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93527A1 - 건축용 데크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데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93527A1
WO2016093527A1 PCT/KR2015/012895 KR2015012895W WO2016093527A1 WO 2016093527 A1 WO2016093527 A1 WO 2016093527A1 KR 2015012895 W KR2015012895 W KR 2015012895W WO 2016093527 A1 WO2016093527 A1 WO 20160935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ir
deck panel
coupled
disposed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8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US15/533,54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02765B2/en
Priority to JP2017531631A priority patent/JP6473236B2/ja
Publication of WO20160935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93527A1/ko
Priority to US16/163,892 priority patent/US1040045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1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labs, both being partially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0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metal beams or girders, e.g. with steel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1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girders laid in two dir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상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상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상면 보강부를 포함하는 상면 데크패널; 측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측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측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측면 보강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면 데크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데크패널; 및 상기 상면 데크패널과 및 측면 데크패널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데크패널
본 발명은 데크패널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축 공법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이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강성,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및 차음성이 좋기 때문이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을 짓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거푸집 공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배근 및 거푸집의 해체가 어려우며, 폐자제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요즘에는 데크패널을 이용한 공법이 바닥 또는 천장 스라브에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데크패널(Deck panel)은 크게 데크플레이트(Deck plate)와 트러스 거더(Truss girder)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거푸집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공 후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역할을 하며, 콘크리트에 따른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연결되어 건물의 바닥면 또는 천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거더는 일정한 파형을 갖는 래티스부와, 상기 래티스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래티스부 및 고정부는 철근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 상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데크패널은 일정 장소에서 만들어져 건축 현장에 운반되어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 배치되고, 이 후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일정 시간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건물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데크패널은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의 슬라브(slab)에만 사용이 국한되는 문제가 있으며, 전체적인 건물의 공기가 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 트러스 거더의 체결은 용접 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다소 길고, 조립 공차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데크패널을 이용한 건축 방법은 각각의 데크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현장 배근 공정이 수반된다. 이는, 현장에서 용접이나, 별도의 배근 보강 작업으로 인해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인건비 증가, 재료비 증가 또는 현장 기술작의 숙련도에 따른 공사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패널의 구조를 개선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공기를 단축함과 동시에 공사 비용 절감, 안정성과 공사의 질 향상 및 건축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건축용 데크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획 건물에 각각 배치된 데크패널 간의 결합이 가능한 데크패널 구조를 구현하여, 고층 건물의 공사도 간단하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데크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상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상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상면 보강부를 포함하는 상면 데크패널; 측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측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측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측면 보강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면 데크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데크패널; 및 상기 상면 데크패널과 및 측면 데크패널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면 데크패널에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면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데크패널에는 상기 상면 체결부 방향으로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면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면 체결부와 측면 체결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평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체결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체결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상면 체결부와 측면 체결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인접하는 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지면과 수직한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각각의 하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보강재는 상기 상면 체결부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각각 결합되는 제5 상면 보강재와, 상기 상현재, 상기 상면 체결부의 자유단 및 상기 제5 상면 보강재와 결합되는 제2 상면 보강재와,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 일단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상면 보강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와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상면 보강재와,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수직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상면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 체결부는 상기 상현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각각의 하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재는 상기 측면 체결부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각각 결합되는 제5 측면 보강재와, 상기 상현재, 상기 측면 체결부의 자유단 및 상기 제5 측면 보강재와 결합되는 제2 측면 보강재와,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 일단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측면 보강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와 수직 배치되며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3 측면 보강재와,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수직 결합되며,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 측면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체결부는 상기 상현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측면 데크패널의 인접한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2 결합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직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지면과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인접한 상기 두 개의 바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상기 수직결합부재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대향면 간의 거리는 상기 대향하는 바 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다른 수직결합부재의 말단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보조 수평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지면과 수직한 부분이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데크패널의 상현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별도의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3 측면 보강재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획 건물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도록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데크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건축 폐자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데크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패널 간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하여, 구획 건물 간의 결합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어 건물의 확장이 용이한 데크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에 상면 보강부가 추가 배치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의 부분확대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과 측면 데크패널이 배치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가 배치된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결합되기 전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가 배치된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상면 데크패널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상면 데크패널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수평하게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ㄱ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ㅗ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이 +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평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평결합부재 및 수직결합부재가 배치된 데크패널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의 데크패널과 달리 높이가 낮으면서 강도가 우수한 데크패널을 제공하며, 이러한 데크패널은 건축물의 상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면 데크패널과 측면 데크패널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은 동일하나, 상호 구조적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하 상면 데크패널과 측면 데크패널을 각각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 기술되는 구획건물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 및 측면 데크패널이 배치되어 있는 일단위를 뜻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에 상면 보강부가 추가 배치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100)은 크게 상면 데크플레이트(110), 상면 트러스거더(120) 및 상면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면 데크플레이트(110)는 건출물에 배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 강판 또는 아연이 도금된 금속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트러스거더(120)는 한 쌍의 래티스(121, lattice), 상현재(122) 또는 하현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에 총 3쌍의 래티스(121)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상면 트러스거더(120)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현재(122)는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 상측 피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현재(122)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 외측으로 돌출되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상면 체결부(1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면 체결부(122a)는 후술할 측면 체결부(222a) 또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건축 모듈의 상면 체결부와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후술할 수평결합부재를 삽입하여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 트러스거더(120)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 각각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와 이격된 하현재(123) 사이에는 후술할 제1 상면 보강재(131), 제3 상면 보강재(13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본 발명의 상면 데크패널(100)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현재(123) 각각은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 하측 피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면 보강부(130)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 및/또는 상면 트러스거더(120)에 결합하여, 데크패널(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상면 보강재(131), 제2 상면 보강재(132), 제3 상면 보강재(133), 제4 상면 보강재(134) 또는 제5 상면 보강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면 보강부(130) 각각은 긴 형상의 철근 또는 절곡된 철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 보강재(131)는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121)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121) 일단 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121)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에서 최외각에 각각 배치된 두 쌍의 래티스(121)에는 직선의 형상으로 결합되고, 중간은 상기 제1 상면 보강재(131)의 교차된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상면 보강재(131)는 상기 래티스(121)의 파형 중 피치 하나 당 한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제1 상면 보강재(131)와 대응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면 보강재(132)는 상기 상현재(122), 상기 상면 체결부(122a)의 자유단 및 후술할 제5 상면 보강재(135)와 결합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면 보강재(133)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121)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123)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123)와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상면 보강재(133)로써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상면 보강재(133)는 건축물의 상측면 전체에 배치되는 상기 상측 데크플레이트(110)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가장자리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상면 보강재(134)는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122)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123)에 수직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상면 보강재(134)로써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 상면 보강재(133) 또는 한 쌍의 제4 상면 보강재(134) 사이에는 기계적 강도를 향상키기기 위해, 트러스 구조의 보조 보강재(133a)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상면 보강재(135)는 중앙부가 상기 상면 체결부(122a)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1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보강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데크패널(100)은 트러스거더(120) 사이의 빈 공간을 감소시키며, 이는 종래에 비해 우수한 건물의 내구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감소시켜 공사비용 및 콘크리트 양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티스(121), 상현재(122) 또는 하현재(123)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의 장변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상면 보강재(133), 제4 상면 보강재(134) 또는 제5 상면 보강재(135)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110)의 단변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요소 간의 결합은 용접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로써 결합될 수 있으나, 상술한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의 부분확대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데크패널과 측면 데크패널이 배치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데크패널(200)은 크게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측면 트러스거더(220) 및 측면 보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면 데크플레이트(210)는 건출물에 배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 강판 또는 아연이 도금된 금속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트러스거더(220)는 한 쌍의 래티스(221, lattice), 상현재(222) 또는 하현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에 총 2쌍의 래티스(22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트러스거더(220)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현재(222)는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 상측 피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현재(222)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외측으로 돌출되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측면 체결부(2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체결부(222a)는 전술할 상면 체결부(122a) 또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건축 모듈의 측면체결부와 교차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 체결부(222a)는 상측에 다른 구획건물이 증축되는 경우, 결합된 데크패널 모듈을 지지하거나, 상측에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지하여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 트러스거더(220)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 각각의 하측에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와 이격된 하현재(223) 사이에는 후술할 제1 측면 보강재(231), 제3 측면 보강재(23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본 발명의 측면 데크패널(200)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현재(223) 각각은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 하측 피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상술한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건축 방식으로서는 건물 측면에 데크패널을 사용한 콘크리트 타설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은 상면보다 측면에서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데크패널은 이러한 콘크리트의 하중을 허용할 수 있지 아니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측면 데크패널(200)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건축물의 측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공기의 단축 및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면 데크패널(200)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상면 데크패널(100) 및 측면 데크패널(200)이 배치된 구획 건물 간의 결합도 현저하게 용이해지게 되어, 공기의 파격적인 단축 및 이로 인한 공사비 절감과, 견고한 측면 형성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보강부(230)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및/또는 측면 트러스거더(220)에 결합하여, 데크패널(2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측면 보강재(231), 제2 측면 보강재(232), 제3 측면 보강재(233), 제4 측면 보강재(234) 또는 제5 측면 보강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보강부(230)는 각각 긴 형상의 철근 또는 절곡된 이형 철근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 보강재(231)는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221)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221) 일단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221)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에서 최외각에 각각 배치된 두 쌍의 래티스(221)에는 직선의 형상으로 결합되고, 중간은 상기 제1 측면 보강재(231)의 교차된 일단과 타단이 연결된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측면 보강재(231)는 상기 래티스(221)의 파형 중 피치 하나 당 한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제1 측면 보강재(231)와 대응되거나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보강재(232)는 상기 상현재(222), 상기 측면 체결부(222a)의 자유단 및 후술할 제5 측면 보강재(235)와 결합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두 번 절곡된 형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측면 보강재(233)는 상기 한 쌍의 래티스(221)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223)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223)와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측면 보강재(233)로써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측면 보강재(233)는 건축물의 상측면 전체에 배치되는 상기 상측 데크플레이트(210)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가장자리에만 배치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의 하중을 고려할 때 도시된 것과 같이 등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측면 보강재(233)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1 결합부(23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233a)는 인접하는 측면의 후술할 제4 측면 보강재(234)의 제2 결합부(234a)와 교차되어 데크패널(20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 보강재(234)는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222)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223)에 수직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측면 보강재(234)로써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측면 보강재(234)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2 결합부(23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234a)는 인접하는 측면의 제1 결합부(233a) 또는 인접하는 측면의 제2 결합부(234a)와 교차되어 데크패널(200)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결합부(234a)는 변형예로써 후크 형상의 제2 결합부(23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제2 결합부(234c)는 인접하는 측면의 제2 결합부(234a)의 일측변에 안착되는 구조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3 측면 보강재(233) 또는 한 쌍의 제4 측면 보강재(234) 사이에는 기계적 강도를 향상키기기 위해, 트러스 구조의 보조 보강재(233b, 234b)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5 측면 보강재(235)는 상기 측면 체결부(222a)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2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강부(2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측면 데크패널(200)은 트러스거더(220) 사이의 빈 공간을 감소시키며, 이는 종래에 비해 우수한 건물의 내구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감소시켜 공사비용 및 콘크리트 양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티스(221), 상현재(222) 또는 하현재(223)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의 장변과 평행하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측면 보강재(233), 제4 측면 보강재(234) 또는 제5 측면 보강재(235)는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210)의 단변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요소 간의 결합은 용접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로써 결합될 수 있으나,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상면 데크패널(100)과 별개로 측면 데크패널(200)을 건물의 측벽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측벽 배치는 전술한 것과 같이, 측벽의 강도 증가 및 거푸집 불필요로 인한 공기 및 공사비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각 구획건물의 결합 또한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면 데크패널(100) 및/또는 측면 데크패널(200)의 결합 또는 고정을 위해 본 발명은 결합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300)는 크게 후크부재(340), 수평결합부재(310), 수직결합부재(320) 또는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340)를 주요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340)가 배치된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결합되기 전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340)가 배치된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결합부재(310)를 주요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결합부재(310)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상면 데크패널(100)이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상면 데크패널(100)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결합부재(320)를 주요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결합부재(320)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수평하게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ㄱ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ㅗ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측면 데크패널(200)이 +자로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를 주요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평결합부재(330)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평결합부재(330) 및 수직결합부재(320)가 배치된 데크패널이 결합된 것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340)는 상기 측면 데크패널(200)의 상현재(222)의 외측에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재(340)는 다른 구획건물의 측면 데크패널(200)에 배치된 제3 측면 보강재(233)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획건물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될 수 있는 이점과 동시에, 대향하는 두 측면 데크패널(200) 사이로 콘트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재(34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측면 데크패널(200)에 상측이 개구되게 후크부재(340)가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 데크패널(200)에서는 하측이 개구되게 후크부재(340)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후크부재(340)는 구획건물 간의 결합 또는 측벽을 이루는 다른 측면 데크패널(200)과의 간격 유지 및 강도를 견고히 하려 결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상면 체결부(122a)와 측면 체결부(222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평결합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결합부재(310)는 구획건물 하나의 각 변을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구획건물 간의 연결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b, 도 4b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결합부재(310)는 인접하는 구획건물 간의 상면 체결부(122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 또는 상기 상면 체결부(122a)와 측면 체결부(222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수직결합부재(320)의 연장부(323) 하측에도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견고한 구조 형성을 위해, 상기 수평결합부재(3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면 체결부(122a)와 측면 체결부(222a) 또는 수직결합부재(320)가 형성하는 사각의 공간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결합부재(310)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311)와, 인접하는 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12a, 31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건물 또는 콘크리트 하중에 따른 응력 집중 방향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한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312b)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측면 데크패널(200)에 배치된 제1 결합부(233a)와, 상기 측면 데크패널(200)의 인접한 측면 데크패널(200)에 배치된 제1 결합부(234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직결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결합부재(320)는 구획건물 하나의 각 변을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구획건물 간의 연결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결합부재(320)는 인접하는 구획건물 간의 제1 결합부(234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 또는 같은 구획건물에서 제1 결합부(233a)와 제1 결합부(234a)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견고한 구조 형성을 위해, 상기 수직결합부재(32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같은 구획건물에서의 제1 결합부(233a)와 제1 결합부(234a) 또는 인접하는 구획건물 간의 제1 결합부(233a)들이 형성하는 사각의 공간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결합부재(320)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321)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321a, 32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건물 또는 콘크리트 하중에 따른 응력 집중 방향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321b)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에 구획건물을 결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직결합부재(3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인접한 상기 두 개의 바를 연결하는 연장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323)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상기 수직결합부재(320)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3)는 상측에 배치되는 구획건물에 구비되는 다른 수직결합부재(320)의 하측단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3)의 대향면 간의 거리는 상기 대향하는 바 간의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3)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3)에 삽입되는 다른 수직결합부재(320)의 말단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는 별도의 구획건물을 구획건물의 상측에 증축하는 경우에 구획건물 간의 연결을 견고하고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는 상, 하로 인접하는 구획건물에 동일선 상에 배치되는 수직결합부재(320)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평결합부재(330)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331)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332a, 33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획건물 또는 콘크리트 하중에 따른 응력 집중 방향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한 연결부(332b)는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구획건물 하나의 모서리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각 구획건물의 결합을 일정하고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하는 데크패널(100, 200)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상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상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상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상면 보강부를 포함하는 상면 데크패널;
    측면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측면 트러스거더와,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또는 측면 트러스거더에 결합하는 측면 보강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면 데크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데크패널; 및
    상기 상면 데크패널과 및 측면 데크패널을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데크패널에는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상면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데크패널에는 상기 상면 체결부 방향으로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측면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상면 체결부와 측면 체결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평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체결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상면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 체결부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상면 체결부와 측면 체결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인접하는 바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지면과 수직한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각각의 하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보강재는 상기 상면 체결부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각각 결합되는 제5 상면 보강재와, 상기 상현재, 상기 상면 체결부의 자유단 및 상기 제5 상면 보강재와 결합되는 제2 상면 보강재와,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 일단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상면 보강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와 수직 배치되는 한 쌍의 제3 상면 보강재와,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수직 결합되는 한 쌍의 제4 상면 보강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체결부는 상기 상현재에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트러스거더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래티스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상현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각각의 하측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하현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보강재는 상기 측면 체결부의 자유단에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각각 결합되는 제5 측면 보강재와, 상기 상현재, 상기 측면 체결부의 자유단 및 상기 제5 측면 보강재와 결합되는 제2 측면 보강재와,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한 쌍의 래티스 중 어느 한 쌍의 래티스 일단 내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다른 한 쌍의 래티스 타단 내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측면 보강재와, 상기 한 쌍의 래티스 내측 각각과 상기 한 쌍의 하현재의 하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하현재와 수직 배치되며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3 측면 보강재와, 상호 수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상현재의 상측에 수직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하현재에 수직 결합되며, 상기 측면 데크플레이트 외측에 ㄷ자 형상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4 측면 보강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체결부는 상기 상현재에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측면 데크패널의 인접한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2 결합부가 교차되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수직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지면과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대향면에서 상기 연결부는 각각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부재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이 인접한 상기 두 개의 바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호 대향되게 한 쌍이 상기 수직결합부재의 말단에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대향면 간의 거리는 상기 대향하는 바 간의 거리보다 긴 건축용 데크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에 삽입되는 다른 수직결합부재의 말단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보조 수평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평결합부재는 직사각형의 각 변을 형성하는 네 개의 바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지면과 수직한 부분이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데크패널.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데크패널의 상현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별도의 측면 데크패널에 배치된 제3 측면 보강재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데크패널.
PCT/KR2015/012895 2014-12-08 2015-11-30 건축용 데크패널 WO201609352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33,548 US10202765B2 (en) 2014-12-08 2015-11-30 Deck panel for construction
JP2017531631A JP6473236B2 (ja) 2014-12-08 2015-11-30 建築用デッキパネル
US16/163,892 US10400450B2 (en) 2014-12-08 2018-10-18 Deck panel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001A KR101795511B1 (ko) 2014-12-08 2014-12-08 건축용 데크패널
KR10-2014-0175001 2014-12-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533,548 A-371-Of-International US10202765B2 (en) 2014-12-08 2015-11-30 Deck panel for construction
US16/163,892 Continuation US10400450B2 (en) 2014-12-08 2018-10-18 Deck panel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3527A1 true WO2016093527A1 (ko) 2016-06-16

Family

ID=5610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895 WO2016093527A1 (ko) 2014-12-08 2015-11-30 건축용 데크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02765B2 (ko)
JP (1) JP6473236B2 (ko)
KR (1) KR101795511B1 (ko)
WO (1) WO2016093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95B1 (ko) * 2016-08-11 2018-10-17 김광섭 데크패널
KR101968507B1 (ko) * 2017-04-06 2019-04-12 김광섭 트러스거더의 연결구조
KR102314546B1 (ko) * 2019-11-30 2021-10-19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US20220213684A1 (en) * 2021-01-07 2022-07-07 Skidmore, Owings & Merrill Llp Modular composite action panel and structural systems us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428A (ja) * 1993-08-11 1995-02-28 Takenaka Komuten Co Ltd トラス筋付き埋込み型枠による壁の構築方法
JPH09203143A (ja) * 1996-01-29 1997-08-05 Tokyu Koken Kk 壁式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板鉛直部の 接合方法
JP2001049621A (ja) * 1999-08-10 2001-02-2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レキャスト床板の継手部構造およびその継手方法
JP2003166310A (ja) * 2001-11-29 2003-06-13 Nippon Kokan Light Steel Kk デッキプレートの鉄筋トラス構造体
KR100579440B1 (ko) * 2003-02-26 2006-05-12 전대우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2639A (en) * 1951-01-12 1961-12-12 Pavlecka John Panel structure
US3195920A (en) * 1963-03-22 1965-07-20 Victor D Knisely Replaceable truck flap
US4055927A (en) * 1975-08-12 1977-11-01 Icos Corporation Of America Concrete walls and reinforcement cage therefor
DE3344038A1 (de) * 1983-12-06 1985-07-25 Jürgen Dipl.-Ing. 6607 Quierschied Unterländer Stahlblechverbundtragsysteme
JPH0788685B2 (ja) * 1988-02-17 1995-09-27 鹿島建設株式会社 Pcパネルを使用する建築物の構築方法
US5471811A (en) * 1989-05-04 1995-12-05 Marylyn House Combination traffic barrier and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910006579A (ko) * 1989-09-07 1991-04-29 미야자끼 아끼라 트러스 및 이것에 의하여 강화된 콘크리트 부품 슬라브
FR2665213A1 (fr) * 1990-07-27 1992-01-31 Nergeco Sa Porte de manutention relevable rapide anti-effraction pour batiment industriel constituee de panneaux articules.
US5235791A (en) * 1992-04-28 1993-08-17 Yaguchi Kenzai Khakko Co., Ltd. Deck plate
SE510255C2 (sv) * 1994-11-03 1999-05-03 Macgregor Swe Ab Konstruktionselement för fartygsdäck eller liknande
US5887404A (en) * 1996-04-09 1999-03-30 Kreico Building Systems, Inc. Precast concrete wall panel
EP0824166A3 (de) * 1996-08-14 1998-10-28 Krupp Fördertechnik GmbH Trogbrücke
KR200152480Y1 (ko) * 1997-02-28 1999-07-15 조세훈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US6446398B2 (en) * 2000-01-10 2002-09-10 Richard L. Weir Universal direction post and wall panel adapter
US6644535B2 (en) * 2001-05-18 2003-11-1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russ core sandwich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040094689A1 (en) * 2002-11-18 2004-05-20 Robert Rose Adjustable form holder system and method
KR20100024768A (ko) * 2008-08-26 2010-03-08 (주)코스틸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IES20100101A2 (en) * 2009-04-24 2010-10-27 Maurice O'brien A construction system
US20100319285A1 (en) * 2009-06-22 2010-12-23 Jewett Scott E Method and system for a foldable structure employing material-filled panels
US20110131905A1 (en) * 2009-12-07 2011-06-09 Paul Aumuller Cementitious deck or roof panels and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NO333023B1 (no) * 2010-03-03 2013-02-18 Reforcetech Ltd Armeringssystem og fremgangsmate for bygging av betongkonstruksjoner.
EP2554685B1 (en) 2010-04-01 2016-07-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635831B2 (en) * 2011-09-09 2014-01-28 Paul Rivers Space truss system
ITTO20111250A1 (it) * 2011-12-31 2012-03-31 Michele Caboni Connettore conico o semiconico e struttura edile ottenuta tramite una pluralita' di tali connettori.
US9476219B2 (en) * 2014-08-05 2016-10-25 Sadieshelter Homekits & Systems, Inc. Temporary shel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428A (ja) * 1993-08-11 1995-02-28 Takenaka Komuten Co Ltd トラス筋付き埋込み型枠による壁の構築方法
JPH09203143A (ja) * 1996-01-29 1997-08-05 Tokyu Koken Kk 壁式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板鉛直部の 接合方法
JP2001049621A (ja) * 1999-08-10 2001-02-20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レキャスト床板の継手部構造およびその継手方法
JP2003166310A (ja) * 2001-11-29 2003-06-13 Nippon Kokan Light Steel Kk デッキプレートの鉄筋トラス構造体
KR100579440B1 (ko) * 2003-02-26 2006-05-12 전대우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8061A1 (en) 2017-11-16
US20190048585A1 (en) 2019-02-14
US10202765B2 (en) 2019-02-12
JP2017538057A (ja) 2017-12-21
US10400450B2 (en) 2019-09-03
KR101795511B1 (ko) 2017-11-10
JP6473236B2 (ja) 2019-02-20
KR20160069258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3527A1 (ko) 건축용 데크패널
WO2019074283A1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WO2012002642A2 (ko) 내하성능 및 사용성능의 개선을 위한 프리스트레싱 브라켓이 구비된 강구조물
WO2021066294A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WO2021167415A1 (ko) 무 해체 구조용 보 거푸집
WO2011037304A1 (ko) 슬라브 패널 및 그의 설치 시스템, 슬라브 패널의 조립 및 해체 방법
WO2016021811A1 (ko) 선조립 벽체 유니트 및 프레임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12036335A1 (ko) 강판콘크리트 구조와 이질 구조간의 접합 방법
WO2020145542A1 (ko)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20138994A1 (ko) 보 거푸집 시스템과 보 거푸집 제작시스템 및 보 거푸집 제작설치방법
WO2009148286A2 (ko)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개방형 스페이서
WO2017034354A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20145541A1 (ko) 선조립 기둥용 탈형 거푸집 고정 밴드
WO2022182052A1 (ko)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WO2019164077A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WO2016111459A1 (ko) 기둥 브래킷
WO2023177115A1 (ko) 단열성능 향상 및 외벽마감재 시공을 위한 조적앵글시스템
WO2018143661A1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WO2019208936A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의 빔-거더 접합부
WO2016208973A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WO2014116057A1 (ko) 시스템 데크 플레이트의 데크 연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시스템 데크 플레이트
WO2020101237A1 (ko) 선조립 벽체 모듈
WO2023033403A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소재 보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3282540A1 (ko) 벽식 라멘 pc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66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33548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531631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66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