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504A -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504A
KR20240017504A KR1020220095327A KR20220095327A KR20240017504A KR 20240017504 A KR20240017504 A KR 20240017504A KR 1020220095327 A KR1020220095327 A KR 1020220095327A KR 20220095327 A KR20220095327 A KR 20220095327A KR 20240017504 A KR20240017504 A KR 2024001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door
shoe
eleva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철
Original Assignee
장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철 filed Critical 장종철
Priority to KR102022009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504A/ko
Publication of KR2024001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5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와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체결부위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충격 및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와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체결부위에 완충부재를 구비한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이나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의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마찰 소음 등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와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체결부위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충격 및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바닥에 매립 설치된 도어 실(door sill)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도어 슈(door shoe)에 결합되어 도어 슈의 이동에 따라 개폐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는 밀폐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승객의 부주의나 장난에 의해 강제적인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변위가 발생되고, 한계치 변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어 실로부터 이탈되어 낙상과 같은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1)에 내측방향으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1)가 휘어지는 변위가 발생된다. 엘리베이터 도어(1)의 변위에 의해 도어 실(3)의 가이드홈부(3a)에 결합된 도어 슈(2)는 도어 실(3)의 가이드홈부(3a)로부터 이탈되고, 결국 엘리베이터 도어(1)는 도어 실(3)로부터 이탈된다.
엘리베이터 도어(1)의 이탈은 인명사고와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1)의 이탈 방지를 위한 대안이 필요하였다. 그 일환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39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73839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10445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09677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8410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39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31280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110445호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선행문헌들이 제안되었다.
전술한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이탈 방지 구조들은 대부분 이탈 방지를 위한 부품들을 추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이 복잡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즉 전술한 선행문헌들에서는 도어 슈와 별개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 걸쇠 또는 블록 등과 같은 이탈 방지용 부품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어렵고, 도어 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어려웠다.
이외에도 국내 공개특허 제10-2001-0027076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899955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062083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956924호 등에서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제안되었다. 이들 선행문헌들에서 제안된 구조는 앞선 선행문헌들과 다르게 이탈 방지용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도어 슈와 도어 실의 구조를 변경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였으나, 앞선 이탈 방지구조에 비해 이탈 방지력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발육에 따른 체중 증가와, 전동 휠체어나 자전거 등으로 인한 충격강도가 높아지면서 한 층 강화된 이탈 방지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탈 방지구조 기술에서는 대략 450J 정도의 충격량에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그 이상, 예를 들어, 1000J 이상의 충격량에 견딜 수 있는 이탈 방지력을 갖는 이탈 방지구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는 볼트를 매개로 볼팅 체결되는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이나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의 체결부위에서 충격 및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탈 방지구조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 간의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KR 10-2001-0027076 A, 2001. 04. 06. KR 10-0899955 B1, 2009. 05. 22. KR 10-1062083 B1, 2011. 08. 29. KR 10-0956924 B1, 2010. 04. 30. KR 10-2013-0003972 A, 2013. 01. 09. KR 10-2341904 B1, 2021. 12. 17.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현재 요구되고 있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는 이탈 방지력을 제공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 사이의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상기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은 볼트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부에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 슈를 동시에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은 'ㅗ'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를 동시에 덮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는 '역 T'자형 또는 'L'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와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체결부위에 완충부재를 구비한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이나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슈의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마찰 소음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의 로드의 제1 및/또는 제2 면에 충격 및 소음 저감을 위한 충격 흡수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과정 또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기인한 충격 및 마찰 소음 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와 도어 실을 연결하는 도어 슈의 로드를 '역 T'자형 또는 'L'자형 구조로 형성하여 도어 실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이탈 방지구조에서와 같이 추가로 이탈 방지용 부품(부재)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현재 요구되고 있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는 이탈 방지력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이탈 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 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로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로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도어 슈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1은 도 10의 A-A' 절취선을 따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부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 슈의 이탈 방지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에 나타낸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이탈 방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이탈 방지구조는 엘리베이터 도어(4)와 도어 슈(10)를 볼트(b1)를 매개로 체결 고정할 때, 이들(4, 10)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이나 마찰 등을 흡수 완화하는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3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30)은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4)의 하부 내측에서 브라켓을 통해 볼트(b1)을 매개로 엘리베이터 도어(4)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4)의 하부 일측부에 직접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30)은 볼트(b1)를 매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어 슈(10)를 동시에 덮도록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30)은 'ㅗ'자형으로 이루어진 고정판(31)과, 고정판(31)의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밀착되고 엘리베이터 도어(4)와 도어 슈(10)의 로드(11)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패드(32)를 포함한다.
고정판(31)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볼트(b1)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완충패드(32) 또한 고정판(31)의 체결공에 대응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4)와 로드(11)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실리콘재 등) 또는 고무재(우레탄 고무재 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 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 슈(10)는 볼트(b1)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4)에 체결되도록 체결공(11a)이 형성된 로드(11)와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을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도어(4)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 및 마찰 소음을 저감하는 충격 흡수부재(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드(11)의 제1 면은 도 3의 상에서 좌측면을 나타내고, 제2 면은 우측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로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로드(11)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부 양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1b)와, 제1 절곡 걸림부(11b) 사이에 로드(11)의 하단부에서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 걸림부(11c)를 포함한다.
제2 절곡 걸림부(11c)는 도 7과 같이,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1b)의 사이에서 제1 절곡 걸림부(11b)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절곡 걸림부(11b)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제1 절곡 걸림부(11b)는 로드(11)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절곡 형성되고, 제2 절곡 걸림부(11c)는 로드(11)의 하단부 중앙에 절곡 형성된다.
도어 슈(10)는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도록 기계적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로서,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1b, 11c)는 용접을 통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 공정, 및/또는 벤딩 공정을 이용하여 로드(11)의 하단부를 절곡시켜 로드(11)와 일체로 형성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로드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금속판재(a)를 준비한 후, 금속판재(a)의 하단부를 절개하여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1b, 11c)가 형성될 영역을 정의하는 절개선(c)을 형성한다. 그리고, 절개선(c)에 의해 절개된 절개부를 로드(1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시켜 로드(11)와 일체로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1b, 11c)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도어 슈(10)는 제1 및 제2 절곡 걸림부(11b, 11c)를 용접 체결방식이 아닌 프레스 공정 및/또는 벤딩 공정으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단순하다. 또한 벤딩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용접 체결구조에 비해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1000J 이상의 충격량을 견딜 수 있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나타낸 도어 슈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A-A' 절취선을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충격 흡수부재(12)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앙부가 절곡된 대략 'U'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격 흡수부재(12)는 로드(11)를 중심으로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도어 슈(10)가 도어 실(20)의 가이드홈부(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홈부(21)의 입구 내측에 설치된다.
도 11과 같이, 충격 흡수부재(12)의 절곡된 중앙부 내측은 로드(11)의 측면, 예를 들면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과 직교하는 측면들 중 일측면(도 11에서 좌측면)(이하, '제3 면'이라 함)에 용접(13)을 통해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을 감싸는 충격 흡수부재(12)의 양측부는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간격 'd' 만큼 이격된다. 이때 간격 'd'는 가이드홈부(21)의 입구 폭과 로드(11)의 두께(폭)을 고려하고, 또한 충격 흡수부재(12)가 엘리베이터 도어(1)에 가해지는 외력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갖는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충격 흡수부재(12)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베이스(12a)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2a)의 표면에는 도어 슈(10)가 도어 실(20)의 가이드홈부(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도어(4)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로드(11)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홈부(21)의 입구 내측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탄성 코팅층(12b)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코팅층(12b)으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실리콘재 등) 또는 고무재(우레탄 고무재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부재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4)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도어 슈(10)로 전달되면(화살표 참조), 충격 흡수부재(12)는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과의 이격 공간 내에서 유동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4)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도어 슈의 이탈 방지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탑승구측에서 승강로 방향으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엘리베이터 도어(4)는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고, 변위로 인해 도어 슈(10) 또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후 엘리베이터 도어(4)가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승강로 방향으로 기울어져 도어 슈(10)의 로드(11)가 기울어지면, 로드(11)의 하단부에 절곡된 제2 절곡 걸림부(11c)가 가이드홈부(21)의 입구를 형성하는 내측 천장부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림되어 도어 슈(10)가 도어 실(20)의 가이드홈부(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B' 참조).
그리고, 도어 슈(10)의 로드(11)의 제1 및 제2 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충격 흡수부재(12)로 인해 도어 슈(10)가 가이드홈부(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 실(20) 간의 충격이나 마찰을 흡수하여 충격 및 마찰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에서 도어 실(20)은 고정홈부(22)를 포함한다. 고정홈부(22)에는 볼트(b2)가 설치되고, 이 볼트(b2)를 매개로 실 브라켓(5)에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어 실(20)의 일측부(도 2에서 좌측부)는 삼방틀(미도시)에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40)는 로드(41)와 충격 흡수부재(42)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드(41)는 일 예에 따른 도어 슈(10)의 로드(1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충격 흡수부재(42)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로드(41)의 제1 및 제2 면에 서로 대칭 구조로 한 쌍이 오목한 구조로 형성된다. 충격 흡수부재(42)는 각각 중앙부가 로드(41)의 제1 및 제2 면의 중앙에 용접(43)을 통해 체결되거나, 볼트(미도시)를 통해 볼팅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양단부는 로드(41)의 제1 및 제2 면으로부터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부재(42)는 로드(41)에 용접 체결된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활 처럼 휘어진 곡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재(42)는 베이스(42a)와 탄성 코팅층(4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50)는 로드(51)와 충격 흡수부재(52)를 포함한다. 여기서 로드(51)는 실시 예1 및 실시 예2에 따른 도어 슈의 로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과 같이, 충격 흡수부재(52)는 핀 스프링(521)과 고정밴드(522)를 포함한다. 핀 스프링(521)은 일단부가 로드(51)에 매립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는 로드(5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핀 스프링(521)은 로드(51)의 제1 면 또는 제2 면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일렬 또는 다열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외측에서 로드(51) 방향으로 신축작용을 통해 탄력을 제공함으로써 진동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고정밴드(522)는 링(ring)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522)는 핀 스프링(521)의 타단부와 도어 실(20)의 입구 사이에서 핀 스프링(521)의 단부가 직접 금속재의 도어 실(20)의 입구 내측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이들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돌과 소음을 흡수한다. 고정밴드(522)는 핀 스프링(521)의 타단부를 덮도록 로드(51)를 감싸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밴드(522)는 경질의 플라스틱재 또는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도어 슈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도어 슈(60) 또한 로드(61)와 충격 흡수부재(62)를 포함한다. 충격 흡수부재(62)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재(62)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오목 형상을 갖도록 설치된 충격 흡수부재(42)와 다르게 볼록 형상으로 로드(61)에 체결 고정된다.
충격 흡수부재(62)는 로드(61)를 경계로 로드(61)의 제1 및 제2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면에 서로 대칭 구조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부재(52)는 양단부가 로드(61)에 용접 체결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형성된 탄성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성 코팅층은 탄성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서 충격 흡수부재(62)는 양단부가 로드(61)에 용접 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볼트(미도시)를 통해 볼팅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예들에 따른 도어 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체 구조로 '역 T'자형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L'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어 슈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어 실 구조 또한 도 2에 나타낸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의 도어 실 또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4 : 엘리베이터 도어
2, 10, 40, 50, 60 : 도어 슈
3, 20 : 도어 실
3a, 21 : 가이드홈부
5 : 실 브라켓
11, 41, 51, 61 : 로드
11a : 체결공
11b : 제1 절곡 걸림부
11c : 제2 절곡 걸림부
12, 42, 52, 62 : 충격 흡수부재
12a, 42a : 베이스
12b, 42b : 탄성 코팅층
13, 43 : 용접
30 :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
31 : 고정판
32 : 완충패드
521 : 핀 스프링
522 : 고정밴드
a : 금속판재
c : 절개선
b1, b2 : 볼트

Claims (4)

  1.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마련된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도어 실;
    상기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사이의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은 볼트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일측부에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 슈를 동시에 설치 고정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슈 고정용 브라켓은,
    'ㅗ'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를 동시에 덮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일면 또는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패드;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슈의 로드는 '역 T'자형 또는 'L'자형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1020220095327A 2022-08-01 2022-08-01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20240017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27A KR20240017504A (ko) 2022-08-01 2022-08-01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27A KR20240017504A (ko) 2022-08-01 2022-08-01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504A true KR20240017504A (ko) 2024-02-08

Family

ID=8990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327A KR20240017504A (ko) 2022-08-01 2022-08-01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504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076A (ko) 1999-09-10 2001-04-06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100899955B1 (ko) 2008-06-10 2009-05-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56924B1 (ko)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062083B1 (ko) 2008-09-17 2011-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30003972A (ko) 2011-07-01 2013-01-09 권재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341904B1 (ko) 2021-09-23 2021-12-21 장종철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076A (ko) 1999-09-10 2001-04-06 장병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슈 및 도어 실 이탈방지구조
KR100956924B1 (ko) 2008-04-18 2010-05-11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899955B1 (ko) 2008-06-10 2009-05-28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1062083B1 (ko) 2008-09-17 2011-09-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KR20130003972A (ko) 2011-07-01 2013-01-09 권재손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341904B1 (ko) 2021-09-23 2021-12-21 장종철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355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JPH06321466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かご室入口構造
US20070044927A1 (en) Wind resistant movable barrier
KR10095692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5959734B2 (ja) エレベータ用かご
KR10234190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방지구조
US6142260A (en) Apparatus for closing hatch doors of an elevator
JPH11139309A (ja) 鉄道車両用耐圧強化ドア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KR20240017504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KR2024001750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슈 및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구조
JP2008105800A (ja) エレベータのガラス扉
KR200390339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용 방화도어
US20060062498A1 (en) Rail-mounted sliding assembly
JP43177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54482B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
KR10233752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상부 지지 조립체
EP1449803A2 (en) Elevator shaft door panel with fire-resistant edge sealing assembly
KR20110056301A (ko) 승객 및/또는 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카용 캐빈
KR200460162Y1 (ko) 엘리베이터 스크린 도어 슬라이딩 안내장치
KR102625277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KR102606900B1 (ko) 엘리베이터 리모델링용 방화도어
KR101467625B1 (ko)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WO2019180935A1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CN109502451B (zh) 减小地坎摩擦阻力的电梯层门导向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