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846Y1 - 승강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846Y1
KR200466846Y1 KR2020110008726U KR20110008726U KR200466846Y1 KR 200466846 Y1 KR200466846 Y1 KR 200466846Y1 KR 2020110008726 U KR2020110008726 U KR 2020110008726U KR 20110008726 U KR20110008726 U KR 20110008726U KR 200466846 Y1 KR200466846 Y1 KR 200466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groove
door
elevator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66U (ko
Inventor
권성환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84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8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는 승강기 도어가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 상기 승강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 슈; 및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에 이물질이 끼어 승강기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며 윤활 성분이 포함된 경질 아크릴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을 차폐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기 도어 장치{ELEVATOR DOOR DEVICE}
본 고안은 승강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의 발전과 인구 도시집중화의 영향으로 고층 건물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 건물의 내부에는 수직 이동 수단으로서 엘리베이터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엘리베이터를 시공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와 승강장 사이에 승객이 추락하는 것을 보호하고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여 승객이 탑승하기 전/후에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를 설치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비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 경로가 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문틀을 설치하며,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홈을 형성하기도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 문틀에 형성된 홈에는 승객의 출입 등으로 인해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었는데, 이물질이 유입되면 다시 배출되지 못하고 홈에 남아 엘리베이터 도어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출원번호 제 20-2009-000196호(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홈의 이물질 인입 방지장치)를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홈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출원번호 제 20-2009-000196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도어에 구비된 가이드 슈에 브러시를 설치하여 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출원번호 제 20-2009-000196호와 같이 브러시를 구비하여도 브러시 사이 간격보다 작은 이물질은 홈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남아있고, 브러시가 이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미처 차단되지 못하고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고장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여지가 남아 있다.
또한, 출원번호 제 20-2009-000196호와 비슷한 구조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브러시를 구비하고, 홈에 홀을 형성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면 브러시가 이물질을 홀을 통해 배출하는 방법도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법도 홈에 유입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해 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거나 혹은 유입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승강기 도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에 이물질이 끼어 승강기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며 윤활 성분이 포함된 경질 아크릴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을 차폐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도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승강기 도어가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 상기 승강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 슈; 및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는 상기 승강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홈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의 개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인 승강기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에 이물질이 끼어 승강기의 잦은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며 윤활 성분이 포함된 경질 아크릴로 이루어진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구비하여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을 차폐하고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우측 승강기 도어에 구비되는 승강기 도어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좌측 승강기 도어에 구비되는 승강기 도어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였을 때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는, 승강기 도어(10, 30)와, 승강기 도어 문틀(100)과, 승강기 도어(10, 30)에 구비되는 가이드 슈(210, 230)와, 가이드 슈(210, 230)와 결합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를 포함한다.
승강기 도어(10, 30)는 두 개의 도어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승강기 도어는 그 작동 방법에 따라 두 개의 도어가 상호 대칭되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좌 또는 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 도어의 작동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승강기 도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도어(10, 30)는 제1 승강기 도어(10)와 제 2 승강기 도어(30)를 포함하는데 승강장에서 승강기 도어(10, 30)를 보았을 때(이하에서는, "승강장측"이라 하겠다.)를 기준으로 제1 승강기 도어(10)를 좌측 승강기 도어(10), 제2 승강기 도어(30)를 우측 승강기 도어(30)라 하겠다.
승강기 도어 문틀(100)은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슬라이딩 되며 개폐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 도어 문틀(100)에는 승강기 도어(10, 30)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동 경로가 되는 홈(110, 130)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승강기 도어 문틀(100)에 형성되는 홈(110, 130)은 제 1 홈(130)과 제 2 홈(110) 두 개로 구성되고, 제 1 홈(130)과 제2 홈(110)은 임의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승강장측에서 보았을 때, 제 1 홈(130)은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가 되고, 제 2 홈(110)은 후방에 형성된 것으로 좌측 승강기 도어(10)의 슬라이딩 이동 경로가 된다.
홈(110, 130)의 구조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홈(110, 130)을 단면에서 보았을 때 홈(110, 130)에는 후술할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홈(110, 130)의 상부에 레일(111, 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홈(110, 130)에 삽입되면 홈(110, 130)의 상단을 커버하여 완전히 차폐할 수 있게 구비되며, 레일(111, 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승강기 도어(10, 10)에는 승강기 도어(10, 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슈(210, 230)가 구비된다.
가이드 슈(210, 230)는 승강기 도어(10, 3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즉,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가이드 슈(210, 230)는 승강기 도어(10, 30)에 체결되는 브라켓(211, 231)과, 브라켓(211, 231)에 체결되는 슬라이더(213, 233)를 포함한다.
가이드 슈(210, 230)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에 각각 다른 형태로 구비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브라켓(211, 231)의 형상이 각기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는 닫힐 때 서로 맞닿도록 개폐 방향으로 동일 선 상에 구비되지만, 좌측 승강기 도어(10)의 이동 경로가 되는 제 1 홈(130)과,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이동 경로가 되는 제 2 홈(110)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가이드 슈(210, 230)의 브라켓(211, 231)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승강장측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 제 1 홈(130)을 따라 이동하는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브라켓(210)은 두 번 절곡되어 "ㄱ"자와 "ㄴ"자가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브라켓(210)은 두 번 절곡됨에 따라 우측 승강기 도어(30)와 체결되는 제 1 체결면(211a)과, 슬라이더(213)와 체결되는 제 2 체결면(211b)을 갖게 되고, 제 1 체결면(211a)과 제 2 체결면(211b) 사이의 절곡된 간격은 제 1 홈(130)과 제 2 홈(110)이 이격된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측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 제 2 홈(110)과 결합되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의 브라켓(231)은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브라켓(211)과 달리 절곡되지 않아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이 "I"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좌측 승강기 도어(10)의 브라켓(231)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결합되는 측의 폭이 슬라이더(233)와 결합되는 측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211, 231)과 슬라이더(213, 233)는 브라켓(211, 231)의 일측이 슬라이더(213, 233)에 삽입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된다.
브라켓(211, 231)과 결합되는 슬라이더(213, 233)는 승강기 도어 문틀(100)에 형성된 홈(110, 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승강기 도어(10, 30)는 슬라이더(213, 233)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슬라이더(213, 23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211, 231)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211, 231)의 일측이 슬라이더(213, 233)의 삽입 홈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213, 233)는 연성의 재질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는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슬라이더(213, 233)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잦은 왕복으로 인해 슬라이더(213, 233) 또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으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에 대해 살펴보면,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일측은 승강기 도어(10, 30)에 구비된 가이드 슈(210, 230)와 결합되어 있어 승강기 도어(10, 30)의 개폐 시 연동되어 슬라이딩 된다.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삽입될 때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 상부에 형성된 레일에 끼워지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홈(110, 130)이 형성된 측의 상측면과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차가 생기지 않게 삽입되어야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의 개방 시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승강기 도어(10, 30) 사이로 보이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각각의 승강기 도어(10, 30)에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두 개의 승강기 도어(10, 30)사이의 간격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일측은 승강기 도어(10, 30)에 결합된 가이드 슈(210, 2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가이드 슈(210, 230)와 결합되는 일측의 두께(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두께)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삽입되는 측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고 가이드 슈(210, 230)와 결합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보다 정확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11, 231)과 슬라이더(213, 233)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는 전술하였듯이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게 홈(110, 130)의 상부에 레일이 형성될 수 있고,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에는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경질아크릴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는 윤활제가 포함된 경질 아크릴로 이루어진다.
윤활제가 포함된 경질 아크릴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제작되면 승강기 도어(10, 30)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때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과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마모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하겠다.
두 개로 구성되는 승강기 도어(10, 30)는 승강장측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좌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우측 승강기 도어(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승강기 도어(10, 30)는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승강기 도어 문틀(100)에 장착되고, 보다 정확하게는 승강기 도어 문틀(100)에 형성된 홈(110, 130)에 장착되는 것이다.
승강기 도어(10, 30)와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 사이에는 승강기 도어(10, 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이드 슈(210, 230)와, 승강기 도어(10, 30)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승강기 도어(10, 30) 사이로 보이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20)가 함께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승강기 도어(10, 30)에는 브라켓(211, 231)이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와 슬라이더(213, 233)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의 일측이 슬라이더(213, 23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브라켓(211, 231)의 일측을 슬라이더(213, 233)에 삽입시킨 후 체결부재를 체결하면 브라켓(211, 231)과 슬라이더(213, 233)가 고정되고, 가이드 슈(210, 230)와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결합된다.
이렇게 가이드 슈(210, 230)와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결합되면 승강기 도어(10, 30)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닫혀 있다가 개방될 때, 좌측 승강기 도어(1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좌측 승강기 도어(10)에 결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가 연동하여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우측 승강기 도어(10)에 결합된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30)가 연동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승강기 도어(10)와 우측 승강기 도어(30)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는 승강기 도어(10, 30) 사이로 보이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110, 130)을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310, 330)가 커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 도어 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에 각각의 승강기 도어의 이동 경로가 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승강기 도어는 그 이동 경로가 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을 두 개 형성하고 각각의 승강기 도어에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구비되기 때문에 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는 승강기 도어의 이동 경로가 되는 홈을 하나만 형성하고 승강기 도어에 브러시 형태의 이물질 제거부재가 구비되어 있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브러시가 홈에 유입된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하여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이 승강기 도어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은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구비하면,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을 완전히 차폐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이 각각의 승강기 도어에 대응하게 두 개 형성되기 때문에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승강기 도어가 개폐를 위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로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가 윤활제를 포함하는 경질아크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에서 슬라이딩 이동 시 마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기 도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두 개의 승강기 도어가 구비되는 경우라도 두 개의 승강기 도어가 같은 방향으로 개폐되며 열리는 경우에는 하나의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만 구비되어도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30: 승강기 도어 100: 승강기 도어 문틀
110, 130: 홈 210, 230: 가이드 슈
310, 330: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Claims (10)

  1. 승강기 도어 장치에 있어서,
    승강기 도어가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폐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홈이 형성되는 승강기 도어 문틀;
    상기 승강기 도어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가이드 슈; 및
    상기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장착되되, 상기 승강기 도어와 연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가이드 슈와 결합되는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는 상기 승강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홈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승강기 도어의 개방된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슈는 상기 승강기 도어에 체결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며, 상기 승강기 도어 문틀의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것인 승강기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는 상기 홈을 덮도록 상기 홈의 상부에 장착되는 것인 승강기 도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상부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에는 상기 레일에 맞물리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승강기 도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연성의 재질인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인 승강기 도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는 경질아크릴로 이루어지는 것인 승강기 도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에는 상기 홈에 대한 마찰력이 줄어들도록 윤활제가 포함되는 승강기 도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도어는 서로 맞닿아 닫히는 제1 승강기 도어 및 제2 승강기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제 1 홈및 상기 제 1 홈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슈는 상기 제1 승강기 도어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 슈 및 상기 제2 승강기 도어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 슈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승강기 도어와 연동되는 제 1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및 상기 제2 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승강기 도어와 연동되는 제2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승강기 도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기 도어와 상기 제2 승강기 도어의 개방 시,
    상기 제1 이물질 유입 방재부재 및 상기 제2 이물질 방지부재는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상기 제 1 승강기 도어와 상기 제2 승강기 도어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차폐하는 승강기 도어 장치.
KR2020110008726U 2011-09-28 2011-09-28 승강기 도어 장치 KR200466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26U KR200466846Y1 (ko) 2011-09-28 2011-09-28 승강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26U KR200466846Y1 (ko) 2011-09-28 2011-09-28 승강기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66U KR20130002166U (ko) 2013-04-05
KR200466846Y1 true KR200466846Y1 (ko) 2013-05-09

Family

ID=5242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726U KR200466846Y1 (ko) 2011-09-28 2011-09-28 승강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8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35B1 (ko) 2019-10-04 2021-02-08 윤병희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64B1 (ko) * 2021-05-28 2021-10-27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JP2024501589A (ja) * 2020-12-23 2024-01-12 ジョンチョル チャン 敷居の取り替えが容易なエレベータ用乗場およびその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35B1 (ko) 2019-10-04 2021-02-08 윤병희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66U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846Y1 (ko) 승강기 도어 장치
KR101041968B1 (ko) 바닥 틈새를 차단시킨 미닫이 도어
TWI461323B (zh) Railway vehicle doors and railway vehicles
CN101549823B (zh) 电梯装置及其出入口装置
JP487671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6525925B2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ドアシュー
KR101204004B1 (ko) 출입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개선된 고기밀 성능 도어 프레임
JP4732039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5765164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2012066914A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JP5507480B2 (ja) 屋外設置型エレベーター
CN104891315B (zh) 电梯门开闭装置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200501515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826010B2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JP55200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80692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138922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2012076917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H0632571A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JPH03232683A (ja) エレベーター用ドア装置
JP2006082884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遮煙構造
JP2005138916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42413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089166A (ja) エレベータ乗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