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05Y1 - 창호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05Y1
KR200272005Y1 KR2020020000135U KR20020000135U KR200272005Y1 KR 200272005 Y1 KR200272005 Y1 KR 200272005Y1 KR 2020020000135 U KR2020020000135 U KR 2020020000135U KR 20020000135 U KR20020000135 U KR 20020000135U KR 200272005 Y1 KR200272005 Y1 KR 20027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primary
window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병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송창호
주병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송창호, 주병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송창호
Priority to KR2020020000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05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창호조립체(50)는 창문틀(60)과 창문(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60)을 구성하는 창문틀몸체(62)에는 창문틀(6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측벽(63)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63)의 사이에 중간구획벽(65)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63)과 중간구획벽(65)의 사이에는 1차레일(67)이 형성되고, 상기 1차레일(67)의 내부에는 2차레일(70)이 1차레일(67)의 선단부로 입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에는 규제턱(68)이 형성되고, 상기 규제턱(68)과 대응되게 상기 2차레일(70)에는 걸림턱(74)이 형성되어 2차레일(70)이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1차레일(67)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7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를 향해 돌출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상기 2차레일(70)에는 수직모헤어(75)가 설치되어 창문(80)의 안내채널(85)에 밀착된다. 상기 측벽(63)의 내측과 상기 창문(80)의 안내채널(85)을 형성하는 가이드벽(83)의 내측에는 수평모헤어(69,86)가 설치되어 방음과 방풍의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창호 조립체{Window assembly}
본 고안은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채광과 환기를 위해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 조립체를 제작하는 재질로는 예로부터 목재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와 같은 창호 조립체는 크게 벽체에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 내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문으로 구성된다. 창호조립체가 창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문에는 예를 들면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의 부재를 사용하여 채광이 되게 하게 건물 외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호조립체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창호조립체는 크게 창문틀(10)과 창문(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10)은 창호조립체를 정면에서 볼 때, 벽체에 형성된 통공부의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창문틀(10)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창문틀(10)을 구성하는 창문틀몸체(12)를 살펴보면, 창문틀몸체(12)의양단에는 측벽(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13)의 사이에는 중간구획벽(15)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3)과 중간구획벽(15)은 각각 상기 창문틀(10)의 중심을 향해 소정 높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측벽(13)과 중간구획벽(15)의 사이에는 가이드레일(1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7)은 상기 창문(20)의 개폐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7)은 상기 측벽(13)과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벽체가 상기 측벽(13)보다는 낮은 높이로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벽(13)과 중간구획벽(15)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게 모헤어(18)가 구비된다. 상기 모헤어(18)는 각각 상기 창문(20)에 밀착되어 방풍과 방음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19는 창문틀(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창문틀몸체(12)의 가이드레일(17)에 삽입되는 레일캡(19)이다.
상기 창문(20)은 크게 문틀(22)과 유리(27)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22)은 상기 창문틀(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의 내부에 유리(27)가 고정된다.
상기 문틀(22)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벽(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23)은 상기 가이드레일(17)과 측벽(1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창문(20)의 개폐시에 상기 가이드레일(17)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벽(23)은 상기 문틀(22)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7)이 위치되는 안내채널(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24)의 내측에는 모헤어(1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벽(24)의 내측에 설치된 모헤어(18)는 상기 가이드레일(17)에 밀착되어 방음과 방풍역할을 한다. 도면 부호 28은 레일캡(19)을 따라안내되는 롤러(28)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창호조립체는 벽체에 설치된 창문틀(10)에 상기 창문(20)을 끼워 조립한다. 여기서 상기 창문(20)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가 상기 창문틀(10)에 끼워진다.
상기 창문(20)을 창문틀(10)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20)을 상기 창문틀(10)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경사지게 한 상태로, 창문틀(10) 상단의 가이드벽(23)을 측벽(13)과 가이드레일(17)의 사이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안내채널(25)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레일(17)이 삽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창문(20)을 최대한 상부로 올려, 상기 가이드레일(17)이 상기 안내채널(25)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창문(20)의 하단에 설치된 롤러(28)를 상기 레일캡(19)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창문(20)을 상기 창문틀(10)에 설치하고, 상기 롤러(28)가 상기 레일캡(19)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벽(23)이 상기 가이드레일(17)에 안내되도록 하면서 상기 창문(20)을 개폐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창호조립체는 벽체에 형성된 통공부에 설치되므로 방음과 방풍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창문(20)의 상단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모헤어(18)의 설치 개소가 적어 방음과 방풍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서는 수평방향으로의 모헤어(18)와 창문(20) 및 창문틀(10)과의 접촉부분은 많으나 수직방향으로 상기 창문(20) 및 창문틀(10) 사이의 접촉부분은 없어 상기 창문(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창문(20)과 창문틀(1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방풍과 방음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20)을 상기 창문틀(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벽(13)에 비해 상기 가이드레일(17)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레일(17)이 지나치게 짧으면 상기 창문(20)의 이동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7)이 지나치게 길면 상기 창문(20)을 창문틀(10)에 장착하는 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상기 측벽(13)과 가이드레일(17)은 상대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7)이 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창문(20)과 가이드레일(17)이 오버랩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 창문(20)이 보다 견고하게 창문틀(10)에 지지될 수 없으므로 고층건물에서는 안전상의 문제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창호조립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음과 방풍 성능이 개선된 창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문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창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의 분해 조립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되는 창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창호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창문이 창문틀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창호조립체 60: 창문틀
62: 창문틀몸체 63: 측벽
65: 중각구획벽 67: 1차레일
68: 규제턱 69: 수평모헤어
70: 2차레일 72: 레일본체
74: 걸림턱 75: 수직모헤어
77: 스프링 79: 체결나사
80: 창문 82: 문틀
83: 가이드벽 85: 안내채널
86: 수평모헤어 88: 롤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가장자리 둘레를 문틀이 형성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벽체에 형성된 통공부에 설치되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의 상단을 안내하는 1차레일과, 상기 1차레일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1차레일에 승강가능하게 착탈되고 상기 문틀의 상면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2차레일과, 상기 창문틀의 측벽과 창문의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방향 모헤어와 상기 2차레일과 문틀사이에 설치되는 수직방향 모헤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레일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1차레일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향을 가져 상기 측벽보다 더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2개가 상기 1차레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1차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벽체가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선단 내측에 규제턱이 형성되고, 상기 2차레일은 상기 1차레일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양단 일측에 상기 규제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에 의하면, 모헤어가 창문과 창문틀의 사이에서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어 방음과 방풍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창문을 창문틀에 장착하고 분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면서도 창문이 창문틀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창문의 개폐를 위한 이동을 안내하는 1차레일과 2차레일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스프링과 2차레일의 조립과 분해가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정면방향에서 개략도로 도시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창호조립체(50)는 크게 창문틀(60)과 창문(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60)은 창호조립체(50)를 정면에서 볼 때, 벽체에 형성된 통공부의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창문틀(60)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창문틀(60)을 구성하는 창문틀몸체(62)는 전체 창문틀(60)에 사용되는 것의 그 단면 형상이 동일하다. 상기 창문틀몸체(62)의 양단에는 창문틀(6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측벽(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63)의 사이에는 중간구획벽(65)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63)과 중간구획벽(65)은 각각 상기 창문틀(60)의 내측을 향해 소정 높이로 연장된다. 상기 측벽(63)과 중간구획벽(65)의 사이에는 1차레일(67)이 형성된다. 상기 1차레일(67)은 상기 창문(80)의 개폐시에 그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차레일(67)은 상기 측벽(63)과 동일한 방향으로 2개의 벽체가 상기 측벽(63)보다는 낮은 높이로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벽체의 선단 내측에는 규제턱(68)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벽(63)의 내측에는 상기 중간구획벽(65)과 마주보게 수평모헤어(69)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모헤어(69)는 상기 창문(80)의 양단에 밀착되어 방음과 방풍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창문틀(60)의 양단과 하단을 형성하는 창문틀몸체(62)의 1차레일(67)에는 각각 레일캡(67')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캡(67')중 창문틀(60) 하단부에 설치된 것은 상기 창문(80)의 롤러(88)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창문틀(60) 양단부에 설치된 것은 창문(80) 개폐시에 충격을 완충하는 충격흡수판(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한다.
상기 1차레일(67)의 내외부로 입출되게 2차레일(70)이 설치된다. 상기 2차레일(70)을 구성하는 레일본체(72)는 대략 중공사각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본체(72)의 상단(도면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규제턱(64)에 걸어지는 걸림턱(7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74)은 그 상단을 향해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2차레일(60)의 선단에는 수직모헤어(75)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모헤어(75)는 아래에서 설명될 문틀(82)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안내채널(85)에 밀착되어 방음과 방풍역할을 한다.
상기 1차레일(67)의 내측에는 스프링(77)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77)은 상기 창문틀몸체(62)에 체결나사(79)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77)은 상기 2차레일(70)을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77)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77)은 적어도 2개가 상기 창문틀몸체(62)의 양단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7)은 일단부가 체결나사(79)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부가 1차레일(67)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으로, 상기 창문(80)은 크게 문틀(82)과 유리(87)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82)은 상기 창문틀(6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형의 내부에 유리(87)가 고정된다.
상기 문틀(82)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가이드벽(8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83)은 상기 1차레일(67)과 측벽(6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창문(80)의 개폐시에 상기 1차레일(67)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벽(83)은 상기 문틀(82)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는 상기 1차레일(67)과 2차레일(70)이 위치되는 안내채널(8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83)의 내측에는 상기 1차레일(67)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는 수평모헤어(86)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모헤어(86)는 상기 1차레일(67)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고, 참고로 상기 측벽(63)에 설치된 수평모헤어(69)는 상기 문틀(82)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측벽(63)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면 부호 88은 상기 창문틀(60)의 하단을 형성하는 창문틀몸체(62)에 형성된 1차레일(67)의 레일캡(67')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이고, 90은 창문(80)사이에 겹치게 설치되어 방음과 방풍작용을 하는 풍지판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창문틀(60)에 상기 스프링(77)과 2차레일(70)을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2차레일(70)과 스프링(77)은 상기 창문틀(60)을 벽체에 설치하기 전이나 후에 언제라도 창문틀(6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조립시에 미리 창문틀(60)에 2차레일(70)과 스프링(77)이 장착하고 창문틀(60)을 벽체에 장착하여도 되고, 일단 창문틀(60)을 벽체에 설치한 후에 상기 2차레일(70)과 스프링(77)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1차레일(67)과 2차레일(70)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이다. 즉, 상기 1차레일(67)은 벽체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사이에 상기 2차레일(70)이 상기 1차레일(67)의 돌출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1차레일(67)에 2차레일(70)을 삽입하기 전에 상기 스프링(77)을 먼저 설치한다. 즉 상기 1차레일(67)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77)을 체결나사(79)로 체결한다. 상기 스프링(77)은 창문틀(60)의 크기에 따라 그 설치갯수가 달라지나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프링(77)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일단부만이 고정되도록 하여 탄성변형이 보다 원활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2차레일(70)을 상기 1차레일(67)의 사이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2차레일(70)의 걸림턱(74)이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를 통과하기 위해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가 벌어져야 하는데, 이는 상기 걸림턱(74)에 경사면이 있기 때문에 상기 2차레일(70)을 상기 1차레일(67)에 눌러주기만 하면 된다.
상기 걸림턱(74)이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를 통과하면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는 원형으로 복원되고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1차레일(67)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스프링(77)은 상기 2차레일(70)에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1차레일(67)의 규제턱(68)에 상기 걸림턱(74)이 걸려져 임의로 탈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2차레일(70)을 상기 1차레일(67)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1차레일(67)의 선단을 벌려 상기 규제턱(68)에서 상기 걸림턱(74)이 빠져나오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2차레일(70)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틀(60)에는 창문(80)이 설치된다. 먼저, 상기 창문(80)을 창문틀(60)의 정면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한 상태로, 상단이 상기 측벽(63)과 중간구획벽(65)의 사이로 삽입되게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벽(83)이 각각 상기 측벽(63)과 1차레일(67)의 사이 또는 1차레일(67)과 중간구획벽(65)의 사이로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2차레일(70)이 상기 안내채널(85)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창문(80)을 상기 창문틀(60)의 상부로 밀어 올리고, 상기 롤러(88)가 상기 레일캡(67')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창문(80)에 의해 상기 2차레일(70)이 상기 1차레일(67)의 내부로 상기 스프링(77)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완전히 삽입된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창문(80)을 들어올려 주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창문(80)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롤러(88)가 상기 레일캡(67') 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스프링(7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1차레일(67)에서 돌출되어 상기 문틀(82)의 안내채널(85)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2차레일(70)의 선단에 설치된 수직모헤어(75)는 상기 안내채널(85)에 상기 스프링(77)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문틀(82)과 측벽(63) 및 중간구획벽(65)과 문틀(82)의 사이, 상기 가이드벽(83)과 1차레일(67)의 사이에는 수평모헤어(69,86)가 위치되어 방음과 방풍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창문(80)이 창문틀(60)에 설치되면, 상기 창문(80)의 상단은 상기 2차레일(70)에 가이드된다. 즉, 상기 2차레일(70)이 상기 창문(80)의 안내채널(85) 내부로 들어가서 그 선단의 수직모헤어(75)가 상기 안내채널(85)의 내부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80)의 상단이 상기 창문틀(6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어 창문(80)에서 쉽게 탈거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2차레일(70)이 1차레일(67)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1차레일(67)이 상기 2차레일(70)의 양단을 잡아주므로 2차레일(7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1차레일(67)에 상기 2차레일(70)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규제턱(68)만을 형성하므로 상대적으로 지지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스프링(77)은 그 설치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프링(77)을 체결나사(79)로 상기 1차레일(67)의 내부에 체결하여 고정한 후, 상기 2차레일(70)을 1차레일(67)에 삽입하여 장착하므로 2차레일(70)의 장착 과정에서 스프링(77)의 설치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1차레일(67)의 돌출방향으로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분해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2차레일(70)은 상기 창문틀(60)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그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상대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77')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77')으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때에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체결나사를 사용하여 창문틀몸체(62)에 체결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창호조립체는 창문과 창문틀 사이에 수평모헤어와 수직모헤어가 창문이나 창문틀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특히 수직모헤어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창문에 밀착되므로 방음과 방풍이 보다 완벽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1차레일에 2차레일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창문을 창문틀에 장착하고 탈착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창문이 창문틀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레일의 내부에 2차레일이 삽입되고 규제턱에 의해 탈거되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2차레일의 지지를 위한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압출금형의제조가 용이하고 1차레일을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판스프링의 설치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2차레일의 삽입에 의해 판스프링의 설치상태가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창호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2차레일을 창문틀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해조립할 수 있어 창호조립체의 유지보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가장자리 둘레를 문틀이 형성하는 창문과,
    상기 창문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벽체에 형성된 통공부에 설치되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벽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창문의 상단을 안내하는 1차레일과,
    상기 1차레일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1차레일에 승강가능하게 착탈되고 상기 문틀의 상면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는 2차레일과,
    상기 창문틀의 측벽과 창문의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방향 모헤어와 상기 2차레일과 문틀사이에 설치되는 수직방향 모헤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레일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1차레일의 선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향을 가져 상기 측벽보다 더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적어도 2개가 상기 1차레일의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레일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벽체가 나란히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선단 내측에 규제턱이 형성되고, 상기 2차레일은 상기 1차레일의 사이에 삽입되고 그 양단 일측에 상기 규제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조립체.
KR2020020000135U 2002-01-03 2002-01-03 창호 조립체 KR20027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35U KR200272005Y1 (ko) 2002-01-03 2002-01-03 창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35U KR200272005Y1 (ko) 2002-01-03 2002-01-03 창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05Y1 true KR200272005Y1 (ko) 2002-04-12

Family

ID=7311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135U KR200272005Y1 (ko) 2002-01-03 2002-01-03 창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05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12B1 (ko) 2010-09-13 2010-12-15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이동성 레일을 갖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1085420B1 (ko) * 2011-02-16 2011-11-21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133451B1 (ko) * 2010-03-12 2012-04-09 주식회사 율림종합건업 미닫이 도어 문틀용 조립식 상부 레일
KR101187561B1 (ko) 2012-07-24 2012-10-08 김기안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1226087B1 (ko) 2012-04-03 2013-01-24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창문이탈방지구
KR101311359B1 (ko) 2012-04-18 2013-09-25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미닫이 창호 프레임의 밀폐구
KR20180114279A (ko) * 2017-04-07 2018-10-18 주식회사 다원건설 풍압 유도홀을 구비하는 미서기창
KR20180114280A (ko) * 2017-04-07 2018-10-18 주식회사 다원건설 탄성을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51B1 (ko) * 2010-03-12 2012-04-09 주식회사 율림종합건업 미닫이 도어 문틀용 조립식 상부 레일
KR101001212B1 (ko) 2010-09-13 2010-12-15 주식회사 씨에스창호닷컴 이동성 레일을 갖는 고기밀성 미닫이 창호
KR101085420B1 (ko) * 2011-02-16 2011-11-21 동방시스템주식회사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226087B1 (ko) 2012-04-03 2013-01-24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창문이탈방지구
KR101311359B1 (ko) 2012-04-18 2013-09-25 주식회사 비룡씨에이치씨 미닫이 창호 프레임의 밀폐구
KR101187561B1 (ko) 2012-07-24 2012-10-08 김기안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20180114279A (ko) * 2017-04-07 2018-10-18 주식회사 다원건설 풍압 유도홀을 구비하는 미서기창
KR20180114280A (ko) * 2017-04-07 2018-10-18 주식회사 다원건설 탄성을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975525B1 (ko) * 2017-04-07 2019-05-13 주식회사 다원건설 탄성을 이용한 기밀수단을 갖는 미서기창
KR101975524B1 (ko) * 2017-04-07 2019-05-13 주식회사 다원건설 풍압 유도홀을 구비하는 미서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95Y1 (ko)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200354016Y1 (ko) 강화유리도어용 프레임의 안전바 이탈방지장치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0321636B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102221573B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KR101525903B1 (ko) 창문 이탈방지구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KR102312985B1 (ko) 레일이 없는 미서기 창호
KR102625277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마감부재
JP3475284B2 (ja) 雪害防止機構を有する開閉式の窓
KR200152190Y1 (ko) 창문틀에 설치된 방수 및 방풍용 차단구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102427598B1 (ko)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EP0998616B1 (en) Guide arrangement for balcony glazing or the like
KR102013844B1 (ko) 도어용 패널
JPH10220126A (ja) サッシ
KR200153183Y1 (ko) 창문의 스토핑 장치
JP2008196195A (ja) 引戸装置
JPH04355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