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670B1 -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670B1
KR102050670B1 KR1020180086680A KR20180086680A KR102050670B1 KR 102050670 B1 KR102050670 B1 KR 102050670B1 KR 1020180086680 A KR1020180086680 A KR 1020180086680A KR 20180086680 A KR20180086680 A KR 20180086680A KR 102050670 B1 KR102050670 B1 KR 10205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bracket
protrusion
elastic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환
이광우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18008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지지 브래킷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고, 이 지지 브래킷을 레일에 강제로 끼워서 정해진 위치에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레일 스토퍼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일 스토퍼를 레일에 강제로 끼워서 창호 틀의 하부 프레임의 길이 끝쪽으로 강제로 밀면 레일 스토퍼 장착이 끝나므로, 누구든지 쉽게 정해진 위치에 레일 스토퍼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RAIL STOPPER FOR SLIDING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 브래킷을 본체에 탄성과 변형을 이용하여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고, 이 본체를 레일에 탄성과 변형을 이용하여 강제로 끼워서 창호 틀 끝으로 밀면 장착을 끝낼 수 있게 하여,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조립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창호는 창호 틀에 레일을 형성하고, 이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는 창호 짝을 시공하여 사용하는 창호를 말한다. 이때, 창호 짝은 레일을 따라 움직이므로, 창호 짝이 급격하게 닫힘에 따라 창호나 창호의 잠금장치 등이 고장이 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창호 짝을 안내하는 레일 끝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창호 짝을 슬라이딩하여 닫을 때 급격하게 닫히지 않게 저항을 주는 레일 스토퍼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0290호
외측 창짝의 개폐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외측 레일의 높이보다 낮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창틀의 하부 일측 모서리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 사이로 끼워지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후방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측 창짝의 개방 시 잠금장치가 창틀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 레일과 외측 레일 사이로 압입되는 압입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532063호
미닫이 창호용 이동형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스토퍼의 설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여 미닫이 창호를 열 때 걸림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이동형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일측 상부면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의 상부면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일정깊이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T형 단면을 갖는 레일과, 레일과 본체를 동시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으로 구성되는 고정 프레임과; 직육면체 형상으로 하부에 전 길이방향에 걸쳐 T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레일 홈과, 일측면에서 레일 홈의 상부에서 상부면까지의 부분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걸림부와,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너트홈이 형성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고정공으로 구성되어, 고정 프레임의 레일이 레일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이동형 스토퍼와; 원통형의 형상으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동형 스토퍼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며 하단부가 이동형 스토퍼의 고정공에서 돌출하여 고정 프레임의 고정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용 핀;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474호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창틀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은, 창틀 프레임의 레일 상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창짝이 상기 창틀 프레임의 내주 면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해주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 있어서, 결합 홈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결합 홈 내에 구비되며, 내주 면에는 상기 레일 상에 끼움 결합 시 레일 외주 면에 가압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이 구비되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하지만, 기존의 레일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스토퍼를 레일에 고정할 때, 고정구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스토퍼를 고정해야 한다.
(2) 이는, 스토퍼를 레일에 고정하는 시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공 효율을 떨어뜨린다.
(3) 또한, 스토퍼를 레일에 장착할 때 정해진 위치에 장착하지 않았을 때는 레일에서 스토퍼를 분리하여 다시 정해진 위치에 장착해야 하는 데, 이때 레일에는 스토퍼를 장착할 때 생긴 장착 구멍 등이 생겨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재시공에 따른 조립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4) 이러한 장착 구멍은 외부에 이물이나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고, 또한 바람이 불 때는 이음을 발생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방해한다.
(5) 한편, 이처럼 레일에 스토퍼를 고정하려면 고정수단이 필요하므로, 그만큼 제조비용이 더 많이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13-0000290호(공개일: 2013.01.14) 한국등록특허 제1532063호 (등록일 : 2015.06.2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474호 (공개일 : 2017.09.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본체에 지지 브래킷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고, 이 지지 브래킷을 레일에 강제로 끼워서 정해진 위치에 시공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레일 스토퍼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일 스토퍼를 레일에 강제로 끼워서 창호 틀의 하부 프레임의 길이 끝쪽으로 강제로 밀면 레일 스토퍼 장착이 끝나므로, 누구든지 쉽게 정해진 위치에 레일 스토퍼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는,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 짝을 안내하는 창호 틀의 레일(R)에 장착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서, 레일(R)에 강제로 끼워서 그 길이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지지 브래킷(10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하는 본체(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돌출하여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꺾이고 중간 부분에 고정 구멍(121)을 관통 성형한 지지 부분(120); 상기 지지 부분(1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에서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성형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 돌기(131)와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 돌기(132)를 갖춘 탄성 부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분(130)은 바깥으로 돌출한 끝 부분이 서로 반대가 되게 바깥으로 휘거나 꺾이게 형성하되, 상기 제1탄성 돌기(131)는 베이스(1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제2탄성 돌기(132)는 탄성 부분(130)의 끝 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200)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하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지지 부분(120) 사이가 노출되어 레일(R)을 끼울 수 있게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한쪽에는 이 레일(R)과 교차하는 레일(R')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4)을 갖춘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에 끼울 때, 상기 고정 구멍(121)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돌기(211); 상기 제1탄성 돌기(131)를 안내하여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게 하는 제1 가이드(212); 및 상기 탄성 부분(130)을 가압하여 상기 제2탄성 돌기(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 레일(R) 면에 가압하여 고정하게 하는 제2 가이드(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상기 제2 가이드(213)는, 상기 수용공간(210) 안으로 들어갈수록 제2 가이드(21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 홈(214)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14a)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는,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 짝을 안내하는 창호 틀의 레일(R)에 장착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서, 레일(R)에 강제로 끼워서 그 길이 방향으로 밀 수 있게 구성하는 지지 브래킷(10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하는 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200)에는 지지 브래킷(100)을 끼우는 바닥 면에 적어도 하나의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는 상기 압입 돌기(215)와 마주하는 면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압입 구멍(111)을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압입 구멍(111)은, 방사형으로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압입 돌기(215)는, 분할 핀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입 구멍(111)을 관통 성형한 베이스(110'); 및 상기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돌출하여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꺾이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압 돌기(122)를 돌출 성형하고, 서로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 돌기(123)를 돌출 성형한 지지 부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하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지지 부분(120') 사이가 노출되어 레일(R)을 끼울 수 있게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한쪽에는 이 레일(R)과 교차하는 레일(R')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4)을 갖춘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 공간(210)의 안쪽 면에는 상기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지지 브래킷을 강제로 끼워서 조립한 본체를 창호 틀의 레일에 강제로 끼워서 시공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시공할 수 있다.
(2) 특히, 스크루나 클립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강제 끼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레일에 시공하므로, 시공 시간을 줄여 조립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탄성 변형하는 제2탄성 돌기가 레일 면에 밀착하도록 레일 스토퍼를 장착하므로, 레일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 스토퍼를 밀면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4) 특히, 탄성 돌기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레일 스토퍼를 레일에 끼워서 고정 설치하므로, 레일의 폭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범용으로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한편, 본체에 형성한 압입 돌기에 지지 브래킷을 강제로 끼워서 장착할 수 있게 압입 구멍을 관통 성형하므로, 지지 브래킷과 본체를 쉽게 결합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이때, 압입 구멍은 방사형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므로, 압입 돌기를 억지로 끼울 때 절개 부분이 변형했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압입 돌기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7) 또한, 압입 돌기는 분할 핀 형태로 형성하므로, 지지 브래킷을 본체에 끼워서 조립할 때 압입 돌기가 변형했다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면서 신속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를 창호 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구성하는 지지 브래킷과 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a)는 지지 브래킷과 본체의 결합 전 상태를, (b)는 지지 브래킷과 본체의 결합한 상태를, (c)는 지지 브래킷과 본체의 결합한 폭 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 사시도이고, (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지지 브래킷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지지 브래킷(100), 그리고 본체(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본체(200)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한 상태에서, 이 지지 브래킷(100)을 레일(R)에 강제로 끼워서 장착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레일(R)에 레일 스토퍼를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지지 브래킷(100)은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레일(R)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고정하므로, 레일(R) 폭이 어느 정도 다르더라도 레일 스토퍼를 고정할 수 있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R"은 창호 틀을 구성하는 하부 프로파일에 형성하여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레일을, "R'"는 창호 틀을 구성하는 수직 프로파일에 상기 레일(R)과 직교하도록 형성한 레일을 나타낸다.
<지지 브래킷>
지지 브래킷(1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후술할 본체(200)에 강제로 끼워서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 지지 브래킷(100)을 레일(R)에 끼워서 고정 설치하여 창호 짝이 급격하게 여닫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지 브래킷(10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베이스(110), 지지 부분(120), 그리고 탄성 부분(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베이스(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소정의 크기로 제작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110)의 양쪽에 형성하는 후술할 두 개의 지지 부분(120)이 서로 나란하게 형성해야 하므로, 상기 베이스(110)도 양쪽 가장자리가 서로 나란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베이스(110)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양쪽 가장자리가 나란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제작할 수 있다.
지지 부분
지지 부분(12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를 꺾어서 서로 마주하게 두 개를 형성한다. 이때, 이들 지지 부분(120)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하여 상술한 베이스(110)를 후술할 본체(200)의 수용공간(210) 바닥에 밀착하게 끼울 때, 이 지지 부분(120)이 수용공간(210)의 마주하는 면에 밀착하여 지지 브래킷(100)이 본체(2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분(12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중간 부분에 고정 구멍(121)을 관통 형성한다. 고정 구멍(121)은 후술할 수용공간(210)에 지지 브래킷(100)을 강제로 끼워서 삽입할 때 이 수용공간(210)에 형성한 고정 돌기(211)가 끼워져서 지지 브래킷(100)과 본체(200)를 일체로 고정해 준다.
탄성 부분
탄성 부분(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각 지지 부분(1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베이스(110)에 일체로 돌출 성형한다.
특히, 상기 탄성 부분(13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어느 한쪽으로 제1탄성 돌기(131)를 돌출 성형하여 수용공간(210)에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212)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른 한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 돌기(132)를 돌출 성형하여 지지 브래킷(100) 안에 끼워진 레일(R) 면에 강제로 탄성 지지하여 레일 스토퍼를 레일(R)에 고정해 준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돌기(131)와 제2탄성 돌기(132)는 돌출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하되, 특히 상기 제2탄성 돌기(132)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탄성 부분(13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탄성 부분(13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베이스(110)에서 바깥으로 돌출할수록 끝 부분이 서로 멀어지게 바깥 방향으로 휘거나 꺾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의 수납공간(210)에 삽입할 때, 이들 탄성 부분(130)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휘면서 생긴 탄성력으로 지지 브래킷(100)과 본체(20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탄성 돌기(131)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베이스(110)와 인접한 탄성 부분(13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 브래킷(100)을 수납공간(210)에 끼워 본체(200)에 고정할 때, 이 제1탄성 돌기(131)가 강제로 수납공간(210)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데, 이때 베이스(110)와 인접한 곳에 형성한 제1탄성 돌기(131)가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한 번 장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탄성 돌기(132)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탄성 부분(130)의 끝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c)]와 같이 바깥으로 벌어졌던 탄성 부분(130)이, [도 3(c)]와 같이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공간(210)에 강제로 끼워서 장착했을 때, 제2탄성 돌기(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리면서 그 사이에 강제로 끼이는 레일(R)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지지 브래킷(100)은 탄성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를 이용하여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이처럼 이루어진 지지 브래킷(100)은, [도 3(c)]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탄성 부분(130) 사이에 레일(R)에 끼운 상태에서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밀면, 제2탄성 돌기(132)가 레일(R) 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레일(R)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장착 위치가 어느 정도 벗어나더라도 쉽게 정해진 위치로 위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도 3(c)] 및 [도 4(c)]와 같이, 탄성 부분(130)이 탄성 변형하므로, 마주하는 두 개의 탄성 부분(130) 사이에 끼우는 레일(R)의 폭이 조금 작거나 크더라도 탄성 변형 정도를 달리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
본체(200)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수용공간(210)을 형성한다. 이때, 수용공간(210)은 상술한 베이스(110)를 수용공간(210)의 안쪽을 향하도록 끼웠을 때, 서로 마주하는 지지 부분(120) 및 탄성 부분(130) 사이로 레일(R)에 끼울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한쪽 끝에 다른 레일(R')을 끼울 수 있도록 수용 홈(214)을 형성한다. 수용 홈(214)은 창호 틀을 구성할 때 바닥의 하부 프로파일 양단에 각각 장착하는 수직 프로파일에 형성한 레일(R')이 끼워지게 하기 위한 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가 바닥과 수직 프로파일에 각각 형성하여 맞닿는 두 개의 레일(R, R')에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수용 홈(214)은, [도 2]·[도 3] 및 [도 5]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14a)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일(R')을 수용 홈(214)에 끼울 때, 레일(R') 면과 수용 홈(214) 사이에서 이 가압 돌기(214a)가 쐐기처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수용공간(210)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와 같이, 고정 돌기(211), 제1 가이드(212), 그리고 제2 가이드(213)를 더 포함한다.
고정 돌기
고정 돌기(211)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수용공간(210)에 지지 브래킷(100)을 강제로 끼워서 삽입할 때, 상술한 고정 구멍(121)에 끼워져서 본체(200) 안에서 지지 브래킷(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돌기이다.
이러한 고정 돌기(211)는 상술한 고정 구멍(121)의 넓이와 같은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는 고정 돌기(211)를 지지 브래킷(210)을 끼우는 방향으로 얇고 길게 제작하여 수용 공간(210)에 지지 브래킷(100)을 끼워서 고정할 때 고정 구멍(121)이 쉽게 고정 돌기(211)에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다.
제1 가이드
제1 가이드(212)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수용공간(210)에 지지 브래킷(100)을 강제로 끼워서 삽입할 때, 제1탄성 돌기(131)를 안내하여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를 말한다.
이러한 제1 가이드(212)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지지 브래킷(100)을 끼우는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210)에 형성하게 되는 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두 개의 제1 가이드(212) 사이의 간격이 수용공간(210)의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공간(210) 안으로 지지 브래킷(100)을 끼워 넣을수록 점차 강제로 지지 브래킷(100)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제2 가이드
제2 가이드(213)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수용공간(210)에 지지 브래킷(100)을 강제로 끼워서 삽입할 때, 제2탄성 돌기(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안내하는 가이드를 말한다.
이때, 상기 제2 가이드(213)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제2탄성 돌기(132)가 상술한 베이스(110)와 두 개의 지지 부분(120)으로 둘러싸인 공간 안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c)]와 같이, 이 공간 안에 레일(R)이 끼워지게 되는 데, 이때 이 공간 안으로 돌출한 제2탄성 돌기(132)가 레일(R) 면을 가압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213)는 상술한 제1 가이드(212)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5]와 같이, 지지 브래킷(100)을 끼우는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210)에 형성하게 되는 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두 개의 제2 가이드(213)가 사이의 간격이 수용공간(210)의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공간(210) 안으로 지지 브래킷(100)을 끼울 때, 제2탄성 돌기(132가 이 제2 가이드(213)를 받아 서서히 눌리면서 레일(R) 면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본체(200)는 창호 틀에 구성한 레일에 레일 스토퍼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 레일을 따라 창호 짝이 슬라이딩할 때, 창호 틀과 창호 짝 사이에 강제로 끼여 창호 짝이 급격하게 여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스펀지, 메모리 폼, 실리콘, 그리고 고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지 브래킷을 본체에 강제로 끼운 다음, 이 지지 브래킷을 레일 위에 올려놓고 소정의 힘을 가함에 따라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쉽고 신속하게 레일 스토퍼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지지 브래킷(100)과 본체(2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는 본체(200)와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압입 구멍(111)을 관통 성형하고,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10)에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함으로써, 압입 돌기(215)를 압입 구멍(111)에 끼움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에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부호 "R"은 창호 틀을 구성하는 하부 프로파일에 형성하여 창호 짝을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레일을, "R'"는 창호 틀을 구성하는 수직 프로파일에 상기 레일(R)과 직교하도록 형성한 레일을 나타낸다.
<지지 브래킷>
지지 브래킷(10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후술할 본체(20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레일(R)을 감싸면서 이 레일(R)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지지 브래킷(10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진 베이스(110'), 그리고 이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연장하여 서로 마주하게 꺾인 형태로 이루어진 두 개의 지지 부분(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베이스(11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후술할 본체(200)에 형성한 수용공간(210)에 장착하게 되는 데, 이 수용공간(210)에 미리 형성한 압입 돌기(215)에 강제로 끼워져서 베이스(110')를 수용공간(210) 안에 고정할 수 있도록 압입 구멍(111)을 관통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입 구멍(111)은 압입 돌기(215)를 강제로 끼워서 본체(200)에 지지 브래킷(100)을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라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방사형으로 절개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입 돌기(215)를 압입 구멍(111)에 강제로 끼워서 장착할 때, 압입 구멍(111)의 방사형으로 절개한 두 개 부분 사이가 쉽게 변형하였다가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압입 돌기(215)를 더욱 견고하게 탄성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압입 돌기(215)가 압입 구멍(111)의 중앙 부분보다 조금 크게 제작하더라도, 이처럼 절개 부분 사이의 탄성 변형을 통해 압입 돌기(215)를 압입 구멍(111)에 안정적으로 끼워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지지 부분
지지 부분(120')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를 꺾어서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다. 특히, 상기 지지 부분(120')은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에 레일(R)이 끼워지게 장착하고, 서로 마주하지 않는 바깥 면이 후술할 수용공간(210)에 밀착하여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에 고정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부분(120')에는, [도 6] 및 [도 8]과 같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압 돌기(122)를 돌출 성형하여 레일(R) 면과 밀착하여 변형하면서 지지 브래킷(100)을 레일(R)에 고정하게 하고, 서로 마주하지 않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 돌기(123)를 돌출 성형하여 이처럼 레일(R)이 지지 브래킷(100)에 끼워질 때 이 제2 가압 돌기(123)가 수용공간(210)을 압착하면서 본체(200)와 지지 브래킷(100)을 일체로 밀착 고정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 돌기(122)와 제2 가압 돌기(123)는, 각각 [도 8]과 같이, 적어도 한 번 턱진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이처럼 외력이 가해질 때 쉽게 변형하여 밀착과 고정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금속,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하므로, 턱진 실린더 형상으로 돌출 성형한 제1 가압 돌기(122)와 제2 가압 돌기(123)가 각각 레일(R)과 본체(200)에 의해 눌림에 따라 쉽게 변형하면서 그 틈새를 없애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지지 브래킷(10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체(200)에 강제로 끼워서 장착한다.
본체
본체(2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체 길이에 걸쳐 수용공간(210)을 형성한다. 이때, 수용공간(210)은 상술한 베이스(110)를 수용공간(210)의 안쪽을 향하도록 끼웠을 때, 서로 마주하는 지지 부분(120') 사이로 레일(R)에 끼울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한쪽 끝에 다른 레일(R')을 끼울 수 있도록 수용 홈(214)을 형성한다. 수용 홈(214)은 창호 틀을 구성할 때 바닥의 하부 프로파일 양단에 각각 장착하는 수직 프로파일에 형성한 레일(R')이 끼워지게 하기 위한 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가 바닥과 수직 프로파일에 각각 형성하여 맞닿는 두 개의 레일(R, R')에 끼워져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수용 홈(214)은, [도 6] 및 [도 7]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14a)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일(R')을 수용 홈(214)에 끼울 때, 레일(R') 면과 수용 홈(214) 사이에서 이 가압 돌기(214a)가 쐐기처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도 7]과 같이, 상술한 압입 구멍(111)과 마주하는 면에 압입 돌기(215)를 돌출 형성한다. 압입 돌기(215)는 수용공간(210)의 안쪽을 향해 베이스(110')를 마주하게 하여 지지 브래킷(100)을 누름에 따라 압입 구멍(111)에 끼워지게 하여 본체(200)에 지지 브래킷(100)을 가압하여 장착하기 위한 돌기를 말한다.
이러한 압입 돌기(215)는 상술한 압입 구멍(111)과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하며, 도면에서는 두 개의 압입 구멍(111) 및 이와 대응하는 두 개의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압입 돌기(215)는 분할 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입 돌기(215)를 압입 구멍(111)에 마주하게 하여 누름에 따라 압입 돌기(215)의 크기가 줄었다가 압입 구멍(111)을 통과함에 따라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하면서 돌기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압입과 결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지지 브래킷과 본체를 서로 마주하게 하여 누름에 따라 지지 브래킷이 본체에 형성한 수용공간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지지 브래킷과 본체가 압입 구멍과 압입 돌기의 결합을 통해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동시에, 본 발명은 지지 브래킷에 레일을 끼움에 따라 제1 가압 돌기가 레일에 밀착하여 가압하고, 제2 가압 돌기가 본체를 가압하므로, 레일과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스토퍼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0 : 지지 브래킷
110, 110' : 베이스
111 : 압입 구멍
120, 120' : 지지 부분
121 : 고정 구멍
130 : 탄성 부분
131 : 제1탄성 돌기
132 : 제2탄성 돌기
200 : 본체
210 : 수용공간
211 : 고정 돌기
212 : 제1 가이드
213 : 제2 가이드
214 : 수용 홈
215 : 압입 돌기

Claims (12)

  1. 삭제
  2.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 짝을 안내하는 창호 틀의 레일(R)에 장착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서,
    레일(R)에 강제로 끼워서 그 길이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지지 브래킷(10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하는 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미리 정한 크기를 가진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돌출하여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꺾이고 중간 부분에 고정 구멍(121)을 관통 성형한 지지 부분(120);
    상기 지지 부분(120)의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10)에서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성형한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 돌기(131)와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 돌기(132)를 갖춘 탄성 부분(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3. 제2항에서,
    상기 탄성 부분(130)은 바깥으로 돌출한 끝 부분이 서로 반대가 되게 바깥으로 휘거나 꺾이게 형성하되,
    상기 제1탄성 돌기(131)는 베이스(1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제2탄성 돌기(132)는 탄성 부분(130)의 끝 부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4. 제2항에서,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본체(200)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하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지지 부분(120) 사이가 노출되어 레일(R)을 끼울 수 있게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한쪽에는 이 레일(R)과 교차하는 레일(R')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4)을 갖춘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본체(200)에 끼울 때,
    상기 고정 구멍(121)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고정 돌기(211);
    상기 제1탄성 돌기(131)를 안내하여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게 하는 제1 가이드(212); 및
    상기 탄성 부분(130)을 가압하여 상기 제2탄성 돌기(132)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눌러 레일(R) 면에 가압하여 고정하게 하는 제2 가이드(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6. 제5항에서,
    서로 마주하게 형성한 상기 제2 가이드(213)는,
    상기 수용공간(210) 안으로 들어갈수록 제2 가이드(21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7. 제5항에서,
    상기 수용 홈(214)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214a)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8. 슬라이딩 방식의 창호 짝을 안내하는 창호 틀의 레일(R)에 장착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에서,
    레일(R)에 강제로 끼워서 그 길이 방향으로 밀 수 있게 구성하는 지지 브래킷(100); 및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 강제로 끼워져서 고정하는 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200)에는 지지 브래킷(100)을 끼우는 바닥 면에 적어도 하나의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지지 브래킷(100)에는 상기 압입 돌기(215)와 마주하는 면에 강제로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압입 구멍(111)을 관통 성형하며,
    상기 지지 브래킷(100)은,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입 구멍(111)을 관통 성형한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일체로 돌출하여 서로 마주하여 나란하게 꺾이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압 돌기(122)를 돌출 성형하고, 서로 마주하지 않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압 돌기(123)를 돌출 성형한 지지 부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9. 제8항에서,
    상기 압입 구멍(111)은,
    방사형으로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10. 제8항에서,
    상기 압입 돌기(215)는,
    분할 핀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11. 삭제
  12. 제8항에서,
    상기 본체(200)는 상기 지지 브래킷(100)을 수용하고,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지지 부분(120') 사이가 노출되어 레일(R)을 끼울 수 있게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하며, 한쪽에는 이 레일(R)과 교차하는 레일(R')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홈(214)을 갖춘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되,
    상기 수용 공간(210)의 안쪽 면에는 상기 압입 돌기(215)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1020180086680A 2018-07-25 2018-07-25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KR10205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80A KR102050670B1 (ko) 2018-07-25 2018-07-25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680A KR102050670B1 (ko) 2018-07-25 2018-07-25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670B1 true KR102050670B1 (ko) 2019-11-29

Family

ID=6872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680A KR102050670B1 (ko) 2018-07-25 2018-07-25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6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KR102182333B1 (ko) * 2019-06-04 2020-11-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무비스 프레임 스토퍼
KR20210131032A (ko) 2020-04-23 2021-11-02 김석환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26A (ja) * 1994-05-24 1995-12-05 Ykk Architect Prod Kk 障子ストッパーの取付構造
KR20130000290U (ko) 2011-07-04 2013-01-14 이석춘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1532063B1 (ko) 2014-07-16 2015-06-29 주식회사 윈체 미닫이 창호용 이동형 스토퍼
KR101731038B1 (ko) * 2017-02-23 2017-04-27 주식회사 중원윈테크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20170099474A (ko) 2016-02-24 2017-09-01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200484795Y1 (ko) * 2015-08-25 2017-10-25 이석춘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426A (ja) * 1994-05-24 1995-12-05 Ykk Architect Prod Kk 障子ストッパーの取付構造
KR20130000290U (ko) 2011-07-04 2013-01-14 이석춘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1532063B1 (ko) 2014-07-16 2015-06-29 주식회사 윈체 미닫이 창호용 이동형 스토퍼
KR200484795Y1 (ko) * 2015-08-25 2017-10-25 이석춘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KR20170099474A (ko) 2016-02-24 2017-09-01 (주)엘지하우시스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KR101731038B1 (ko) * 2017-02-23 2017-04-27 주식회사 중원윈테크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33B1 (ko) * 2019-06-04 2020-11-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무비스 프레임 스토퍼
KR102156032B1 (ko) 2019-12-24 2020-09-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창호 스토퍼
KR20210131032A (ko) 2020-04-23 2021-11-02 김석환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KR102328976B1 (ko) * 2020-04-23 2021-11-18 김석환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670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 스토퍼
US5378077A (en) Shaped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structural profile members
US11209034B2 (en) Spring device and connecting device
US9359770B1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US5251418A (en) Panel door frame assembly
ES2903171T3 (es) Panel frontal para cajón
US10550586B2 (en) Cabinet with snap-in frame
US9815351B2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EP3879049A1 (en) Handle assembly and shower room
KR20180009525A (ko) 압착제조 용이하며 장착시 본딩이 필요없는 슬라이드 도어용 방풍 및 방충용 모헤어 결합구조
KR101753315B1 (ko) 문틀 조립구조
JP5254128B2 (ja) 鏡板の上部固定金具
JP2008039073A (ja) 接続機構
KR102328976B1 (ko)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EP2246515A1 (en) Fixing assembly for door sealing
US20200130480A1 (en) Window or door covering assembly for a vehicle
JPH04277311A (ja) プラスチック製ナット
US10267076B2 (en) Connecting device and window or door comprising a connecting device
JP3653454B2 (ja) 壁下地用金属製角筒柱
GB2361737A (en) Cavity closer and base frame
US20230243140A1 (en) Mounting system for sanitary fittings
KR200369465Y1 (ko) 건축구조물 프레임 연결용 너트
JPH10205242A (ja) 断熱パネル構造
KR20190000592U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팅 부재
KR20110045553A (ko) 창호 유니트, 창호 유니트의 보수 방법 및 창호 유니트 보수용 상부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