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277B1 -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277B1
KR102625277B1 KR1020230135853A KR20230135853A KR102625277B1 KR 102625277 B1 KR102625277 B1 KR 102625277B1 KR 1020230135853 A KR1020230135853 A KR 1020230135853A KR 20230135853 A KR20230135853 A KR 20230135853A KR 102625277 B1 KR102625277 B1 KR 10262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ember
window
joint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덕
박은미
Original Assignee
성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방산업(주) filed Critical 성방산업(주)
Priority to KR102023013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짝(1)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홈(1a)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을 타고 직선 이송되면서 개폐작동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관련되며, 이는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창짝커버(10), 이너 완충부재(20), 체결돌기(30), 아우터 완충부재(40), 탄성막(5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Cushioned Finish for Sliding Windows}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 미닫이 창호는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 이상의 레일을 갖는 창틀 프레임과 각 레일을 통해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2개의 창짝을 포함한다.
그리고, 미닫이 창호의 창틀 프레임의 레일 위에 창짝이 얹혀져 이동하는 구조적 특성상 창짝의 상단, 하단 및 측부에는 항상 틈새가 형성됨에 따라 창짝 및 창틀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헤어, 고무패킹 등의 기밀부재와, 방풍틀과, 풍지판 등의 방풍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개시된 창짝 및 창틀의 사이 마감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2177820호에서, 미서기 창짝의 상하부에 마련된 레일홈 일측에 결합되어 창짝의 개폐 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해줌과 아울러, 창틀프레임의 레일에 결합된 상기 레일홈 사이 틈새를 막아 외기 유입을 방지해주는 창짝 마감용 스토퍼에 있어서, 상기 창짝 일측면의 레일홈에 배치되며, 삽입홈이 마련되는 마감부재; 및 상기 삽입홈과 상기 레일홈의 내벽에 함께 끼움 결합되어 상기 마감부재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고정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창짝의 일측면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대향면에는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미서기 창짝의 개폐 시 창짝과 창틀프레임 내의 레일부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려는 것이나, 창짝이 창틀과 충돌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결합공을 관통하여 창짝 이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고정클립의 체결공에 삽입 고정되는 특성상, 마감부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창짝 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따랐다.
KR 10-2177820 B1 (2020.11.0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미닫이 창짝(1)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홈(1a)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을 타고 직선 이송되면서 개폐작동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있어서, 미닫이 창짝(1) 측면에 장착되고, 레일홈(1a)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1)가 형성되며, 개구(11)와 이격된 위치에 체결홀(12)이 구비되는 창짝커버(10); 상기 창짝커버(10) 상, 하단부에 장착되고, 개구(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멀티개구(2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이너 완충부재(20);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돌출형성되어, 체결홀(12)에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돌기(30);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장착되고, 이너 완충부재(20) 대비 연질로 형성되면서 제 1멀티개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멀티개구(4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완충부재(40); 및 상기 제 2멀티개구(41) 상부영역을 일부 폐쇄하도록 한 쌍이 이격 배치되고, 아우터 완충부재(40) 대비 축소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탄성막(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의 제 1멀티개구(21) 내측면과 수평선상에 연장되는 한 쌍의 인서트플레이트(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는 창짝커버(10)의 개구(11)에 삽입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위치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3)은 개구(11)를 경유하여 창짝(1) 이면에 결속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조인트모듈(6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인트모듈(60)은, 창짝커버(10)에 형성되는 조인트홀(61)과, 이너 완충부재(20)에 돌출 형성되어 조인트홀(61)에 삽입되는 조인트핀(62)과, 조인트핀(62) 단부에 형성되고, 조인트홀(6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에 상향 경사면(63a)이 형성되는 락커(63)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창짝커버(10)와 이너 완충부재(20)를 클램핑하는 조인트클립(64)과, 조인트클립(64) 단부에 관통되고,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는 락킹홀(65)을 포함하고, 상기 락킹홀(65)이 락커(63)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조인트클립(64)이 위치 고정되어 하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는 음, 양각부(20a)(40a)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후크(40b)와 후크홈(20b)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조인트모듈(6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인트모듈(60)은, 창짝커버(10)에 형성되는 조인트홀(61)과, 조인트홀(61)과 연통되도록 이너 완충부재(20)에 관통형성되는 로드홀(66)과, 아우터 완충부재(40)에 돌출 형성되고,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는 조인트핀(62)과, 조인트핀(62) 단부에 형성되고, 조인트홀(6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에 상향 경사면(63a)이 형성되는 락커(63)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창짝커버(10)와 이너 완충부재(20)를 클램핑하는 조인트클립(64)과, 조인트클립(64) 단부에 관통되고,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는 락킹홀(65)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후크(40b)와 후크홈(20b)으로 결합하면서 조인트핀(62)이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도록 조립한 후,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이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도록 체결하면 이너 완충부재(20) 및 아우터 완충부재(40)가 창짝커버(10)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고, 이후 조인트클립(64)을 하방향으로 제거하면 이너 완충부재(20)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락커(63) 상부에 스톱홈(63b)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홈(63b)은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 내주면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180°회전시키면, 조인트핀(62) 및 스톱홈(63b)이 회전되면서 스톱홈(63b)이 하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스톱홈(63b)과 락킹홀(65) 간에 결속 구조가 해제된 후,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인서트플레이트 및 걸림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조인트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스톱홈에 의한 락커와 락킹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조인트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인서트플레이트 및 걸림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조인트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의 스톱홈에 의한 락커와 락킹홀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미닫이 창짝(1)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홈(1a)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을 타고 직선 이송되면서 개폐작동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관련되며, 이는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을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와 아우터 완충부재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창짝커버(10), 이너 완충부재(20), 체결돌기(30), 아우터 완충부재(40), 탄성막(50)을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짝커버(10)는 미닫이 창짝(1) 측면에 장착되고, 레일홈(1a)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1)가 형성되며, 개구(11)와 이격된 위치에 체결홀(12)이 구비된다.
상기 창짝커버(10)는 후크와 후크홈에 의해 미닫이 창짝(1)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창짝커버(10) 상단부에 형성되는 개구(11)는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창짝커버(10) 하단부에 형성되는 개구(11)는 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너 완충부재(20)는 상기 창짝커버(10) 상, 하단부에 장착되고, 개구(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멀티개구(2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에 제 1멀티개구(21)가 형성되는바, 이때 제 1멀티개구(21)는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이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는 도 2처럼 창짝커버(10)와 대응하는 일면에 외형 라인을 따라 띠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를 창짝커버(10)에 장착시, 띠부가 창짝커버(10)에 국부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띠부를 제외한 영역이 창짝커버(10)가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므로,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이 가해지면, 공간부가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돌기(30)는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돌출형성되어, 체결홀(12)에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30)가 체결홀(12)에 맞물려 결속되므로, 이너 완충부재(20)가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우터 완충부재(40)는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장착되고, 이너 완충부재(20) 대비 연질로 형성되면서 제 1멀티개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멀티개구(4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 완충부재(40)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이너 완충부재(20)와 분할 제작된 후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서로 상이한 재질로 분할 형성하여 조립식으로 적용함에 따라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창짝 상하부의 레일홈 사이로 외기 유입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서로 상이한 컬러로 조합하여 다양한 투톤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멀티개구(41)는 일방향으로 개방되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이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막(50)은 상기 제 2멀티개구(41) 상부영역을 일부 폐쇄하도록 한 쌍이 이격 배치되고, 아우터 완충부재(40) 대비 축소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탄성막(50)은 도 1과 같이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탄성막(50) 사이에 이격라인이 형성되며, 이격라인을 통하여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공구를 투입하여 미닫이 창짝(1)의 하부 레일홈(1a)에 설치된 대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의 제 1멀티개구(21) 내측면과 수평선상에 연장되는 한 쌍의 인서트플레이트(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는 창짝커버(10)의 개구(11)에 삽입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위치 고정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한 이너 완충부재(20)의 유동 및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된다.
도 6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걸림턱(23)은 개구(11)를 경유하여 창짝(1) 이면에 결속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인서트플레이트(22)가 창짝커버(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들뜸 현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외력에 의한 유동 및 변형이 방지된다.
도 4 내지 도 5에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조인트모듈(6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인트모듈(60)은, 창짝커버(10)에 형성되는 조인트홀(61)과, 이너 완충부재(20)에 돌출 형성되어 조인트홀(61)에 삽입되는 조인트핀(62)과, 조인트핀(62) 단부에 형성되고, 조인트홀(6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에 상향 경사면(63a)이 형성되는 락커(63)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창짝커버(10)와 이너 완충부재(20)를 클램핑하는 조인트클립(64)과, 조인트클립(64) 단부에 관통되고,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는 락킹홀(6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홀(65)이 락커(63)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조인트클립(64)이 위치 고정되어 하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무볼팅 방식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는 음, 양각부(20a)(40a)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후크(40b)와 후크홈(20b)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일예로서, 도 3처럼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음각부(20a)가 형성되고, 아우터 완충부재(40)에 양각부(40a)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처럼 상기 음, 양각부(20a)(40a)에 의해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가 음양각 구조로 맞물려 결속됨에 따라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의 조립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에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조인트모듈(6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인트모듈(60)은, 창짝커버(10)에 형성되는 조인트홀(61)과, 조인트홀(61)과 연통되도록 이너 완충부재(20)에 관통형성되는 로드홀(66)과, 아우터 완충부재(40)에 돌출 형성되고,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는 조인트핀(62)과, 조인트핀(62) 단부에 형성되고, 조인트홀(6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에 상향 경사면(63a)이 형성되는 락커(63)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창짝커버(10)와 이너 완충부재(20)를 클램핑하는 조인트클립(64)과, 조인트클립(64) 단부에 관통되고,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는 락킹홀(65)을 포함한다.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후크(40b)와 후크홈(20b)으로 결합하면서 조인트핀(62)이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도록 조립한 후,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이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도록 체결하면 이너 완충부재(20) 및 아우터 완충부재(40)가 창짝커버(10)에 장착된다.
그리고, 도 7 (a)처럼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고, 이후 도 7 (b)와 같이 조인트클립(64)을 하방향으로 제거하면 이너 완충부재(20)가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를 구속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공구 없이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서, 상기 락커(63) 상부에 스톱홈(63b)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홈(63b)은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 내주면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즉, 도 8 (b)와 같이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180° 회전시키면, 조인트핀(62) 및 스톱홈(63b)이 회전되면서 스톱홈(63b)이 하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스톱홈(63b)과 락킹홀(65) 간에 결속 구조가 해제된다. 이후,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스톱홈(63b)과 락킹홀(65) 내주면 간에 맞물림 구조로 인해 락커(63)와 락킹홀(65)이 견고하게 맞물려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아우터 완충부재(40)를 180°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스톱홈(63b)과 락킹홀(65) 내주면 간에 맞물림 구조를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짝커버 20: 이너 완충부재
30: 체결돌기 40: 아우터 완충부재
50: 탄성막 60: 조인트모듈

Claims (7)

  1. 미닫이 창짝(1)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홈(1a)이 창틀프레임(2)의 레일(2a)을 타고 직선 이송되면서 개폐작동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에 있어서,
    미닫이 창짝(1) 측면에 장착되고, 레일홈(1a)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11)가 형성되며, 개구(11)와 이격된 위치에 체결홀(12)이 구비되는 창짝커버(10); 상기 창짝커버(10) 상, 하단부에 장착되고, 개구(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멀티개구(2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이너 완충부재(20);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돌출형성되어, 체결홀(12)에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체결돌기(30);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에 장착되고, 이너 완충부재(20) 대비 연질로 형성되면서 제 1멀티개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멀티개구(41)가 형성되며, 미닫이 창짝(1)을 개방작동시 창틀프레임(2)과의 충돌 하중을 흡수하도록 구비되는 아우터 완충부재(40); 및 상기 제 2멀티개구(41) 상부영역을 일부 폐쇄하도록 한 쌍이 이격 배치되고, 아우터 완충부재(40) 대비 축소된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변형되도록 구비되는 탄성막(50);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는 음, 양각부(20a)(40a)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후크(40b)와 후크홈(20b)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너 완충부재(20)는 창짝커버(10)에 장착된 상태로 조인트모듈(6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인트모듈(60)은, 창짝커버(10)에 형성되는 조인트홀(61)과, 조인트홀(61)과 연통되도록 이너 완충부재(20)에 관통형성되는 로드홀(66)과, 아우터 완충부재(40)에 돌출 형성되고,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는 조인트핀(62)과, 조인트핀(62) 단부에 형성되고, 조인트홀(61) 외부로 노출되어 하부에 상향 경사면(63a)이 형성되는 락커(63)와, 'U'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면서 창짝커버(10)와 이너 완충부재(20)를 클램핑하는 조인트클립(64)과, 조인트클립(64) 단부에 관통되고,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는 락킹홀(65)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와 아우터 완충부재(40)를 후크(40b)와 후크홈(20b)으로 결합하면서 조인트핀(62)이 로드홀(66)을 관통하여 조인트홀(61)에 삽입되도록 조립한 후,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이 락커(63)에 끼움 결합되도록 체결하면 이너 완충부재(20) 및 아우터 완충부재(40)가 창짝커버(10)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고, 이후 조인트클립(64)을 하방향으로 제거하면 이너 완충부재(20)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완충부재(20)의 제 1멀티개구(21) 내측면과 수평선상에 연장되는 한 쌍의 인서트플레이트(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는 창짝커버(10)의 개구(11)에 삽입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위치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플레이트(22) 단부에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3)은 개구(11)를 경유하여 창짝(1) 이면에 결속되어 이너 완충부재(20)를 구속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63) 상부에 스톱홈(63b)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홈(63b)은 조인트클립(64)의 락킹홀(65) 내주면에 맞물려 구속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후크(40b)와 후크홈(20b)을 분리한 상태로 아우터 완충부재(40)를 180°회전시키면, 조인트핀(62) 및 스톱홈(63b)이 회전되면서 스톱홈(63b)이 하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스톱홈(63b)과 락킹홀(65) 간에 결속 구조가 해제된 후, 아우터 완충부재(40)를 당기면, 로드홀(66)을 타고 조인트핀(62)이 인출되면서 락킹홀(65)에 걸린 락커(63)가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KR1020230135853A 2023-10-12 2023-10-12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KR10262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853A KR102625277B1 (ko) 2023-10-12 2023-10-12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853A KR102625277B1 (ko) 2023-10-12 2023-10-12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277B1 true KR102625277B1 (ko) 2024-01-15

Family

ID=8954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5853A KR102625277B1 (ko) 2023-10-12 2023-10-12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2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378A (ko) * 2017-08-21 2019-03-04 (주)엘지하우시스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102055623B1 (ko) * 2019-05-21 2019-12-13 합자회사 대동창호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20230001455A (ko) *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케이씨씨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230062188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378A (ko) * 2017-08-21 2019-03-04 (주)엘지하우시스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102177820B1 (ko) 2017-08-21 2020-11-11 (주)엘지하우시스 클립 고정방식의 창짝 마감용 스토퍼
KR102055623B1 (ko) * 2019-05-21 2019-12-13 합자회사 대동창호 창문 강화용 보조 유닛
KR20230001455A (ko) * 2021-06-28 2023-01-04 주식회사 케이씨씨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230062188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375B1 (en) Apparatus for securing sash window
US4047331A (en) Pet access door panel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2258791B1 (ko) 창호용 완충부재
KR20230001455A (ko) 완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CN104120950A (zh) 汽车推拉窗
KR101584618B1 (ko) 이탈방지 스톱퍼부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102625277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KR100894305B1 (ko) 강화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102014607B1 (ko) 창호의 완충부 장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창호
KR101118264B1 (ko) 학교용 출입문구조
KR20110007901U (ko) 창문스토퍼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20200141357A (ko) 공용스토퍼를 구비한 미닫이문 완충구조
KR200381599Y1 (ko) 미닫이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크리센트
KR101467625B1 (ko) 댐퍼가 구비된 티-티 방식 창호
US10619400B2 (en) Frameless impact door system
KR102036441B1 (ko) 윙바디 특장차용 적재함 기초 조립체
CN220909521U (zh) 一种减震人防门
KR102702637B1 (ko) 기밀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된 창호시스템
KR102422652B1 (ko)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
AU2020103144A4 (en) A Damping Apparatus for a Hinged Closure Assembly
KR20180003086U (ko) 미서기 창호용 캠형 스톱 장치
KR20110037613A (ko) 시공이 용이한 창호장치
KR102312985B1 (ko) 레일이 없는 미서기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