발명은 승강장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문에 설치된 댐퍼를 통해 승강장문의 닫힘 시 속도를 감소시켜 일정한 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키는 승강장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전과 인구의 도시집중과 같은 사회적 현상으로 고층건물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층건물 건설, 운영, 유지, 보수 및 효율성 증대에 필요한 기술과 제품들의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적 기술로,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엘리베이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고층건물용 초고속 엘리베이터, 전망용 누드 엘리베이터, 초대형 화물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증가를 위한 복수의 카가 행정하는 엘리베이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엘리베이터 운영방법 및 안정성 증가를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제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고층 건물은 상상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발전과 급격한 보급으로 엘리베이터 사건 및 사고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주로 고층 건물에서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사고는 사소한 사고라도 큰 인명피해 및 고층건물 운영에 있어 피해를 발생시킴으로 엘리베이터 안정성 증가를 위한 기술 개발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249751호는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엘리베이터 피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 케이지의 도어와는 별도로 승강구에 직립 설치되는 도어 패널(20)과,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승강구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슈우(30)와, 안쪽면(42)과 바깥면(44)을 갖는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 패널(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레일(1)의 가이드홈(3)에 결합되는 이탈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바깥면(44)과 상기 가이드홈(3)의 바깥 벽부(3b) 사이의 이격 거리(D)에 비하여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의 안쪽면(42)과 상기 가이드홈(3)의 안쪽 벽부(3c)의 이격 거리(d)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상기 이탈방지 브라켓(40)이 상기 도어 패널(2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506416호는 엘리베이터의 카측 도어와 승강장측 도어의 계합을 신속하게 검지하고 가속하기 위해, 엘리베이터의 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카측 도어와, 각 층의 승강장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측 도어와, 카측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전동기와, 카측 도어와 승강장측 도어 사이에 마련되고, 전동기의 개폐 구동에 의한 카측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장측 도어를 개폐 동작하는 계합 장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동기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의 출력과, 상기 전동기의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의 출력을 이용하여, 미리 상기 카측 도어와 승강장측 도어의 계합 전후의 영역을 사전에 계산하는 수단과, 그 계산 결과를 보존하는 기억 수단과, 실제의 도어 개폐시에 얻어지는 상기 회전 검출 수단의 출력 및 상기 토크 검출 수단의 출력과, 상기 기억 수단에 보존된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카측 도어와 승강장측 도어의 계합을 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271024호는 엘리베이터의 진동저감용 가이드 슈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로프인장시브를 안내하는 가이드 슈와 가이드레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발생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주행시 로프인장시브에 심한 요동이 발생하고, 상기 가이드 슈와 가이드레일간의 금속 마찰음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야기하며, 이와 같은 진동과 소음은 상기 로프인장시브의 보상로프를 통하여 카에 전달되어 카의 승차감을 악화시키는 바, 이에 본 발명은 로프인장시브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 상으로 상하 수직 운동을 안내하는 본체와, 그 본체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 1돌출부 및 제 2돌출부로 구성된 가이드 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 내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밀착되도록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패드 및 탄성접촉패드를 결합하여 가이드레일상으로 수직 이동시 로프인장시브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9751호 (2013.03.2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06416호 (2015.03.2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271024호 (2000.06.13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장문에 설치된 댐퍼를 통해 승강장문의 닫힘 시 기준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키는 승강장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 브라켓과 댐퍼의 걸림 결합 전후에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검출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준속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승강장문 조립체는 걸림 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장문 및 상기 승강장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문의 이동을 특정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고, 상기 특정 경로에서 이탈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문이 닫힘 근접 거리에 진입할 때 상기 걸림 브라켓과의 걸림을 통해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승강장문 헤더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는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승강장문의 상기 닫힘 근접 거리를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해 상기 걸림 브라켓과의 걸림을 통한 감쇠력을 생성한다.
[수학식1]
Figure pat00001
x는 상기 닫힘 근접 거리, α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변하는 계수, m는 상기 승강장문의 질량, k는 상기 승강장문을 닫게 하는 스프링 클로저의 탄성계수, x0는 상기 승강장문이 최대 열림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이동중에 상기 댐퍼와 걸리는 지점에서 최대 열림 위치와의 거리 차이, v0는 상기 승강장문의 위치가 x0일 때 상기 승강장문의 속도, t는 상기 승강장문이 상기 걸림 브라켓과 상기 댐퍼와 결합 이후 상기 승강장문이 닫히도록 정해진 시간에 해당한다.
상기 댐퍼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감쇠력을 조절하여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준 속도로 감소시킨다.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걸림의 발생 전에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한다.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승강장문의 열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없앤다.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자동 닫힘 거리에서의 상기 승강장문을 닫히게 하는 별도의 스프링 클로저 장치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장문에 설치된 댐퍼를 통해 승강장문의 닫힘 시 기준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키는 승강장문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걸림 브라켓과 댐퍼의 걸림 결합 전후에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검출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댐퍼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준속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의 닫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의 완전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승강장문(110), 헤더(120), 걸림 브라켓(112), 스프링 클로저(122) 및 댐퍼(130)를 포함한다.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승강기가 이동하는 각 층 승강장에 설치된다.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승강장문(110)을 포함한다. 승강장문(110)은 승강기의 이동 행정에 따라 승강장에 도착한 승강기와 결합하여 별도의 구동장치없이 승강기문의 개폐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스프링 클로저(122)는 승강장문(110)과 승강기가 분리된 경우,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하거나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한다.
승강장문(110)은 걸림 브라켓(112)을 포함한다.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에 결합되어 승강장문(110)의 개폐에 의한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 이동시 같이 이동한다.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과 고정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걸림 브라켓(112)은 닫힘 근접 거리에 따라 조절된 위치로 승강장문(110)에 설치된다. 걸림 브라켓(112)은 탈착이 가능해 적절한 닫힘 근접 리에 따라 위치를 조절하여 승강장문(110)에 설치될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 상단과 레일 방식으로 결합하여 승강장문(110)의 개폐 시 이동을 특정 경로에 따라 가이드하는 홈을 포함한다. 승강장문(110)은 헤더(120)의 레일 홈 부분과 결합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개폐 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홈 및 구름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더(120)는 승강장문(110) 상단 또는 하단과 결합할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개폐시 특정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홈 및 마찰감소를 위한 구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문(110)은 헤더(120)의 레일방식으로 결합하여 개폐시 레일의 홈을 따라 특정경로로 가이드 될 수 있다.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의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이 닫힘 근접거리에 진입할 때 댐퍼(130)와 걸림으로 결합할 수 있다. 댐퍼(130)는 걸림 결합한 걸림 브라켓(112)에 감쇠력을 작용해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를 기준속도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문(110)은 승강기문의 닫힘 시간과 동일하게 닫히도록 닫힘 시간을 정할 수 있다. 스프링 클로저(122)는 승강기문과 승강장문(110)이 결합해제 되거나, 승강장문(110)이 닫힘 근접거리에 진입하면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할 수 있다. 스프링 클로저(112)는 닫힘 근접거리에서부터 탄성력으로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할 수 있다.
닫힘 근접 거리는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1]
Figure pat00002
x는 닫힘 근접 거리, α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변하는 계수, m는 승강장문(110)의 질량, k는 승강장문(110)을 닫게 하는 스프링 클로저(122)의 탄성계수, x0는 승강장문(110)이 최대 열림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이동중에 걸림 브라켓(112)이 댐퍼(130)와 걸림 결합하는 지점에서 최대 열림 위치와의 거리 차이, v0는 승강장문(110)의 위치가 x0일 때 승강장문(110)의 속도, t는 승강장문(110)이 걸림 브라켓(112)과 댐퍼(130)의 결합 이후 승강장문(110)이 닫히도록 정해진 시간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브라켓(112)은 착탈식으로 승강장문(110)과 결합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과 볼트 너트 결합방식, 나사결합방식 및 홈과 소켓결합 방식 등 착탈이 가능하면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결합방식으로 승강장문(112)과 결합할 수 있다. 걸림 브라켓(112)은 착탈이 가능해 닫힘 근접 거리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승강장문(110)과 분리되어 변경된 닫힘 근겁 거리에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승강장문(110)은 닫힘 근접 거리에서부터 댐퍼(130)에 의한 감쇠력을 통해 기준속도 이하로 천천히 닫히는 과정을 진행한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을 측정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헤더(120)는 생성한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댐퍼(130)의 감쇠력을 조절한다. 댐퍼(130)는 헤더(1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감쇠계수가 조절되는 자기전자식 댐퍼(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더(120)는 특정 경로에서 이탈되어 설치된 댐퍼(130)를 포함한다. 댐퍼(130)는 승강장문(110)의 개폐시 닫힘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 브라켓(112)과 걸림방식으로 결합하여 감쇠력을 생성하여 걸림 브라켓(112)에게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개폐시 이동하는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에 따라 댐퍼(130)의 감쇠력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30)는 제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감지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헤더(12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통해 댐퍼(130)의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더(120)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등 이동속도 측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 및 이동방향에 따라 감쇠력을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 문의 닫힘방향으로의 이동에서 이동속도와 승강장문(110)의 완전 닫힘 상태일때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승강장문(110)이 일정한 속도로 닫히게 되는 댐퍼(130)의 감쇠력을 만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더(12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통해 댐퍼(130)의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문(110)은 고층건물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에 의한 밀도 및 압력 차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공기의 유동흐름이 고층건물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되는 현상인 연돌효과로 인해 닫힘 과정에서 승강장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오작동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승강장문(110)이 닫힘 방향으로 이동 중일 때, 연돌현상에 의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닫는 스프링 클로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층 빌딩은 연돌현상를 저감시키기 위해 승강기의 배치를 건물의 가장자리로 하거나, 방풍막 역할을 하는 여러겹의 차폐문을 설계한다. 하지만 승강기 통로를 통한 연돌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적용될 수 없다.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여전히 연돌효과로 인해 닫힘 과정에서 승강장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오작동 문제를 스프링 클로저(122)와 댐퍼(130)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클로저(122)는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닫게 할 때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130)는 이러한 스프링 클로저(122)의 강한 힘에 의한 승강장문(110) 닫힘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닫힘 근접 거리에서 일정한 속도로 승강장문(110)을 닫게 함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클로저(122)가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발생해 강한 힘으로 인해 과속속도로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하는 경우, 승강기 이용자가 순간적으로 닫히는 승강장문(110)을 피하지 못하고 신체 말단 부위가 승강장문(110)에 의해 타격을 입는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헤더(120)는 이러한 승강장문의 정상 속도가 아닌 이상 상황 및 돌발상황에서의 속도를 감지해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더(120)는 이러한 제어 신호를 통해 댐퍼(130)의 감쇠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댐퍼(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쇠계수를 변경하며 승강장문(110)을 일정한 기준속도로 닫히게 만든다. 승강장문(110)의 개폐시 열림방향으로의 이동에는 댐퍼(130)의 감쇠력을 없애는 제어 신호를 생성해 승강장문(110)의 열림방향으로의 이동속도는 감소시키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감쇠계수를 변경하여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강장문(110)이 열림방향이로 이동중이라면 감쇠계수를 “0” 으로 할 수 있다. 댐퍼(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강장문(110)이 닫힘방향으로 이동 중이라면 감쇠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 문 개폐 시, 닫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더(120)의 댐퍼(130)와 걸림 결합하여 감쇠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이 열림 방향으로 이동 중일때는 제어 신호를 생성해 댐퍼(130)의 감쇠력을 “0”으로 만들 수 있다. 댐퍼(130)는 감쇠력이 “0”이 되어 걸림 브라켓(112)에 감쇠력을 전달하지 않고 정해진 열림 속도로 승강장문(110)을 열리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의 닫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승강장문 조립체의 완전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를 보면,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의 닫힘 방향으로의 이동과 함께 헤더(120)가 가이드하는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댐퍼(130)와 걸림 결합을 통해 감쇠력을 제공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 브라켓(112)은 승강장문(110)이 닫힘 근접거리에 진입하면 댐퍼(130)와 걸림으로 결합할 수 있다. 걸림 브라켓(112)은 댐퍼(130)로부터 전달받는 감쇠력으로 승강장문(110)의 닫힘 속도를 기준속도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걸림 브라켓(112)은 댐퍼(130)로부터 전달받는 감쇠력으로 스프링 클로저(122)가 승강장문(110)을 닫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프링 클로저(122)는 승강장문(110)을 닫힘 근접 거리에서 닫히게 하거나, 승강기문과 결합 해제된 상황에서 승강장문(110)을 닫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클로저(122)는 연돌현상에 의한 상승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닫을 수 있다. 스프링 클로저(122)는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닫게 할 때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130)는 이러한 스프링 클로저(122)의 강한 힘에 의한 승강장문(110) 닫힘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닫힘 근접 거리에서 일정한 속도로 승강장문(110)을 닫게 함으로 방지할 수 있다. 헤더(120)는 승강장문(110)의 닫힘 오작동 및 안전사고 발생시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해 댐퍼(130)의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130)는 특정 경로에서 이탈되어 헤더(120)에 설치되어 걸림 브라켓(112) 이외의 다른 구성물과는 접촉되지 않는다. 댐퍼(130)는 헤더(120)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감쇠계수를 조절하는 자기식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130)는 헤더(120)에 설치되거나, 승강장문(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헤더(120)는 걸림 브라켓(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댐퍼(130)는 승강기문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문은 댐퍼(130)와 걸림 브라켓(112)을 포함해 승강장문(110)과 결합해 승강장문(110)의 개폐과정 중 닫힘 시 속도를 감소시켜 일정한 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키는 조절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130)는 자성분산입자를 포함하는 자기유변유체 및 전기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130)는 코일에 전류는 가하면 전류에 의해 부화된 자기장이 자성분산입자를 분극화해, 부하된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섬유질을 형성할 수 있다. 댐퍼(130)는 부하된 자기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생성된 섬유질 자성분산입자를 통해 유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어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댐퍼(130)는 헤더(120)가 생성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된 자기유변유체의 점성을 통해 유압을 조절하여 감쇠계수를 조절할 수 있고, 걸림으로 결합하는 걸림 브라켓(112)에 전달하는 감쇠력을 변경할 수 있다. 댐퍼(130)는 닫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장문(110)의 이동속도를 기준속도 이하로 유지하고 감소된 힘으로 닫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장문(110)이 완전 닫힘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정전 등의 이유로 인하여 승강기문으로부터 결합해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클로저(122)는 순간적인 강한 힘으로 승강장문(110)을 과속속도로 닫는 오작동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댐퍼(130)는 이러한 스프링 클로저(122) 안전사고에 의한 순간적인 과속속도 닫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승강장문 조립체(100)는 승강장문(11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댐퍼(130)를 통해 승강장문(110) 닫힘 시 기준속도 및 감소된 힘으로 닫힘 시키고, 걸림 브라켓(100)과 댐퍼(130) 걸림 결합 발생 전후에 상기 승강장문(110)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여 생성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댐퍼(130)의 감쇠력을 조절하여 승강장문(110) 닫힘 속도를 기준속도로 감소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승강장문 조립체
110: 승강장문 112: 걸림 브라켓
120: 헤더 122: 스프링 클로저
130: 댐퍼

Claims (7)

  1. 걸림 브라켓을 포함하는 승강장문; 및
    상기 승강장문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장문의 이동을 특정 경로를 따라 가이드하고, 상기 특정 경로에서 이탈되어 설치되며 상기 승강장문이 닫힘 근접 거리에 진입할 때 상기 걸림 브라켓과의 걸림을 통해 감쇠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승강장문 헤더를 포함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이동 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승강장문의 상기 닫힘 근접 거리를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결정해 상기 걸림 브라켓과의 걸림을 통한 감쇠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수학식1]
    Figure pat00003

    x는 상기 닫힘 근접 거리, α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변하는 계수, m는 상기 승강장문의 질량, k는 상기 승강장문을 닫게 하는 스프링 클로저의 탄성계수, x0는 상기 승강장문이 최대 열림 상태에서 닫힘 방향으로 이동중에 상기 걸림 브라켓이 상기 댐퍼와 걸림 결합하는 지점에서 최대 열림 위치와의 거리 차이, v0는 상기 승강장문의 위치가 x0일 때 상기 승강장문의 속도, t는 상기 승강장문이 상기 걸림 브라켓과 상기 댐퍼와 결합 이후 상기 승강장문이 닫히도록 정해진 시간에 해당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감쇠력을 조절하여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준 속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걸림의 발생 전에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승강장문의 닫힘 속도를 기초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승강장문의 열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댐퍼의 감쇠력을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문 헤더는
    상기 자동 닫힘 거리에서의 상기 승강장문을 닫히게 하는 별도의 스프링 클로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문 조립체.
KR1020180073305A 2018-06-26 2018-06-26 승강장문 조립체 KR10213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305A KR102130510B1 (ko) 2018-06-26 2018-06-26 승강장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305A KR102130510B1 (ko) 2018-06-26 2018-06-26 승강장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958A true KR20200000958A (ko) 2020-01-06
KR102130510B1 KR102130510B1 (ko) 2020-07-06

Family

ID=6915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305A KR102130510B1 (ko) 2018-06-26 2018-06-26 승강장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70A (ja) * 1991-12-03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錠装置
KR19990016954A (ko) * 1997-08-20 1999-03-15 이종수 엘리베이터 도어의 진동방지장치
KR100271024B1 (ko) 1998-02-21 2000-11-01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진동저감용 가이드 슈
KR20100008836U (ko) * 2009-02-27 2010-09-06 신양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개폐장치
KR101249751B1 (ko) 2010-01-15 2013-04-10 성원금속(주)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506416B1 (ko) 2011-01-06 2015-03-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시스템
WO2017013234A1 (de) * 2015-07-21 2017-01-26 Inventus Engineering Gmbh Türkomponente mit einer steuerbaren dämpfereinrichtu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570A (ja) * 1991-12-03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錠装置
KR19990016954A (ko) * 1997-08-20 1999-03-15 이종수 엘리베이터 도어의 진동방지장치
KR100271024B1 (ko) 1998-02-21 2000-11-01 장병우 엘리베이터의 진동저감용 가이드 슈
KR20100008836U (ko) * 2009-02-27 2010-09-06 신양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개폐장치
KR101249751B1 (ko) 2010-01-15 2013-04-10 성원금속(주)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506416B1 (ko) 2011-01-06 2015-03-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 시스템
WO2017013234A1 (de) * 2015-07-21 2017-01-26 Inventus Engineering Gmbh Türkomponente mit einer steuerbaren dämpf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510B1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80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losing doors of an elevator of a multi-car elevator shaft system
AU2007285644B2 (en) Elevator system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US8371420B2 (en) Elevator system for reducing collision shock
US20110011681A1 (en) Elevator system
KR10090930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605526B1 (ko) 승강형 구조체용 제동 시스템 및 승강형 구조체 제동 제어 방법
JP4975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200130985A1 (en) Elevator system
WO2012165179A1 (ja) 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9353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922090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80041175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70055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장치
CN108778973B (zh) 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80042314A (ko) 엘리베이터 조절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방법
CN110510487B (zh) 用于电梯系统的区域对象检测系统
KR20200000958A (ko) 승강장문 조립체
US11345570B2 (en) Electronic safety actuator electromagnetic guidance
US7377363B2 (en) Elevator with variable drag for car and counterweight
JP2012012226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76323A1 (en) Elevator with variable drag for car and counterweight
RU217546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721708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クローザー装置
JP3614154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