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438B1 -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438B1
KR102106438B1 KR1020190116786A KR20190116786A KR102106438B1 KR 102106438 B1 KR102106438 B1 KR 102106438B1 KR 1020190116786 A KR1020190116786 A KR 1020190116786A KR 20190116786 A KR20190116786 A KR 20190116786A KR 102106438 B1 KR102106438 B1 KR 10210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aight
rail
connecting shaf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동민
Original Assignee
차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민 filed Critical 차동민
Priority to KR102019011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3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moving along slide-ways so arranged that one guide-member of the wing move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of another guid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일반생활 및 사업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이동 중에 환경미화원의 승차공간을 외부로부터 폐쇄하고, 정차 시에 환경미화원이 하차할 수 있도록 승차공간을 개방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 내 승차공간 2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과, 상기 문짝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축 및 제2 연결축이 포함된 연결축부, 및 상기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문짝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1 연결축이 결합된 직선 레일과 상기 제2 연결축이 결합된 호선 레일이 포함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스윙도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미화원이 승차석의 2열에서 신속히 하차하거나, 승차석의 2열로 신속히 승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GARBAGE COLLECTION VEHICLES WITH SWING DOORS}
본 발명은 쓰레기를 수거하는 환경미화원의 승차공간을 개폐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생활 및 사업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이동 중에 환경미화원의 승차공간을 외부로부터 폐쇄하고, 정차 시에 환경미화원이 하차할 수 있도록 승차공간을 개방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나 아파트, 학교, 음식점, 병원 등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쓰레기의 경우, 매립지나 소각장 등의 처분장소로 운반하여 적절하게 처리/처분할 수 있도록 쓰레기가 발생하는 각 장소를 이동하며,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쓰레기 수거차량을 사용한다.
이러한 일반생활 및 사업장 쓰레기 수거차량은 쓰레기가 발생하는 장소마다 비치된 쓰레기 보관공간으로부터 쓰레기를 일정한 적재용량까지 수거할 수 있는 수거용 적재함을 후방에 장착한다.
예컨대, 쓰레기 수거차량은 후면에 쓰레기 투입구를 구비하여 차량 후측에 쓰레기를 투입하여 적재시키는 파커를 설치하고, 후부에서 쓰레기를 투입하면 파커의 회전판과 밀판작동에 의해서 쓰레기가 적재함으로 적재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 시 발생하는 오수는 하부에서 침출수를 받아 저장하는 수분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작업환경에 따라 쓰레기를 용기에 담아서 별도로 설치한 리프트장치로 상차할 수도 있으며, 음식물수거 쓰레기 수거시는 용기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차량 측면에 설치된 빈리프트를 사용하여 적재함 상부투입구로 상차시킬 수도 있다. 차량은 덤핑배출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적재함 내측에 배출판을 설치하여 유압과 전기식 작동으로 적재된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구조로 제작되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쓰레기 수거차량은 환경미화원의 탑승 공간이 운전석 측면으로 높고, 운전자를 제외한 2명이 순서대로 탑승하여야 하는 구조이므로, 운전자를 제외한 환경미화원의 승하차 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대개는 근거리 이동시 차량 후미에 매달려 탑승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쓰레기 수거차량의 후면에 설치된 발판에 매달려 이동할 때나 내려올 때 환경미화원이 다치는 상황히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환경부에 따르면 2015년부터 최근 3년 동안 안전사고를 당한 환경미화원은 사망 18명, 부상 1804명 등 모두 1822명이나 달했으며, 안전사고 중 37%가량은 청소차 발판에 매달려 이동할 때나 내려올 때 추락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2972호(2019.07.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2973호(2019.07.2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5225호(2018.05.2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2149호(2005.09.2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생활 및 사업장 쓰레기 수거차량의 이동 중에 환경미화원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승차석 2열에 안정적인 승차공간을 제공하고, 정차 시에 환경미화원이 신속히 승하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윙도어는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 내 승차공간 2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과, 상기 문짝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축 및 제2 연결축이 포함된 연결축부, 및 상기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문짝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1 연결축이 결합된 직선 레일과 상기 제2 연결축이 결합된 호선 레일이 포함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석의 1열 뿐만 아니라 승차석의 2열에 환경미화원이 탑승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승차공간이 마련되므로, 쓰레기 수거장소 사이를 이동할 때 환경미화원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스윙도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환경미화원이 승차석의 2열에서 신속히 하차하거나, 승차석의 2열로 신속히 승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중간이 접히는 방식의 스윙도어를 사용하는 대신 승차공간의 전면이나 후면으로 이동하는 스윙도어를 사용하므로, 승차공간의 출입구를 최대의 크기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경미화원이 승하차 시에 스윙도어와 부딪쳐서 다치거나 스윙도어가 파손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도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이하, '쓰레기 수거차량'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윙도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탑승자가 캐빈(200) 내의 2열을 통해 승하차할 수 있도록 2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110)과, 상기 문짝(110)에 설치되는 제1 연결축(121)과 제2 연결축(122)이 포함된 연결축부, 및 상기 문짝(1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며 직선 레일(130)과 호선 레일(135)이 포함된 가이드레일(130,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캐빈(200)은 운전자와 환경미화원이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공간으로, 운전석과 조수석이 1열에 형성되며, 쓰레기 수거차량이 쓰레기 수거장소 사이를 이동할 때 환경미화원이 임시적으로 승차할 수 있는 승차공간이 2열에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스윙도어(100)는 2열의 일측 출입구를 개폐하는 문짝(110)과 함께 2열의 타측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문짝(150)과, 상기 제2 문짝(15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레일(160), 및 상기 제2 문짝(150)이 제2 가이드레일(16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문짝(150)을 제2 가이드레일(160)에 거치시키는 제5 연결축(161) 및 제6 연결축(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에는, 전술한 문짝(110)은 제2 문짝(150)과 구분하기 위해 제1 문짝으로, 전술한 가이드레일(130,135)은 제2 가이드레일과 구분하기 위해 제1 가이드레일로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은 캐빈(200) 내의 2열의 중앙에 엔진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보호박스(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박스(300)의 내부에는 엔진의 상부에 필터링된 공기를 엔진에 제공하는 에어클리너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캐빈(200)의 2열에는 제1 문짝(110)을 통해 캐빈(200) 내로 진입한 환경미화원이 탑승할 제1 공간이 마련되고, 제2 문짝(150)을 통해 캐빈(200) 내로 진입한 환경미화원이 탑승할 제2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보호박스(300)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구분되도록 제1 공간과 제2 공간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1 문짝(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문짝(110)은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200) 내 승차공간의 2열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문짝(110)은 출입구의 형태에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구조물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1 문짝(110)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2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캐빈(2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출입구와의 사이에서 빈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 좌우 너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문짝(110)은 외형틀과 외형틀의 내부에 설치된 투명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형틀은 상부프레임과 제1 측벽프레임과 제2 측벽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직육면체형의 블록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제1 장식판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부프레임을 마주보도록 2열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직육면체형의 블록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제2 장식판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때, 제2 장식판 삽입홈은 제1 장식판 삽입홈을 마주보도록 하부프레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벽프레임은 직육면체형의 블록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우측에 제3 장식판 삽입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측벽프레임은 상부프레임의 좌측말단과 하부프레임의 좌측말단 사이에 설치되도록 2열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측벽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짝(110)이 2열의 출입구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캐빈(20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제1 문짝(110)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측벽프레임은 제1 측벽프레임을 마주보도록 2열의 출입구에 설치되고, 직육면체형의 블록 구조를 가지며, 길이방향을 따라 좌측에 제4 장식판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때, 제4 장식판 삽입홈은 제3 장식판 삽입홈을 마주보도록 제2 측벽프레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측벽프레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짝(110)이 2열의 출입구에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캐빈(20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빈 공간은 제1 문짝(110)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판은 캐빈(200)의 2열에서 외부를 바라볼 수 있도록 투명한 강화유리나 투명한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단이 제1 장식판 삽입홈에 내삽되며, 하단이 제2 장식판 삽입홈에 내삽되고, 좌측이 제3 장식판 삽입홈에 내삽되며, 우측이 제4 장식판 삽입홈에 내삽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측벽프레임이나 제2 측벽프레임 또는 투명판에는 환경미화원의 외력을 제1 문짝(110)에 전달하는 손잡이(11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문짝(110)은 직사각형의 패널 구조를 갖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연결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부는 제1 문짝(110)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문짝(110)과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연결하는 것으로, 제1 문짝(110)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축(121) 및 제2 연결축(122)이 포함된다. 이러한 연결축부는 제1 문짝(110)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130,135)이 2열의 천장에만 설치되면 연결축부는 제1 문짝(1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때, 연결축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축(121)은 도 2와 같이 제1 문짝(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연결축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축(122)은 제1 문짝(110) 전면의 상부나 제1 문짝(11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연결축(122)은 직선 레일(130)에 안착되는 제1 연결축(121)과 달리 호선 레일(135)에 안착되므로, 제1 문짝(110)의 상면 대신 제1 문짝(1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축(121)은 제1 문짝(110) 상면의 좌측 말단에 설치되며, 제2 연결축(122)은 제1 문짝(110)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우측 말단에서부터 전체 길이의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정도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다. 이는, 제1 연결축(121)이 직선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때, 제2 연결축(122)이 직선 레일(130)에 인접한 호선 레일(135)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130,135)이 2열의 바닥에만 설치되면 연결축부는 제1 문짝(110)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때, 연결축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축(121)은 제1 문짝(110) 하면의 좌측에 설치되며, 연결축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축(122)은 제1 문짝(110) 전면의 하부나 제1 문짝(110) 후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축(121)은 제1 문짝(110) 하면의 좌측 말단에 설치되며, 제2 연결축(122)은 제1 문짝(110)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우측 말단에서부터 전체 길이의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정도 이격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가이드레일(130,135)이 2열의 천정과 바닥에 각각 설치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부는 제1 연결축(121)과 제2 연결축(122)과 제3 연결축(123) 및 제4 연결축(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축(121)은 제1 문짝(110) 상면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연결축(122)은 제1 연결축(121)으로부터 이격된 제1 문짝(110) 전면의 상부나 제1 문짝(11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3 연결축(133)은 제1 문짝(110) 하면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4 연결축(134)은 제3 연결축(133)으로부터 이격된 제1 문짝(110) 전면의 하부나 제1 문짝(110) 후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4 연결축(134)은 제2 연결축(132)과 같이, 제1 문짝(110)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우측 말단에서부터 전체 길이의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정도 이격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연결축부를 구성하는 각 연결축에는 제1 가이드레일(130,135)과의 사이에 볼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볼베어링은 각 연결축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제1 문짝(110)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연결축(131)과 제2 연결축(132)은 그 측면에 2개의 볼베어링이 설치되며, 제1 문짝(110)의 하단에 설치된 제3 연결축(133)과 제4 연결축(134)은 그 측면에 2개의 볼베어링이 설치되고 그 하면에 1개의 볼베어링이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1 가스켓(142) 및 제2 가스켓(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켓(142)은 제1 문짝(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문짝(110)의 선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제1 문짝(110)의 선단과 캐빈(20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스켓(142)은 상부프레임과 제1 측벽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좌측에 형성된 빈 공간을 밀폐시킨다. 이러한 제1 가스켓(142)은 제1 문짝(110)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캐빈(200)과 접촉되어 휘어질 수 있도록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가스켓(144)은 제1 문짝(11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문짝(110)의 후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제1 문짝(110)의 후단과 캐빈(200)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가스켓(144)은 상부프레임과 제2 측벽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우측에 형성된 빈 공간이 밀폐시킨다. 이러한 제2 가스켓(144)은 제1 문짝(110)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캐빈(200)과 접촉되어 휘어질 수 있도록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135)은 상기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문짝(110)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문짝(1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은 제1 연결축(121)이 결합된 직선 레일(130)과 제2 연결축(122)이 결합된 호선 레일(135)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선 레일(130)과 호선 레일(135)은 제1 문짝(110)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2열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된 밑판과, 상기 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밑판의 양측 말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2 측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측판은 연결축의 지름의 길이만큼 제1 측판으로부터 이격된다. 필요에 따라, 제1 연결축(121)과 제2 연결축(122)에 볼베어링이 설치된 경우, 제2 측판은 연결축의 지름과 볼베어링의 두께를 합친 길이만큼 제1 측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예컨대, 2열의 천장에 설치된 직선 레일(130)과 호선 레일(135)은 각각 그 상하 단면이 "
Figure 112019097022802-pat00001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2열의 바닥에 설치된 직선 레일(130)과 호선 레일(135)은 각각 그 상하 단면이 "
Figure 112019097022802-pat00002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선 레일(130)은 승차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호선 레일(135)은 출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이때, 직선 레일(130)은 직선 구조로 형성되며, 호선 레일(135)은 호선 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선 레일(135)은 출입구를 따라 구비된 제1 직선 구간(136)과, 상기 직선 레일(130)을 따라 직선 레일(130)의 측면에 구비된 제2 직선 구간(137), 및 상기 제1 직선 구간(136)과 제2 직선 구간(137)을 연결하도록 제1 직선 구간(136)과 제2 직선 구간(137) 사이에 구비된 호선 구간(1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직선 구간(136)은 출입구를 따라 직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2 연결축(122)이 제1 직선 구간(136)에 도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짝(110)이 출입구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2 직선 구간(137)은 직선 레일(130)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2 연결축(122)이 제2 직선 구간(137)에 도달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짝(110)이 출입구를 개방한다.
또한, 제2 직선 구간(137)은 제1 직선 구간(136)의 연장선에 90도의 내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1 직선 구간(136)이 승차공간의 전면을 따라 구비되면 개방된 제1 문짝(110)은 승차공간의 전면으로 이동하며, 제1 직선 구간(136)이 승차공간의 후면을 따라 구비되면 개방된 제1 문짝(110)은 승차공간의 후면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직선 레일(130)이 승차공간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면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직선 레일(130)과 마주보는 승차공간의 후면에 접이식 의자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직선 레일(130)이 승차공간의 후면을 따라 설치되면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직선 레일(130)과 마주보는 승차공간의 전면에 접이식 의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접이식 의자가 직선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제1 문짝(11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스위치(미도시) 및 공압실린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쓰레기 수거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나 운전자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캐빈(200) 내의 운전석 주변에 설치되거나 2열에 탑승한 환경미화원이 조작할 수 있도록 스윙도어(100) 주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스윙도어(100)에 설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위치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1 스위치와 2열에 탑승한 환경미화원이 조작할 수 있는 제2 스위치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스위치는 스윙도어(100) 주변에 설치되거나, 또는 스윙도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는 캐빈(200) 내의 승차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제1 문짝(110)에 연결되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1 문짝(110)의 제1 연결축(121)을 직선 레일(130)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공압실린더는 승차공간의 전방으로 제1 문짝(1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차공간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승차공간의 후방으로 제1 문짝(1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승차공간의 후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공압실린더는 피스톤로드의 말단이 제1 문짝(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제1 문짝(110)을 승차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잡아당기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승차공간의 전면에 설치된 공압실린더는 스위치로부터 제1 문짝(110)의 개방신호가 입력되면 도 4와 같이 제1 문짝(110)의 좌측면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잡아당겨 제1 문짝(110)을 승차공간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공압실린더는 스위치로부터 제1 문짝(110)의 폐쇄신호가 입력되면 제1 문짝(110)의 좌측면에 연결된 피스톤로드를 돌출시켜 제1 문짝(110)을 따라 승차공간의 출입구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금속원판(미도시) 및 자석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원판은 2열의 출입구를 폐쇄시킨 스윙도어(100)가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고정력을 제공해 주시는 것으로, 제1 문짝(110)으로부터 대향된 각 연결축의 말단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금속원판은 전술한 제1 연결축(121)과, 제2 연결축(122)과, 제3 연결축(123), 및 제4 연결축(124)의 말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자석판은 상기 2열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문짝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금속원판에 접촉되도록 제1 가이드레일(130,135)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연결축(121)에 접촉되도록 출입구에 인접한 직선 레일의 말단에 구비되며, 제2 연결축(122)에 접촉되도록 호선 구간에 이격된 제1 직선 구간의 말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석판은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연결축이 지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당김력을 제공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연결축이 제1 가이드레일(130,135)을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연결축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러한 자석판은 네오디뮴(neodymium)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2 문짝(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문짝(150)은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200) 내 승차공간의 2열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중 제1 문짝(110)이 개폐한 출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한 개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문짝(150)은 출입구의 형태에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구조물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제2 문짝(150)은 전술한 제1 문짝(110)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3 가스켓 및 제4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15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문짝(150)의 선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제1 측벽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좌측에 형성된 빈 공간이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3 가스켓은 제2 문짝(150)이 제2 가이드레일(170,175)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캐빈(200)과 접촉되어 휘어질 수 있도록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가스켓은 제2 문짝(15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문짝(150)의 선단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과 제2 측벽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우측에 형성된 빈 공간이 밀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가스켓은 제2 문짝(150)이 제2 가이드레일(170,175)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에 캐빈(200)과 접촉되어 휘어질 수 있도록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5 연결축(161) 및 제6 연결축(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6 연결축(161,162)은 제2 문짝(150)에 설치되고 제2 가이드레일(170,175)에 안착되어 제2 가이드레일(170,175)을 따라 제2 문짝(15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2 문짝(150)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된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가이드레일(170,175)이 2열의 천장에만 설치되면 제5,6 연결축(161,162)은 제1 문짝(1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5 연결축(161)은 도 2와 같이 제2 문짝(15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6 연결축(162)은 제2 문짝(150) 전면의 상부나 제2 문짝(15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6 연결축(162)은 제2 직선 레일(170)에 안착되는 제5 연결축(161)과 달리 제2 호선 레일(175)에 안착되므로, 제2 문짝(150)의 상면 대신 제2 문짝(15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5 연결축(161)은 제2 문짝(150) 상면의 좌측 말단에 설치되며, 제6 연결축(162)은 제2 문짝(150)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우측 말단에서부터 전체 길이의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정도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다. 이는, 제5 연결축(161)이 제2 직선 레일(170)을 따라 이동할 때, 제6 연결축(162)이 제2 직선 레일(170)에 인접한 제2 호선 레일(175)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가이드레일(170,175)이 2열의 바닥에만 설치되면 제5,6 연결축(161,162)은 제2 문짝(150)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때, 제5 연결축(161)은 제2 문짝(150) 하면의 좌측에 설치되며, 제6 연결축(162)은 제2 문짝(150) 전면의 하부나 제2 문짝(150) 후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5 연결축(161)은 제2 문짝(150) 하면의 좌측 말단에 설치되며, 제6 연결축(162)은 제2 문짝(150)의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우측 말단에서부터 전체 길이의 1/4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3 정도 이격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가이드레일(170,175)이 2열의 천정과 바닥에 각각 설치되면 제2 문짝(150)에는 제5 연결축(161)과 제6 연결축(162)뿐만 아니라 제7 연결축 및 제8 연결축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 연결축(161)은 제2 문짝(150) 상면의 좌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6 연결축(162)은 제5 연결축(161)으로부터 이격된 제2 문짝(150) 전면의 상부나 제2 문짝(15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되면, 상기 제7 연결축은 제2 문짝(150) 하면의 좌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8 연결축은 제7 연결축으로부터 이격된 제2 문짝(150) 전면의 하부나 제2 문짝(150) 후면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윙도어(100)는 제2 가이드레일(170,17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드레일(170,175)은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 문짝(150)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문짝(15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한다. 이를 위해, 제2 가이드레일(170,175)은 제5 연결축(161)이 결합된 제2 직선 레일(170)과 제6 연결축(162)이 결합된 제2 호선 레일(175)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직선 레일(170)과 제2 호선 레일(175)은 제2 문짝(150)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2열의 바닥이나 천장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된 밑판과, 상기 밑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밑판의 양측 말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2 측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과 제2 측판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축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측판은 연결축의 지름의 길이만큼 제1 측판으로부터 이격된다. 필요에 따라, 제5 연결축(161)과 제6 연결축(162)에 볼베어링이 설치된 경우, 제2 측판은 연결축의 지름과 볼베어링의 두께를 합친 길이만큼 제1 측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예컨대, 2열의 천장에 설치된 제2 직선 레일(170)과 제2 호선 레일(175)은 각각 그 상하 단면이 "
Figure 112019097022802-pat00003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2열의 바닥에 설치된 제2 직선 레일(170)과 제2 호선 레일(175)은 각각 그 상하 단면이 "
Figure 112019097022802-pat00004
"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직선 레일(170)은 승차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2 호선 레일(175)은 출입구를 따라 설치된다. 이때, 제2 직선 레일(170)은 직선 구조로 형성되며, 제2 호선 레일(175)은 호선 구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호선 레일(175)은 도 2와 같이 출입구를 따라 구비된 제3 직선 구간(176)과, 상기 제2 직선 레일(170)을 따라 제2 직선 레일(170)의 측면에 구비된 제4 직선 구간(177), 및 상기 제3 직선 구간(176)과 제4 직선 구간(177)을 연결하도록 제3 직선 구간(176)과 제4 직선 구간(177) 사이에 구비된 제2 호선 구간(17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직선 구간(176)은 출입구를 따라 직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6 연결축(162)이 제3 직선 구간(176)에 도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문짝(150)이 출입구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4 직선 구간(177)은 제2 직선 레일(170)을 따라 직선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6 연결축(162)이 제4 직선 구간(177)에 도달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문짝(150)이 출입구를 개방한다.
또한, 제4 직선 구간(177)은 제3 직선 구간(176)의 연장선에 90도의 내각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3 직선 구간(176)이 승차공간의 전면을 따라 구비되면 개방된 제2 문짝(150)은 승차공간의 전면으로 이동하며, 제3 직선 구간(176)이 승차공간의 후면을 따라 구비되면 개방된 제2 문짝(150)은 승차공간의 후면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제2 직선 레일(170)이 승차공간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면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제2 직선 레일(170)과 마주보는 승차공간의 후면에 접이식 의자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직선 레일(170)이 승차공간의 후면을 따라 설치되면 본 발명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제2 직선 레일(170)과 마주보는 승차공간의 전면에 접이식 의자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접이식 의자가 제2 직선 레일(170)을 따라 이동하는 제2 문짝(15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스윙도어 110 : 제1 문짝
112 : 손잡이 121 : 제1 연결축
122 : 제2 연결축 123 : 제3 연결축
124 : 제4 연결축 130 : 직선 레일
135 : 호선 레일 136 : 제1 직선 구간
137 : 제2 직선 구간 138 : 제1 호선 구간
142 : 제1 가스켓 144 : 제2 가스켓 1
150 : 제2 문짝 161 : 제5 연결축
162 : 제6 연결축 170 : 제2 직선 레일
175 : 제2 호선 레일 176 : 제3 직선 구간
177 : 제4 직선 구간 178 : 제2 호선 구간
200 : 캐빈 300 : 보호박스

Claims (7)

  1.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스윙도어는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 내 승차공간 2열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1 문짝;
    상기 제1 문짝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축 및 제2 연결축;
    상기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문짝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문짝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1 연결축이 결합되며 상기 승차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설치된 직선 레일과 상기 제2 연결축이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를 따라 설치된 호선 레일이 포함된 제1 가이드레일;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캐빈 내 승차공간의 2열에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중 상기 제1 문짝이 개폐한 출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한 개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제2 문짝;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되는 제5 연결축 및 제6 연결축;
    상기 승차공간 2열의 바닥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문짝이 승차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문짝의 이동경로를 가이드 하며, 상기 제5 연결축이 결합되며 상기 승차공간의 전면 또는 후면을 따라 설치된 제2 직선 레일과 상기 제6 연결축이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를 따라 설치된 제2 호선 레일이 포함된 제2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호선 레일은 상기 출입구를 따라 구비된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직선 레일을 따라 직선 레일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의 연장선에 90도의 내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직선 구간, 및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제2 직선 구간을 연결하도록 제1 직선 구간과 제2 직선 구간 사이에 구비된 호선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호선 레일은 출입구를 따라 구비된 제3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직선 레일을 따라 제2 직선 레일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직선 구간의 연장선에 90도의 내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4 직선 구간, 및 상기 제3 직선 구간과 제4 직선 구간을 연결하도록 제3 직선 구간과 제4 직선 구간 사이에 구비된 제2 호선 구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문짝의 선단에 부착되는 제1 가스켓; 및
    상기 문짝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문짝의 후단에 부착되는 제2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쓰레기 수거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나 운전자의 신호를 입력받는 스위치;
    상기 승차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문짝에 연결되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축을 직선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공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축은 문짝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연결축은 문짝 전면의 상부나 문짝 후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축은 각각 문짝으로부터 대향된 말단에 금속원판이 구비되며,
    상기 2열의 출입구를 폐쇄하는 문짝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금속원판에 접촉되도록 가이드레일에 설치된 자석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0190116786A 2019-09-23 2019-09-23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KR10210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86A KR102106438B1 (ko) 2019-09-23 2019-09-23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86A KR102106438B1 (ko) 2019-09-23 2019-09-23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438B1 true KR102106438B1 (ko) 2020-05-06

Family

ID=7073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86A KR102106438B1 (ko) 2019-09-23 2019-09-23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3B1 (ko) * 2022-04-18 2023-01-19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8453A (en) * 1925-09-08 1928-07-24 Welch Mfg Company Door structure for display cabinets
KR200311315Y1 (ko) * 2002-12-06 2003-04-26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화장실 부스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설치 구조
KR20050092149A (ko) 2004-03-15 2005-09-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윙도어식 승합차량용 보조발판
JP5015483B2 (ja) * 2006-04-04 2012-08-2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扉装置
KR20180055225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윙도어 스탠션 장치
KR102002972B1 (ko) 2019-02-21 2019-07-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폐기물 수집 운반차량
KR102002973B1 (ko) 2019-02-21 2019-07-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저상형 트럭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8453A (en) * 1925-09-08 1928-07-24 Welch Mfg Company Door structure for display cabinets
KR200311315Y1 (ko) * 2002-12-06 2003-04-26 주식회사 범산시스텍 화장실 부스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설치 구조
KR20050092149A (ko) 2004-03-15 2005-09-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윙도어식 승합차량용 보조발판
JP5015483B2 (ja) * 2006-04-04 2012-08-2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扉装置
KR20180055225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윙도어 스탠션 장치
KR102002972B1 (ko) 2019-02-21 2019-07-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폐기물 수집 운반차량
KR102002973B1 (ko) 2019-02-21 2019-07-23 세화자동차주식회사 후방 저상형 트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283B1 (ko) * 2022-04-18 2023-01-19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WO2023204360A1 (ko) * 2022-04-18 2023-10-26 (주)더그리트 도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789A (en) Overhead security door
US10479665B2 (en) Goods movement apparatus
KR102106438B1 (ko) 스윙도어가 설치된 쓰레기 수거차량
WO2012126619A1 (de) Lift mit minimaler schachtkopfhöhe und mit permanentem schutzraum
CN207774558U (zh) 一种电梯用安全轿厢
DE102006045499A1 (de) Fahrkorbschürze mit Sicherheitsfunktion
KR101249751B1 (ko)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US5878803A (en) Goods-handling door
CN107487698A (zh) 间隙保护装置
WO2020086500A1 (en) Safety gate for loading dock
CN2460488Y (zh) 封闭式垃圾贮运装置
JP4336347B2 (ja) 乗降場用風防壁
CN101144334A (zh) 井架防护门常闭装置
JP2593650Y2 (ja) ゴミ搬送装置
CN113605823B (zh) 一种站台门活动门结构
KR10176474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문 조립체의 상부 이탈방지구조
CN216945762U (zh) 一种带有安全预警功能的轿厢
JPH03297701A (ja) 高層建物用ダムウエイターの移載装置
US20230031513A1 (en) Emergency Front Door For Pneumatically-Propelled Vehicles On An Elevated Track
CN219259266U (zh) 一种安全罐笼
JPS61500018A (ja) 輸送物品用移送装置
CN115676564A (zh) 一种电梯的自动化转运装置
CN218759088U (zh) 一种基于地坑式智能立体车库的人车防坠系统
CA2171311A1 (en) A goods-handling door
KR101811535B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