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904B1 -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904B1
KR102341904B1 KR1020210125649A KR20210125649A KR102341904B1 KR 102341904 B1 KR102341904 B1 KR 102341904B1 KR 1020210125649 A KR1020210125649 A KR 1020210125649A KR 20210125649 A KR20210125649 A KR 20210125649A KR 102341904 B1 KR102341904 B1 KR 102341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groove
seal
elevator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철
Original Assignee
장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철 filed Critical 장종철
Priority to KR102021012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장도어, 도어 슈 및 도어 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구조에서,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외에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 및 이들 간의 결합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현재 요구되고 있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는 이탈방지력을 충족시켜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시공과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STRUCTURE OF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S DOOR}
본 발명은 승장도어(door), 도어 슈(door shoe) 및 도어 실(door sill)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승장도어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으로 인해 도어 실로부터 도어 슈가 분리되어 발생하는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장도어,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외에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도어 슈와 도어 실 간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는 바닥에 매립 설치된 도어 실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슈에 결합되어 도어 슈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된다. 이러한 승장도어는 평소 밀폐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승객의 부주의나 장난에 의해 승장도어에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변위가 발생되고, 한계치 변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어 실로부터 이탈되어 낙상과 같은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의 이탈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승장도어(1)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승장도어(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승장도어(1)가 휘어지는 변위가 발생된다. 승장도어(1)의 변위에 의해 도어 실(3)의 레일홈부(3a)에 결합된 도어 슈(2)는 도어 실(3)의 가이드홈(3a)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로 인해 승장도어(1)는 도어 실(3)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승장도어의 이탈은 대형 인명사고 뿐만 아니라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한다. 이 때문에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였고, 그 일환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39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73839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10445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09677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8410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39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280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10445호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이 제안되었다.
전술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이탈방지구조들은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대부분 이탈방지용 부품들을 추가하여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즉, 전술한 선행문헌들에서는 도어 슈와 별개로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 걸쇠 또는 블럭 등과 같은 이탈방지용 부품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시공이 복잡하고, 도어 슈의 교체 및 유지 보수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1-0027076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899955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062083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956924호 등을 포함하는 선행문헌들에서는 별도로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기존의 선행문헌들에 비해 이탈방지용 부품이 추가되지 않아 시공성을 개선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 변경을 통한 이탈방지구조에서는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여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구조에 비해 시공성을 개선하고, 또한 교체 및 유지 보수 등에 있어서 개선을 이루었으나,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한 기존 이탈방지구조에 비해 이탈방지력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발육에 따른 체중 증가와, 전동 휠체어나 자전거 등으로 인한 충격강도가 높아지면서 한 층 강화된 이탈방지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이탈방지구조 기술에서는 대략 450J 정도의 충격량에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그 이상, 예를 들어, 1000J 이상의 충격량에 견딜 수 있는 이탈방지력을 갖는 이탈방지구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01-0027076 A, 2001. 04. 06.,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 10-0899955 B1, 2009. 05. 22.,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KR 10-1062083 B1, 2011. 08. 29.,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 10-0956924 B1, 2010. 04. 30.,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 10-2013-0003972 A, 2013. 01. 09.,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외에 별도로 이탈방지용 부품들을 추가하지 않고도, 현재 요구되고 있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는 이탈방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제1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승장도어,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외에 별도로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 변경을 통해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종래의 이탈방지구조에 비해 설치 시공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승장도어의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 및 이들 간의 결합구조를 변경하고, 이를 통해 도어 슈로 하여금 승장도어의 이탈방지기능을 겸하도록 하여 별도로 이탈방지용 부품이 추가되는 종래기술 대비 시공성과 교체 및 유지 보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제2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슈의 구조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제3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 실을 교체할 때 이미 시공된 몰탈 마감재 등을 포함하는 건물 마감재를 해체하지 않고도 독립적으로 도어 실 부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제4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는 승장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레일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및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상기 레일홈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승장도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슈는 볼트를 통해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 및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절곡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는 프레스 공정 및 벤딩 공정을 통해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슈를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할 때, 상기 도어 슈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가 탑승구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 걸림부는 승강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부는 내면이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1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가 위치되는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비해 좁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은 일측 내면이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2
' 형상, 타측 내면은 '역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 둘레를 감싸도록 피복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외면에 띠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제1 또는 제2 절곡 걸림부가 상기 도어 실의 걸림턱에 걸림되기 전에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 내에서 먼저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1차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외측 중앙에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완충 스프링을 통해 1차로 걸림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소음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장도어는 상기 도어 실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하부에 각각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홈은 단면 상으로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실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개방홈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도어 슈를 상기 도어 실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개방홈을 통해 상기 도어 슈를 상기 도어 실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 실이 고정되는 실 브라켓; 상기 승강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분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되,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개방된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덮어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천장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홈부의 걸림턱과 상기 레일홈부의 하부면 간에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부의 걸림턱과 상기 레일홈부의 하부면 간의 단차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삼방틀의 하부와 상기 건물 바닥에 채워진 몰탈 마감재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슈를 '역 T'자로 변경하여 승장도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로 이탈방지용 부품(부재)을 추가하지 않고서도, 현재 요구되고 있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는 이탈방지력을 충족시켜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시공과 교체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역 T'자형 구조의 분리판을 이용하여 삼방틀과 도어 실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의 이탈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와 도어 실을 이용한 승장도어 이탈방지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승장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승장도어를 승강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이 도어 실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는 별도로 승장도어(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용 부품을 추가 설치하지 않고, 도어 실(12)과 도어 슈(13)의 구조 변경을 통해 도어 슈(13)에 승장도어(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승장도어(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실(12)은 도어 슈(13)가 결합되는 레일로 기능하는 것으로, '역 T'자형으로 이루어진 도어 슈(13)가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홈부(121)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13)는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단부는 볼트(b1)를 통해 승장도어(11)에 체결 고정되고, 하단부는 도어 실(12)의 레일홈부(121)의 내부에 삽입되어 레일홈부(1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어 슈(13)는 볼트(b1)를 통해 승장도어(11)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131a)이 형성된 고정판(131)과, 고정판(131)의 하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32)와, 제1 절곡 걸림부(132) 사이에 고정판(131)의 하단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절곡 걸림부(133)를 포함한다.
제2 절곡 걸림부(133)는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32)의 사이에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32)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걸림부(132)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32)는 고정판(131)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절곡 형성되고, 제2 절곡 걸림부(133)는 고정판(131)의 하단부 중앙에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슈(13)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서,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는 용접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 공정 및/또는 벤딩 공정을 이용하여 고정판(131)의 하단부를 절곡시켜 고정판(131)과 일체로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금속 판재(a)를 준비한 후, 금속판재(a)의 하단부를 절개하여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는 절개선(c)을 형성한다. 그리고, 절개선(c)에 의해 절개된 절개부를 고정판(13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시켜 고정판(131)과 일체로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13)는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를 용접 체결 방식이 아닌 프레스 공정 및 벤딩 공정으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적다. 그리고, 벤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체결 구조에 비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다.
승장도어(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탑승구에서 승강로 방향으로 빈번하게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 슈(13)를 승장도어(11)에 체결할 때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큰 도어 슈(13)의 제1 절곡 걸림부(132)가 탑승구측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제2 절곡 걸림부(133)는 승강로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도 3과 같이, 도어 실(12)의 레일홈부(121)는 승장도어(1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승장도어(11)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가 걸림되는 구조로 내면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레일홈부(121)는 도 3과 같이, 내면이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4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레일홈부(121)는 도어 슈(13)의 고정판(131)이 삽입되는 입구(121a)가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가 삽입되는 중앙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레일홈부(121)의 중앙은 승장도어(1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걸림되도록 일측 내면(도 3에서 좌측 내면)이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5
' 형상, 타측 내면(도 3에서 우측 내면)은 '역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6
'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와 도어 실을 이용한 승장도어 이탈방지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승장도어(11)에 탑승구측에서 승강로 방향으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승장도어(11)는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고, 변위로 인해 도어 슈(13) 또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승장도어(11)가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방향으로 기울어져 도어 슈(13)의 고정판(131)이 기울어지면, 고정판(131)의 하단부에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32)가 레일홈부(121)의 내측 천장부에 마련된 걸림턱(121b)에 걸림되어 도어 슈(13)가 도어 실(12)의 레일홈부(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A' 부위 참조).
또한, 도어 슈(13)의 고정판(131)과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32, 133) 사이에는 완충부재(16)가 일정 두께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16)는 고정판(131)의 하부 둘레를 감싸도록 일정 두께로 피복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16)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재질의 특성에 따라 부드러운 재질 또는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16)는 도 2와 같이, 도어 실(12)에 형성된 레일홈부(121)의 입구(121a)에 배치되도록 도어 슈(13)에 설치되어 도어 슈(13)가 레일홈부(1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그로 인한 마찰 소음 등을 흡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26)는 외면에 띠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26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부(26a)는 승장도어(1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도어 슈(13)의 제1 절곡 걸림부(132)가 도어 실(12)의 걸림턱(121b)에 걸림되기 전에 레일홈부(121)의 입구(121a) 내에서 먼저 걸림된다('B' 부위 참조).
즉, 본 발명에서는 승장도어(1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부재(26)의 돌부(26a)와 제1 절곡 걸림부(132)를 통해 다단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충격량에도 강한 이탈방지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절곡 걸림부(132)에 부하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절곡 걸림부(132)의 피로강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완충부재(36)는 도 7에 도시된 완충부재(26)와 마찬가지로 외측 중앙에 돌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돌부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361)이 추가로 개재되어 승장도어(11)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완충 스프링(361)을 통해 1차로 걸림 지지되는 동시에 완충 스프링(36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소음과 충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승장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승장도어를 승강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승장도어(21)는 도어 실(12)로부터 도어 슈(13)를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 실(12)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하부에 각각 개방홈(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개방홈(21a)은 도 9와 같이, 단면 상으로는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방홈(21a)에 의해 도어 실(12)의 길이방향으로 도어 실(12)의 양측부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도어 슈(13)를 도어 실(12)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로 이동시킨 후 개방홈(21a)을 통해 승장도어(21)에 체결 고정하는 볼트(b1)를 풀어 도어 슈(13)를 도어 실(12)과 승장도어(21)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건물 마감작업(승장바닥의 몰탈 충진작업) 후에도 건물의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해체없이 도어 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삼방틀(14)은 승강장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외부 문틀로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승장도어(11)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어 실(1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된 분리판(17)에 일측부가 볼트(b3) 또는 너트와 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이 도어 실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17)은 삼방틀(14) 방향으로 도어 실(12)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도록 대략 단면이 '역 T'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분리판(17)은 예를 들어, 삼방틀(14)의 하부 일측면에 볼트(b3)(예컨대, M8 볼트)를 통해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는 수직부(171)와, 수직부(17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도어 실(12)의 일측부 하부에 걸쇠 형태로 걸림되는 걸림부(1722)와, 수직부(171)의 하단부에서 걸림부(172)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4)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19)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173)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판(17)은 도어 실(12)과 동일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도어 실(12)과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는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600mm 정도 더 크게 형성한다. 또한, 수직부(171)의 높이(L1)는 대략 23~30mm, 걸림부(172)의 길이(L2)는 대략 8~10mm로 하여 도어 실(12)의 규격에 따라 형성한다.
수직부(171)는 볼트(b3) 또는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삼방틀(14)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수직부(171)로부터 절곡된 걸림부(172)는 상부에 도어 실(12)의 일측부 종단부에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걸림턱(122b)이 걸림되는 걸림홈(17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173)는 걸림부(172)의 반대측으로 수직부(171)의 하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삼방틀(14)의 하부와 몰탈 마감재(18) 사이에 삽입된다.
볼트(b3)는 예를 들어 M8 볼트를 사용하거나, M8 볼트 대신에 M8 너트와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b3)는 분리판(17)의 수직부(171)에 타공한 후 용접하여 고정하되, 2개가 분리판(17)의 길이방향으로 용접 체결될 수 있고, 이들 간의 간격은 승강장의 출입구 폭보다 대략 30~150mm 더 크게 형성하여 삼방틀(14)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 삼방틀(14)의 고정위치를 맞추어 더 큰 간격으로 이격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레일홈부(121)의 일측부(도 3에서 좌측)에는 도어 실(12)과 실 브라켓(15) 사이로 삽입되는 분리판(17)의 걸림부(172)가 결합되는 제1 고정홈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고정홈부(122)는 일측 방향(삼방틀(14)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7
'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홈부(122)는 상부 천장에는 분리판(17)을 구성하는 수직부(17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122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고 분리판(17)의 걸림부(172)에 형성된 걸림홈(172a)에 삽입되는 걸림턱(12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걸림턱(122b)과 레일홈부(121)의 하부면 사이에는 단차(t)가 형성되어 걸림부(172)는 걸림턱(122b)과 실 브라켓(15) 사이, 즉 제1 고정홈부(122)의 하부로 인입된 후 타측 방향(삼방틀(14)과 반대방향)으로 레일홈부(121)의 하부 측부에 걸림된다.
걸림턱(122b)과 레일홈부(121)의 하부면 간에 발생되는 단차(t)는 도어 실(12)의 하부가 고정되는 실 브라켓(15)의 상면으로부터 걸림턱(122b)과의 거리와 동일하다. 그리고, 걸림턱(122b)의 하부와 레일홈부(121)의 하부면 사이에 발생되는 단차(t), 즉 간격은 걸림턱(122b)과 실 브라켓(15)의 사이로 분리판(17)의 걸림부(172)가 삽입 결합되도록 걸림부(17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판(17)의 걸림부(172)는 제1 고정홈부(1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5)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즉 걸림턱(122b)과 레일홈부(121)의 하부면 사이의 단차(t)에 의해 형성된 틈새로 삽입된 후 고정볼트(b2)를 통해 실 브라켓(15)에 고정되는 도어 실(12)의 고정력에 의해 도어 실(12)과 실 브라켓(15) 사이에 상하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걸림부(172)가 제1 고정홈부(122)의 하부와 실 브라켓(15)의 상부 사이로 인입되면, 제1 고정홈부(122)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22b)은 걸림부(172)의 걸림홈(172a)에 삽입되어 걸림되고, 이에 따라 분리판(17)은 일측방향으로 도어 실(12)에 걸림되어 도어 실(12)에서 삼방틀(14)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도 3과 같이, 레일홈부(121)의 타측부(도 3에서 우측)에는 고정볼트(b2)를 매개로 도어 실(12)을 실 브라켓(15)의 상부에 고정하는 제2 고정홈부(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고정홈부(123)는 하측(실 브라켓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 예를 들면, '∩'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고정볼트(b2)의 헤드부가 하측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개구부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편이 형성된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8
'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어 실(12)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실(12)의 시공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같이, 건물 바닥(18)의 턱부에 실 브라켓(15)을 설치하고, 건물 바닥(18) 상부에 삼방틀(14)을 설치한다. 그리고, 삼방틀(14)의 하부 일측부에 볼트(b3)를 이용하여 분리판(17)을 고정 설치한 후 고정볼트(b2)를 통해 도어 실(12)을 고정한다.
이때, 도어 실(12)은 제1 고정홈부(122)가 분리판(17)의 걸림부(172) 상부에 정렬된 상태로 안착되도록 고정볼트(b2)를 통해 실 브라켓(15)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17)의 걸림부(172)는 고정볼트(b2)에 기인한 도어 실(12)의 고정력을 통해 도어 실(12)의 제1 고정홈부(122)와 실 브라켓(15) 사이에서 강하게 고정된다.
이어서, 건축 마감작업을 실시하여 승강 바닥을 마감한다.
전술한 시공방법으로 승강장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도어 실(12)에 스크래치, 마모 또는 파손 등이 발생되어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경우, 그 교체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승장도어(11)를 도어 실(12)로부터 분리한 후, 고정볼트(b2)를 풀어 도어 실(12)을 실 브라켓(15)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전술한 시공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판(17)의 걸림부(172)의 상부에 교체할 새로운 도어 실(미도시)을 올려놓고 고정볼트(b2)를 통해 실 브라켓(15)에 고정한 후 새로운 도어 실의 레일홈부의 내부에 승장도어(11)의 도어 슈(13)를 결합시켜 도어 실에 대한 교체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승장도어(21)의 양측부에 개방홈(21a)을 형성하여 도어 실(12) 및 도어 슈(13)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역 T'자형 구조의 분리판(17)을 추가로 구성하여 삼방틀(14)과 도어 실(12)을 고정함으로써 도어 실을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할 때 승강장의 바닥을 마감하는 승장바닥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도어 실 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11, 21 : 승장도어 12 : 도어 실
13 : 도어 슈 14 : 삼방틀
15 : 실 브라켓 16, 26, 36 : 완충부재
17 : 분리판 18 : 건물 바닥
19 : 몰탈 마감재 21a : 개방홈
26a : 돌부 121 : 레일홈부
121a : 입구 121b : 걸림턱
122 : 제1 고정홈부 122a : 홈
122b : 걸림턱 123 : 제2 고정홈부
131 : 고정판 132 : 제1 절곡 걸림부
133 : 제2 절곡 걸림부 171 : 수직부
172 : 걸림부 172a : 걸림홈
173 : 고정부 362 : 완충 스프링
a : 금속판재 c : 절개선
b1, b3 : 볼트 b2 : 고정볼트

Claims (10)

  1. 삭제
  2. 승장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레일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및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상기 레일홈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승장도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슈;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슈는,
    볼트를 통해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일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 및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제2 절곡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곡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는 프레스 공정 및 벤딩 공정을 통해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를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할 때, 상기 도어 슈는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가 탑승구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 걸림부는 승강로측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부는 내면이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09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는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가 위치되는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비해 좁게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은 일측 내면이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10
    ' 형상, 타측 내면은 '역 ㄷ'자 또는 '
    Figure 112021108977278-pat00011
    '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을 이루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 둘레를 감싸도록 피복된 형태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외면에 띠 형태로 외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제1 또는 제2 절곡 걸림부가 상기 도어 실의 걸림턱에 걸림되기 전에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 내에서 먼저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1차로 방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외측 중앙에 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의 내부에는 완충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완충 스프링을 통해 1차로 걸림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소음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8. 승장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레일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및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상기 레일홈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승장도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슈; 를 포함하고,
    상기 승장도어는 상기 도어 실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하부에 각각 개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홈은 단면 상으로 'ㄱ'자 또는 '역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실은 길이방향으로 양측부가 상기 개방홈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도어 슈를 상기 도어 실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개방홈을 통해 상기 도어 슈를 상기 도어 실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9. 승장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레일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고정홈부와, 상기 레일홈부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역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승장도어에 체결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레일홈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레일홈부의 중앙에 상기 레일홈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장도어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상기 승장도어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고, 이 과정에서 상기 레일홈부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상기 승장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도어 슈;
    건물 바닥의 턱부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 실이 고정되는 실 브라켓;
    상기 승강도어와 나란하게 상기 건물 바닥의 상부에 설치된 삼방틀; 및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도어 실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삼방틀의 하부와 상기 건물 바닥에 채워진 몰탈 마감재 사이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분리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는 상기 삼방틀의 하부 일측부에 고정되고,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는 상기 도어 실과 상기 실 브라켓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고,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실의 하부에 걸림되는,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도어 실의 하부와 상기 실 브라켓 상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를 하측으로 눌러 고정하되, 상기 제1 고정홈부는 상기 삼방틀 방향으로 개방된 '⊃'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를 덮어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천장에는 상기 분리판의 수직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의 종단부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정홈부의 걸림턱과 상기 레일홈부의 하부면 간에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홈부의 걸림턱과 상기 레일홈부의 하부면 간의 단차는 상기 분리판의 걸림부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20210125649A 2021-09-23 2021-09-23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2341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49A KR102341904B1 (ko) 2021-09-23 2021-09-23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649A KR102341904B1 (ko) 2021-09-23 2021-09-23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904B1 true KR102341904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649A KR102341904B1 (ko) 2021-09-23 2021-09-23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7504A (ko) 2022-08-01 2024-02-08 장종철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20240017501A (ko) 2022-08-01 2024-02-08 장종철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076A (ko) 1999-09-10 2001-04-06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200322281Y1 (ko) * 2003-05-22 2003-08-09 강찬영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슈 및 도어실 이탈방지 구조
KR100899955B1 (ko) 2008-06-10 2009-05-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56924B1 (ko)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062083B1 (ko) 2008-09-17 2011-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30003972A (ko) 2011-07-01 2013-01-09 권재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076A (ko) 1999-09-10 2001-04-06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200322281Y1 (ko) * 2003-05-22 2003-08-09 강찬영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슈 및 도어실 이탈방지 구조
KR100956924B1 (ko)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899955B1 (ko) 2008-06-10 2009-05-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062083B1 (ko) 2008-09-17 2011-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30003972A (ko) 2011-07-01 2013-01-09 권재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7504A (ko) 2022-08-01 2024-02-08 장종철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20240017501A (ko) 2022-08-01 2024-02-08 장종철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90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1220495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101747682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승강기
JPH1059662A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固定装置及び緩衝装置
KR20130122643A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KR102214035B1 (ko) 이탈방지 성능을 갖는 승강기 또는 승강장용 도어의 설치구조
KR20230125879A (ko) 도어 실 교체가 용이한 재료 분리대를 구비한 승강기용 승강장
CN104071674B (zh) 一种安全电梯结构
CN211945856U (zh) 一种施工升降机翻板门的缓冲结构
JP2000255941A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JPH10245170A (ja) エレベーターピット用梯子
JP7506837B2 (ja) 敷居の取り替えが容易なエレベータ用乗場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220502B1 (ko) 승장 도어 잠금 장치
KR20240017504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101285591B1 (ko) 승강 도어
CN217708428U (zh) 一种工业载货电梯专用安全门
KR102507740B1 (ko) 슈 탈거 방지용 비상가이드 및 씰을 구비한 승강장 문 어셈블리
CN106241551B (zh) 用于对轿厢总成进行限位的装置
KR2024001750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CN210914909U (zh) 一种防止电梯门倾斜的地坎
CN211622359U (zh) 一种缓冲防撞的楼梯锌钢栏杆
CN216918244U (zh) 一种电梯中分双折门挂件装置
US11346140B2 (en) Safety brake for vertical lifting doors
CN219807636U (zh) 一种超低顶层和底坑的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