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995B1 - 데크패널 - Google Patents

데크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995B1
KR101908995B1 KR1020160102232A KR20160102232A KR101908995B1 KR 101908995 B1 KR101908995 B1 KR 101908995B1 KR 1020160102232 A KR1020160102232 A KR 1020160102232A KR 20160102232 A KR20160102232 A KR 20160102232A KR 101908995 B1 KR101908995 B1 KR 10190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tice
phase current
vertical truss
truss gird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822A (ko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6010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9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1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labs, both being partially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이 수평하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거더;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상면패널을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재; 및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패널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회동방지근;을 포함하는 데크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패널{DECK PANEL}
본 발명은 구조를 개선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데크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축 공법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며, 이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강성, 내구성, 내화성, 내진성 및 차음성이 좋기 때문이다.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을 짓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거푸집 공법은 공정이 복잡하고, 배근 및 거푸집의 해체가 어려우며, 폐자제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요즘에는 데크패널을 이용한 공법이 바닥 또는 천장 스라브에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크패널은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에 배치되고, 이 후,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일정 시간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건물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데크패널은 건물의 바닥 또는 천장의 스라브(slab)에만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각 구성요소를 제조하여 시공 현장으로 운반해야 하며, 또한, 시공 현장에서 기초적인 조립부터 다시 연결 부위별로 보강근을 현장에서 배근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의해, 종래의 데크패널은 바닥 스라브 주근 방향만 조립되어 이송되어, 재래수직구조와 보 거푸집 공법이 선작업되어 있는 상부의 바닥 스라브에만 시공 현장에서 직접 조립되므로, 배력근이나 보강근의 배근이 되어야 하는 등 현장 작업이 복잡하여 공사 기간 및 인건비가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요컨대, 종래의 데크패널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시공방법은 전체적인 건축의 공기가 길어지거나, 바닥 스라브에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여 공사비 절감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패널의 구조를 모듈화함과 동시에 공장에서 생산화함으로써, 미리 조립된 데크패널 자체를 현장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바닥 스라브 뿐만 아니라 수직벽체까지 간단하게 현장에서 조립 또는 배치할 수 있어 건물의 공기를 단축함과 동시에 공사 비용 절감, 안정성과 공사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데크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이 수평하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거더;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상면패널을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재; 및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패널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회동방지근;을 포함하는 데크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는 각각,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1 래티스; 상기 제1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 및 상기 제1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현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는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제1 상현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제1 하현재가 인접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2 래티스; 상기 제2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 상기 제2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현재; 및 상기 제2 상현재의 자유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현재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방지근은 상기 제2 하현재에 접하여 상기 상면 패널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판 형상을 한 번 절곡하여 형성되는 절곡부가 상기 제1 상현재에 고정되고, 대향면이 상기 제1 하현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절곡판; 및 상기 절곡판의 대향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기 절곡부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상현재와 절곡근의 절단면 두께를 합친 길이보다 긴 거리에 배치되는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은 제1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하현재와 제1 데크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2 하현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제1 데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면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은 각각,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2 래티스; 상기 제2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 상기 제2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현재;를 포함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은 각각, 제1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제2 하현재와 제1 데크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3 래티스; 상기 제3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며, 상기 제2 상현재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겹쳐지는 제3 상현재; 상기 제3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3 하현재; 및 상기 제2 래티스 및 제3 래티스의 상측 피치와, 상기 제2 상현재 및 제3 상현재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은 제2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제3 하현재와 제2 데크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힌지 결합되어 운반시 부피를 줄여 운반비용을 줄여줄 수 있는 데크패널을 제공하고, 상면패널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시공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 축소를 도모할 수 있는 데크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트러스거더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면패널이 장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상면패널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상면패널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이격된 두 개의 상면패널과, 상면패널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널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상면패널과 연결패널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트러스거더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면패널이 장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상면패널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상면패널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데크패널은 크게 수직 트러스거더(100), 상면패널(200), 힌지결합부재(300) 및 회동방지근(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는 길이 방향이 수평하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적 강성 및 조립 구조를 감안할 때, 상기 각각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a)의 제1 상현재(120)와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b)의 제1 하현재(130)가 인접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트러스거더(100)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1 래티스(110)와, 상기 제1 래티스(1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티스(110)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120)와, 상기 제1 래티스(110)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현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래티스(110)는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래티스(110)는 철근으로써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현재(120) 및/또는 제1 하현재(130)와 용접 또는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래티스(110)는 한 쌍으로써 배치되어 상측 피치가 맞닿고 하측 피치가 이격되도록 도시된 것과 같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단일 제1 래티스(110)로써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 압점 방식은 고압의 전기를 두 부재 사이에 가압 융착시키는 것으로서 기계적, 물리적 결합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러스거더는 상기 제1 래티스(1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티스(110)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현재(120)는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제1 래티스(110) 상측 피치 사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상술한 용접 또는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현재(130)는 상기 제1 래티스(110) 하측에 배치될 수있으며, 상기 제1 래티스(110)가 한 쌍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 하현재(130) 또한 한 쌍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하현재(130) 각각은 긴 직선 형상의 철근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1 래티스(110) 하측 피치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상술한 용접 또는 전기 압점 방식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는 후술할 상면패널(200)의 제1 데크플레이트(250)와 같은 판상의 부재(150)가 일측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면패널(200)은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면패널(200)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2 래티스(210)와, 상기 제2 래티스(2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래티스(210)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220)와, 상기 제2 래티스(210)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현재(230)와, 상기 제2 상현재(220)의 자유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현재(23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근(240)은 상기 제2 상현재(2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현재(230)에 용접 또는 전기압점 방식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면패널(200)의 제2 래티스(210), 제2 상현재(220) 및 제2 하현재(230)는 전술한 수직 트러스거더(100)의 제1 래티스(110), 제1 상현재(120) 및 제1 하현재(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전술한 제1 래티스(110), 제1 상현재(120) 및 제1 하현재(130)의 구조적 특징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200)의 제2 래티스(210), 제2 상현재(220) 및 제2 하현재(230)는 전술한 수직 트러스거더(100)의 제1 래티스(110), 제1 상현재(120) 및 제1 하현재(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형상으로 포개져서 접히게 되므로 수직 트러스거더(100)가 형성하는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면패널(200)은 제1 데크플레이트(250)와, 상기 제2 하현재(230)와 제1 데크플레이트(250)를 결합시키는 서포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제1 데크플레이트(250) 상에 다른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음각 또는 양각의 별도 제조 과정이 불필요하여 제조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는 건축물에 배치된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 강판, 아연이 도금된 금속판, 또는 타설 측압을 견딜수 있는 합판, 보드류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의 외측면에 부식 방지를 위한 전처리나 제1 데크플레이트(250) 회수시 해체의 용이성 또는 타설될 콘크리트면 보호를 위한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6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패널(200)와 제1 데크플레이트(2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터(260)는 상기 제2 하현재(230)를 수용하는 수용부(261)와, 상기 수용부(261)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에 고정되는 고정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62)는 상기 제1 데크플레이트(250)를 통과하여 체결되는 볼트로써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2 하현재(230)와 제1 데크플레이트(250)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함과 동시에 더욱 우수한 볼트 체결력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서포터(260)는 상기 고정부(262)와 제1 데크플레이트(250)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263)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시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의 양측에 상기 상면패널(200)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일측의 상면패널(200a)은 짝수 번째의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체결되고, 타측의 상면패널(200b)은 홀수 번째의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체결되어 상호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결합부재(300)는 상기 상면패널(200)을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체결 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절곡판(310)과 볼트부(320)로써 구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곡판(310)은 판 형상을 한 번 절곡하여 형성되는 절곡부(311)가 상기 제1 상현재(120)에 고정되고, 대향면이 상기 제1 하현재(130)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320)는 상기 절곡판(310)의 대향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기 절곡부(311)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상현재(120)와 절곡근(240)의 절단면 두께를 합친 길이보다 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부(320)의 체결 위치에 의해, 상기 제1 상현재(120)와 볼트부(320) 사이에서 상기 상면패널(200)의 절곡근(240) 및/또는 제2 상현재(22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방지근(350)은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패널(2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상면패널(200)은 힌지결합부재(300)에 의해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동방지근(350)은 상기 제2 하현재(230)에 접하여 상기 상면 패널의 중력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방지근(350)은 상기 제2 하현재(230)의 길이방향이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100)의 제1 하현재(130)의 길이방향과 90°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동방지근(350)은 상기 수직 크러스거더에 용점 또는 전기압점 방식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패널은 상기 상면패널(200)을 수직 트러스거더(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구조화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여 조립 상태로 시공현장에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패널은 상면패널(200)간의 결합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격된 두 개의 상면패널과, 상면패널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널(400)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상면패널과 연결패널(400)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면패널(200)을 연결하는 연결패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패널(400)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3 래티스(410)와, 상기 제3 래티스(410)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래티스(410) 상측부를 고정하며 상기 제2 상현재(220)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겹쳐지는 제3 상현재(420)와, 상기 제3 래티스(410) 하측에 배치되는 제3 하현재(430)와, 상기 제2 래티스(210) 및 제3 래티스(410)의 상측 피치와 상기 제2 상현재(220) 및 제3 상현재(420)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유닛(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래티스(410), 제3 상현재(420) 및 제3 하현재(430)는 상기 상면패널(200)의 제2 래티스(210), 제2 상현재(220) 및 제2 하현재(230)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갈음한다.
상기 체결유닛(440)은 다양한 체결 수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힌지결합부재(300)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되, 상기 체결유닛(440)의 볼트부와 절곡부와의 거리가 상기 제2 상현재(220), 제3 상현재(420), 제2 래티스(210) 및 제3 래티스(410)를 움직이지 않게 구속시키는 점에서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400)은 제2 데크플레이트(450)와 서포터(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크플레이트(450)와 서포터(460)의 구조적 형상은 전술한 제1 데크플레이트(250)와 서포터(260)의 그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갈음한다.
요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패널은 종래에 비해 단순한 구조로써 상면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여 벽체와 바닥 스라브를 데크패널로 같이 시공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 시공현장으로의 조립 후 이동이 용이하므로, 제조비용과 운송비용 절감 및 우수한 건물의 내구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수직 트러스거더 110: 제1 래티스
120: 제1 상현재 130: 제1 하현재
200: 상면패널 210: 제2 래티스
220: 제2 상현재 230: 제2 하현재
240: 절곡근 250: 제1 데크플레이트
260: 서포터 261: 수용부
262: 고정부 263: 스페이서
300: 힌지결합부재 310: 절곡판
311: 절곡면 312: 대향면
320: 볼트부 400: 연결패널
410: 제3 래티스 420: 제3 상현재
430: 제3 하현재 440: 체결유닛
450: 제2 데크플레이트 460: 서포터

Claims (12)

  1. 길이 방향이 수평하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일렬로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거더;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면패널;
    상기 상면패널을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시키기 위한 힌지결합부재; 및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패널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회동방지근;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는 각각,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1 래티스와, 상기 제1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1 상현재와, 상기 제1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하현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패널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2 래티스와, 상기 제2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는 제2 상현재와, 상기 제2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하현재와, 상기 제2 상현재의 자유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하현재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근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방지근은 상기 제2 하현재에 접하여 상기 상면 패널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에 고정되는 데크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는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제1 상현재와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트러스거더의 제1 하현재가 인접하도록 교차되게 배치되는 데크패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재는,
    판 형상을 한 번 절곡하여 형성되는 절곡부가 상기 제1 상현재에 고정되고, 대향면이 상기 제1 하현재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절곡판; 및
    상기 절곡판의 대향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상기 절곡부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제1 상현재와 절곡근의 절단면 두께를 합친 길이보다 긴 거리에 배치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데크패널.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면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패널을 더 포함하는 데크패널.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은,
    일정한 파형으로 형성되는 제3 래티스;
    상기 제3 래티스의 상측 피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3 래티스 상측부를 고정하며, 상기 제2 상현재의 전부 또는 일부와 겹쳐지는 제3 상현재;
    상기 제3 래티스 하측에 배치되는 제3 하현재; 및
    상기 제2 래티스 및 제3 래티스의 상측 피치와, 상기 제2 상현재 및 제3 상현재를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데크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널은,
    제2 데크플레이트와, 상기 제3 하현재와 제2 데크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데크패널.
KR1020160102232A 2016-08-11 2016-08-11 데크패널 KR10190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32A KR101908995B1 (ko) 2016-08-11 2016-08-11 데크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32A KR101908995B1 (ko) 2016-08-11 2016-08-11 데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22A KR20180017822A (ko) 2018-02-21
KR101908995B1 true KR101908995B1 (ko) 2018-10-17

Family

ID=6152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32A KR101908995B1 (ko) 2016-08-11 2016-08-11 데크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84A (ko) * 2019-12-30 2021-07-08 ㈜바이브 조립하기 편리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902B1 (ko) * 2008-06-05 2011-08-29 (주)영구조엔지니어링 연속지지방식의 트러스데크 설치구조
KR20130006970U (ko) * 2012-05-25 2013-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브릿지 높이 조절 가능한 서비스 타워
KR101795511B1 (ko) * 2014-12-08 2017-11-10 김광섭 건축용 데크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84A (ko) * 2019-12-30 2021-07-08 ㈜바이브 조립하기 편리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KR102297176B1 (ko) * 2019-12-30 2021-09-02 김명희 조립하기 편리한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22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858A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KR101476290B1 (ko) 강합성 psc 파형강판 u거더
US8776468B2 (en)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BR112016017131B1 (pt) Estrutura de aço de peso leve tridimensional formada por vigas duplas contínuas de duas vias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US8539730B2 (en) Building system
KR20130088246A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조립식 연결구조
KR20100024768A (ko) 데크 플레이트 및 그 배치구조
EP2270287A1 (en) A building assembly with a corner profile for an insulating building system
JP6473236B2 (ja) 建築用デッキパネル
JP5275545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908995B1 (ko) 데크패널
US8495846B2 (en) Formwork assembly for fabricating composite structures including floor and roof structures
JP2007162252A (ja) 鉄骨建造物における外壁・屋根の断熱施工方法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1581380B1 (ko) 하이브리드 트러스 거더
JP6346847B2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KR101804151B1 (ko) 데크패널
SE516901C2 (sv) Prefabricerat armerat bärande byggkonstruktionselement, samt förstyvningsplåtelement för en sådan konstruktion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KR101795512B1 (ko) 데크패널
JP2019190175A (ja) プレキャスト合成スラブ並びにプレキャスト合成スラブと梁材と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KR101685290B1 (ko) 건축용 벽체 데크패널
JP4072274B2 (ja) 建物ユニット
KR101804153B1 (ko) 데크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