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9133A1 -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9133A1
WO2022139133A1 PCT/KR2021/013850 KR2021013850W WO2022139133A1 WO 2022139133 A1 WO2022139133 A1 WO 2022139133A1 KR 2021013850 W KR2021013850 W KR 2021013850W WO 2022139133 A1 WO2022139133 A1 WO 20221391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seal
door seal
fix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8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종철
Original Assignee
장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8184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968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689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18064B1/ko
Application filed by 장종철 filed Critical 장종철
Priority to JP202356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1589A/ja
Priority to CN202180086564.XA priority patent/CN116685549A/zh
Publication of WO20221391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91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for an elevator install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passengers or cargo and including a landing door, a door sill and a jamb,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in detail ,
  • a 'reverse T'-shaped or 'L'-shaped separating plate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between the triangular frame and the door seal, the three-way frame and the door seal are combined to complete the building even after the building finishing work (mortar filling work on the floor floor).
  • It relates to a platform for an elevator that can easily replace the door seal without dismantling the floor mortar or concrete of the elevat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an elevator for transporting and transporting passengers or cargo up and down by using power is installed.
  • a platform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to get on and off the passenger or cargo on the elevator car that moves up and down.
  • the platform includes a landing door, a door sill, and a jamb.
  • the door seal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loor surface directly below the elevator door (the floor surface of the elevator entrance). And, the elevator door opens and closes the doorway by sliding along the door seal through a plurality of door shoes slidingly coupled to the rail part of the door seal at the lower end.
  • the elevator is installed and used in advance before the building is completed in order to transport construction materials during the finishing work of each floor. Because of this, scratches, abrasion, or damage can easil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door seal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ransporting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an elevator.
  • FIG.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plat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eal shown in FIG.
  • the seal bracket 11 is installed on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concrete floor) 1 of each floor, and then the door seal ( 12) is welded and fixed according to the level of each layer (fL, Finish Line). Then, after fixing the three-way frame 13 to the door seal 12, the elevating door 14 is installed through the door shoe 14a.
  • the three-way frame 13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door seal 12 via a bolt B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12a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seal 12 as a medium.
  • the mortar finishing material 2 is installed to cover the lower part of the three-way frame 13, it is of a structure that cannot be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ortar finishing material 2 during the replacement operation of the door seal 12.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form for an elevator that is easy to replace the door se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eal bracket fixed to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a door seal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bracket; an elevator door slidably coupled to the door seal; a three-way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in parallel with the elevator door; and a separation plate including a vertical portion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in the door seal direction, wherei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is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triangular frame,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eparation plate
  • a platform for an elevator with easy door seal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bly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door seal and the seal bracket, and is caught under the door seal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three-way fram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seal bracket fixed to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a door seal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bracket; an elevator door slidably coupled to the door seal; a three-way fram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in parallel with the elevator door; and an 'L'-shaped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horizontally bent from the vertical part, wherein the vertical part is fixed to one lower side of the triangular frame, and the horizontal part is between the door seal and the seal bracket It provides a platform for an elevator with easy door seal repla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parating plate that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
  •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seal bracket on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installing a triangular frame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installing and fixing the vertical part of the separating plate to the three-way frame so that the horizontal part of the separating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bracket; installing and fixing the second fixing part of the door seal to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using a fixing bolt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door seal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separation plate; and slidably coupling the elevator door to the rail part of the door seal.
  • the door seal is secured by fixing the three-way frame and the door seal using a separator plate of an 'inverted T' or 'L' shape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 the door seal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dismantling the platform floor mortar or concrete that finishes the floor of the platform.
  • the horizontal part of the separator having a 'reverse T'-shaped structure is coupled to the door seal in such a way that it is latched in the form of a latch on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door seal, so that the separator is removed from the door seal. I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constituting the separating plate having an inverted T'-shaped or ‘L’-shaped structure is separated by being coup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of the door seal is covered.
  • the architectural finish can be improved.
  • FIG. 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platform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eal shown in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tfor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shown in Figure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parator shown in FIG. 5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 Fig. 7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oor seal shown in Fig. 4 ;
  • FIGS. 8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atfor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shown in FIG. 15;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parator shown in FIG. 15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 Fig. 1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door seal shown in Fig. 15 ;
  • 19 to 2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latfor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latfor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each floor in order to use the elevator to get on and off each floor of the building, basically, the floor (concrete floor)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1) It includes a three-way frame (13) and a lift door (14) installed on the upper part.
  • the three-way frame 13 is an external door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a separation plate installed detachably under the door seal 22 to which the elevator door 14 is slidably coupled ( 23), one side is fixed through a bolt 24 or a nut and bolt.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parator shown in Figure 4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parator shown in Figure 5 is fixed to the triangular frame
  • Figure 7 is the separator plate shown in Figure 5 door seal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 the separator 23 is a vertical portion 23a that is close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ree-way frame 13 through a bolt 24 (eg, M8 bolt) and , it is bent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23a to form an 'L' shape including the horizontal part 23b that is inserted into the gap g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22 and the seal bracket 11 . is done
  • the separation plate 2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stainless material, and the length may be formed to be about 600 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 the length L1 of the vertical portion 23a may be approximately 23 to 25 mm, and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23b may be approximately 8 to 10 mm. That is, the separation plate 2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the door seal 22 .
  • the vertical portion 23a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triangular frame 13 through a bolt 24 or a bolt and a nut, as shown in FIG. 5, and the vertical portion 23a is bent from the vertical portion 23a.
  • the part 23b is not fixed to the door seal 22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but is inserted into the gap g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22 and the seal bracket 11 (or the building floor 1). is fixed
  • M8 bolts may be used, or M8 nuts and bolts may be used instead of the M8 bolts.
  • These bolts 24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23a of the separating plate 23 .
  • two bolts 24 may be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ng plate 23 , and the interval between these 24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30 to 150 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latform to form the three-way frame 13 . It can be spaced apart at a larger interval by aligning the fixed positions of the three-way frame (13) defi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seal shown in FIG. 4 .
  • the door seal 2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portion 22a for guiding the elevating door 14 by sliding the door shoe 14a of the elevating door 14 to each other.
  • a first fixing part 22b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eparating plate 23 inserted between the door seal 22 and the seal bracket 11 downward is integrally formed. is formed
  • the first fixing part 22b has a structure open to one side, that is, the three-way frame 13 direction, for example, ' ⁇ ' or ' ' can be structur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2b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rail portion 22a so that a gap is generated by the step t between them.
  • the step t genera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art 2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part 22a is determin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bracket 11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22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 It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22b). And, the step t genera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22b and the lower part of the rail part 22a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ixing part 22b and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by the separation plate 23 . of the horizontal portion 23b is form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portion 23b to be inserted and coupled.
  • the horizontal portion 23b of the separating plate 23 is a gap g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22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bracket 11, that is, the first fixing portion 22b.
  • the second fixing part 22c for fixing the door seal 2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bracket 11 via the fixing bolt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FIG. 8) of the rail part 22a. is formed with
  • the second fixing part 22c has a structure open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 bracket), for example, ' ⁇ ', or downward so that the head of the fixing bolt 21 is enga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 a horizontally bent hooking piece is formed in the open opening.
  • ' structure can be formed.
  • a cov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door seal 22 may be further installed.
  • 9 to 1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al bracket 11 is fixed to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1 , and the three-way frame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1 .
  • the separation plate 2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ee-way frame 13 by using the bolt 24 and then the door seal 22 is fasten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through the fixing bolt 21 . Fix it.
  • the first fixing part 22b of the door seal 2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through the fixing bolt 21 so that the lower part thereof is seated in an aligned state on the upper horizontal part 23b of the separating plate 23. is fixed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rtion 23b of the separating plate 23 is provided with a fixing force of the door seal 22 due to the fixing bolt 21 between the first fixing portion 22b of the door seal 22 and the seal bracket 11 . It is fixed with a strong fixing force by
  • the replacement method is as follows.
  • the door seal is secured by fixing the three-way frame 13 and the door seal 22 using the 'L'-shaped separating plate 23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 the door seal can be easily and selectively replaced without dismantling the platform floor mortar or concrete that finishes the floor of the platform.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latform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ree-way frame 13 is an external door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platform,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a separation plate installed detachably under the door seal 22 to which the elevator door 14 is slidably coupled ( 33), one side is fixed through a bolt (b1) or a nut and bolt.
  •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parator shown in FIG. 15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eparator shown in FIG. 16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 the separation plate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pproximately 'inverted T'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it is caught in the form of a latch on the door seal 32 in the direction of the three-way frame 13 .
  • Separating plate 33 is, for example, a vertical portion 331 that is close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ree-way frame 13 through a bolt b1 (eg, M8 bolt), and a vertical portion 331 of The horizontal part 332 is bent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and is caught in the form of a latch on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door seal 22,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331 is horizontally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rizontal part 332 in three directions. It includes a fixing part 333 inser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3 and the mortar finishing material (2).
  • a bolt b1 eg, M8 bolt
  • the separation plate 33 is made of the same aluminum material as the door seal 32 , so that a sense of difference with the door seal 32 does not occur. And, the length can be formed to be about 600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latform, the height L1 of the vertical part 331 is about 23-30mm, and the length L2 of the horizontal part 332 is about 8-10mm It can be done, and is form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oor seal 32 .
  • the vertical part 331 is fixed to the lower one side of the triangular frame 13 via a bolt b1 or a bolt and a nut, and the horizontal part 332 bent from the vertical part 331 is the door seal 32 on the upper part. )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332a) in which the vertically bent locking jaw (322b) is hooked at the end of one side. And, the fixing part 333 is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331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part 332 and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triangular frame 13 and the mortar finishing material 2 .
  • an M8 bolt may be used, or an M8 nut and bolt may be used instead of the M8 bolt.
  • These bolts b1 are drilled in the vertical part 331 of the separating plate 33 and then fixed by welding, two of which can be welded and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parating plate 33, and the interval between them i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platform.
  • the fixed positions of the triangular frame 13 def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riangular frame 13 can be aligned and spaced apart at a larger interval.
  • FIG. 1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oor seal shown in FIG. 15 .
  • the door seal 3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portion 321 through which the door shoe 14a of the elevation door 14 is inserted and the elevation door 14 is guided in a sliding manner. do.
  • the first fixing part 322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in one direction (the triangular frame 13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
  • ' ⁇ ' or ' ' can be structured.
  • a groove 322a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331 constituting the separation plate 3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ceiling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22 , and is bent downward at the lower end to separate it
  • a locking projection 322b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32a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332 of the plate 33 is formed.
  • a step t is formed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32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part 321, and the horizontal part 332, as shown in FIG. 11) and then caught on the lower side of the rail part 321 in the other directio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hree-way frame 13).
  • the step t generated between the locking jaw 32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part 321 is the same as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bracket 11 to which the lower part of the door seal 32 is fixed to the locking jaw 322b. do. And, the step (t), that is,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jaw 32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part 321, is between the locking jaw 322b and the seal bracket 11, the horizontal of the separating plate 33.
  •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portion 332 may b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portion 332 so that the portion 332 is inserted and coupled.
  • the horizontal portion 332 of the separation plate 33 is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2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al bracket 11 , that is,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 32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portion 321 . between the door seal 32 and the seal bracket 11 by the fixing force of the door seal 32, which is inserted into the gap formed by the step t of the fixed up and down
  • a second fixing part 323 for fixing the door seal 32 to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via a fixing bolt 31 . ) is integrally formed.
  • the second fixing part 323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 bracket), for example, it is made of ' ⁇ ', or the head part of the fixing bolt 31 is enga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 with hooking piece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structure can be formed.
  • a cover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door seal 32 may be further installed.
  • 19 to 24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al bracket 11 is fixed to the chin of the building floor 1 , and a three-way frame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floor 1 .
  • the separation plate 3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ee-way frame 13 using a bolt b1, and then the door seal 32 is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through the fixing bolt 31. Fix it.
  • the door seal 32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al bracket 11 through the fixing bolt 31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322 is seated in an aligned state on the upper horizontal part 332 of the separating plate 33 . is fixed Accordingly, the horizontal portion 332 of the separation plate 3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22 of the door seal 32 and the seal bracket 11 through the fixing force of the door seal 32 due to the fixing bolt 31 . firmly fixed between
  • the replacement method is as follows.
  • the elevation door 14 is separated from the door seal 32 , and then, as shown in FIGS. 21 and 22 , loosen the fixing bolt 31 to remove the door seal 32 from the seal bracket 11 .
  • the three-way frame 13 and the door seal 32 are fixed by using the separating plate 33 of an 'inverted T'-shaped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 the door seal can be selectively replaced without dismantling the platform floor mortar or concrete that finishes the floor of the platform.
  • the horizontal portion 332 of the separating plate 33 having a 'reverse T'-shaped structure is a latch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22 of the door seal 32 . By being caught in the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plate 3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oor seal 32 .
  •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331 constituting the separating plate 33 having an inverted T'-shaped structure is the first fixing part 321 of the door seal 32 .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의 승하차를 위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고 승장도어, 도어 실(door sill, 문지방),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하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삼방틀과 도어 실 사이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또는 'L'자형 분리판을 설치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결합함으로써 건물 마감작업(승장바닥의 몰탈 충진작업) 후에도 건물의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해체없이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승객 또는 화물의 승하차를 위해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되고 승장도어, 도어 실(door sill) 및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하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삼방틀과 도어 실 사이에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또는 'L'자형 분리판을 설치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결합함으로써 건물 마감작업(승장바닥의 몰탈 충진작업) 후에도 건물의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해체없이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6층 이상의 고층 건물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승객이나 화물을 상하로 이송 및 운반하는 승강기(elevator)가 설치된다. 그리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기의 카에 승객이나 화물을 승하차하기 위해 승강장이 설치된다.
승강장은 승장도어, 도어 실(door sill) 및 삼방틀(jamb) 등을 포함한다. 도어 실은 승장도어의 직하부 바닥면(승강기 출입구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승장도어는 하단부가 도어 실의 레일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 개의 도어 슈를 매개로 도어 실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개폐한다.
한편, 승강기는 각 층의 마감공사시 공사자재 등을 운반하기 위해 건물을 완공하기 전에 미리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 때문에 승강기를 이용하여 공사자재 등을 운반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 실의 표면에 스크래치, 혹은 마모 또는 파손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을 완공한 후에는 신규 제품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은, 먼저 각 층의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1)의 턱부에 실 브라켓(11)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도어 실(12)을 각 층의 레벨(fL, Finish Line)에 맞게 용접 고정한다. 그리고, 도어 실(12)에 삼방틀(13)을 고정한 후 도어 슈(14a)를 통해 승장도어(14)를 설치한다.
이어서, 도 1과 같이, 삼방틀(13)과 승장도어(14)가 설치된 후 승강기 관련 조정작업이 완료되면, 도 2와 같이, 몰탈을 이용한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삼방틀(13) 및 승장도어(14)와 건물 바닥(1) 사이에 몰탈을 채운다. 즉 몰탈 마감재(2)로 삼방틀(13) 및 승장도어(14)와 건물 바닥(1) 사이의 공간을 매립하여 건물 바닥(1)과 삼방틀(13) 및 승장도어(14) 사이의 단차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삼방틀(13)이 도어 실(12)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고정부(12a)에 삽입되는 볼트(B)를 매개로 도어 실(12)에 설치 고정되고, 몰탈 마감재(2)가 삼방틀(13)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어 실(12)의 교체작업시 몰탈 마감재(2)를 해체하지 않고는 교체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삼방틀(13)과 도어 실(12) 간의 볼트(B)를 이용한 결합구조로 인해 도어 실(12)의 교체작업시 이미 시공되어 있는 몰탈 마감재(2) 등의 건물 마감부를 모두 해체해야만 도어 실(12)을 교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도어 실(12)을 교체한 후 다시 몰탈 마감과 같이 건물 마감공정을 추가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하여 교체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였고, 산업 폐기물 또한 증가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며, 마감 작업면이 불일치하여 승강 바닥면에 단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KR 10-0768247 B1, 2007. 10. 11.
KR 10-1676295 B1, 2016. 11. 09.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실을 교체할 때 이미 시공된 몰탈 마감재 등을 포함하는 건물 마감재를 해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장도어; 상기 승장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장도어; 상기 승장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가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바닥의 턱부에 실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삼방틀을 설치하는 단계; 분리판의 수평부가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상기 삼방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도어 실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실의 제2 고정부를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실의 레일부에 승장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또는 'L'자형 구조의 분리판을 이용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의 수평부가 도어 실의 제1 고정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는 방식으로 도어 실에 결합됨으로써 분리판이 도어 실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 따르면, 역 T'자형 또는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을 구성하는 수직부의 상단부가 도어 실의 제1 고정부의 상부에 덮혀지는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분리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건축 마감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실의 정단면도.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분리판의 사시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도어 실의 정단면도.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승강장은 건물의 각 층에서 승하차하는 승강기를 이용하기 위해 각 층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각 층의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1)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13) 및 승장도어(14)를 포함한다.
삼방틀(13)은 승강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외부 문틀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승장도어(1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어 실(2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분리판(23)에 일측부가 볼트(24) 또는 너트와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분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판이 삼방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23)은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면에 볼트(24)(예컨대, M8 볼트)를 통해 밀착 고정되는 수직부(23a)와, 수직부(23a)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도어 실(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 사이에 마련된 틈새(g)로 삽입되는 수평부(23b)를 포함하여 'L'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분리판(23)은 금속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길이는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600mm 정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직부(23a)의 길이(L1)는 대략 23~25mm, 수평부(23b)의 길이는 대략 8~10mm로 할 수 있다. 즉, 분리판(23)은 도어 실(22)의 규격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판(23)은 도 5와 같이, 수직부(23a)가 볼트(24) 또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수직부(23a)로부터 절곡된 수평부(23b)는 도어 실(22)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어 실(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또는 건물 바닥(1)) 사이의 틈새(g)에 삽입 고정된다.
볼트(24)는 예를 들어 M8 볼트를 사용하거나, M8 볼트 대신에 M8 너트와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24)는 분리판(23)의 수직부(23a)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볼트(24)는 2개가 분리판(23)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들(24) 간의 간격은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30~150mm 더 크게 형성하여 삼방틀(13)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 삼방틀(13)의 고정위치를 맞추어 더 큰 간격으로 이격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실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22)은 승장도어(14)의 도어 슈(14a)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장도어(14)를 가이드하는 레일부(22a)를 포함한다.
레일부(22a)의 일측부(도 8에서 좌측)에는 도어 실(22)과 실 브라켓(11)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23)을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는 제1 고정부(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22b)는 일측, 즉 삼방틀(13)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 예를 들어 '⊃' 또는 '
Figure PCTKR2021013850-appb-img-000001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22b)의 하부는 레일부(22a)의 하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단차(t) 만큼 틈새가 발생되도록 한다.
제1 고정부(22b)의 하부면과 레일부(22a)의 하부면 간에 발생되는 단차(t)는 도어 실(22)의 하부가 고정되는 실 브라켓(11)의 상면으로부터 제1 고정부(22b)의 하면과의 거리와 같다. 그리고, 제1 고정부(22b)의 하부와 레일부(22a)의 하부 간에 발생되는 단차(t)는 제1 고정부(22b)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로 분리판(23)의 수평부(23b)가 삽입 결합되도록 수평부(23b)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도 7과 같이, 분리판(23)의 수평부(23b)는 제1 고정부(22b)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g), 즉 제1 고정부(22b)의 하부면과 레일부(22a)의 하부면 간의 단차(t)로 발생되는 틈새로 삽입된 후 실 브라켓(11)에 고정되는 도어 실(22)의 고정력에 의해 도어 실(22)과 실 브라켓(11) 사이에 고정된다.
한편, 레일부(22a)의 타측부(도 8에서 우측)에는 고정볼트(21)를 매개로 도어 실(22)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22c)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정부(22c)는 도 8과 같이, 하측(실 브라켓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 예를 들면, '∩'로 이루어지거나, 고정볼트(21)의 헤드부가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된 '
Figure PCTKR2021013850-appb-img-000002
'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 실(22)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방법은, 먼저 건물 바닥(1)의 턱부에 실 브라켓(11)을 고정 설치하고, 건물 바닥(1) 상부에 삼방틀(13)을 설치한다.
이어서,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볼트(24)를 이용하여 분리판(23)을 고정 설치한 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볼트(21)를 통해 도어 실(22)을 고정한다.
도어 실(22)의 제1 고정부(22b)는 하부가 분리판(23)의 수평부(23b)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23)의 수평부(23b)는 도어 실(22)의 제1 고정부(22b)와 실 브라켓(11) 사이에서 고정볼트(21)에 기인한 도어 실(22)의 고정력에 의해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이어서, 건축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승강 바닥을 마감한다.
도 9와 같이, 승강장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 실(22)에 스크래치, 마모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 그 교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과 같이, 승장도어(14)를 도어 실(22)로부터 분리한 후,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고정볼트(21)를 풀어 도어 실(22)을 실 브라켓(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도 13과 같이,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판(23)의 수평부(23b)의 상부에 교체할 새로운 도어 실(22')을 올려놓고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에 고정한다.
이후, 도 14와 같이, 도어 실(22)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 실(22)의 레일부(22a) 내부에 승장도어(14)의 도어 슈(14a)를 결합시켜 도어 실의 교체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승강장에서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L'자형 구조의 분리판(23)을 이용하여 삼방틀(13)과 도어 실(22)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승강장은 실시예1에서와 같이, 각 층의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1)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13) 및 승장도어(14)를 포함한다.
삼방틀(13)은 승강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외부 문틀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승장도어(14)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어 실(2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분리판(33)에 일측부가 볼트(b1) 또는 너트와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분리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분리판이 도어 실 하부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33)은 삼방틀(13) 방향으로 도어 실(32)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도록 대략 단면이 '역 T'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분리판(33)은 예를 들어,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면에 볼트(b1)(예컨대, M8 볼트)를 통해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는 수직부(331)와, 수직부(33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도어 실(22)의 일측부 하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는 수평부(332)와, 수직부(331)의 하단부에서 수평부(332)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3)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2)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33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판(33)은 도어 실(32)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실(32)과의 이질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길이는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600mm 정도 더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수직부(331)의 높이(L1)는 대략 23~30mm, 수평부(332)의 길이(L2)는 대략 8~10mm로 할 수 있으며, 도어 실(32)의 규격에 따라 형성한다.
수직부(331)는 볼트(b1) 또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수직부(331)로부터 절곡된 수평부(332)는 상부에 도어 실(32)의 일측부 종단부에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걸림턱(322b)이 걸림되는 걸림홈(3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333)는 수평부(332)의 반대측으로 수직부(33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3)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2) 사이에 삽입된다.
볼트(b1)는 예를 들어 M8 볼트를 사용하거나, M8 볼트 대신에 M8 너트와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b1)는 분리판(33)의 수직부(331)에 타공한 후 용접하여 고정하되, 2개가 분리판(33)의 길이방향으로 용접 체결될 수 있고, 이들 간의 간격은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30~150mm 더 크게 형성하여 삼방틀(13)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 삼방틀(13)의 고정위치를 맞추어 더 큰 간격으로 이격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도어 실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32)은 승장도어(14)의 도어 슈(14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장도어(14)가 가이드되는 레일부(321)를 포함한다.
레일부(321)의 일측부(도 18에서 좌측)에는 도어 실(32)과 실 브라켓(11)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33)의 수평부(332)가 결합되는 제1 고정부(3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고정부(322)는 도 18과 같이, 일측 방향(삼방틀(13)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 또는 '
Figure PCTKR2021013850-appb-img-000003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322)의 상부 천장에는 분리판(33)을 구성하는 수직부(33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322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분리판(33)의 수평부(332)에 형성된 걸림홈(332a)에 삽입되는 걸림턱(32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과 같이, 걸림턱(322b)과 레일부(321)의 하부면 사이에는 단차(t)가 형성되어 수평부(332)는 도 17과 같이, 걸림턱(322b)과 실 브라켓(11) 사이로 인입된 후 타측 방향(삼방틀(13)과 반대방향)으로 레일부(321)의 하부 측부에 걸림된다.
걸림턱(322b)과 레일부(321)의 하부면 간에 발생되는 단차(t)는 도어 실(32)의 하부가 고정되는 실 브라켓(11)의 상면으로부터 걸림턱(322b)과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걸림턱(322b)의 하부와 레일부(321)의 하부면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t), 즉 간격은 걸림턱(322b)과 실 브라켓(11)의 사이로 분리판(33)의 수평부(332)가 삽입 결합되도록 수평부(3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33)의 수평부(332)는 제1 고정부(3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즉 걸림턱(322b)과 레일부(321)의 하부면 사이의 단차(t)에 의해 형성된 틈새로 삽입된 후 고정볼트(21)를 통해 실 브라켓(11)에 고정되는 도어 실(32)의 고정력에 의해 도어 실(32)과 실 브라켓(11) 사이에 상하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17과 같이, 수평부(332)가 제1 고정부(3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1)의 상부 사이로 인입되면, 제1 고정부(32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322b)은 수평부(332)의 걸림홈(332a)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이에 따라 분리판(33)은 일측방향으로 도어 실(32)에 걸림되어 도어 실(32)에서 삼방틀(13)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18과 같이, 레일부(321)의 타측부(도 18에서 우측)에는 고정볼트(31)를 매개로 도어 실(32)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하는 제2 고정부(3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정부(323)는 하측(실 브라켓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 예를 들면, '∩'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고정볼트(31)의 헤드부가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된 '
Figure PCTKR2021013850-appb-img-000004
'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 실(32)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시공방법은, 먼저 건물 바닥(1)의 턱부에 실 브라켓(11)을 고정 설치하고, 건물 바닥(1) 상부에 삼방틀(13)을 설치한다.
이어서, 삼방틀(13)의 하부 일측부에 볼트(b1)를 이용하여 분리판(33)을 고정 설치한 후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볼트(31)를 통해 도어 실(32)을 고정한다.
이때, 도어 실(32)은 제1 고정부(322)가 분리판(33)의 수평부(332)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고정볼트(31)를 통해 실 브라켓(11)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33)의 수평부(332)는 고정볼트(31)에 기인한 도어 실(32)의 고정력을 통해 도어 실(32)의 제1 고정부(322)와 실 브라켓(11) 사이에서 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건축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승강 바닥을 마감한다.
도 19와 같이, 승강장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 실(32)에 스크래치, 마모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 그 교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0과 같이, 승장도어(14)를 도어 실(32)로부터 분리한 후, 도 21 및 도 22와 같이, 고정볼트(31)를 풀어 도어 실(32)을 실 브라켓(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도 23과 같이,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판(33)의 수평부(332)의 상부에 교체할 새로운 도어 실(32')을 올려놓고 고정볼트(31)를 통해 실 브라켓(11)에 고정한다.
이후, 도 24와 같이, 도어 실(32')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어 실(32')의 레일부(321) 내부에 승장도어(14)의 도어 슈(14a)를 결합시켜 도어 실의 교체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구조의 분리판(33)을 이용하여 삼방틀(13)과 도어 실(32)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33)의 수평부(332)가 도어 실(32)의 제1 고정부(322)의 하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됨으로써 분리판(33)이 도어 실(3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승강기용 승강장에서는 역 T'자형 구조로 이루어진 분리판(33)을 구성하는 수직부(331)의 상단부가 도어 실(32)의 제1 고정부(321)의 상부에 덮혀지는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분리판(33)이 외부(도어 실(32)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아 건축 마감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건물 바닥(콘크리트 바닥)
2 : 몰탈 마감재
11 : 실 브라켓
12, 22, 32 : 도어 실
22', 32' : 새로운 도어 실
12a : 제1 고정부
13 : 삼방틀
14 : 승장도어
14a : 도어 슈
B, b1 : 볼트
21, 31 : 고정볼트
22a : 레일부
22b : 제1 고정부
22c : 제2 고정부
23, 33 : 분리판
23a : 수직부
23b : 수평부
24 : 볼트(또는 너트)
321 : 레일부
322 : 제1 고정부
322a : 홈
322b : 걸림턱
323 : 제2 고정부
331 : 수직부
332 : 수평부
332a : 걸림홈
333 : 고정부
g : 틈새

Claims (12)

  1.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장도어;
    상기 승장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분리판; 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은,
    상기 승장도어의 도어 슈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실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개방된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덮어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천장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부의 하부면 간의 단차는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삼방틀의 하부와 상기 건물 바닥에 채워진 몰탈 마감재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6.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된 실 브라켓;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실;
    상기 도어 실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승장도어;
    상기 승장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가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분리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실은,
    상기 승장도어의 도어 슈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레일부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실 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하부가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레일부의 하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수직부가 볼트 또는 너트와 볼트를 통해 상기 삼방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11. 건물 바닥의 턱부에 실 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삼방틀을 설치하는 단계;
    분리판의 수평부가 상기 실 브라켓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상기 삼방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도어 실의 제1 고정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평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실의 제2 고정부를 상기 실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실의 레일부에 승장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도어를 상기 도어 실에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정볼트를 풀어 상기 도어 실을 상기 실 브라켓에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도어 실의 자리에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로 교체하는 단계; 및
    교체된 새로운 제품의 도어 실의 레일부에 상기 승장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의 시공방법.
PCT/KR2021/013850 2020-12-23 2021-10-0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WO202213913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63790A JP2024501589A (ja) 2020-12-23 2021-10-08 敷居の取り替えが容易なエレベータ用乗場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2180086564.XA CN116685549A (zh) 2020-12-23 2021-10-08 门地坎易更换的电梯用升降平台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842A KR102309689B1 (ko) 2020-12-23 2020-12-23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020-0181842 2020-12-23
KR1020210068983A KR102318064B1 (ko) 2021-05-28 2021-05-2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021-0068983 2021-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133A1 true WO2022139133A1 (ko) 2022-06-30

Family

ID=8215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850 WO2022139133A1 (ko) 2020-12-23 2021-10-08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4501589A (ko)
WO (1) WO202213913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4419A1 (en) * 2002-09-03 2006-03-16 Friedman Harold S Elevator entrance sill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00101411A (ko)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166U (ko) * 2011-09-28 2013-04-05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200482094Y1 (ko) * 2015-07-22 2016-12-14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절곡타입의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
JP2020093872A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102309689B1 (ko) * 2020-12-23 2021-10-07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4419A1 (en) * 2002-09-03 2006-03-16 Friedman Harold S Elevator entrance sill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KR20100101411A (ko) * 2009-03-09 2010-09-17 (주)상아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2166U (ko) * 2011-09-28 2013-04-05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도어 장치
KR200482094Y1 (ko) * 2015-07-22 2016-12-14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절곡타입의 엘리베이터 홀 재료분리대
JP2020093872A (ja) * 2018-12-11 2020-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102309689B1 (ko) * 2020-12-23 2021-10-07 장종철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1589A (ja)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689B1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WO2013151293A1 (ko) 알루미늄 합금 샤시 구조의 슬라이딩 창호 시스템의 이동창 설치 구조
WO2019074283A1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WO2011122811A2 (ko)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WO2021066294A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WO2009128688A2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WO2017047867A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4168355A1 (ko) 승강장 안전발판 및 그 구동장치
WO2011139123A2 (ko) 커튼월시스템
WO2020122307A1 (ko)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9133A1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KR102318064B1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승강기용 승강장 및 그 시공방법
WO2021241859A1 (ko) 복합 소재 프레임을 이용한 내진보강 복합체 및 그 시공방법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19190078A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WO2017003004A1 (ko) 건축물 지붕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WO2023013980A1 (ko) 건축물의 현관 바닥구조
WO2019225864A1 (ko) 완전 개방식 비상 도어
WO2016108475A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WO2020060149A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WO2017003003A1 (ko) 건축물 지붕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WO2016108474A1 (ko)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WO2010044601A2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WO2013147381A1 (ko) 상부 고정식 창문 회전 장치
WO2021025309A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112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6564.X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63790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112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