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035B1 -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035B1
KR102214035B1 KR1020190122862A KR20190122862A KR102214035B1 KR 102214035 B1 KR102214035 B1 KR 102214035B1 KR 1020190122862 A KR1020190122862 A KR 1020190122862A KR 20190122862 A KR20190122862 A KR 20190122862A KR 102214035 B1 KR102214035 B1 KR 102214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guide shoe
platform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희
Original Assignee
윤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희 filed Critical 윤병희
Priority to KR1020190122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이탈이 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며, 문턱에 홈이 없는 평평한 구조로 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승강기 또는 승강장에 좌우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공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턱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문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의 하단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슈; 상기 가이드슈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문틀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문틀의 측방향을 통해 상기 가이드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Door Of Elevator Or Boarding Gate Having Function Of Prevent Separation}
본 발명은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이탈이 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며, 문턱에 홈이 없는 평평한 구조로 하여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복층 이상의 건축물에는 승강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고, 승강기는 현대인의 생활에서 편리한 운송수단이다. 승강기는 어린이부터 고령자까지 불특정 다수가 탑승하는 편리한 수직 운송수단인 만큼 위험한 설비이기도 하다. 승강기 자체의 고장 및 외부의 요인에 의해서 큰 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승강장문은 승강기가 출발한 이후에는 탑승장 공간과 승강기가 주행하는 승강로 사이에는 승강장문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탑승장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외부 충격의 위협으로부터 무방비 상태에 놓여있다. 그래서 대기자는 승강로 내부의 상황을 알 수 없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승강기검사기준에도 "승강장문의 조립체는 450J의 운동에너지(유효 출입이 면적의 50% 이상이 유리로 된 경우 380J 적용)로 충격을 가했을 때, 승강장문의 이탈이 없어 견뎌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렇게 승강장문의 이탈을 방지하는 규정이 엄격한 만큼 승강장문은 정부로부터 강도시험에 합격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승강장문의 강도와 관련하여 패널 자체가 외부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 제작하여야 한다. 한편, 승강장문 자체 패널의 강성이 충분하다 하더라도 승강장문의 구조는 상부에 승강장문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승강장문 하부의 가이드슈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슈는 승강장문이 열고 닫힐 때,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승강장문이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밀릴 때 일정 수준의 힘으로 승강장문이 승강로 안으로 밀려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승강기가 운행 도중에 승강기가 없는 승강장의 층에서 법에서 규정하는 하중인 450J의 힘을 초과하는 충격을 받았을 때는 승강장문이 이탈하면서 승강로 내부로 밀리면서 승강장문이 이탈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승강장문의 이탈로 인하여 승강장에 밀려들어온 물체가 화물이든, 사람이든 간에 그 물체는 물론이고, 그 물체에 의해서 주행 중인 승강기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고, 정지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자동차용 승강기의 경우는 자동차 운전자의 미숙으로 인하여 승강장문으로 돌진하여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고,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화물용 승강기의 경우도 화물 운반용 수레가 밀리면서 승강장문에 충돌하면서 이탈하여 화물이 추락하는 사고도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상황에 승강기가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위험한 것은 승객용 승강기의 경우는 술에 취한 사람들이 부주의로 승강장문에 부딪히면서 추락할 수도 있고, 고령화 사회로 노인들의 이동수단인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의 조작 미숙으로 승강장문에 충돌하면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승강장에서 기다리다가 부주의로 발생하는 승강장문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승강장문의 이탈은 탑승 대기자들에게는 매우 치명적이다.
그래서 종래에 승강장문은 법규가 정하는 충격 하중을 견디는 정도의 수준으로 제품을 설계 및 제작하여 설치되는 실정이다. 또한 기타 방법으로 승강장문에 설치되는 가이드슈를 넓은 면적에 적용하여 이탈방지 수단을 강화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설치 이후에 오랜 기간이 경과 하거나 습기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승강장문 가이드슈도 노화가 되기 때문에 노후화된 승강기는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종래기술은 승강장문 패널의 하단부에 2개의 가이드슈 또는 승강장문 폭 크기의 가이드슈를 설치하여 승강장 문턱의 레일홈 위를 타고 다니면서 승강장문을 안내하는 수준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을 따른다고 하더라도 레일홈이 있는 승강장 문턱은 레일홈에 이물질 등이 쉽게 끼이고, 레일홈의 아랫면에 먼지가 빠지는 구멍이 2~3개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누수사고 발생 시에 물이 쉽게 승강로로 유입되어 승강기의 전기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면서 승강기의 기능을 손실시키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문턱에는 승강장문의 주행을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홈에 끼워지는 가이드슈(Guide shoe)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레일홈과 가이드슈 사이에 있는 틈을 통해 바람이나 연기가 유입되기도 한다.
또한 레일홈의 폭이 작지 않아서 여성의 하이힐굽이 끼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굽이 끼는 경우 잘 빠지지 않아 자칫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종래기술은 위에서 기술한 사항과 같이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과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레일홈이 가지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제안이 없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66846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사용공간인 탑승장에서 승강장문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충돌에 의한 승강장문의 이탈을 막는 것과 동시에 승강장문이 열리고 닫힐 때 슬라이딩 방식의 주행 가이드 역할을 하는 승강장 문턱의 강성과 기능을 더욱 강화한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승강기를 탑승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승강기 승강장문의 하단부의 가이드슈를 특수 삽입형구조로 적용하여 승강장 문턱에 노출된 레일홈을 제거하여 그를 통해 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 시에 하부 레일홈을 타고 타층으로 연기 내지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승강장문과 문턱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승강장문과 문턱 사이의 틈을 난연성 소재로 된 차연부재를 승강장 도어의 후면에 부착하여 차단함으로써 화염과 연기가 승강기 내지 승강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승강기의 승강장에 좌우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공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턱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문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의 하단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슈; 상기 가이드슈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문틀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문틀의 측방향을 통해 상기 가이드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갖는 형강 구조로서 판재가"
Figure 112019101372817-pat00001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하부문틀의 측면을 통해 상기 하부문틀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홈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는 도어의 일측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이며, 상기 가이드슈는 봉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가이드슈는 "
Figure 112019101372817-pat00002
"의 형태로 상기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슈는 상기 하부문틀의 길이방향, 즉 좌우 측방향으로 레일홈에 끼워지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어의 하단과 하부문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의 하단에는 난연성 섬유 소재로 된 차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승강장에 좌우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공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턱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문틀;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의 하단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슈; 상기 가이드슈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문틀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하부문틀의 상방향을 통해 상기 가이드슈에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단은 도어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가이드슈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두께 1.2 ~ 3.5mm의 박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가 설치된 건물의 탑승장의 공간과 카 내부의 사용공간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승강기 출입문인 승강장문과 카문이 문턱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강장 공간의 대기승객과 통행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승강장문에 충돌하면서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기 내부 공간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는 물론이고 상층부 공간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바람이나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입주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문턱의 노출된 레일홈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여 문턱 본체의 미감 향상은 물론이고 하이힐의 굽이 레일홈에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조립구성도이고, 도 2는 분해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도어와 하부문틀의 조립구성도이고, 도 5는 분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도어와 하부문틀의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설치구조를 도시하는 도어와 하부문틀의 조립구성도이고, 도 9는 분해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정면구성도이며, 도 12는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승강장의 도어(1)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승강기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양자에 공히 미친다. 이하에서는 승강장의 도어(1)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 및 설명한다.
도어(1)가 슬라이딩 도어와 같이 좌우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1)는 공간을 구획하는 것으로서, 한쪽 공간은 건물 사용자가 통행하거나 탑승객이 승강기를 대기하는 승강장(S1)이 되고, 다른 쪽 공간은 승강기가 오르내리는 수직공간인 승강로(S2)가 된다. 도어(1)는 양쪽으로 여닫히는 양문형일 수도 있고 한쪽으로 여닫히는 편문형일 수도 있다.
문틀(3')은 출입구를 특정하며 도어(1)가 설치되는 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문틀 중 하부문틀(3)의 구조변경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하부문틀(3)의 상면에 존재해왔던 구멍(레일홈으로 통하기 위한 구멍)을 없애거나(제1,2실시예 참조) 최소화(제3실시예 참조)시키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를 설명하고, 이후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문틀(3')은 공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턱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문틀(3)을 포함한다. 도어(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미도시됨)는 통상 도어(1)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어(1)의 하단을 구속하지 않으면 도어(1)의 하단이 앞뒤로 흔들리게 될 것이므로 가이드슈(5)와 레일홈(7)을 통해 도어(1)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가이드슈(5)는 도어의 하단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며 기다란 막대 형태로 되어 있다.
하부문틀(3)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형강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문틀(3)은 가이드슈(5)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는 레일홈(7)을 제공한다. 가이드슈(5)와 레일홈(7)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슈(5)와 레일홈(7) 사이에는 윤활제 등의 윤활수단이 개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재(9)는 하부문틀(3)의 측방향을 통해 가이드슈(5)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하부문틀(3)의 측면, 특히 승강로(S2)에 접해있는 후방측판(11)에는 레일홈(7)에 소통될 수 있도록 레일홈소통공(13)이 마련된다. 레일홈소통공(13)은 레일홈(7)을 따라 전체 구간에 마련되며, 레일홈(7)의 단면적보다 좁은 슬릿(slit)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재(9)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갖는 형강 구조로서 판재가"
Figure 112019101372817-pat00003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하부문틀(3)의 후방측면을 통해 하부문틀(3)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레일홈(7)에 이르게 된다.
연결부재(9)는 도어(1)의 하단에 볼트(B1)로써 고정되는 브래킷(15)과, 브래킷(15)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7)과, 수직판(17)의 하단에서 가이드슈(5)까지 연결되는 횡판(19)으로 구성된다. 횡판(19)과 가이드슈(5)는 "T"형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부문틀(3)은 미끄럼방지를 위한 요철(21)을 제외하고는 상방향을 향해 개구된 구멍을 갖고 있지 않게 된다. 승강장(S1)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강한 외력(F)이 작용하는 경우, 가이드슈의 걸림턱(5a)이 후방측판(11)에 걸리기 때문에 도어(1)가 하부문틀(3)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슈(5")가 하부문틀(3)의 길이방향을 통해 레일홈(7)에 끼워진다. 즉 가이드슈(5")가 하부문틀(3)의 좌우측면에 자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레일홈(7)에 직접 끼워진다.
이전 실시예서의 후방측판(11)의 레일홈소통공(13)이 없으며 가이드슈(5")는 기다란 봉 또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재(9')는 도어(1)의 일측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대(23)이다. 가이드슈(5")는 "
Figure 112019101372817-pat00004
"의 형태로 도어(1)에 볼트(B2)로써 연결된다. 연결대(23)와 가이드슈(5")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조립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부문틀(3)의 양측 상면에는 연결대(23)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는 연결대유동홈(2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대유동홈(25)은 레일홈(7)에 소통되어 있게 된다.
도어(1)의 하단과 하부문틀(3)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어(1)의 하단에는 난연성 섬유 소재로 된 차연부재(27)가 설치될 수 있다. 차연부재(27)는 브러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차연부재(2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슈(5")와 도어(1)가 좌우 폭이 좁은 연결대(23)에 의해서만 연결되고 있으므로 도어의 끝부분(1a)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1)는 자체적으로 강성이 더 보강될 수 있다. 강성보강대(29)가 도어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연결대(23)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의 끝부분(1a)으로 연장되는 연결대보강대(31)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연결대(23)의 폭(W, 도 6 참조)을 본 발명의 취지가 희석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늘림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없앨 수도 있을 것이다.
연결대유동홈(25)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1)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항상 도어(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객이 승강기를 타고내릴 때 하부문틀(3)의 상면에서 기존의 구멍을 볼 수 없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레일홈(7)으로 소통하기 위한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본 실시에에서의 연결부재(9")는 두께가 1.2 ~ 3.5mm인 박판(33)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9")인 박판(33)은 하부문틀(3)의 상판에 상방향으로 마련된 슬릿(35)을 통해 가이드슈(5"')에 브래킷(15')과 볼트(B3)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박판(33)은 상단이 도어(1)의 저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가이드슈(5"')에 연결되는데, 두께에 비하여 높이(H)가 20 ~ 50mm가 되므로 법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릿(35)의 폭이 1.3 ~ 3.6mm가 되므로 하이힐의 굽이 빠지는 등의 문제는 없게 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개선안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의 끝부분(1a)의 고정성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 도어에는 도어 잠금장치(40)를 갖고 있다. 도어 잠금장치는 승강기 카가 서비스층에 정지해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수키를 이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운행을 정지시키는 공지의 안전장치이다. 이 도어 잠금장치(40)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스위치(41), 행거(42), 레버(43) 및 링크기구(44)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레버(43)는 도어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장치(40)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43a)을 축으로 하여 시소운동을 하게끔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 레버(43)의 시소운동을 이용하는 도어의 강성보강기구(50)를 제안한다. 강성보강기구(50)는 도어(1)의 배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더(51)와, 이 가이더(51)를 따라 수직운동하도록 상단(52a)이 상기 레버에 연결되는 로크로드(52)와, 하부문틀(3)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도어(1)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로크로드(52)의 하단(52a)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게 되는 키홀(53)을 포함한다. 양문형 도어의 경우에는 강성보강기구(50)는 1쌍으로 마련된다. 도어(1)의 하판에는 로크로드의 하단(52b)이 통과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1)가 열릴 경우에는 로크로드(52)는 위로 들려서 로크로드(52)가 키홀(53)에서 빠지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로크로드(52)는 하강하여 그의 하단(52b)이 키홀(53)에 끼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도어(1)에 외력이 가해진다해도 승강로를 향해 밀리지 않게 된다. 나머지 도면부호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면 될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위에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할 것이며,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이 된다.
1 : 도어 1a : (도어의)끝부분
3 : 하부문틀 3' : 문틀
5',5",5"': 가이드슈
7 : 레일홈 9,9',9" : 연결부재
11 : 후방측판 13 : 레일홈소통공
15,15' : 브래킷 17 : 수직판
19 : 횡판 23 : 연결대
25 : 연결대유동홈 27 : 차연부재
29 : 강성보강대 31 : 연결대보강대
33 : 박판 35 : 슬릿
40 : 도어 잠금장치 42 : 레버
50 : 강성보강기구 51 : 가이더
52 : 로크로드 53 : 키홀

Claims (6)

  1. 승강기 또는 승강장에 좌우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 공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턱을 제공하기 위한 하부문틀(3); 연결부재(9')를 통해 상기 도어(1)의 하단에 간접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슈( 5"); 상기 가이드슈(5")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문틀(3)에 마련되는 레일홈(7)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9')는 상기 하부문틀(3)의 측방향을 통해 상기 가이드슈(5")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9')는 상기 도어(1)의 일측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대(23)이며,
    상기 가이드슈(5")는 봉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이고,
    "
    Figure 112020137850370-pat00006
    "의 형태로 상기 도어(1)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문틀(3)의 길이방향인 좌우 측방향으로 상기 레일홈(7)에 끼워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도어(1)가 외력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성보강기구(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강성보강기구(50)는, 상기 도어(1)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 잠금장치(40) 중 상기 도어(1)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시소운동을 하는 레버(42)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1)의 배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더(51)와; 상기 가이더(51)를 따라 수직운동하는 것으로서 상단(52a)이 상기 레버(42)에 연결되는 로크로드(52)와; 상기 하부문틀(3)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1)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로크로드(52)의 하단(52b)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결합하게 되는 키홀(53)을 포함하며,
    도어(1)의 끝부분(1a)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성보강대(29)가 도어의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더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대(23)에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의 끝부분(1a)으로 연장되는 연결대보강대(31)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22862A 2019-10-04 2019-10-04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102214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62A KR102214035B1 (ko) 2019-10-04 2019-10-04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62A KR102214035B1 (ko) 2019-10-04 2019-10-04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35B1 true KR102214035B1 (ko) 2021-02-08

Family

ID=7456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62A KR102214035B1 (ko) 2019-10-04 2019-10-04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4B1 (ko) 2022-06-24 2023-01-06 주식회사 신금성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8941A (ja) * 2006-09-12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戸閉装置
JP2009208946A (ja) * 2008-03-06 2009-09-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JP2012162360A (ja) * 2011-02-07 2012-08-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KR200466846Y1 (ko) 2011-09-28 2013-05-09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101697763B1 (ko) * 2015-11-12 2017-01-18 우정연 엘리베이터의 도어실 구조
JP7037315B2 (ja) * 2017-09-27 2022-03-16 Ntn株式会社 転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8941A (ja) * 2006-09-12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戸閉装置
JP2009208946A (ja) * 2008-03-06 2009-09-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引き戸の案内装置
JP2012162360A (ja) * 2011-02-07 2012-08-30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乗り場装置
KR200466846Y1 (ko) 2011-09-28 2013-05-09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101697763B1 (ko) * 2015-11-12 2017-01-18 우정연 엘리베이터의 도어실 구조
JP7037315B2 (ja) * 2017-09-27 2022-03-16 Ntn株式会社 転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4B1 (ko) 2022-06-24 2023-01-06 주식회사 신금성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3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5692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JP665706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10193769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747682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KR102188000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674059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93995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94345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 구조
KR20080086071A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101249751B1 (ko) 이탈방지 구조를 보완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90123526A (ko) 엘리베이터 승장문조립체의 이중걸림구조식 이탈방지장치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KR200410575Y1 (ko) 안전브러시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KR100963495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용 방화도어
KR20080084104A (ko) 도어가이드슈 이탈방지용 도어실 구조
KR101009872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9012274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