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08474A1 -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 Google Patents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08474A1
WO2016108474A1 PCT/KR2015/013760 KR2015013760W WO2016108474A1 WO 2016108474 A1 WO2016108474 A1 WO 2016108474A1 KR 2015013760 W KR2015013760 W KR 2015013760W WO 2016108474 A1 WO2016108474 A1 WO 20161084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nel
sliding
sliding bar
wall
auxilia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7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영호
Original Assignee
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호 filed Critical 강영호
Publication of WO20161084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084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3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horizontall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scaffold that can be stretched, and more specifically, it is extended to the space between the building and the scaffold to form a scaffold in the space space, and can be stretched when the foam lift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eel structure It relates to a sliding scaffold that can be stretched.
  • the core construction method one of the technique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is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concrete of a core part is constructed first, followed by steel construction work.
  •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is formed in a reversed order.
  •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is to place concrete on the slab of the core part after the steel frame is completed.
  • all the temporary materials for placing the concrete should be lifted to the upper layer, whereas the core leading method is that the core part concrete is placed first, followed by the steel frame. Since construction is in progress, the lifting and installation assembly of formwork is greatly improved.
  • This core construction technique is main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and the core of the high-strength part is constructed in advance by the wall structure, and the low-strength parts such as beams and slabs are constructed in the ramen structure, and then the two structures are constructed. It is designed to be integrated by joining, and to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amount for each structure,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otruding kicker is applied in a general core leading construction technique,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C protrudes while having a length of at least 500 to 600 mm to the outside of the wall W.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otruding kicker is applied in a general core leading construction technique, and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C protrudes while having a length of at least 500 to 600 mm to the outside of the wall W.
  • the footrest (F) forming a space for walking and working by the worker should be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ng reinforcement (C), it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t least 600 ⁇ 700mm from the wall (W).
  • the auxiliary plate (S) is lai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affold (F) to extend the floor area to close the space (d) of the wall (W) and the scaffold (F) to the operator's safety Was implemented.
  •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37682 name: work scaffold for building construction
  • the scaffold is described to extend the work space by hinged rotational scaffolding to the fixed scaffold, but the scaffold space
  • it is suitable for constructing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extending in the wall-side direction from the scaffol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vertical support force is not appli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0917 name: walking device and method of aerial platform
  • the inner working table is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working table to adjust the length
  • it is described as being varia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applying a stable in the lower floor work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high-rise.
  • the eye work platform extending to the outside is vulnerable to the vertical loa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afety is poor.
  • variabl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scaffolding according to the extension steel frame forme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wall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o which the core leading construction technique is applied In ord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the fall of the worker in advance and to provide a sliding scaffold that can be stretched to proceed smoothly during the lifting of the foam.
  •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struction of the scaffold used in the foam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and lifted to the upper, a plurality of arrangement so that the side wall and side wall of the panel facing A panel portion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ving one end of the panel facing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plurality of yoke material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unit to connect a plurality of panels; A plurality of Jang Sunja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yoke material to connect a plurality of yoke materials; And a sliding scaffold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panel to be slidable into the inside of the panel to open and close a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panel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wherein the panel has both ends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 the sliding scaffolding porti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and the sliding ba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sliding bar, when extended to the separation space to close the separation spac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It includes.
  • the sliding scaffold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force pressurizing unit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so as to lift or pull the auxiliary plate or push out the sliding bar to slide along the through hole.
  • the sliding bar is made of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respectively,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sliding bar is coupled to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the sepa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ength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of the pane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exposed to one end of the panel portion in the extended state.
  • the auxiliary plate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boundary portion that is not coupled to one sid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is formed so that the sliding bar is slid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when the separation space is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panel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plate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side of the panel.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limbing foam in the core leading construction technique, thereby realizing a safe working environment by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wall and the scaffold through an auxiliary plate without violating the connecting reba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 the lifting space of the climbing foam can be easily opened so that the lifting and work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ou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reby providing a flexible sliding scaffold that can realize economic benefits with high working efficiency.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caffold.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 scaffolding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li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exi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li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gle is coupled to the panel portion of the flexible sli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ngle.
  •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gle is coupled to the panel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angle.
  • FIG. 1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5.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provided in a first gap formed between the panels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7.
  •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provided in a second gap formed between an outer wall of the building scaffold and a panel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7.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coupled between panels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21.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ing scaffolding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liding scaffo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exi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exi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varying the opening and closing space between the parts (1)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s such as falling of the worker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scaffold that can stretch the auxiliary plate 26 to proceed smoothly during the lifting of the foam.
  • the foam may be made of a gang form (clim form) or climbing form (climbing form), 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wall (W) refers to the building structure so that the worker can support and move.
  • a plurality of panel parts 1 are arrang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side walls and side walls of the panel 2 face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panel 2 is provided on the wall W of the building.
  • both ends of the panel 2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through holes 3.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 are formed by partition walls 4.
  • the yoke material 6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nel part 1, and connects several panel 2, and consists of many pieces.
  • Jangsunjae 7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yoke (6) to connect a plurality of yoke (6), made of a plurality.
  • the sliding scaffolding part 24 is slidably provided in the panel part 1 at one end of the panel part 1 to open and close the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panel part 1 and the wall W of the building. Let's do it.
  • the sliding scaffold 24 includes a sliding bar 25, an auxiliary plate 26, and an external force presser 27.
  • One end of the sliding bar 25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 and slides.
  • the sliding bar 25 is made of a plurality,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 respectively.
  •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25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25 exposed to one end of the panel portion 1 in the extended space,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25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 of the panel 2. Is formed with a certain length so as to be longer.
  • the auxiliary plate 26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25, and when extended to the spaced space, closes the spaced space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bar 25.
  • the auxiliary plate 26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ing, and connects and closes the spac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sliding bars 25.
  • the auxiliary plate 26 is formed to be bent in the middle boundary portion that is not coupled to one side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plate 26)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liding bar 25 so that the sliding bar 25 penetrates.
  •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plate 26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between the inner upper side or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3 and the outer side of the panel 2.
  • the width of the auxiliary plate 26 to close the separation space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liding bar 25 exposed to one end of the panel portion 1 in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on space is extended to the auxiliary plate 26 and the panel. It is preferable that a gap does not arise between the ends of the part 1.
  • the external force presser 2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uxiliary plate 26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lift or pull the auxiliary plate 26 or push it out so that the sliding bar 25 slides along the through hole 3.
  • the external force pressing unit 27 may be made of a string.
  •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used for the foam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to be lifted to the top.
  • the foam may be made of a gang form (clim form) or climbing form (climbing form), in addition,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refers to the building structure so that the worker can support and move.
  • the panel portion 1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plates so that the side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panel 2 face each other, and is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panel 2 face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 both ends of the panel 2 pene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the through holes 3.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 are formed by partition walls 4.
  • the out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liding hole 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liding holes 5 may be formed in a pair above and below the side wall of the panel 2.
  • the sliding hole 5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 ⁇ ' the outer surface is opened. That is, the inner vertical width of the sliding hole 5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inlet opening the outer surface.
  • the panel 2 may be 200mm, 40-50mm, Nmm in size of the width, length, length and can be mass-produced by standardizing the size.
  • the panel 2 is light, has a constant performance, and can be recycled to reduce the design cost.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anel 2 may improve irregularities by forming irregularities, a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 4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or different colors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
  • the yoke material 6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nel part 1, and connects several panels 2, and prevents the several panels 2 from being separated.
  • Jangsun 7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yoke (6) to connect a plurality of yoke (6), so that the plurality of yoke (6) is not separated.
  • the yoke (6) and Jang Sunjae (7) consists of a plurality.
  • the fall prevention part is provided with the panel 2 i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panel part 1.
  • the fall prevention part is provided outside the upper part of the panel part 1 to prevent the fall of the article so that the article such as construction equipment does not fall from the panel part 1.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gle is coupled to the panel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angle.
  •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2.
  • the drop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ngle 8 and a first drop preventing unit 11.
  • One side of the first angle 8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anel 2 by opening.
  • An insertion hole 10 into which the outer wall of (3) is inserted is formed. That is, the first angle 8 is formed in a 'c' shape. At this time, the width length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gle 8 is formed longer than the side wall width length of the panel (2).
  • first angle 8 is formed with a first projection 9 which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itted into the sliding hole 5 to slide.
  • the first protrusion 9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liding hole (5).
  • the second protrusions 13 to the fifth protrusions 22 to be described later are also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cross-sectional shape (' ⁇ ' shape) of the sliding hole 5.
  • the first protrusions 9 are formed in two, and are coupled to two sliding holes 5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panel 2 of the first drop prevention portion 1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ncreas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gle 8 and the panel 2 of the first drop preventing portion 11, so that the panel 2 of the first drop preventing portion 11 is outside the panel portion 1. Or to be able to be coupled stably without inclining inward direction.
  • the first angle 8 coupled to the panel 2 of the panel part 1 is fixed by fastening the fixing member 23 (for example, a screw-type piece, a bolt, a nail, etc.).
  • the fixing member 23 for example, a screw-type piece, a bolt, a nail, etc.
  • the first fall prevention part 11 includes a panel in which the sliding hole 5 of the panel 2 slides on the first protrusion 9 of the first angle 8 and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angles 8. 2) consists of.
  • the sliding hole 5 of the panel 2 in which the side wall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ther end of the panel portion 1 is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angle 8 ( 9) to prevent the article from falling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panel portion (1).
  • first angle 8 and the edge of the panel 2 of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11 that is, fixed to penetrate through the sliding hole 5 and the first protrusion 9 of the panel 2
  • the dragon member 23 is fastened to fix the panel 2 of the first fall prevention portion 11 to the first angle 8.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gle is coupled to the panel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angle.
  • 1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5.
  • the fall prevention part includes a second angle 12 and a second fall prevention part 15.
  • the second angle 12 has a second protrusion 13 which protrudes on the inner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5 and slides, and a third protrusion that protrudes on the upper side and fits and slides in the sliding hole 5 ( 14) is formed.
  • the second angle 12 is formed in a ' ⁇ ' shape
  • the second protrusion 1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one side, it is formed in one or more.
  • the second angle 12 slides into the sliding holes of the panel 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nel portion 1, and is fastened and fastened by the fixing member 23 described above.
  • the third protrusion 14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5 formed in the panel 2 of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15 to be described later and slides.
  • the third protrusions 14 may be coupled to each of two sliding holes 5 of the panel 2 of the second fall prevention part 15 to protrude in two so as not to be inclined to one side.
  •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angle 12 in which the third protrusion 14 is formed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panel 2 of the second fall prevention portion 15.
  • the second angle 12 coupled to the panel 2 of the panel portion 1 is fixed by the fastening of the fixing member 23 (for example, screw-type pieces, bolts, nails, etc.).
  • the second fall prevention part 15 includes a panel in which the sliding hole 5 of the panel 2 slides on the third protrusion 14 of the second angle 12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angles 12. 2) consists of.
  • the sliding holes 5 of the panel 2 in which the sidewalls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panel portion 1 are arranged in the third protrusions of the second angle 12. 14) to prevent the article from falling to both sides of the panel portion (1).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provided in a first gap formed between panels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8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7.
  •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provided in a second gap formed between the building outer wall and the panel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7.
  •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ap closing member (16).
  • the gap closing member 16 may include a first gap 17 generated between the sidewalls of adjacent panels 2 of the plurality of panels 2 when the panel portion 1 is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panels 2 or It is provided between any one of the 2nd gaps 18 which generate
  • first gap 17 and the second gap 18 are gaps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50 mm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hen lifting the climbing foam.
  • At least one gap closing member 16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gap 17.
  • the gap closing member 16 is formed with a fourth projection 19 which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5 and slides,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ourth projection 19 to form the first gap 17 or the second.
  • a closure 20 is formed which closes the gap 18.
  • the gap closing member 16 is made of a soft material, when lifting the climbing foam,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the gap closing member 16, the operation is smooth because no separate work.
  • the insertion hole 10 is inserted into the outer wall of the through hole 3 formed in one end of the panel 2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panel portion 1, the gap closing on the outer surface
  • the fourth protrusion 19 of the member 16 is inserted to form a sliding hole 5 for sliding.
  • the second protrusion 13 of the first angle 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anel part 1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 hole 3,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hird angle is coupled between panels of the expandable sliding scaffol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 the expandable sliding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hird angle 21.
  • the third angle 21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fifth protrusions 22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s 5 of the panel 2 formed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panel 2 and sliding.
  • the third angle 21 is formed in the 'H' shape.
  • the panel 2 and the panel 2 constituting the panel part 1 are integrally formed as the fifth protrusions 22 of the third angle 21 are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s 5 formed in the sidewalls and slide. Connected and not separated.
  • the third angle 21 connects the panel 2 and the panel 2 of the panel portion 1 integrally so that the load is generated. Dispersion can be minimized to sag one panel (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에 따르면,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패널부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의 일단과 건물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딩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코어선행 공사기법에서 클라이밍 폼에 적용되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 철근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벽체와 발판의 이격 공간을 보조판을 통해 폐쇄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함은 물론, 클라이밍 폼의 인양시 이격공간을 용이하게 개방시켜 조립과 해체작업없이 원활한 인양 및 작업이 이루어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높아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본 고안은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과 발판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신장되어 이격 공간에 발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폼 인양시 신축시켜 철골 구조물에 간섭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하는 기법 중 하나인 코어선행 공사기법은, 코어 부분의 콘크리트가 먼저 시공되고 그 뒤를 따라 철골공사가 올라오는 공법으로, 기존의 공법 순서가 뒤바뀐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기존의 공법은 철골이 완료된 후에 코어 부분의 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모든 가설재가 상부층으로 양중되어야 하는 반면, 코어선행공법은 코어부분 콘크리트가 먼저 타설되고 그 뒤에 철골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양중 및 설치 조립이 대폭 개선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코어선행 공사기법은, 주로 초고층 건물을 시공할 때 적용되며, 고강도 부분인 코어를 벽식구조로 선행하여 시공하고, 보, 슬라브 등과 같은 저강도 부분을 라멘구조로 시공한 후, 두 구조를 접합 연성하여 일체화시키도록 된 것으로, 각각의 구조에 대한 변위량 차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건축물의
안전을 구현하게 된다.
선행되는 코어 벽체에 향후 슬래브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첫째, 철근을 기계 이음하는 방법이 있으며, 둘째, 돌출형 키커(kicker)를 두는 방법이 있고, 셋째, 벽체에 매립 박스를 두는 방법이 있다.
첨부된 도 1는, 일반적인 코어선행 공사기법에서, 돌출형 키커가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으로, 벽체(W)의 외부로 최소 500~600mm 정도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 철근(C)이 돌출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보행 및 작업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발판(F)은 상기 연결 철근(C)의 외측에 배치되어야 함에 따라, 벽체(W)에서 최소 600~700mm정도 이격 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나, 벽체(W)와 발판(F)과의 사이에 이격 공간(d)에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침해하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F)의 상부에서, 벽체(W)측 방향으로 보조판(S)을 가설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였다.
즉, 상기 발판(F)의 상부에 벽체(W)측으로 바닥 면적을 확장하도록 상기 보조판(S)을 부설하여 벽체(W)와 발판(F)과의 이격 공간(d)을 폐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구현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발판(F)의 상부에 보조판(S)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추가자재의 투입에 따른 경비의 상승으로 비경제적이며, 발판 설치 작업시간이 증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발판(F)과 보조판(S)과의 턱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보행 및 작업을 수행할 때 불편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237682호(명칭: 건축 공사용 작업발판)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정발판에 회전발판을 힌지결합하여 작업공간을 연장하도록 된 발판이 기재되어 있으나, 발판공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구성하는 것에는 적합하지만, 발판에서 벽체측 방향으로 연장할 경우에는, 수직상지지력이 떨어져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117772호(명칭: 건축공사용 슬라이드형 안전발판)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발판이 고정발판의 양쪽 레일을 따라서 고정발판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발판에 슬라이드 발판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기재되어 있어, 작업공간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에 불편을 주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발판에 상기 슬라이드 발판이 결합되는 부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발판에서 벽체측 방향으로 연장할 경우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38881호(명칭:확장기능을 갖는 건축공사용 케이지)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발판에서 측면(벽체 측방향)으로 보조작업발판이 힌지 결합되어 작업영역을 연장하도록 된 것 기재되어 있으나, 벽체에 연결 철근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작업발판이 펼쳐질 때, 상기 연결 철근이 상기 보조작업잘판의 회전반경에 존재하여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발판에서 벽체측 방향으로 연장할 경우에는, 수직상 지지력이 떨어져 적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90917호(명칭: 고소 작업대의 걷는 장치 및 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깥 작업대의 내부에 안작업대가 수납되어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가변하도록 된 것이 기재되어 있으나, 저층의 작업공간에서는 안정적으로 적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구현할 수는 있으나, 초고층의 시공에서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외부로 연장되는 상기 안 작업대가 수직하중에 대하여 취약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어선행 공사기법이 적용되는 건축물의 공사에서 벽체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 철골에 따른 벽체와 발판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변적으로 개폐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폼의 인양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된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에 따르면,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 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패널부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의 일단과 건물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딩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발판부는, 상기 관통공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신장되면 상기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부를 덮는 보조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발판부는, 상기 보조판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판을 들어올려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외력을 가하는 외력가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바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관통공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슬라이딩바 타단들은, 상기 보조판의 일측 하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의 길이보다 상기 패널의 관통공에 삽입된 길이가 더 길도록 일정길이를 갖으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판은,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결합된 일측과 결합되지 않은 중간부 경계부분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공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격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패널부의 상측면과 보조판의 하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판의 두께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 상측면 또는 하측면과 패널의 외측면 사이의 두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코어선행 공사기법에서 클라이밍 폼에 적용되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 철근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벽체와 발판의 이격 공간을 보조판을 통해 폐쇄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현함은 물론, 클라이밍 폼의 인양시 이격 공간을 용이하게 개방시켜 조립과 해체작업없이 원활한 인양 및 작업이 이루어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높아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부에 제1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제1낙하방지부가 제1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부에 제2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제2낙하방지부가 제2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제1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정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건물 외벽과 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 사이마다 제3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은, 코어선행 공사기법이 적용되는 건축물의 공사에서 벽체(W)의 외부로 연장 형성된 연장 철골에 따른 벽체(W)와 패널부(1)의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가변적으로 개폐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폼의 인양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판(26)을 신축할 수 있는 발판이다.
이때, 폼은 갱폼(gang form) 또는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 건물 벽체(W)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을 말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은, 패널부(1), 멍에재(6), 장선재(7), 슬라이딩발판부(24)를 포함한다.
먼저, 패널부(1)는, 패널(2)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건물의 벽체(W)에 패널(2)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패널(2)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3)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3)은 격벽(4)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멍에재(6)는, 패널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2)을 연결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장선재(7)는, 멍에재(6)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6)를 연결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발판부(24)는, 패널부(1)의 일단에 패널부(1)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1)의 일단과 건물의 벽체(W)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킨다.
이에 따라, 추가자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단축하여 원활한 공사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발판부(24)는, 슬라이딩바(25), 보조판(26) 및 외력가압부(27)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바(25)는, 관통공(3)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이때, 슬라이딩바(25)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관통공(3)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다수개의 슬라이딩바(25) 타단들은, 후술할 보조판(26)의 일측 하측면과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바(25)의 길이는,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1)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25)의 길이보다 패널(2)의 관통공(3)에 삽입된 길이가 더 길도록 일정길이를 갖으며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슬라이딩발판부(24)를 지지하였을 때 발생되는 하중에 대해서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판(26)은, 슬라이딩바(25)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이격공간으로 신장되면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며 슬라이딩바(25)의 상부를 덮는다.
즉, 보조판(26)은, 슬라이딩의 상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슬라이딩바(25) 사이마다 형성되는 공간부를 연결하며 폐쇄시킨다.
또한, 보조판(26)은, 슬라이딩바(25)의 타단에 결합된 일측(보조판(26)의 하측면 일측)과 결합되지 않은 중간부 경계부분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이격공간이 개방되면 패널부(1)의 상측면과 보조판(26)의 하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된다.
즉,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면 보조판(26)이 패널부(1)의 상부로 올라오게 되고,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신장되면 보조판(26)이 신장된 슬라이딩바(25)의 상부에 올라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조판(26)의 두께는, 관통공(3)의 내부 상측면 또는 하측면과 패널(2)의 외측면 사이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판(26)이 신장된 슬라이딩바(25)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판(26)의 상측면과 패널부(1)의 상측면이 평행하도록 두께를 갖음으로써, 작업자가 이동할 때 걸림턱이 없이 안전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는 보조판(26)의 폭은,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1)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25)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보조판(26)과 패널부(1)의 일단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폭을 갖음으로써, 장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력가압부(27)는, 보조판(26)의 타측에 결합되어 보조판(26)을 들어올려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슬라이딩바(25)가 관통공(3)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외력을 가한다.
이때, 외력가압부(27)는, 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외력가입부를 작업자가 위로 잡아당기면 보조판(26)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되 패널부(1)의 상측면보다 더 높이 들어올려지고, 그 상태에서 패널부(1)의 타단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슬라이딩바(25)가 슬라이딩되며 축소된다. 이에 따라 보조판(26)은 패널부(1)의 상부로 이동되여 이격공간이개방된다. 그리고 폼이 인양됨에 따라 철근(C)으로부터 간섭없이 일체로 인양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보조판(26)을 건물의 벽체(W)를 향하며 밀게 되면 슬라이딩바(25)가 신장되면서 보조판(26)에 의해 이격공간이 폐쇄된다.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은,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때, 폼은 갱폼(gang form) 또는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지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건축구조물을 말한다.
패널부(1)는, 패널(2)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건물의 외벽에 패널(2)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패널(2)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관통공(3)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3)은 격벽(4)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된다.
패널(2)의 측벽에는, 외측면이 개구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공(5)이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공(5)은 패널(2)의 측벽 상하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공(5)은 외측면이 개구되어 '├'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슬라이딩공(5)의 내부 상하 폭 길이는 외측면이 개구된 입구의 상하 폭길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슬라이딩공(5)에 결합되는 후술할 제2앵글(12) 내지 제3앵글(21)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 또는 분리되되 길이방향에 대한 직각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널(2)은 가로, 세로, 길이의 크기를 200mm, 40~50mm, Nmm로 할 수 있으며 크기를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더불어, 패널(2)은 가볍고, 일정한 성능을 갖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설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널(2)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요철을 형성시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격벽(4)이 형성된 부분은 식별이 용이하도록 돌출부의 형상을 달리하거나, 다른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멍에재(6)는, 패널부(1)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2)을 연결하고, 다수의 패널(2)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장선재(7)는, 멍에재(6)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6)를 연결하고, 다수의 멍에재(6)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멍에재(6)와 장선재(7)는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낙하방지부는, 패널부(1)의 상부 외측에 패널(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낙하방지부는, 패널부(1)의 상부 외측에 구비되어 패널부(1)에서 건설장비와 같은 물품이 떨어지지 않도록 물품의 낙하를 방지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발판의 패널부에 제1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제1낙하방지부가 제1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부는, 제1앵글(8) 및 제1낙하방지부(11)를 포함한다.
제1앵글(8)은, 일측이 개구되어 패널(2)의 타단에 형성된 관통공
(3)의 외벽이 삽입되는 삽입공(10)이 형성된다. 즉, 제1앵글(8)은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앵글(8)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폭길이는 패널(2)의 측벽 폭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1앵글(8)은, 상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1돌출부(9)가 형성된다.
이때, 제1돌출부(9)는 슬라이딩공(5)의 정단면적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술할 제2돌출부(13) 내지 제5돌출부(22)도 슬라이딩공(5)의 정단면적 형상('├'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돌출부(9)는 2개로 형성되고, 후술할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 측벽에 형성된 2개의 슬라이딩공(5)에 각각 결합된다. 이는, 제1앵글(8)과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과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이 패널부(1)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패널부(1)의 패널(2)에 결합된 제1앵글(8)은 고정용 부재(23)(예: 스크류형 피스, 볼트, 못 등)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제1낙하방지부(11)는, 제1앵글(8)의 제1돌출부(9)에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슬라이딩되며다수개의 제1앵글(8)에 결합된 패널(2)로 이루어진다.
즉, 제1낙하방지부(11)는, 패널부(1)의 타단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제1앵글(8)의 제1돌출부(9)에 결합되어 패널부(1)의 타단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앵글(8)과,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과의 모서리부분 즉, 패널(2)의 슬라이딩공(5)과 제1돌출부(9)를 관통하도록 고정용 부재(23)가 체결되어 제1앵글(8)에 제1낙하방지부(11)의 패널(2)이 고정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부에 제2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제2낙하방지부가 제2앵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정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낙하방지부는, 제2앵글(12)과 제2낙하방지부(15)를 포함한다.
제2앵글(12)은, 내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2돌출부(13)가 형성되고, 상측면에 돌출되어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제3돌출부(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앵글(12)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내측면에 제2돌출부(13)가 형성되되, 1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앵글(12)은, 패널부(1)의 양측에 구비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에 슬라이딩되며 끼워지며, 상술한 고정용 부재(23)로 체결고정된다.
또한, 제3돌출부(14)는 후술할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에 형성된 슬라이딩공(5)에 끼워져 슬라이딩된다. 더불어, 제3돌출부(14)는, 제2낙하방지부(15) 패널(2)의 슬라이딩공(5) 2개에 각각 결합되어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2개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돌출부(14)가 형성된 제2앵글(12)의 상부의 폭길이는, 제2낙하방지부(15) 패널(2)의 폭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패널부(1)의 패널(2)에 결합된 제2앵글(12)은 고정용 부재(23)(예: 스크류형 피스, 볼트, 못 등)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제2낙하방지부(15)는, 제2앵글(12)의 제3돌출부(14)에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슬라이딩되며 다수개의 제2앵글(12)에 결합된 패널(2)로 이루어진다.
즉, 제2낙하방지부(15)는, 패널부(1)의 양측 상부에 측벽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이 제2앵글(12)의 제3돌출부(14)에 결합되어 패널부(1)의 양측으로 물품이 낙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앵글(12)과,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과의 모서리부분 즉, 패널(2)의 슬라이딩공(5)과 제3돌출부(14)를 관통하도록 고정용 부재(23)가 체결되어 제2앵글(12)에 제2낙하방지부(15)의 패널(2)이 고정된다.
도 1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제1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8은 도 17의 정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건물 외벽과 패널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틈에 제3앵글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측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00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은, 틈폐쇄부재(16)를 더 포함한다.
틈폐쇄부재(16)는, 패널부(1)가 다수의 패널(2)이 배열되며 이루어질 때 다수의 패널(2) 중 서로 인접한 패널(2) 측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1틈(17) 또는 패널부(1)의 일단과 건물 외벽 사이에 발생되는 제2틈(18) 중 어느 하나의 틈사이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틈(17)과 제2틈(18)은, 클라이밍 폼 설치시, 인양될 때 간섭을 피하기 위해 약 50mm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틈이다.
특히, 틈폐쇄부재(16)는, 제1틈(17)에 적어도 하나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틈폐쇄부재(16)는, 슬라이딩공(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4돌출부(19)가 형성되고, 제4돌출부(1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틈(17) 또는 제2틈(18)을 폐쇄시키는 폐쇄부(20)가 형성된다.
이때, 틈폐쇄부재(16)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클라이밍 폼의 인양 시, 틈폐쇄부재(16)를 분리하지 않아도 되어,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이원활해진다.
한편, 제1앵글(8)은, 삽입공(10)이 패널(2)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3)의 외벽에 삽입되어 패널부(1)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면에 틈폐쇄부재(16)의 제4돌출부(19)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공(5)이 형성된다.
이때, 제1앵글(8)의 제2돌출부(13)가 관통공(3)의 내부에 위치되게 패널부(1)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의 패널 사이마다 제3앵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21의 정단면도이다.
도 101 및 도 10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은, 제3앵글(21)을 더 포함한다.
제3앵글(21)은, 상기 패널(2)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패널(2)의 슬라이딩공(5)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5돌출부(22)가 양쪽에 돌출형성된다.
이때, 제3앵글(21)은 'H'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패널부(1)를 이루는 패널(2)과 패널(2)은, 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공(5)에 제3앵글(21)의 제5돌출부(22)가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됨에 따라 일체로 연결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패널부(1)의 캔틸레버(cantilever) 부분에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제3앵글(21)이 패널부(1)의 패널(2)과 패널(2)을 일체로 연결하고 있기때문에 하중을 분산시켜 하나의 패널(2)이 처지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제3앵글(21)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나무발판 보강방식에 비해 투입자재 및 중량 감소 등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건물 구축시 외벽에 설치되어 상부로 인양되는 폼에 사용되는 발판에
    있어서,
    패널의 측벽과 측벽이 마주되도록 다수개 배열되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건물의 외벽에 패널의 일단이 마주되게 구비된 패널부;
    상기 패널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패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멍에재;상기 멍에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개의 멍에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장선재; 및
    상기 패널부의 일단에 패널부의 내부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널부의일단과 건물의 외벽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개폐시키는 슬라이딩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되, 격벽에 의해 다수개로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발판부는,
    상기 관통공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바 및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신장되면 상기 이격공간을 폐쇄시키며 상기 슬라이딩바의 상부를 덮는 보조판을 포함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발판부는,
    상기 보조판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판을 들어올려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외력을 가하는 외력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관통공에각각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슬라이딩바 타단들은, 상기 보조판의 일측 하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바의 길이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패널부의 일단으로 노출된 슬라이딩바의 길이보다 상기 패널의 관통공에 삽입된 길이가 더 도록 일정길이를 갖으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판은, 상기 슬라이딩바의 타단에 결합된 일측과 결합되지 않은 중간부 경계부분이 절곡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가 관통공의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이격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패널부의 상측면과 보조판의 하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조판의 두께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 상측면 또는 하측면과 패널의 외측면 사이의 두께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PCT/KR2015/013760 2014-12-31 2015-12-15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WO20161084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96 2014-12-31
KR2020140009696U KR200477350Y1 (ko) 2014-12-31 2014-12-31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08474A1 true WO2016108474A1 (ko) 2016-07-07

Family

ID=5351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760 WO2016108474A1 (ko) 2014-12-31 2015-12-15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7350Y1 (ko)
WO (1) WO2016108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41B1 (ko) * 2020-04-28 2021-05-10 주식회사 케이블브릿지 이중 강관 충진형 캔틸레버 잔도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114033158B (zh) * 2021-12-02 2023-01-24 安徽元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具有间距调节功能的可拼接的跳板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83B1 (ko) * 2007-03-02 2008-01-23 김병규 합성목재 데크
KR100825009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KR101113442B1 (ko) * 2011-06-07 2012-02-29 (주)세화디엔씨 목재 데크용 신축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683B1 (ko) * 2007-03-02 2008-01-23 김병규 합성목재 데크
KR100825009B1 (ko) *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200447684Y1 (ko) * 2009-01-28 2010-02-11 (주) 미도랜드 블록형 데크 조립체
KR20110077525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세인테크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출입 가이드장치
KR101113442B1 (ko) * 2011-06-07 2012-02-29 (주)세화디엔씨 목재 데크용 신축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350Y1 (ko)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5187A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WO2018070634A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5016426A1 (ko) 벽체 마감장치
WO2012144699A1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20190114731A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WO2019074283A1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WO2011007949A1 (ko) 가설대 승강장치
WO2016108474A1 (ko)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19190078A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WO2016093527A1 (ko) 건축용 데크패널
WO2016108475A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WO2017003004A1 (ko) 건축물 지붕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WO2024096296A1 (ko) 수조용 타일과 그 제조방법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WO2015069059A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WO2010044601A2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WO2019172578A1 (ko) 칸막이 벽체의 단열재 이탈방지 스터드와 이의 시공방법
WO2017171111A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7003003A1 (ko) 건축물 지붕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WO2020054944A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WO2021025309A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JP3531111B2 (ja) 塔状構造物の建設装置及び方法
CN205444955U (zh) 一种用于电梯井道的防护装置
JP4578650B2 (ja) 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55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55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