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95Y1 -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 Google Patents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95Y1
KR200484795Y1 KR2020160002317U KR20160002317U KR200484795Y1 KR 200484795 Y1 KR200484795 Y1 KR 200484795Y1 KR 2020160002317 U KR2020160002317 U KR 2020160002317U KR 20160002317 U KR20160002317 U KR 20160002317U KR 200484795 Y1 KR200484795 Y1 KR 20048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insertion hole
fram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831U (ko
Inventor
이석춘
Original Assignee
이석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4125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4795(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춘 filed Critical 이석춘
Publication of KR20170000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창문을 닫을시 창문이 창틀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의 잠금장치 파손을 방지하는 창문용스토퍼에 돌기(402)를 만들어 창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일측단면에 수직부재삽입홀을 만들고 하부에 삽입홀을 구비하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조립되는 창틀의 코너부분에 조립되어 창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창문용스토퍼에 있어서, 창문용스토퍼(300)의 고정부재(400)는 철편 형상으로 중앙하부는 양내면(407)에 돌기(402)가 만들어지고 하방이 개방된 삽입홈(4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01)의 중앙상부는 양측면부(406)를 연결하는 상부면(404)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401)의 양측면부(406)를 형성한 고정부재(400)를 만들어 상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404)은 스토퍼(300)의 연결부(303)에, 삽입홈(401)은 삽입홀(302)에, 측면부(406)는 지지부(309)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고정부재(400)의 돌기(402)가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으로 돌출되게 사출하여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에는 돌기(402)가 돌출형성된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Stoper for window}
본 고안은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닫을시 창문이 창틀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의 잠금장치 파손을 방지하는 창문용스토퍼를 창틀레일에 조립고정하는 삽입홀에 돌기를 만들어 창틀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는 창문용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은 건물에 고정설치되는 창틀과 창틀의 가로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외측 창문으로 구성되어 창틀을 구성하는 가로프레임의 레일이동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나의 내측창문 일측에는 잠금장치가 조립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의 내측 창문을 큰 힘을 가하여 개방시에 창문의 일측에 조립설치된 잠금장치가 창틀의 세로프레임에 부딪쳐 잠금장치와 창틀의 충격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더욱 큰 충격에는 잠금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창문을 열고자 할 시에 창문이 세로프레임에 부딪쳐 창문에 조립설치된 잠금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틀의 상하 가로프레임이 조립되는 코너 부분에는 창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창문용스토퍼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창문용스토퍼는 도 7에서와 같이, 레일삽입홀(2)을 만들고 나사홀을 형성하여 레일이동부재(1c)에 레일삽입홀(2)을 일치시켜 창문용스토퍼(4)를 창틀(1)에 조립 후 나사(5)로 나사체결하여 창틀(1)에 창문용스토퍼(4)를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는 나사(5)가 창문용스토퍼(4)의 외부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나사(5)가 보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나사조립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 조립공구 등이 필요로 하고 또 나사조립 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며 또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나사부분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보이는 나사를 감추어 사용하였으나 스티커 부착은 시간이 많이 필요로 하고 스티커가 창틀로부터 떨어져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나사로 창틀에 스토퍼를 고정하였기에 창틀의 바닥면을 뚫고 들어간 나사로 인해 형성된 미세한 틈으로 우천시 빗물이 스며드는 누수현상으로 창틀프레임의 수밀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실용신안공개 2013-000029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 개방시에 잠금장치가 창틀에 부딪치는 것을 예방하여 잠금장치의 파손방지와 충격소음을 없애는 창문용스토퍼를 창틀에 용이하게 조립하여 조립성의 향상으로 조립시간이 단축하여 경제적이고 조립되었을 시는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 창문용 스토퍼를 제공하는데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단면에 수직부재삽입홀을 만들고 하부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조립되는 창틀의 코너 부분에 조립되어 창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창문용스토퍼에 있어서,
창문용스토퍼(300)의 고정부재(400)는 철편 형상으로 중앙하부는 양내면(407)에 돌기(402)를 구비하여 하방이 개방된 따매기홈(401)을 형성하고 상기 따매기홈(401)의 중앙상부는 양측면부(406)를 연결하는 상부면(404)을 구비하고 상기 따매기홈(401)의 양측면부(406)를 형성한 고정부재(400)를 만들어 상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404)은 스토퍼(300)의 연결부(303)에, 따매기홈(401)은 삽입홀(302)에, 측면부(406)는 지지부(309)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고정부재(400)의 돌기(402)가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으로 돌출되게 사출하여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에는 돌기(402)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에 고정부재(400)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홀(302)의 상부에는 요홈(311)을 구비하는 리브(3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창문용스토퍼(300)의 지지부(309)에 보강부(3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06)에는 다수개의 홀(40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창틀의 레일이동부재에 창문용스토퍼의 삽입홀을 위치하고 창문용스토퍼를 눌러 창틀에 창문용스토퍼를 간단하게 조립설치하므로 창문용스토퍼의 조립시간 단축으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경제적이고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 조립되었을시는 철편을 가압하여 형성한 돌기에 의하여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서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의 사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 조립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의 사시도.
도 3a는 창문용스토퍼를 위에서 본 사시도.
도 3b는 창문용스토퍼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돌기를 형성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창문용스토퍼의 고정부재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가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의 사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가 창틀에 조립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철편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창문용스토퍼의 고정부재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창문용스토퍼가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창틀(100)에 조립설치되는 창문용스토퍼(300)는 육면체로 만들고 일측면에는 창틀(100)의 세로프레임(101)에 구비된 수직부재(103)를 삽입하는 수직부재삽입홀(30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가로프레임(102)에 구비된 레일이동부재(104)에 삽입고정하는 삽입홀(302)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홀(302)의 양측 지지부(309)의 내측면(308)에는 돌기(402)가 돌출형성된다.
창틀(100)은 세로프레임(101)과 가로프레임(102)이 조립되어 직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상.하가로프레임(102)의 하부가로프레임(102) 위에 얹어진 창문(110)을 이동하는 레일이동부재(104)와 창문의 사이로 외부의 바람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헤어(122)를 조립하기 위해 모헤어설치홀(121)이 구비된 모헤어설치부재(12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좌.우세로프레임(101)은 창틀(1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창문용스토퍼(300)는 창틀(100)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잠금장치(200)를 구비한 내측창문(110)을 개방시 내측창문(110)이 창틀(100)의 모서리에 조립설치된 창문용스토퍼(300)에 걸려 정지되도록 하여, 창문(110)과 창틀(100)의 세로프레임(101)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창문(110)의 잠금장치(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가로프레임(102)의 모헤어설치홀(121)에 조립 설치되는 모헤어(122)는 공지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헤어가 헤어판(123)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헤어판(123)은 창틀(100)에 만든 모헤어설치홈(121)에 삽입시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딱딱한 재료를 사용하고 헤어(125)는 수많은 가닥의 섬유로 만들고 헤어(125)를 만든 섬유에 의하여 소음이 흡수되어 방음을 할 수 있고, 또 창문(110)은 모헤어(122)와 접촉되면서 이동되므로 창문(110)과 모헤어(122) 사이에 간격이 없어 외부의 바람이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는 합성수지로 압입사출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만드는데 일측단부에는 창틀(100)의 수직프레임(101)에 구비된 수직부재(103)에 삽입하기 위한 수직부재삽입홀(301)을 형성하고 하면에는 레일이동부재(104)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302)을 구비하는데 상기 삽입홀(302)의 내측면(308)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부재(400)의 돌기(402)가 돌출형성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철편을 이용하여 중앙하부에는 하방이 개방된 삽입홈(40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401)의 양내측에 돌기(402)를 만들고, 상기 삽입홈(401)의 양측은 측면부(406)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01)의 상부는 양측면부(406)를 연결하는 상부면(404)을 구비한다.
창문용스토퍼(300)는 고정부재(400)를 넣고 합성수지로 압입사출하는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404)은 창문용스토퍼(300)의 연결부(303)에 위치하여 고정부재(400)의 삽입홈(401)이 창문용스토퍼(300)의 삽입홀(302)에 위치하도록하고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06)는 창문용스토퍼(300)의 지지부(309)에 위치하도록하여 압입사출하는데 고정부재(400)의 돌기(402)가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으로 돌출되게 하여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에는 돌기(402)가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의 지지부(309)는 다수개의 프렌지(306)를 만들어 공간부(307)를 형성하여 불필요한 자재의 소모를 없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면서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냉각속도의 차이에 의하여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고 또 프렌지(306)를 다수개 만들어 창문용스토퍼(30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창문용스토퍼(30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창문용스토퍼(300)의 지지부(309)에 형성된 프렌지(309)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 보강부(313)를 만든다
상기 보강부(313)는 고정부재(400)를 창문용스토퍼(300)에 단단하게 고정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의 일측 단부에 형성한 수직부재삽입홀(301)은 창문용스토퍼(300)를 창틀(100)에 조립하였을 시에 창틀의 세로프레임(101)에 구비된 수직부재(103)에 삽입되어 창문용스토퍼(300)가 창틀의 세로프레임(101)에 단단하게 조립되어 창문용스토퍼(300)가 좌우로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의 하면에 형성한 삽입홀(302)의 양측에 지지부(309)를 만들어 지지부(309)의 내측면(308)에는 고정부재(400)의 돌기(402)를 돌출되게 만들어 가로프레임(102)의 레일이동부재(104)에 창문용스토퍼(300)를 고정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02)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리브(312)를 만들고 그 리브(312)에는 요홈(311)을 형성한다
상기 리브(312)는 창문용스토퍼(300)를 레일이동부재(104)에 삽입시 정지하는 기능하고 또 요홈(311)은 레일이동부재(104)의 상부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요홈(311)의 극대점과 고정부재(400)의 상부면(404)의 하면을 동일한 높이로 하였다.
상기 돌기(402)는 고정부재(400)의 내면(407) 양측에 상부가 많이 돌출하되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돌기(402)는 상광하협으로 돌출형성하여 창문용스토퍼(300)를 레일이동부제(104)에 조립시 창문용스토퍼(300)를 레일이동부제(104)에 얹은 상태에서 창문용스토퍼(300)를 눌러 삽입할 시에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으로 돌출형성된 돌기(402)가 레일이동부재(104) 측벽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광하협인 돌기(402)의 형상에 의해 레일이동부재(104) 측벽에 밀착되어 하방으로 이동되고, 돌기(402)의 모서리가 레일이동부재(104) 측벽에 박힘으로써, 창문용스토퍼(300)가 창틀(100)의 레일이동부재(104))의 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돌기(402)를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만들어 창문용스토퍼(300)를 레일이동부재(104)에 조립시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하였고, 또 조립된 후에는 돌기(402)의모서리가 창문용스토퍼(300)가 레일이동부재(104)에서 빠지지 않도록하여 창문용스토퍼(300)가 창틀(10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또 돌기(402)의 상부의 넓은 부분이 지지부(309)의 내측면(309) 내측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철편(400)의 측면으로부터 멀리 돌출되어 창문용스토퍼를 단단하게 조립되도록 하였다.
또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06)와 상부면(404)에는 다수개의 홀(405)을 형성하여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압입사출하여 창문용스토퍼(300)는 고정부재(400)의 양측에서 합성수지로 감싸면서 홀(405)을 통해 창문용스토퍼(30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고정부재(400)과 창문용스토퍼(300)가 견고하게 만들어 지도록하였다.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에 다수개 고정부재(400)을 넣어 사출할 수 있다.
창문용스토퍼(300)를 창틀(100)에 조립하고자 할 시에는 창문용스토퍼(300)의 일단측면에 만들어진 수직부재삽입홀(301)을 세로프레임(101)에 접촉시킨 후 밀어 창문용스토퍼(300)의 수직부재삽입홀(301)에 수직부재(103)를 삽입시키게 되면 창틀(100)의 레일이동부재(104)가 스토퍼(300)의 삽입홀(302)과 일치하게되므로 창문용스토퍼(300)를 상부에 하부로 가압하면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에 상광하협으로 돌출형성된 돌기(402)가 창문프레임(100)의 가로프레임(102)과 접촉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어 창문용스토퍼(300)가 가로프레임(102)의 레일이동부재(104)에 조립되게 되어 창틀(100)에 창문용스토퍼를 용이하게 조립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창틀 101 : 세로프레임
102 : 가로프레임 103 : 수직부재
104 : 레일이동부재 200 : 잡금장치
300 : 창문용스토퍼 301 : 수직부재삽입홀
302 : 삽입홀 303 : 연결부
308 : 내측면 309 : 지지부
400 : 고정부재 402 : 돌기
402 : 중앙부 404 : 상부면
406 : 측면부

Claims (5)

  1. 일측단면에 수직부재삽입홀을 만들고 하부에 삽입홀을 구비하여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조립되는 창틀의 코너 부분에 조립되어 창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창문용스토퍼에 있어서,
    창문용스토퍼(300)의 고정부재(400)는 철편 형상으로 중앙하부는 양내면(407)에 돌기(402)가 만들어지고 하방이 개방된 삽입홈(401)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01)의 중앙상부는 양측면부(406)를 연결하는 상부면(404)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401)의 양측면부(406)를 형성한 고정부재(400)를 만들어 상기 고정부재(400)의 상부면(404)은 스토퍼(300)의 연결부(303)에, 삽입홈(401)은 삽입홀(302)에, 측면부(406)는 지지부(309)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고정부재(400)의 돌기(402)가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으로 돌출되게 사출하여 삽입홀(302)의 내측면(308)에는 돌기(402)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302)의 상부에는 요홈(311)을 구비하는 리브(3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용스토퍼(300)에 고정부재(400)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를 설치하는 창문용스토퍼(300)의 지지부(309)에 보강부(3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의 측면부(406)에는 다수개의 홀(40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20160002317U 2015-08-25 2016-04-28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04847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682 2015-08-25
KR20150005682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31U KR20170000831U (ko) 2017-03-07
KR200484795Y1 true KR200484795Y1 (ko) 2017-10-25

Family

ID=5841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17U KR200484795Y1 (ko) 2015-08-25 2016-04-28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795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920B1 (ko) * 2018-06-11 2019-02-11 (주) 한길 하이브리드 창호완충 고정장치, 그리고 이를 부착한 창호틀
KR101969668B1 (ko) 2018-02-09 2019-04-16 홍정기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1998802B1 (ko) * 2018-01-02 2019-07-10 장만동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20190002051U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102019250B1 (ko) 2018-03-19 2019-09-06 주식회사 제이켐 스프링백에 의한 고정성능을 향상시킨 레일스토퍼
KR102037977B1 (ko) 2019-05-28 2019-10-29 이용재 무비스 스토퍼 조립체
KR102050670B1 (ko) * 2018-07-25 2019-11-29 김석환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102127069B1 (ko) 2019-04-09 2020-06-25 홍정기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2182333B1 (ko) 2019-06-04 2020-11-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무비스 프레임 스토퍼
KR20210091610A (ko) 2020-01-14 2021-07-22 황인성 창문용 스토퍼
KR102406847B1 (ko) 2022-01-21 2022-06-10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슬라이딩 창호용 가이드 레일 스토퍼
KR20220121548A (ko) * 2021-02-25 2022-09-01 장석일 고정이 용이한 창호용 스토퍼
KR2023006173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10B1 (ko) * 2018-07-23 2019-07-22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설치용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82Y1 (ko) 1999-03-05 2001-12-13 김창수, 박승, 현승훈 미닫이식 창호용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206U (ko) * 2007-12-28 2008-02-19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20110007901U (ko) * 2010-02-03 2011-08-10 (주)성림금속 창문스토퍼
KR101230678B1 (ko) 2011-06-22 2013-02-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E1 활성화 억제제인 mln4924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982Y1 (ko) 1999-03-05 2001-12-13 김창수, 박승, 현승훈 미닫이식 창호용 스토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02B1 (ko) * 2018-01-02 2019-07-10 장만동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20190002051U (ko) * 2018-02-02 2019-08-12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200490219Y1 (ko) 2018-02-02 2019-10-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101969668B1 (ko) 2018-02-09 2019-04-16 홍정기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2019250B1 (ko) 2018-03-19 2019-09-06 주식회사 제이켐 스프링백에 의한 고정성능을 향상시킨 레일스토퍼
KR101946920B1 (ko) * 2018-06-11 2019-02-11 (주) 한길 하이브리드 창호완충 고정장치, 그리고 이를 부착한 창호틀
KR102050670B1 (ko) * 2018-07-25 2019-11-29 김석환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102127069B1 (ko) 2019-04-09 2020-06-25 홍정기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2037977B1 (ko) 2019-05-28 2019-10-29 이용재 무비스 스토퍼 조립체
KR102182333B1 (ko) 2019-06-04 2020-11-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무비스 프레임 스토퍼
KR20210091610A (ko) 2020-01-14 2021-07-22 황인성 창문용 스토퍼
KR20220121548A (ko) * 2021-02-25 2022-09-01 장석일 고정이 용이한 창호용 스토퍼
KR102487828B1 (ko) * 2021-02-25 2023-01-11 장석일 고정이 용이한 창호용 스토퍼
KR20230061737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짝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하는 창호용 스토퍼
KR102406847B1 (ko) 2022-01-21 2022-06-10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슬라이딩 창호용 가이드 레일 스토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31U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95Y1 (ko)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170099474A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JP2008223288A (ja) リフォームサッシ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616526B1 (ko) 발포성 합성수지 문틀구조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20130030595A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20130000290U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KR101650872B1 (ko)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구조를 갖는 창문샤시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1674257B1 (ko)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JP4446470B2 (ja) 改装サッシ
KR200454937Y1 (ko) 문틀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KR200411550Y1 (ko) 난간 일체형 이중 창틀
KR101648099B1 (ko) 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KR101816167B1 (ko) 벌레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프레임
KR102142072B1 (ko) 전체 탈부착이 가능하고 흡음성능이 향상된 버드세이프 흡음 투명 방음판 및 그 설치 공법
KR102132265B1 (ko) 배수와 스토퍼 기능을 갖는 사출물을 사용하여 기밀성과 방풍성을 향상시킨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200357491Y1 (ko) 샤시를 이용한 도어프레임 어셈블리
KR101098237B1 (ko) 기능성 방음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52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728

Effective date: 2023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