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768A -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768A
KR20100024768A KR1020080083473A KR20080083473A KR20100024768A KR 20100024768 A KR20100024768 A KR 20100024768A KR 1020080083473 A KR1020080083473 A KR 1020080083473A KR 20080083473 A KR20080083473 A KR 20080083473A KR 20100024768 A KR20100024768 A KR 20100024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fixed
protruding
plate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Original Assignee
(주)코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틸 filed Critical (주)코스틸
Priority to KR1020080083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768A/ko
Publication of KR2010002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에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사각형 수직금속판 또는 T형 수직금속판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총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원가절감에 의해 총 공사비가 절감되며, 또한, 작업자가 통행하는 철골 보에서 통행로를 최대한 확보되면서도 철골 보 양측의 데크 플레이트의 물리적 연결이 더욱 강화된다.
데크 패널, 트러스 거더, 철골 보, 철근, 전단연결, 금속판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Deck plate and arrang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골 보에 고정결합할 수 있고 콘크리트 타설시 철골 보에 콘크리트가 정착(錠着)되게 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이나 건축물 축조시 사용되는 데크 플레이트란 종래의 거푸집과 동바리를 이용한 교량의 상판이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과 바닥판의 생성 등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를 만들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거푸집 대용으로서 콘크리트의 자체 중량 및 시공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해진 소정 두께의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 위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패널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의 강도를 유지하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truss girder)로 이루어진 슬래브용 구조재이다.
상기 트러스 거더는 한 쌍의 파형 래티스와, 이 파형 래티스와 고정결합되는 상부철근 및 하부철근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철근의 양측에 상기 파형 래티스 각각의 산부가 고정결합되어 양측의 파형 래티스가 비스듬히 설치되고, 상기 하부철근은 양측 파형 래티스의 몸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파형 래티스의 골부는 데크 패널의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렇게 데크 패널 상면에 설치되어 삼각형을 이루는 트러스 거더의 상부철근은 데크 패널 양측에서 벗어나 밖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이 돌출된 상부철근에는 수직으로 세워져 수직철근의 상단이 고정결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직철근의 하단은 데크 패널에서 벗어나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데크 플레이트는 복수 개가 철골 구조의 철골 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보 거푸집에 나란히 배열설치되어 그 위에 통상 철망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함으로써 교량의 상판이나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과 바닥을 시공한다.
이처럼 콘크리트 타설시에 데크 플레이트가 타설 압력에 의해 철골 보나 보 거푸집에서 밀려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데크 패널에서 벗어나 위치된 수직철근의 하단은 철골구조의 경우 철골 보의 상면에 용접되어 고정결합되고,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경우 보 거푸집의 안쪽 면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철골 구조의 경우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공고번호 제20-0146601호(출원번호:20-1996-0068745)의 "데크 패널의 빔 결합구조"의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골보의 양측에 얹혀져 수직철근이 용접되어 고정결합된 데크 플레이트와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철골 보에는 철골 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정착되어 철골 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전단연결하는 1열(철골보의 가운데) 또는 2 열(철골보의 양측)의 스터드 볼트가 설치된다. 이 스터드 볼트로 인해 작업공수의 증가와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양측 데크 플레이트의 트러스 거더가 연속되지 않음에 따른 국부적 변형이나 콘크리트의 불균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터드 볼트 대신에 양측 데크 플레이트와 접합되는 연결부를 가진 거꾸로 된 모자형상의 스터드 바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스터드 바는 양측 트러스 거더의 물리적 연결에 의한 양측 데크 플레이트의 연속이라는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는 효용이 있지만 스터드 볼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작업공수와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현장에서는 스터드 바 대신에 스터드 볼트를 그대로 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수직철근과 스터드 볼트 또는 스터드 바의 기능을 모두 갖춘 전단연결 고정구를 트러스 거더의 상부철근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작업공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1)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에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사각형 수직금속판 또는 T형 수직금속판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2)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에 상면이 고정설치되는 수평금속판과 이 수평금속판의 하면에 설치된 수직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금속판의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T형 수평/수직금속판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3) 상기 데크 플레이트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각각의 상부철근을 자신의 돌출길이보다 더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동일길이로 돌출하거나 또는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돌출길이의 배열을 달리하여 돌출하고, 이 동일길이로 돌출되거나 또는 파형으로 돌출된 상부철근에 상기 전단연결 고정구를 고정설치하되, 이 고정설치된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상기 데크 플레이트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금속판의 표면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각각의 상부철근을 자신의 돌출길이보다 더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동일길이로 돌출하거나 또는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돌출길이의 배열을 달리하여 돌출하고, 이 동일길이로 돌출되거나 또는 파형으로 돌출된 상부철근에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상기 상부철근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 수직 금속막대기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의해 달성된다.
(6) 상기 데크 플레이트 (5)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금속막대기는 봉형 또는 다각형이며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보의 양측에 걸쳐 고정설치시, 상기 데크 플레이트 (3) 또는 (5)의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된 전단연결 고정구의 산(골)과 산(골) 또는 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게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에 배열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배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에 의해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총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원가절감에 의해 총 공사비가 절감되며, 또한, 작업자가 통행하는 철골 보에서 통행로를 최대한 확보되면서도 철골 보 양측의 데크 플레이트의 물리적 연결이 더욱 강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작용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2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3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 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스터드 볼트 또는 스터드 바를 제거하여 작업공수와 원가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데크 플레이트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는 철골 보(10)에 양단이 걸쳐져 설치되는 데크 패널(20)과 이 데크 패널 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3개의 트러스 거더(30)로 구성된다. 이 트러스 거더(30)는 한 쌍의 파형 래티스(31)와, 이 파형 래티스의 산부가 설치되는 상부철근(32) 및 이 파형 래티스의 몸체에 설치되는 하부철근(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철근은 데크 패널 양측에서 벗어나 밖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술한 데크 플레이트의 기술구성은 이하에서 기술할 각각의 실시예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인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데크 패널 양측에서 벗어나 밖으로 동일길이 돌출되어 설치된 상부철근(32)의 끝단에 사각형 수직금속판(40) 또는 T형 수직금속판(50)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의 상단이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전단연결 고정구의 하단은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철골 보(10)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제3실시예인 도 3을 살펴보면, 데크 패널 양측에서 벗어나 밖으로 동일길이로 돌출되어 설치된 상부철근(32)의 끝단에 수평금속판(61)과 수직금속판(62)이 일체로 된 T형 수평/수직금속판(60)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가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수평금속판(61)의 상면은 상부철근(32)의 끝단에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수평금속판(61)과 일체로 된 수직금속판(62)의 하단은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철골 보(10)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제4실시예인 도 4를 살펴보면, 데크 패널 양측에서 벗어나 밖으로 돌출설치된 각각의 상부철근을 자신의 돌출길이보다 더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동일길이로 돌출되어 설치된 상부철근(32)의 끝단에 상기 상부철근(3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 수직 금속막대기(70)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의 상단이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전단연결 고정구의 하단은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철골 보(10)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수직 금속막대기는 봉형 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접촉면적을 더 넓게 하기 위해 삼각형,사각형,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금속판과 수직 금속막대기에의 표면에는 돌기를 형성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접촉면적을 더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전단연결 고정구인 금속판과 금속막대기의 재질로서 금속은 철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정도 강도를 가지며 콘크리트와의 접촉성이 좋은 기타 다른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은 접촉면적이 넓은 금속판 또는 금속막대기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이용하여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10)에 용접과 같은 접합방법에 의해 고정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수직철근의 고정구 기능을 대신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 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어 철골 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전단연결하는 스터드 볼트의 전단연결구 기능을 대신하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단연결 고정구가 종래 수직철근에 의한 데크 플레이트의 철골 보에서의 고정기능은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스터드 볼트의 전단연결구 기능의 경우는 전단연결 고정구가 접촉면적이 넓은 금속판 또는 금속막대기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금속판의 넓은 접촉면적, 다시 말해서 앞면과 뒷면 그리고 측면(금속판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하면 접촉면적은 더욱 넓어진다)에 모두 부착되고, 돌출길이가 길어진 상부철근과 지름이 커지거나 또는 다면으로 된 금속막대기의 넓은 접촉면적, 다시 말해서 길어진 만큼의 상부철근의 둘레면(상부철근의 돌출길이를 길게 하면 할수록 접촉면적은 더욱 커진다)과 지름이 커지거나 또는 다면으로 형성된 만큼의 금속막대기의 둘레면(금속막대기의 지름을 더 크게 하여 다면으로 형성할수록 접촉면적은 더욱 커진다)에 모두 부착되 기 때문에 철골 보와 콘크리트의 합성이 더욱 강화됨에 따라 종래의 철골 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전단연결구 기능을 하는 스터드 볼트보다 더욱 뛰어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터드 바가 철골 보 양측의 데크 플레이트를 물리적으로 연결한다는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어느 정도 고려되었지만 이러한 기능도 본 발명의 금속판 또는 금속막대기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가 자신의 넓은 접촉면적에 의해 상술한 바처럼 철골 보와 콘크리트의 합성을 더욱 강화시킴에 따라 충분히 달성가능하기 때문에 스터드 바의 기능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있어서, 도 5와 도 6 및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가 철골 보의 양측에 고정설치되어 시공되는 것을 고려하면, 도 5와 도 7에 도시한 바처럼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32)을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돌출길이의 배열을 달리하여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시키고, 이 돌출설치된 상부철근(32)의 끝단에 전단연결 고정구를 고정설치하여 이 고정설치된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를 전체적으로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과 도 8에 도시한 바처럼, 데크 패널 밖으로 상부철근(32)을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돌출길이보다 더욱 돌출시켜 동일길이로 설치하고, 도 5와 도 7과 같이 상부철근의 끝단이 아닌 상부철근의 돌출된 소정 부위에 전단연결 고정구를 고정설치하여 이 고정설치된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가 전체적으로 파형을 이루도록 고정설치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7과 같이 상부철근을 파형으로 돌출길이를 달리하여 상부철근 각각에 전단연결 고정구를 설치하여 이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가 전체적으로 파형을 이루도록 설치한 데크 플레이트와 도 5 및 도 8과 같이 상부철근의 돌출길이를 동일하게 하되, 상부철근 각각에 전단연결 고정구를 설치하여 이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가 파형을 이루도록 설치한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10)에 고정설치시에는 도 5 내지 도 8의 (a)와 같이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산/골과 골이 서로 마주보게 철골 보에 배치하여 고정설치하고, (b)와 같이 (a)와 달리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게 철골 보에 배치하여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과 같은 데크 플레이트의 기술구성과 이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에 배치하는 구조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철골 보에서 작업자의 통행로를 확보하면서도 콘크리트 타설 후에 철골 보 안쪽으로 상부철근과 전단연결 고정구가 위치되어 양측 데크 플레이트가 더욱 근접하게 됨에 따라 종래의 스터드 바와 같이 양측 데크 플레이트의 물리적 연결이라는 측면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고, 돌출길이가 길어진 상부철근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접촉면적이 더욱 많아짐으로써 콘크리트가 철골 보에 정착되어 철골 보와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거동하도록 전단연결하는 기능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는 종래 데크 플레이트와 별도의 구성부품인 스터드 볼트 또는 이 스터드 볼트를 대신한 스터드 바에 의해 발생되는 작업공수 증가와 원가상승의 문제를 스터드 볼트 또는 스터드 바를 사용하 지 않고 종래의 수직철근과 스터드 볼트의 기능을 겸비함과 아울러 종래의 스터드 바의 물리적 연결이라는 기능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전단연결 고정구를 상부철근에 설치하여 아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2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3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데크 플레이트의 제4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철골보의 양측에 고정설치하여 나타낸 평면도인데, (a)는 산과 산/골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 고, (b)는 산과 골이 마주보게 배치하여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 상부철근 40 : 사각형 수직금속판
50 : T형 수직금속판 60 : T형 수평/수직금속판
61 : 수평금속판 62 : 수직금속판
70 : 수직 금속막대기

Claims (8)

  1.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에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사각형 수직금속판 또는 T형 수직금속판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2.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에 상면이 고정설치되는 수평금속판과 이 수평금속판의 하면에 설치된 수직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금속판의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T형 수평/수직금속판으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각각의 상부철근을 자신의 돌출길이보다 더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동일길이로 돌출하거나 또는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돌출길이의 배열을 달리하여 돌출하고, 이 동일길이로 돌출되거나 또는 파형으로 돌출된 상부철근에 상기 전단연결 고정구를 고정설치하되, 이 고정설치된 각각의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금속판의 표면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5. 데크 패널과 이 데크 패널에 설치되며 이 데크 패널 밖으로 돌출설치된 상부철근을 가진 복수의 트러스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돌출설치된 각각의 상부철근을 자신의 돌출길이보다 더 돌출길이를 길게 하여 동일길이로 돌출하거나 또는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돌출길이의 배열을 달리하여 돌출하고, 이 동일길이로 돌출되거나 또는 파형으로 돌출된 상부철근에 상단이 고정설치되고 하단이 철골 보에 고정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철골보에 콘크리트가 정착되게 하는, 상기 상부철근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진 수직 금속막대기로 된 전단연결 고정구를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금속막대기는 봉형 또는 다각형이며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
  7.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보의 양측에 걸쳐 고정설치시, 청구항 3의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된 전단연결 고정구의 산(골)과 산(골) 또는 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게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에 배열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배치구조.
  8.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보의 양측에 걸쳐 고정설치시, 청구항 5의 파형의 산과 골처럼 들쑥날쑥하게 배열을 달리하여 고정설치된 전단연결 고정구의 산(골)과 산(골) 또는 산과 골이 서로 마주보게 데크 플레이트를 철골 보에 배열하여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배치구조.
KR1020080083473A 2008-08-26 2008-08-26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20100024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73A KR20100024768A (ko) 2008-08-26 2008-08-26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73A KR20100024768A (ko) 2008-08-26 2008-08-26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68A true KR20100024768A (ko) 2010-03-08

Family

ID=4217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473A KR20100024768A (ko) 2008-08-26 2008-08-26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76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00Y1 (ko) * 2010-10-13 2011-02-18 주식회사 신우산업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 데크 플레이트
KR101216166B1 (ko) * 2011-03-08 2013-01-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연결 고정구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KR101711344B1 (ko) * 2016-08-11 2017-03-13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US20170328061A1 (en) * 2014-12-08 2017-11-16 Kwang Sub KIM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2099401B1 (ko) 2019-07-31 2020-04-09 이훈희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CN111962731A (zh) * 2020-04-22 2020-11-20 李世骏 网格梁加双向受力的钢筋桁架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20210006619A (ko) 2019-07-09 2021-01-19 이훈희 꼬임에 의한 인장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설치 방법
KR102271112B1 (ko) 2020-08-10 2021-06-30 이훈희 양다리 볼트,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유지 고정 구조 및 공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300Y1 (ko) * 2010-10-13 2011-02-18 주식회사 신우산업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 데크 플레이트
KR101216166B1 (ko) * 2011-03-08 2013-01-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단연결 고정구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US20170328061A1 (en) * 2014-12-08 2017-11-16 Kwang Sub KIM Deck panel for construction
US10202765B2 (en) * 2014-12-08 2019-02-12 Kwang Sub KIM Deck panel for construction
US10400450B2 (en) 2014-12-08 2019-09-03 Kwang Sub KIM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1711344B1 (ko) * 2016-08-11 2017-03-13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트러스 거더 고정 장치
KR20210006619A (ko) 2019-07-09 2021-01-19 이훈희 꼬임에 의한 인장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설치 방법
KR102099401B1 (ko) 2019-07-31 2020-04-09 이훈희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CN111962731A (zh) * 2020-04-22 2020-11-20 李世骏 网格梁加双向受力的钢筋桁架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962731B (zh) * 2020-04-22 2021-06-18 李世骏 网格梁加双向受力的钢筋桁架楼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71112B1 (ko) 2020-08-10 2021-06-30 이훈희 양다리 볼트,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유지 고정 구조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4768A (ko)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KR101136582B1 (ko) 무용접 철근트러스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272116B1 (ko)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KR101178381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2591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CN201347598Y (zh) 建筑浇筑模板构件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CN110392758B (zh) 倒t形截面混合型预应力混凝土梁及利用其的面板施工方法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KR101216166B1 (ko) 전단연결 고정구를 포함하는 데크 플레이트
KR20080093261A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CN108035470B (zh) 一种楼面大板及其制造方法
JP2008088634A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KR101069394B1 (ko) 데크패널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JP4164511B2 (ja) 鉄筋トラス付デッキプレート
KR101019095B1 (ko) 트러스 일체형 데크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KR20130000775U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KR101177316B1 (ko) 기둥?슬래브 접합부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체
KR101685290B1 (ko) 건축용 벽체 데크패널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KR101908995B1 (ko) 데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