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064B1 -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064B1
KR102318064B1 KR1020210068983A KR20210068983A KR102318064B1 KR 102318064 B1 KR102318064 B1 KR 102318064B1 KR 1020210068983 A KR1020210068983 A KR 1020210068983A KR 20210068983 A KR20210068983 A KR 20210068983A KR 102318064 B1 KR102318064 B1 KR 10231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seal
seal
eleva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철
Original Assignee
장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철 filed Critical 장종철
Priority to KR102021006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064B1/ko
Priority to JP2023563790A priority patent/JP2024501589A/ja
Priority to PCT/KR2021/013850 priority patent/WO2022139133A1/ko
Priority to CN202180086564.XA priority patent/CN11668554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의 승하차를 위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고 승강도어, 도어 실(door sill, 문지방),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하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삼방틀과 도어 실 사이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분리판을 설치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고정함으로써 건물 마감작업(승장바닥의 몰탈 충진작업) 후에도 건물의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해체없이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ELEVATOR PLATFORM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의 승하차를 위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고 승강도어, 도어 실(door sill, 문지방),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하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삼방틀과 도어 실 사이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분리판을 설치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고정함으로써 건물 마감작업(승장바닥의 몰탈 충진작업) 후에도 건물의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해체없이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6층 이상의 고층 건물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승객이나 화물을 상하로 이송 및 운반하는 승강기(elevator)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기의 카에 승객이나 화물을 승하차 하기 위해 승강장이 설치된다.
승강장은 승강도어, 도어 실(door sill) 및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한다. 도어 실은 승강도어의 직하부 바닥면(승강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도어는 하단부가 도어 실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 개의 도어 슈를 매개로 도어 실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한다.
한편, 승강기는 각 층의 마감공사시 공사자재 등을 운반하기 위해 건물을 완공하기 전에 미리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 때문에 승강기를 이용하여 공사자재 등을 운반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실의 표면에 스크래치, 혹은 마모 또는 파손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을 완공한 후에는 신규 제품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은, 먼저 각 층의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1)의 턱부에 실 브라켓(11)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도어 실(12)을 각 층의 레벨(fL, Finish Line)에 맞게 용접 고정한다. 그리고, 도어 실(12)에 삼방틀(13)을 고정한 후 도어 슈(14a)를 통해 승강도어(14)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1과 같이, 삼방틀(13)과 승강도어(14)가 설치된 후 승강기 관련 조정작업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이, 몰탈을 이용한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삼방틀(13) 및 승강도어(14)와 건물 바닥(1) 사이에 몰탈을 채운다. 즉 몰탈 마감재(2)로 삼방틀(13) 및 승강도어(14)와 건물 바닥(1) 사이의 공간을 매립하여 건물 바닥(1)과 삼방틀(13) 및 승강도어(14) 사이의 단차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삼방틀(13)이 도어 실(12)의 일측부에 형성된 고정부(12a)에 삽입되는 볼트(B)를 매개로 도어 실(12)에 설치 고정되고, 몰탈 마감재(2)가 삼방틀(13)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어 실(12)의 교체작업시 몰탈 마감재(2)를 해체하지 않고는 교체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삼방틀(13)과 도어 실(12) 간의 볼트(B)를 이용한 결합구조로 인해 도어 실(12)의 교체작업시 이미 시공되어 있는 몰탈 마감재(2) 등의 건물 마감부를 모두 해체해야만 도어 실(12)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도어 실(12)을 교체한 후 다시 몰탈 마감과 같이 건물 마감공정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하여 교체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였고, 산업 폐기물 또한 증가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며, 마감 작업면이 불일치하여 승강 바닥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KR 10-0768247 B1, 2007. 10. 11. KR 10-1676295 B1, 2016. 11. 0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실을 교체할 때 이미 시공된 몰탈 마감재 등을 포함하는 건물 마감재를 해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도어 실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도어; 상기 승강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실은 상기 승강도어의 도어 슈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실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개방된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덮어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천장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에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의 단차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삼방틀의 하부와 상기 건물 바닥에 채워진 몰탈 마감재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한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 바닥의 턱부에 실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삼방틀을 설치하는 단계; 분리판의 걸림부가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상기 삼방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도어 실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실의 제2 고정부를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실의 레일부에 승강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도어를 상기 도어 실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정볼트를 풀어 상기 도어 실을 상기 실 브라켓에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도어 실의 자리에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로 교체하는 단계; 및 교체된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에 상기 승강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구조의 분리판을 이용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의 걸림부가 도어 실의 제1 고정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는 방식으로 도어 실에 결합됨으로써 분리판이 도어 실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을 구성하는 수직부의 상단부가 도어 실의 제1 고정부의 상부에 덮혀지는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분리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건축 마감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정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은 건물의 각 층에서 승하차하는 승강기를 이용하기 위해 각 층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각 층의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1)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13) 및 승강도어(14)를 포함한다.
삼방틀(13)은 승강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외부 문틀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승강도어(1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어 실(2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분리판(23)에 일측부가 볼트(b1) 또는 너트와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도 5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23)은 삼방틀(13) 방향으로 도어 실(22)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도록 대략 단면이 '역 T'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분리판(23)은 예를 들어,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면에 볼트(b1)(예컨대, M8 볼트)를 통해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는 수직부(231)와, 수직부(23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도어 실(22)의 일측부 하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는 걸림부(232)와, 수직부(231)의 하단부에서 걸림부(232)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3)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2)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판(23)은 도어 실(22)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실(22)과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는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600mm 정도 더 크게 형성한다. 또한, 수직부(231)의 높이(L1)는 대략 23~30mm, 걸림부(232)의 길이(L2)는 대략 8~10mm로 하여 도어 실(22)의 규격에 따라 형성한다.
수직부(231)는 볼트(b1) 또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수직부(231)로부터 절곡된 걸림부(232)는 상부에 도어 실(22)의 일측부 종단부에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걸림턱(222b)이 걸림되는 걸림홈(2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233)는 걸림부(232)의 반대측으로 수직부(23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3)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2) 사이에 삽입된다.
볼트(b1)는 예를 들어 M8 볼트를 사용하거나, M8 볼트 대신에 M8 너트와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b1)는 분리판(23)의 수직부(231)에 타공한 후 용접하여 고정하되, 2개가 분리판(23)의 길이방향으로 용접 체결될 수 있고, 이들 간의 간격은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30~150mm 더 크게 형성하여 삼방틀(13)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 삼방틀(13)의 고정위치를 맞추어 더 큰 간격으로 이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22)은 승강도어(14)의 도어 슈(14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도어(14)가 가이드되는 레일부(221)를 포함한다.
레일부(221)의 일측부(도 7에서 좌측)에는 도어 실(22)과 실 브라켓(11)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23)의 걸림부(232)가 결합되는 제1 고정부(2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222)는 도 8과 같이, 일측 방향(삼방틀(13)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 또는 '
Figure 112021061775036-pat00001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222)의 상부 천장에는 분리판(23)을 구성하는 수직부(23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222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분리판(23)의 걸림부(232)에 형성된 걸림홈(232a)에 삽입되는 걸림턱(22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걸림턱(222b)과 레일부(221)의 하부면 사이에는 단차(t)가 형성되어 걸림부(232)는 도 6과 같이, 걸림턱(222b)과 실 브라켓(11) 사이로 인입된 후 타측 방향(삼방틀(13)과 반대방향)으로 레일부(221)의 하부 측부에 걸림된다.
걸림턱(222b)과 레일부(221)의 하부면 간에 발생되는 단차(t)는 도어 실(22)의 하부가 고정되는 실 브라켓(11)의 상면으로부터 걸림턱(222b)과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걸림턱(222b)의 하부와 레일부(221)의 하부면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t), 즉 간격은 걸림턱(222b)과 실 브라켓(11)의 사이로 분리판(23)의 걸림부(232)가 삽입 결합되도록 걸림부(2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23)의 걸림부(232)는 제1 고정부(2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즉 걸림턱(222b)과 레일부(221)의 하부면 사이의 단차(t)에 의해 형성된 틈새로 삽입된 후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에 고정되는 도어 실(22)의 고정력에 의해 도어 실(22)과 실 브라켓(11) 사이에 상하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걸림부(232)가 제1 고정부(2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로 인입되면, 제1 고정부(22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222b)은 걸림부(232)의 걸림홈(232a)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이에 따라 분리판(23)은 일측방향으로 도어 실(22)에 걸림되어 도어 실(22)에서 삼방틀(13)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7과 같이, 레일부(221)의 타측부(도 8에서 우측)에는 고정볼트(21)를 매개로 도어 실(22)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2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정부(223)는 하측(실 브라켓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 예를 들면, '∩'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고정볼트(21)의 헤드부가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된 '
Figure 112021061775036-pat00002
'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 실(22)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방법은, 먼저 건물 바닥(1)의 턱부에 실 브라켓(11)을 고정 설치하고, 건물 바닥(1) 상부에 삼방틀(13)을 설치한다.
이어서,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볼트(b1)를 이용하여 분리판(23)을 고정 설치한 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볼트(21)를 통해 도어 실(22)을 고정한다.
이때, 도어 실(22)은 제1 고정부(222)가 분리판(23)의 걸림부(232)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23)의 걸림부(232)는 고정볼트(21)에 기인한 도어 실(22)의 고정력을 통해 도어 실(22)의 제1 고정부(222)와 실 브라켓(11) 사이에서 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건축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승강 바닥을 마감한다.
도 8과 같이, 승강장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 실(22)에 스크래치, 마모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 그 교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와 같이, 승강도어(14)를 도어 실(22)로부터 분리한 후,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고정볼트(21)를 풀어 도어 실(22)을 실 브라켓(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도 12와 같이,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판(23)의 걸림부(232)의 상부에 교체할 새로운 도어 실(22')을 올려놓고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에 고정한다.
이후, 도 13과 같이, 도어 실(22')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 실(22')의 레일부(221) 내부에 승강도어(14)의 도어 슈(14a)를 결합시켜 도어 실의 교체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구조의 분리판(23)을 이용하여 삼방틀(13)과 도어 실(22)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23)의 걸림부(232)가 도어 실(22)의 제1 고정부(222)의 하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됨으로써 분리판(23)이 도어 실(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23)을 구성하는 수직부(231)의 상단부가 도어 실(22)의 제1 고정부(221)의 상부에 덮혀지는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분리판(23)이 외부(도어 실(22)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아 건축 마감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
2 : 몰탈 마감재
11 : 실 브라켓
12, 22 : 도어 실
22' : 새로운 도어 실
12a : 고정부
13 : 삼방틀
14 : 승강도어
14a : 도어 슈
B, b1 : 볼트
21 : 고정볼트
221 : 레일부
222 : 제1 고정부
222a : 홈
222b : 걸림턱
223 : 제2 고정부
23 : 분리판
231 : 수직부
232 : 걸림부
232a : 걸림홈
233 : 고정부

Claims (7)

  1.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도어;
    상기 승강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분리판; 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은,
    상기 승강도어의 도어 슈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실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개방된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덮어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천장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에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의 단차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삼방틀의 하부와 상기 건물 바닥에 채워진 몰탈 마감재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 바닥의 턱부에 실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삼방틀을 설치하는 단계;
    분리판의 걸림부가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상기 삼방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도어 실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실의 제2 고정부를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실의 레일부에 승강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도어를 상기 도어 실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정볼트를 풀어 상기 도어 실을 상기 실 브라켓에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도어 실의 자리에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로 교체하는 단계; 및
    교체된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에 상기 승강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
KR1020210068983A 2020-12-23 2021-05-2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31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83A KR102318064B1 (ko) 2021-05-28 2021-05-2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JP2023563790A JP2024501589A (ja) 2020-12-23 2021-10-08 敷居の取り替えが容易なエレベータ用乗場およびその施工方法
PCT/KR2021/013850 WO2022139133A1 (ko) 2020-12-23 2021-10-0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N202180086564.XA CN116685549A (zh) 2020-12-23 2021-10-08 门地坎易更换的电梯用升降平台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983A KR102318064B1 (ko) 2021-05-28 2021-05-2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064B1 true KR102318064B1 (ko) 2021-10-27

Family

ID=78287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983A KR102318064B1 (ko) 2020-12-23 2021-05-2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8064B1 (ko)
CN (1) CN1166855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581A (ko) 2022-02-22 2022-03-11 장종철 도어 실 교체용 분리장치,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31582A (ko) 2022-02-22 2022-03-11 장종철 볼트 체결용 장형 슬롯을 갖는 도어 실 교체용 분리판,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47B1 (ko) 2007-01-08 2007-10-17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호커버
KR20100101411A (ko)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166U (ko) * 2011-09-28 2013-04-05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101676295B1 (ko) 2015-11-26 2016-11-15 시티산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하부가이드
KR102309689B1 (ko) * 2020-12-23 2021-10-07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247B1 (ko) 2007-01-08 2007-10-17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실 보호커버
KR20100101411A (ko)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166U (ko) * 2011-09-28 2013-04-05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101676295B1 (ko) 2015-11-26 2016-11-15 시티산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의 하부가이드
KR102309689B1 (ko) * 2020-12-23 2021-10-07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581A (ko) 2022-02-22 2022-03-11 장종철 도어 실 교체용 분리장치,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31582A (ko) 2022-02-22 2022-03-11 장종철 볼트 체결용 장형 슬롯을 갖는 도어 실 교체용 분리판,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685549A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689B1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318064B1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N110092264B (zh) 一种建筑施工阶段电梯井内的物料提升系统
KR20190018646A (ko) 빌딩의 현대화 방법 및 빌딩에 형성된 리프트 시스템을 구비한 구조체
KR10234190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JPWO2016038642A1 (ja) 天井ユニットおよび天井ユニ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のかご
KR101564880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유지장치
EP2644811B1 (en) Elevator car
US9975736B2 (en) Door sill unit and method for an elevator landing door unit
KR200447914Y1 (ko) 엘리베이터 도어프레임 보강용 재료분리대
KR10155322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CN112777454A (zh) 电梯轿厢
KR20080086071A (ko) 엘리베이터의 해치도어 이탈방지 안전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230125879A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JP54836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4501589A (ja) 敷居の取り替えが容易なエレベータ用乗場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H10245170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用梯子
JP200708432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支持装置
JP380785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
JP2008201495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点検用梯子装置
JP2624850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20160144141A (ko) 승강기의 도어 이탈 방지용 안전장치
JPH036128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4138460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